KR102382584B1 - 충전 인렛 - Google Patents

충전 인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584B1
KR102382584B1 KR1020200046041A KR20200046041A KR102382584B1 KR 102382584 B1 KR102382584 B1 KR 102382584B1 KR 1020200046041 A KR1020200046041 A KR 1020200046041A KR 20200046041 A KR20200046041 A KR 20200046041A KR 102382584 B1 KR102382584 B1 KR 10238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harging
bracket
shiel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171A (ko
Inventor
곽주연
곽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20004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5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전 인렛은차량의 일 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일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충전부가 각각 형성된 AC 인렛본체와 DC 인렛본체로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AC 인렛본체 및 상기 DC 인렛본체는 상기 충전부가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렛단자부와, 상기 인렛단자부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브라켓과 별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 공수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활용도 및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충전 인렛{Charge Inlet}
본 발명은 충전 인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차량 측에 설치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인렛이다.
최근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친환경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필요성이 또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친환경 차량은 수소연료 전지 자동차, 바이오디젤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이 있으며, 이 중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로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다.
이때 전기자동차는 외부로부터 동력원인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하여 급속 충전부와 완속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급속 충전부는 삼상 교류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충전기로 빠른 시간 이내에 배터리의 충전을 할 수 있으며 완속 충전부는 단상 교류의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를 충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신규 차량 개발 시, 차량의 제원에 맞는 급속 충전부 및 완속 충전부의 개발이 필요하여 개발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차폐 구조를 개시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공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모듈화를 통해 범용성을 향상시켜 연구 비용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전 인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은 차량의 일 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일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충전부가 각각 형성된 AC 인렛본체와 DC 인렛본체로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AC 인렛본체 및 상기 DC 인렛본체는 상기 충전부가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렛단자부와, 상기 인렛단자부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브라켓과 별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충전 아웃렛이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 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브라켓의 타 측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별물로 형성되는 메인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위치에 보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일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차폐하우징과, 상기 차폐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운드 버스바와 접촉되는 차폐플레이드로 형성되는 차폐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충전 인렛의 브라켓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인하우징과 별물고 형성되어 본체부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사양을 갖는 충전부를 제공할 수 있어 충전 인렛의 범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신규 차량 개발 시, 차량의 제원에 맞춰 AC 인렛본체 및 DC 인렛본체 중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개발할 수 있어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비용을 낮춰 원가를 절감시킨다.
본 발명의 충전 인렛은 새로운 차폐 구조를 갖는 차폐부를 구비하여 설치 시 작업 공부를 감소시키고, 노이즈 발생을 저감시켜 충전 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차폐부를 구비하여 고접압/고전류 적용을 실현하고, 이에 따라 충전속도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그라운드 버스바와 차폐플레이트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다양한 구조를 구비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및 외력에도 일정 이상의 접지 성능 및 내구성을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7은 도 3의 DC 인렛본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프로텍터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9는 도 7의 7-7 방향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다른 방향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차폐부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결합된 상태의 차폐부의 정면도
도 13(a)는 도 11의 결합된 상태의 차폐부의 일 측면도, 도 13(b)는 도 11의 a-a 방향의 단면 사시도.
도 14(a)는 도 11의 b-b 방향의 단면 사시도, 도 14(b)는 도 11의 c-c 방향의 단면도.
도 15(a)는 와이어부가 연결된 상태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d-d 방향의 단면도.
도 16은 도 11의 차폐플레이트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일부에 3축을 표시하고, X축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Y축 방향은 연장방향으로, Z축 방향은 수직방향으로 정의하며, 연장 방향에서 충전부가 형성된 부분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DC 인렛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프로텍터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7-7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차폐부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합된 상태의 차폐부의 정면도이고, 도 13(a)는 도 11의 결합된 상태의 차폐부의 일 측면도이며, 도 13(b)는 도 11의 a-a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4(a)는 도 11의 b-b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14(b)는 도 11의 c-c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5(a)는 와이어부가 연결된 상태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5(a)의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1의 차폐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10)은 차량의 일 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100) 및 상기 브라켓(100)의 일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충전부(212)가 각각 형성된 AC 인렛본체(201)와 DC 인렛본체(202)로 형성되는 본체부(200)를 포함하고, 각 상기 AC 인렛본체(201) 및 상기 DC 인렛본체(202)는 상기 충전부(212)가 형성된 메인하우징(210)과, 상기 충전부(2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렛단자부(230)와, 상기 인렛단자부(230)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30)로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인하우징(210)은 상기 브라켓(100)과 별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차량의 일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버스바(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연결부(230)가 관통하는 관통홀(610)이 형성된 차폐하우징(241)과, 상기 차폐하우징(24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접촉되는 차폐플레이트(243)로 형성되는 차폐부(24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인렛(10)은 차량의 일 측에 설치되고 전기 차량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기에 연결된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때 충전의 편의성을 위해 충전 인렛(10)의 형상에 대해 일정 종류의 국제 규격이 마련되어 있다.
브라켓(100)은 차량의 일 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고, 충전부(212)가 브라켓(100)의 일 측 즉, 차량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차량 충전 시 충전 인렛(10)과 충전 아웃렛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브라켓(100)은 AC 인렛본체(201) 및 DC 인렛본체(2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인하우징(210)과 별물로 형성되어 브라켓(100)에 설치되는 본체부(200)의 교체를 통해 다양한 국제 규격을 만족하는 충전 인렛(10)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메인하우징(210)이 설치되는 설치홀(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10)의 브라켓(100)은 AC 인렛본체(201)의 메인하우징(210)과는 일체로 형성되되, DC 인렛본체(202)의 메인하우징(210)과는 별물로 형성되고, 일 측으로 DC 인렛본체(202)의 메인하우징(210)이 설치되는 설치홀(110)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DC 인렛본체(202)를 교체하여 다양한 사양의 충전 인렛(10)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10)은 브라켓(100)과 AC 인렛본체(201)의 메인하우징(210)이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DC 인렛본체(202)는 브라켓(100)과 별물로 형성되어 브라켓(100)의 타 측에서 체결부재(20)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브라켓(100)의 타 측에는 DC 인렛본체(202)의 고정플레이트(213)와 체결되는 위치에 대응 하여 보강부(130)가 매설되어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확보한다.
또한 브라켓(100)은 차량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고정력 향상을 위해 고정부(120)의 내측에도 금속 너트와 같은 보강부(130)가 배치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어느 하나의 보강부(130)는 차체(그라운드)와 그라운드 버스바(300)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인렛(10)은 AC 인렛본체(201) 및 DC 인렛본체(202)가 설치되는 브라켓(100)을 일체로 형성하여 AC 인렛본체(201) 및 DC 인렛본체(202)과 연결되는 브라켓(100)의 연결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의 공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연결 구조를 삭제함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하고, 차폐부(240)와 차체(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하여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본체부(200)는 충전부(212)가 각각 형성된 AC 인렛본체(201)와, DC 인렛본체(202)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류를 통한 배터리 충전과 교류를 통한 배터리 충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AC 인렛본체(201)와, DC 인렛본체(202)는 충전부(212)의 형상 및 충전 방식만을 달리하고,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어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므로 그 구성이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AC 인렛본체(201)와 DC 인렛본체(202)는 본체부(200)로 통칭하며,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별도로 추가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200)는 충전부(212)가 형성된 메인하우징(210)과, 충전부(2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렛단자부(230)와, 인렛단자부(230)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30)로 형성되어 외부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로 전달한다.
메인하우징(210)은 브라켓(100)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충전 아웃렛과 결합되는 바디부(211)와, 바디부(211)의 내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충전부(212)와, 바디부(211)의 일 측 외주면을 따라 브라켓(100)의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13)로 형성되어 충전 아웃렛이 고정되는 동시에 충전 아웃렛 내부에 형성된 단자와 충전부(212)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외부 충전기의 범용성 확보를 위채 바디부(211) 및 충전부(212)의 형상은 국제 규격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고정플레이트(213)는 설치홀(110)의 크기보다 그 면적이 넓도록 형성되어 본체부(200)가 브라켓(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바디부(211)에는 프로텍터(6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지지돌기(2111)와 그라운드 버스바(300)의 밀링 방지를 위한 제2 지지돌기(21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돌기(2111)는 바디부(211)의 외주면을 따라 사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지지돌기(2111) 중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차폐플레이트(243)의 접촉을 위해 수평 방향(X)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2111)는 일 측에서 단절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차폐플레이트(243)의 접촉 위치가 가이드되어 작업의 공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및 외력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차폐플레이트(243)의 접촉 부분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 지지돌기(2112)는 바디부(211)의 일 측에서 돌출되되 연장 방향(Y)으로 그라운드 버스바(300)의 연장부(320)가 왕곡되어 형성되는 왕곡부(321)의 일 측면과 접하는 방지홈(2113)이 요입 형성되어 프로텍터(6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3 지지돌기(630)와 함께 그라운드 버스바(300)를 연장 방향(Y)으로 고정하여 밀림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메인하우징(210)은 국제 규격에 만족하는 형상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브라켓(100)과 별물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브라켓(100)의 범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킨다.
인렛단자부(230)는 충전부(2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 측으로 충전 아웃렛 내부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으로 연결부(230) 또는 와이어부(500)와 연결되어 배터리로 전원을 전달한다. 따라서 충전부(2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자 배치되어 형성되고, AC 인렛본체(201)에 형성된 인렛단자부(230)와 DC 인렛본체(202)에 형성된 인렛단자부(230)를 서로 다른 배치 형태를 갖는다.
연결부(230)는 인렛단자부(230)와 차량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킨으로써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230)는 인렛단자부(230)에 연결되어 연장 방향(Y)으로 연장되되 메인하우징(210)의 타 측에서 차폐부(2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전기 자동차 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차폐부(240)는 메인하우징(210)의 타 측에 설치되는 차폐하우징(241)과, 차폐하우징(241)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접촉되는 차폐플레이트(243)로 형성되어 배터리와 연결되는 연결부(230)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개선시킨다. 이때 체결부(243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24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하우징(241)은 서로 결합되어 연결부(230)가 관통하는 수용홀(2413)을 형성하는 제1 측부(2411)와 제2 측부(2412)로 형성되고, 제1,2 측부의 결합 및 차폐플레이트(243)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구조가 형성되어 작업의 공수를 절감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차폐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 예의 차폐하우징(241)은 서로 수직 방향(Z)으로 결합되는 제1 측부(2411)와 제2 측부(2412)로 형성되고, 제1,2 측부의 결합에 의해 수용홀(2413)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호작용에 의해 연장 방향(Y)으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1,2 결합부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414)는 제1,2 측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연장 방향(Y)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제1,2 측부가 결합에 의해 일렬로 배치되고, 제2 결합부(2415)는 제1 측부(2411)의 내부에 요입된 걸림턱과 제2 측부(2412)의 내부에 돌출된 걸림후크로 형성되어 제1,2 측부 결합에 의해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걸림후크의 일 측면이 제1 측부(2411)의 내부면 일 측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측부(24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2414)는 제2 측부(2412)에 형성된 제1 결합부(2414)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제2 측부(2412)에 형성된 걸림후크는 제1 측부(2411)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후방에 배치되면서 제1,2 결합부는 상호작용에 의해 체결하우징을 연장 방향(Y)으로 고정하며, 보다 향상된 고정력 확보를 위해 제1,2 결합부(2414,2415)는 한 쌍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2431)에 형성된 절개면(2432)과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2418)과, 체결부(2431)가 보가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2431)의 슬라이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419)와, 체결부(2431)가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2431)의 일 측 상면에 형성되어 체결부(2431)의 수직 방향(Z) 들뜸을 방지하는 방지후크(2420)가 형성되며, 이 또한 차폐하우징(241)의 양 측에서 각각 체결되는 2개의 차폐플레이트(243)를 고정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차폐하우징(241)에 형성된 다양한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차폐플레이트(243)가 대칭되어 차폐하우징(241)의 양 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고려하여 대칭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뿐이며, 차폐플레이트(243)의 구조 및 체결 방법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차폐하우징(241)에는 인렛단자부(230)에 연장되는 와이어부(500)의 간섭을 방지하는 경사면(24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부(500)는 경사면(2421)을 따라 밴딩되어 차폐하우징(241)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차폐부(240)는 기존 충전 인렛(1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매우 높은 활용도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차폐하우징(241)은 다양한 구조를 구비하여 차폐플레이트(243)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신규 개발 충전 인렛(10)뿐만 아니라 기존 충전 인렛(1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차폐플레이트(243)는 차폐하우징(241)에 체결되는 체결부(2431)와, 체결부(2431)에서 연장되어 버스바와 접촉되는 접촉부(2433)로 형성되어, 충전 시 연결부(230)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그라운드 버스바(300)를 통해 제거한다.
체결부(2431)는 차폐하우징(241)의 일 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실시 예의 체결부(2431)는 일 측에서 밴딩되어 제1,2 측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U 자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일실시 예의 체결부(2431)는 2개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Z)으로 결합된 차폐하우징(241)의 일 측에서 수평 방향(X)으로 체결되고, 다른 하나는 차폐하우징(241)의 타 측에서 수평 방향(X)으로 체결되어 차폐하우징(241)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체결부(2431)의 일 측면에는 체결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면(2432)이 형성되어 체결에는 간섭하지 않으나, 체결부(2431)가 완전 체결된 후에는 걸림홈(2418)의 일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2431)를 수평 방향(X)으로 고정한다.
또한 체결부(2431)는 접촉부(2433)가 연장되는 위치에 양 측으로 완충홈(2437)이 형성되어 연장 부분에 발생되는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말단부의 일측에는 체결부의 수평 방향(X)의 삽입 정도를 제한 및 지지하는 제한홈(2436)이 형성되어 차폐플레이트(243)의 체결 위치를 가이드하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킨다.
접촉부(2433)는 연장 방향(Y)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접촉되며, 말단부에는 밴딩라인(2434)의 형성되어 접촉부(2433)가 수평 방향(X)으로 밴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2433)는 밴딩라인(2434)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밴딩되어 접촉부(2433)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그라운드 버스바(300)와의 내측면과의 일정 이상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안정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폐플레이트(243)는 밴딩라인(2434)에 의해 접촉부(2433)에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차량 운행 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등의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그라운드 버스바(300)와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여 보다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제공한다.
고정부재(245)는 케이블 타이 등과 같이 차폐플레이트(243)가 차폐하우징(241)에 체결된 후 설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차폐플레이트(243)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충전 인렛(10)은 차폐에부를 구비하여 충전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 보다 높은 고전압/고전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충전속도 향상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10)은 DC 인렛본체(202)에만 차폐부(24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차폐부(240)는 필요에 따라 AC 인렛본체(201)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버스바(300)는 차체와 연결되는 접지부(310)와 접지부(310)에서 연장 방향(Y)으로 연장되어 차폐플레이트(243)의 접촉부(2433)와 접촉되는 연장부(320)로 형성되어, 연결부(230)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그라운드로 전달한다.
접지부(310)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부재(20)에 의해 차체 또는 그라운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홀(31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지부(310)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고정부(12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부재(20)로 고정되고, 이때 체결부재(20)에 의해 고정부(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부(130)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노이즈를 제거한다.
연장부(320)는 접지부(310)에서 연장되고, 일 측에서 왕곡되어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는 왕곡부(321)가 형성되고, 왕곡부(321)의 일 측에서 다시 왕곡되어 연장 방향(Y)으로 연장되며 접촉부(2433)와 연결된다.
이때 연장부(320)는 왕곡부(321)의 일 측면이 연장 방향(Y)의 전방으로 형성되는 방지홈(2113)에 배치되고, 말단부는 후방에 형성되는 제3 지지돌기(630)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연장 방향(Y)으로 고정되며, 말단부는 제1 지지돌기(2111)의 단선된 부분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Z)으로 고정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인렛(10)은 차폐플레이트(243)가 차폐하우징(241)의 양 측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차폐하우징(241)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하여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차폐부(240)에 형성된 각 구성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차폐플레이트(243)가 차폐하우징(241)의 제1,2 측부(2411,2412)의 일부와 동시에 결하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Z)으로 대칭 형성되어 보다 향상된 결합력을 제공한다.
제1 씰(410)은 브라켓(100)과 별물로 형성되는 메인하우징(210)과 브라켓(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100)의 일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등을 차단하여 방수 효과를 제공하며, 별물로 형성되는 메인하우징(210)과 메인하우징(210)이 설치되는 브라켓(100)의 설치홀(110)의 공차 및 유격을 감소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제2 씰(420)은 충전부(212)가 형성되는 바디부(21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외부에서 충전부(21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 등을 차단하고, 충전 아웃렛과의 결합력을 확보한다.
와이어부(500)는 인렛단자부(230)에 연결되되 차량의 배터리가 아닌 온도센서와 같은 다른 장치로 전원을 전달하는 다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다수의 와이어는 메인하우징(2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차폐부(24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폐부(24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다만 다수의 와이어 중 차폐하우징(241)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인렛단자부(230)와 연결되는 와이어는 별문제 없이 배치될 수 있으나, 차폐하우징(241)이 설치되는 위치에 근접하여 연결되는 와이어의 경우 급격히 밴딩되어 밴딩 부위에 응력이 집중된다.
따라서 제1,2 측부(2411,2412)에는 와이어부(500)가 연결되는 위치에서부터 외주면까지 연결되는 경사면(2421)이 형성되어 와이어부(5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의 공수를 감소시킨다.
프로텍터(600)는 연결부(230) 및 차폐부(240)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메인하우징(210)의 타 측에 고정되어 연결부(230), 차폐부(240) 및 와이어부(500)를 보호하는 동시에 연결부(230)와 와이어부(500)가 관통홀(610)을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 예의 프로텍터(600)는 본체부(200)에 차폐부(240)와 연결부(2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서로 수평 방향(X)으로 탈착 가능한 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텍터(600)의 외측으로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조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 고정되는 제1 조립부(620)가 형성되고, 그라운드 버스바(300)와 차폐플레이트(243)가 접촉되는 위치에 근접하여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차폐플레이트(243)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지지돌기(630)가 형성된다.
이때 제3 지지돌기(630)는 밴딩라인(2434)의 후방을 가압하여 접촉부(2433)가 보다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연장부(320)와 접촉부(2433)의 접촉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연장부(320)의 말단의 후방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버스바(300)의 연장 방향(Y)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프로텍터(600)는 연장부(320)와 접촉부(2433)의 접촉 위치를 제공하는 단선된 제1 지지돌기(21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되어, 프로텍터(600)의 연장 방향(Y)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장부(320)와 접촉부(2433)가 접촉되는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연장부(320)의 수평 방향(X) 이탈을 방지하여 접촉안정성을 극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인렛(10)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구조를 구비하여 각 구성을 수직 방향(Z), 수평 방향(X) 및 연장 방향(Y)으로 고정하여 차량 운행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구성의 이탈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 충전 인렛 20 체결부재
100 브라켓 110 설치홀 120 접지홀
130 보강부
200 본체부 201 AC 인렛본체 202 DC 인렛본체
210 메인하우징 211 바디부 2111 제1 지지돌기
2112 제2 지지돌기 2113 방지홈
212 충전부 213 고정플레이트 220 인렛단자부
230 연결부
240 차폐부 241 차폐하우징 2411 제1 측부
2412 제2 측부 2413 수용홀 2414 제1 결합부
2415 제2 결합부 2418 걸림홈 2419 가이드돌기
2420 방지후크 2421 경사면
243 차폐플레이트 2431 체결부 2432 절개면
2433 접촉부 2434 밴딩라인 245 고정부재
300 그라운드 버스바 310 제1 연결부 311 연결홀
320 연장부 321 왕곡부
410 제1 씰 420 제2 씰
500 와이어부
600 프로텍터 610 관통홀 620 제1 조립부
630 제3 지지돌기 640 고정홈
X 수평 방향 Y 연장 방향 Z 수직 방향

Claims (5)

  1. 차량의 일 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충전부가 각각 형성된 AC 인렛본체와, DC 인렛본체와, 관통홀이 형성된 차폐하우징과, 상기 차폐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차폐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차량의 일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에 접촉되는 그라운드 버스바;를 포함하고,
    각 상기 AC 인렛본체 및 상기 DC 인렛본체는
    상기 충전부가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렛단자부와, 상기 인렛단자부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브라켓과 별물로 형성되며,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차폐하우징의 외측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말단부에서 외측으로 밴딩되어 상기 그라운드 버스바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충전 아웃렛이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 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브라켓의 타 측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별물로 형성되는 메인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위치에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인렛.
  5. 삭제
KR1020200046041A 2020-04-16 2020-04-16 충전 인렛 KR10238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41A KR102382584B1 (ko) 2020-04-16 2020-04-16 충전 인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41A KR102382584B1 (ko) 2020-04-16 2020-04-16 충전 인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71A KR20210128171A (ko) 2021-10-26
KR102382584B1 true KR102382584B1 (ko) 2022-04-04

Family

ID=7826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041A KR102382584B1 (ko) 2020-04-16 2020-04-16 충전 인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12B1 (ko) 2021-12-09 2023-11-0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756A (ja) * 2009-01-19 2010-07-29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の充電口
JP2011119120A (ja) * 2009-12-03 2011-06-16 Yazaki Corp L字型コネクタ
CN203601179U (zh) * 2013-11-15 2014-05-2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用快慢充电口组合结构
JP2018085172A (ja) * 2016-11-21 2018-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インレ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756A (ja) * 2009-01-19 2010-07-29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の充電口
JP2011119120A (ja) * 2009-12-03 2011-06-16 Yazaki Corp L字型コネクタ
CN203601179U (zh) * 2013-11-15 2014-05-2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用快慢充电口组合结构
JP2018085172A (ja) * 2016-11-21 2018-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イン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71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8501C2 (ru) Структура разводки жгута проводов заряда/разряда в электромобиле
KR10121995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JP5692003B2 (ja) インバータとモータ内蔵ドライブトレインとの電気的接続構造
JP6420293B2 (ja) コネクタ構造体及び電動車両
JP2013129220A (ja) 車両用駆動装置
KR102382584B1 (ko) 충전 인렛
CN103227303B (zh) 电缆连接构造和电缆连接方法
KR102342859B1 (ko) 충전 인렛
JP2006347261A (ja)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CN110875457B (zh) 电池布线模块
US20220227244A1 (en) Charging device
KR102067267B1 (ko)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JP7124799B2 (ja) コネクタ
CN209001278U (zh) 一种塑胶高压连接器
KR20170093269A (ko) 온도 센서와 유럽형 단자가 내장된 전기 자동차용 전원 플러그 및 그 구성 방법
KR20170087121A (ko) 온도 센서와 미국형 단자가 내장된 전기 자동차용 전원 플러그 및 그 구성 방법
KR20220156261A (ko) 자동차 충전 커넥터
CN212725526U (zh) 一种防护盖结构及电池包
KR102590201B1 (ko) 자동차 충전 커넥터
CN218385508U (zh) 电池包和车辆
KR101241172B1 (ko) 고전압케이블 연결구조
CN219203574U (zh) 电连接器组件及包含其的电池包
CN215911536U (zh) 动力电池包及动力装置
CN220209203U (zh) 电池单元及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