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422A - 자동차용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422A
KR20140087422A KR1020120157702A KR20120157702A KR20140087422A KR 20140087422 A KR20140087422 A KR 20140087422A KR 1020120157702 A KR1020120157702 A KR 1020120157702A KR 20120157702 A KR20120157702 A KR 20120157702A KR 20140087422 A KR20140087422 A KR 2014008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rtition plate
external connection
relay
box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422A/ko
Publication of KR2014008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이다. 본 발명의 박스는 메인바디(100), 구획판(200), 상부커버(300) 그리고 하부커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박스(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단(114)에는 제1메인릴레이(500)가, 상기 제2안착단(116)에는 제2메인릴레이(50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릴레이(500,500')의 외부연결부(506)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커넥터연결부(50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연장된다. 상기 구획판(200)에는 프리차지릴레이(510), 프리차지저항(512), 전류센서(514) 그리고 제1 및 제2 커넥터(516,516')가 장착된다. 상기 구획판(200)에 장착된 부품들을 상기 상부커버(300)가 차폐하고, 메인바디(100)의 하면을 상기 하부커버(400)가 차폐한다. 상기 구획판(200)은 상기 제1안착단(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누름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단(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누름부(2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박스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내부공간(102)이나 구획판(200)에 부품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한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부품을 컨트롤할 수 있는 릴레이, 과전압으로부터 각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퓨즈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릴레이나 퓨즈 등을 모아 배치한 것이 자동차용 박스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박스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들이 있는데, 최근에 전기자동차가 개발되면서 모터의 구동을 위한 인버터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박스들도 개발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차체의 경량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사용되는 상기 박스도 경박단소화될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박스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해서 부품들을 장착할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좁은 공간에 많은 부품들이 설치되므로 부품들을 박스 내에 설치하는 구조도 간소화될 것이 요구된다. 즉, 부품들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이들 좁은 공간 내에서 부품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구성의 조립이 보다 쉽게 되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789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나누어서 사용함에 있어 상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사이의 열방출이 용이하면서도 상호간에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에 박스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메인바디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바디에 설치된 부품의 설치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작업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제1 및 제2 안착단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제1안착단에 안착되고 제1외부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부품과, 상기 제2안착단에 안착되고 제2외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외부연결부가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부품과,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커넥터연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착단의 높이차에 의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제2외부연결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제1개구와 제2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로 개방되게 제3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부품장착부에는 제3부품이 위치되어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제3부품연결부에 체결된다.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은 동일한 부품이다.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상부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하부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어 체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측판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주변지지판과 상기 내부공간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중간지지판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제1 및 제2 안착단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제1안착단에 안착되고 제1외부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메인릴레이와, 상기 제2안착단에 안착되고 제2외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외부연결부가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메인릴레이와,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부품들이 설치되는 구획판과,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판과 이에 설치된 부품을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제2외부연결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제1개구와 제2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 메인릴레이와 제2메인릴레이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커넥터연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착단의 높이차에 의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한다.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로 개방되게 퓨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퓨즈장착부에는 퓨즈가 위치되고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퓨즈연결부에 체결된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어 체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측판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주변지지판과 상기 내부공간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중간지지판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구획판 상에는 프리차지릴레이, 프리차지저항, 전류센서 그리고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안착단과 제2안착단의 사이에 상기 퓨즈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가 높이차를 두고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메인바디의 내부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메인바디 내부공간에 설치된 부품과 외부 사이의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획판에 의해 메인바디의 내부공간과 구획판의 상부에 각각 부품을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박스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릴레이 상부에 접촉하는 구획판에서 구획판 상면에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의 열방출이 원활하도록 구획판의 상면에 부품이 설치되는 영역에서는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하고, 구획판의 상면에 부품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구획판의 하면에 형성된 제1누름부가 메인릴레이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박스 내부에서의 열방출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획판에 각종 부품을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메인바디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메인릴레이가 장착되는 메인바디의 측벽에 제1 및 제2 개구를 두어 메인릴레이와 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공구를 사용하여 메인바디의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조립작업성이 좋아지고 작업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획판의 저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메인바디에 부품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각종 부품이 설치된 구획판이 메인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의 골격을 메인바디(10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0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02)은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바닥을 바닥판(104)이 형성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측면을 측벽(106)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04)은 대략 직사각형판이고, 상기 바닥판(10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106)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106)은 상기 바닥판(104)의 상대적으로 긴 변에 대응되는 것에 제1개구(108)와 제2개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108)는 상기 측벽(106)의 중간쯤에서 측벽(106)의 상단까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개구(108')는 상기 측벽(106)의 중간쯤에서 바닥판(104)까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개구(108)와 제2개구(108')의 위치가 달리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의 높이와 관계가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대적으로 좁은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에서 돌출되어 장착편(11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10)은 박스를 자동차의 차체 등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벽(106)의 외면 상단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체결턱(11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1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30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단(114)은 상기 제1개구(10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개구(108)의 시작위치가 상기 측벽(106)의 중간쯤에서 시작하는 것과 대응되게 상기 제2안착단(116)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단(116)은 상기 제1안착단(1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2개구(108')가 상기 측벽(106)의 중간쯤에서 시작해서 바닥판(104)까지 형성된 것과 관계된다.
상기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내부공간(102)에는 퓨즈장착부(118)가 형성되는데, 상기 퓨즈장착부(118)의 내부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퓨즈장착부(118)는 상기 내부공간(102)으로는 상기 바닥판(104)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퓨즈장착부(118)의 내부는 상기 내부공간(102)과 연통부(119)를 통해 연통된다. 상기 연통부(119)의 내부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획판(200)의 퓨즈연결부(228)(도 4 참고)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연통부(119)의 입구 일측에는 차폐벽(119')이 상기 내부공간(102)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폐벽(119')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연결부(228)에 설치되는 사각볼트가 삽입된 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의 내면, 즉 상기 측벽(106)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본 실시예에서 3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벽(106)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측벽(106) 쪽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획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20)에는 각각 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획판(200)을 체결하는 체결구가 체결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상대적으로 면적인 넓은 측벽(106)과 나란하게 다수개의 주변지지판(124)가 형성된다. 상기 주변지지판(124)은 구획판(2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장착부(118)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판(104)에는 상기 내부공간(102)을 횡으로 구획하게 중간지지판(126)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지지판(126)도 구획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지지판(126)은 상기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의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체결공(128)(도 3 참고)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28)은 상기 측벽(106)이 상기 바닥판(104)보다 더 하부로 연장된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28)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커버(400)의 체결턱(408)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측벽(106)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쪽에는 외부연결부(130,130')가 구비된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의 구성이 모두 도시되지는 않았다.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에는 전원공급원 측에서 연장된 전선의 선단에 있는 단자가 체결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외부연결부(130,130')의 구성이 제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스바와 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사각볼트 등이 구비된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데,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의 구성은 상기 메인바디(100)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바디(100)와 구획판(200)에 걸쳐서 구비된다.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메인바디(100)에는 부하연결부(132,132')가 구비된다. 상기 부하연결부(132,132')의 구성도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의 구성과 같다. 상기 부하연결부(132,132')는 전기자동차에서는 인버터측과 연결된다. 상기 부하연결부(132,132')의 구체적인 구성도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02)을 차폐하는 구획판(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구획판(200)은 상기 내부공간(102)의 입구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에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구획판(200)은 상기 내부공간(102)의 입구를 막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구획판(200)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구획판(200)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바디(100)의 퓨즈장착부(11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는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으로 돌출되고 구획판(200)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의 내부에는 릴레이안착공간(204)이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다. 상기 릴레이안착공간(204)이 오목하게 들어가므로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에 해당되는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은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에서 상기 퓨즈장착부(118)와 마주보게 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의 측벽에는 장착공(20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20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리차지릴레이(510)의 걸이턱(도시되지 않음)이 걸어진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에 인접하여서는 프리차지저항장착부(208)가 형성된다. 상기 프리차지저항장착부(208)는 상기 구획판(200)의 가장자리중에서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가 있는 반대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프리차지저항장착부(208)도 상기 구획판(200)의 상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저항안착공간(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저항안착공간(210)은 상기 릴레이안착공간(20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들어간다. 다시 말해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으로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에 비해 덜 돌출된다. 도면부호 212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리차지저항(512)을 고정하는 체결턱이다.
상기 구획판(200)에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제2안착단(116)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류센서장착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전류센서장착부(214)의 내부에 형성되는 센서안착공간(216)도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에 비해 덜 들어간다. 즉, 상기 구획판(200)의 하부로 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와 상기 프리차지저항장착부(208)의 사이에 해당되는 구획판(200)의 중앙부분에는 전선통과공(218)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통과공(218)은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차폐되는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과 외부 사이에서 전선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선통과공(218)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전선안내리브(220)가 형성되어 상기 전선통과공(218)을 통과하는 전선들이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 프리차지저항장착부(208) 및 전류센서장착부(214)에 안착된 부품들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선통과공(218)과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에 인접하여서는 전선유도판(2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선유도판(222)도 상기 전선안내리브(220)와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판(200)에서 상기 전선통과공(218)을 중심으로 상기 전류센서장착부(214)의 반대쪽에는 커넥터장착대(223)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장착대(2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커넥터(516,516')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장착대(223)는 상기 구획판(200)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커넥터장착대(223)가 형성된 구획판(200)의 하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누름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안착단(114)에 설치되는 제1메인릴레이(500)가 밀착되기 때문이다. 즉, 제1메인릴레이(5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획판(2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지지대(120)에 지지되어 체결되는 지지체결부(22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체결부(224)는 상기 지지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갯수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결부(224)에는 또한 체결공(226)이 형성되어 체결구가 체결된다.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서는 퓨즈연결부(228)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연결부(2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508)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사각볼트와 버스바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퓨즈연결부(228)에는 사각볼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사각볼트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차폐벽(119')에 의해 차폐된다. 참고로 상기 사각볼트 대신에 다양한 머리모양을 가지는 단자체결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퓨즈연결부(228)를 기준으로 일측에 제1누름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제1안착단(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제1누름부(230)의 반대쪽, 즉 상기 퓨즈연결부(228)를 기준으로 반대쪽에는 제2누름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누름부(232)는 상기 제1누름부(2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이는 상기 제2누름부(232)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제2안착단(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즉,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에 같은 크기의 부품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제1안착단(114)에 안착된 부품이 상대적으로 더 상부로 돌출되는데, 이는 상기 제1누름부(230)에 의해 눌러지거나 접촉되고, 상기 제2안착단(114)에 안착된 부품은 상대적으로 상부로 덜 돌출되는데, 상기 구획판(200)의 하부에 상기 제1누름단(230)보다 돌출된 제2누름부(232)에 상면이 눌러지거나 접촉된다. 상기 제2누름부(232)는 십자형 리브 등 다수개의 리브 들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판(200)에 설치된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는 상부커버(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상부커버(300)는 상판(302)의 가장자리를 둘러 측판(304)이 소정 길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판(304)의 선단을 따라서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체결턱(112)에 걸어지는 체결걸이(30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306)에는 상기 체결턱(112)이 안착되는 체결공(308)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300)의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측판(304)에는 커넥터창(310)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창(310)은 상기 커넥터장착대(223)에 장착되는 커넥터(516,516')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커버(300)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제1개구부(108)를 차폐하는 차폐판(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면에는 하부커버(40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커버(4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바닥판(402)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퓨즈장착부(118)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퓨즈창(404)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0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제2개구부(108')를 차폐하는 차폐판(40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0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체결공(128)에 걸어지는 체결턱(40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408)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체결공(128)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400)가 상기 메인바디(100)에 장착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메인바디(100), 구획판(200), 상부커버(300), 하부커버(400)는 자동차용 박스의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 메인바디(100)와 구획판(200)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참고로, 상기 상부커버(300)와 하부커버(400)는 박스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제, 상기 메인바디(100)와 구획판(200)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부품들은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반드시 해당 부품이 해당 자리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을 제1부품, 제2부품, 제3부품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실제의 부품명을 사용한다.
먼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에 형성된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에는 동일한 부품인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메인릴레이(500)는 상기 제2메인릴레이(500')에 비해 내부공간(102) 내에서의 높이가 더 높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에는 외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연결부(502)가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안착단(116,118)에 안착된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는 상기 커넥터연결부(50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안착단(114,116)의 높이차가 있으므로 이들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각각의 커넥터연결부(502)에 상대 커넥터를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에는 다른 외면에 외부연결부(504)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의 외부연결부(504)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즉, 상기 제1메인릴레이(500)의 외부연결부(504)는 상기 제1개구부(108)와 마주보게 되고, 상기 제2메인릴레이(500')의 외부연결부(504)는 상기 제2개구부(108')와 마주보게 된다. 이와 같이 이들 외부연결부(504)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108,108')와 마주보게 되므로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연결부(504)에 버스바를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퓨즈장착부(118) 내에는 퓨즈(508)가 위치된다. 상기 퓨즈(508)는 상기 메인바디(100) 내에 위치되기는 하지만, 상기 구획판(200)에 형성된 퓨즈연결부(228)에 구비되는 사각볼트와 같은 체결볼트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508)가 상기 메인바디(100) 내에서 상기 구획판(200)의 퓨즈연결부(228)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구획판(200)이 메인바디(10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구획판(200)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된다. 먼저,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에는 프리차지릴레이(510)가 설치되고, 상기 프리차지저항장착부(208)에는 프리차지저항(51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센서장착부(214)에는 전류센서(514)가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장착대(223)에는 제1 및 제2 커넥터(516,516')가 각각 장착된다. 참고로, 상기 제1커넥터(516)는 부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커넥터(516')는 신호전달을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부품들, 즉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 퓨즈(508), 프리차지릴레이(510), 프리차지저항(512), 전류센서(514), 제1 및 제2 커넥터(516,516')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편의상 생략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박스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제1안착단(114)과 제2안착단(116)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는 동일한 부품이지만 그 설치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내부공간(102)내에 공간을 확보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의 외부연결부(50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제1 개구부(108)와 제2개구부(108')를 향하도록 반대로 설치하고, 또한 커넥터연결부(502)는 서로 마주보지만 안착단(114,116)의 높이차 때문에 상기 커넥터연결부(502)는 서로 어긋나게 된다. 물론, 상기 커넥터연결부(502)가 상기 메인릴레이(500,500')의 측면에서 전후방향 중앙에 있지 않으므로, 양측의 커넥터연결부(502)는 어긋나게 되어 이에 상대 커넥터를 장착함에 있어 서로 방해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획판(200)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에 장착하기에 앞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부품들이 모두 장착된다. 즉, 프리차지릴레이(510), 프리차지저항(512), 전류센서(514),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516,516')가 모두 상기 구획판(200)에 설치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물론, 이들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선이나 버스바들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조립라인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구획판(200)에는 각종 부품들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라인에서는 상기 부품들이 장착된 구획판(200)을 상기 메인바디(100)에 장착하면 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지지대(120)에 상기 구획판(200)의 지지체결부(224)가 안착되게 하고 체결구를 상기 체결공(226,122)에 체결하면 된다.
상기 구획판(200)은 상기 지지대(120)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주변지지판(124)과 중간지지판(126) 등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1누름부(230)는 상기 제1메인릴레이(50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누름부(232)는 상기 제2메인릴레이(5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누름부(230)는 상기 제1메인릴레이(500)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지만, 상기 제1누름부(230)와 대응되는 구획판(200)의 상면에는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516,516')도 커넥터장착대(223) 상에 장착되어 이TEk.
상기 제2누름부(232)는 다수개의 리브 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메인릴레이(500')의 상면에 밀착되기는 하지만, 상기 리브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어 직접 제2메인릴레이(5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구획판(200)의 상면에 장착된 부품들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는 상대적으로 상기 구획판(200)의 하면에 많이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202)가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102)에서 메인릴레이(500,500')가 위치되지 않는 공간이다.
이와 같이 상기 구획판(200)을 상기 메인바디(100)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구획판(200) 측에 있는 부품과 상기 메인릴레이(500,500')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개구(108,108')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릴레이(500,500')의 외부연결부(504)에 버스바 등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와 부하연결부(132,132')에도 필요한 구성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면으로 개방된 상기 퓨즈장착부(118)의 내부에 퓨즈(508)를 장착한다. 상기 퓨즈(508)는 상기 퓨즈장착부(118)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구획판(200)의 퓨즈연결부(228)에 상기 퓨즈(508) 양단의 연결부를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커버(300)와 하부커버(400)를 상기 메인바디(100)에 장착한다. 상기 상부커버(3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와 상기 제1개구부(108)를 차폐하고, 상기 하부커버(4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부와 상기 제2개구부(108')를 차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박스에는 상기 외부연결부(130,130')에는 전원공급측의 외부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부하연결부(132,132')에는 부하측의 외부단자를 연결한다. 상기 제1커넥터(516)와 제2커넥터(516')에는 각각 상대 커넥터를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한다.
위와 같이 전원공급측 및 부하 등과의 연결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박스는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들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500,500')에서 열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구획판(200)의 제1누름부(230) 측에 대응되는 구획판(200)의 상면에는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지 않아 열의 영향이 문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2누름부(232)는 리브들이 돌출되어 있어서 공기유동이 가능하여 제2메인릴레이(500')에서 나온 열이 상기 전류센서(514)나 프리차지저항(512)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메인릴레이(500), 제2메인릴레이(500'), 퓨즈(508), 프리차지릴레이(510), 프리차지저항(512), 전류센서(514), 제1커넥터(516), 제2커넥터(516')라는 부품들이 설명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 부품들을 순서대로 제1에서 8부품으로 대신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00)에는 도시된 실시예들의 부품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즉, 위에 설명된 것과 달리 다양한 조합으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100: 메인바디 102: 내부공간
104: 바닥판 106: 측벽
108: 제1개구 108': 제2개구
110: 장착편 112: 체결턱
114: 제1안착단 116: 제2안착단
118: 퓨즈장착부 120: 지지대
122: 체결공 124: 주변지지판
126: 중간지지판 128: 체결공
130,130': 외부연결부 132,132': 부하연결부
200: 구획판 202: 프리차지릴레이장착부
204: 릴레이안착공간 206: 장착공
208: 프리차지저항장착부 210: 저항안착공간
212: 체결턱 214: 전류센서장착부
216: 센서안착공간 218: 전선통과공
220: 전선안내리브 222: 전선유도판
223: 커넥터장착대 224: 지지체결부
226: 체결공 228: 퓨즈연결부
230: 제1누름부 232: 제2누름부
300: 상부커버 302: 상판
304: 측판 306: 체결걸이
308: 체결공 310: 커넥터창
400: 하부커버 402: 바닥판
404: 퓨즈창 406: 차폐판
408: 체결턱 500: 제1메인릴레이
500': 제2메인릴레이 502: 커넥터연결부
504: 외부연결부 508: 퓨즈
510: 프리차지릴레이 512: 프리차지저항
514: 전류센서 516: 제1커넥터
516': 제2커넥터

Claims (15)

  1.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제1 및 제2 안착단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제1안착단에 안착되고 제1외부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부품과,
    상기 제2안착단에 안착되고 제2외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외부연결부가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부품과,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커넥터연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착단의 높이차에 의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자동차용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제2외부연결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제1개구와 제2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로 개방되게 제3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부품장착부에는 제3부품이 위치되어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제3부품연결부에 체결되는 자동차용 박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은 동일한 부품인 자동차용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상부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하부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박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어 체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측판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주변지지판과 상기 내부공간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중간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자동차용 박스.
  9.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제1 및 제2 안착단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제1안착단에 안착되고 제1외부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메인릴레이와,
    상기 제2안착단에 안착되고 제2외부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외부연결부가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메인릴레이와,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부품들이 설치되는 구획판과,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획판과 이에 설치된 부품을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제1외부연결부와 제2외부연결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제1개구와 제2개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릴레이와 제2메인릴레이에는 서로 마주보게 각각 커넥터연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착단의 높이차에 의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자동차용 박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로 개방되게 퓨즈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퓨즈장착부에는 퓨즈가 위치되고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퓨즈연결부에 체결되는 자동차용 박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지지대에 지지되어 체결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측판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주변지지판과 상기 내부공간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중간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자동차용 박스.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상에는 프리차지릴레이, 프리차지저항, 전류센서 그리고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박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안착단과 제2안착단의 사이에 상기 퓨즈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
KR1020120157702A 2012-12-29 2012-12-29 자동차용 박스 KR20140087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02A KR20140087422A (ko) 2012-12-29 2012-12-29 자동차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02A KR20140087422A (ko) 2012-12-29 2012-12-29 자동차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422A true KR20140087422A (ko) 2014-07-09

Family

ID=5173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02A KR20140087422A (ko) 2012-12-29 2012-12-29 자동차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4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002B1 (ko) * 2014-11-25 2016-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KR20160092282A (ko) * 2015-01-27 2016-08-04 영화테크(주)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KR20240010221A (ko) 2022-07-15 2024-0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002B1 (ko) * 2014-11-25 2016-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KR20160092282A (ko) * 2015-01-27 2016-08-04 영화테크(주)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KR20240010221A (ko) 2022-07-15 2024-0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4983B2 (en) Battery module for vehicle
KR20140087423A (ko) 자동차용 박스
JP6620690B2 (ja) 電気接続箱
US8913371B2 (en) Automotive fuse and relay block assembly
US10348041B2 (en) Connector structure and electric vehicle
US7819707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KR20140087422A (ko) 자동차용 박스
JP4690139B2 (ja) 電源ボックスのバスバー構造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JP2018026251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WO2020137613A1 (ja) 蓄電装置の車両搭載構造
JP2019088126A (ja) 電気接続箱
US20190363322A1 (en) Battery module
WO2018105345A1 (ja) バッテリと該バッテリに直結される電気接続箱の車両への取付構造
KR10198939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KR20190106514A (ko) 자동차용 블럭
KR101687231B1 (ko) 자동차용 블럭
JP4600364B2 (ja) 電源分配構造
KR20130009254A (ko) 전원분배장치
CN220628104U (zh) 电池箱和电池包
US20240157892A1 (en) Power conversion unit
KR102338383B1 (ko)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WO2021210509A1 (ja) 車載電気部品内回路ユニット
KR102514402B1 (ko) 전기자동차용 전력 분배장치의 통합형 모듈
JP6596046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