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803U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803U
KR20090006803U KR2020070021131U KR20070021131U KR20090006803U KR 20090006803 U KR20090006803 U KR 20090006803U KR 2020070021131 U KR2020070021131 U KR 2020070021131U KR 20070021131 U KR20070021131 U KR 20070021131U KR 20090006803 U KR20090006803 U KR 200900068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seating
seating groove
box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1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803U/ko
Publication of KR20090006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8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박스몸체(10)와, 상기 박스몸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하게 돌출되어 구비되고 내면에는 버스바안착홈(18)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안착홈(18)의 선단과 연결되고 대전류단자가 안착되는 체결부(15)가 상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장착펜스(12)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스바안착홈(18)에 삽입되고 선단은 상기 체결부(15)에 안착되어 대전류단자와 연결되는 버스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버스바안착홈(18)과 체결부(15)에 의해 버스바(20)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이중으로 고정될 수 있어, 버스바(20)가 박스 내부에 견고하에 장착되므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하이브리드자동차, 박스, 버스바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Bus-bar mounting structure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박스에 설치되는 버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하이브리드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효율적으로 차량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필요로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박스 내부에는 대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버스바가 많이 활용된다. 이러한 버스바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되는 것으로, 대략 납작한 판상으로 된다.
상기 버스바는 박스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으나, 상기 버스바는 대전류를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유동되거나 박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박스에는 많은 개수의 버스바가 설치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가 있어, 각각 구별되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버스바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방이 개구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하게 돌출되어 구비되고 내면에는 버스바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안착홈의 선단과 연결되고 대전류단자가 안착되는 체결부가 상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장착펜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스바안착홈에 삽입되고 선단은 상기 체결부에 안착되어 대전류단자와 연결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안착홈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상기 몸체부와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에 안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가 안착되는 상기 장착펜스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 양측을 가이드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펜스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의 하방에는 체결구안착홈이 더 요입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의 헤 드부가 안착된다.
상기 체결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박스를 구성하는 장착펜스의 내면을 따라 안착홈이 요입되고, 상기 장착펜스의 상면에는 체결부가 요입되고 또한 상기 안착홈의 요입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리브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버스바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이중으로 고정될 수 있어, 버스바가 박스 내부에 견고하에 장착되므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의 버스바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부에 버스바가 안착된 모습 및 제거된 모습이 각각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이하 '박스'라 한다)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박스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의 외관을 둘러서는 장착펜스(12)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펜스(12)는 상기 박스몸체(10)를 둘러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펜스(12)가 형성하는 상부공간에는 각종 전장품(P)이 실장된다.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에는 체결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연결부(23)가 안착된다. 상기 체결부(15)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체결부(15)에 원판형상의 대전류단자(미도시)가 안착되어 버스바(20)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15)의 내면에는 라운드면(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박스에 다수개의 버스바(2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각각의 버스바(20)와 연결되는 대전류단자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15)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부(15) 주위에 연결되는 극의 종류가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1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7)는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쌍을 이루어 연장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리브(17) 사이에 버스바(20)의 연결부(23)가 위치되어 양측에서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펜스(12)의 내면에는 버스바안착홈(18)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홈(18)은 상기 장착펜스(12)의 내면이 버스바(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 이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몸체부(21)가 안착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펜스(12)는 상기 박스몸체(10)를 연속적으로 둘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 부분 개구되어, 간헐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안착홈(18) 역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구비된 장착펜스(12)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버스바안착홈(1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은 서로 대응되어야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부(15)의 하방에는 체결구안착홈(1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안착홈(19)은 상기 체결부(15)의 하방으로부터 더 요입되게 형성되어, 그 저면에 체결구(B)의 헤드부가 안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B)는 그 몸체부(21)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20)의 연결부(23) 및 대전류단자를 각각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버스바(20)와 대전류단자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박스에는 버스바(20)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박스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박스 내부의 전장품(P)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박스의 전원을 다시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20)는 대략 납작한 바형상으로 된다. 상기 버스바(20)의 골격은 몸체부(2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장착펜스(12)의 버스바안착홈(1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21)의 양단에는 연결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몸체부(21)의 양단에 상기 몸체부(21)와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전원 및 내부의 전장품(P)과 각각 그 양단이 연결된다. 미설명 부호 W는 와이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박스의 상부공간에는 각종 전장품(P)이 실장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상기 박스에 대용량릴레이와 저항, 또는 과부하감지센서와 같은 전장품(P)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버스바(20)를 설치한다.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장착펜스(12)의 내면 및 상면을 따라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버스바(20)의 몸체부(21)는 상기 장착펜스(12) 내면에 요입된 버스바안착홈(18)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버스바안착홈(18)의 요입된 깊이는 상기 몸체부(21)의 두께에 대응되므로, 상기 버스바(2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버스바(20)의 연결부(23)는 상기 체결부(15)에 안착된다.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안착홈(18)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요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20)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장착펜스(12)의 상면에는 돌출된 가이드리브(17)가 상기 연결부(23)를 양측에서 고정하고, 연결부(23)의 장착을 안내하므로, 버스바(20)는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안착홈(19)에는 체결구(B)가 안착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20)의 연결부(23)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은 상기 체결구(B)에 의해 관통된다.
다음으로, 상기 박스를 차량 내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차량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선단에 구비된 대전류단자를 상기 체결구(B)의 몸통에 걸어준다. 이때, 상기 체결구(B)는 그 선단이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대전류단자는 상기 체결구(B)를 통과하여 상기 버스바(20)와 적층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대전류단자는 상기 체결부(15)의 라운드면(15')을 따라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20)는 반드시 몸체부(21)와 연결부(23)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도 1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버스바(20)와 같이 단순한 평판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17)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버스바(20)는 버스바안착홈(18)과 상기 장착부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보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버스바가 제거된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박스몸체 12: 장착펜스
12': 상부공간 15: 체결부
17: 가이드리브 18: 버스바안착홈
20: 버스바 21: 몸체부
23: 연결부 P: 전장품

Claims (6)

  1. 판상으로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하게 돌출되어 구비되고 내면에는 버스바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안착홈의 선단과 연결되고 대전류단자가 안착되는 체결부가 상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장착펜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스바안착홈에 삽입되고 선단은 상기 체결부에 안착되어 대전류단자와 연결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안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안착홈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상기 몸체부와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에 안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안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안착되는 상기 장착펜스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 양측을 가이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 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안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펜스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안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하방에는 체결구안착홈이 더 요입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의 헤드부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안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안착구조.
KR2020070021131U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200900068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31U KR20090006803U (ko)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31U KR20090006803U (ko)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803U true KR20090006803U (ko) 2009-07-03

Family

ID=4133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131U KR20090006803U (ko)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80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990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연결박스
KR101146498B1 (ko) * 2010-11-02 2012-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분배유니트
KR20180051450A (ko) * 2018-03-20 2018-05-1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KR2019008178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정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990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연결박스
KR101146498B1 (ko) * 2010-11-02 2012-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분배유니트
KR20190081785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정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KR20180051450A (ko) * 2018-03-20 2018-05-1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KR101869547B1 (ko) * 2018-03-20 2018-06-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원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05557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US106862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329250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의 셀버스바 고정구조
JP6417600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バスバーユニット製造方法
CN104254932B (zh) 电池用配线模块
JP2016120901A (ja) 自動車用電源供給装置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WO2014034801A1 (ja) 電圧検出用端子の保持構造
EP3098878B1 (en) Wiring module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JP4224005B2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構造
US7575444B2 (en) Structure for fixing connection terminal to wiring board and method of fixing connection terminal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JP5724744B2 (ja) 電気接続部材
WO2021131861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4097727A (ja) 車両用高電圧ケーブルの配索構造
KR20140087422A (ko) 자동차용 박스
KR10198939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CN112448073A (zh) 电池组模块和电驱动的机动车
KR100755784B1 (ko) 전기자동차의 파워케이블 단자조립용 지그
KR20130009254A (ko) 전원분배장치
WO2018105345A1 (ja) バッテリと該バッテリに直結される電気接続箱の車両への取付構造
KR101758672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KR20090004245U (ko) 퓨즈박스
KR101146498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