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002B1 - 차량용 블럭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002B1
KR101596002B1 KR1020140165624A KR20140165624A KR101596002B1 KR 101596002 B1 KR101596002 B1 KR 101596002B1 KR 1020140165624 A KR1020140165624 A KR 1020140165624A KR 20140165624 A KR20140165624 A KR 20140165624A KR 101596002 B1 KR101596002 B1 KR 10159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space
case
component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관을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형성하는데,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부로 개방되게 제1안착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제1케이스(10)를 향해 개방되게 제2안착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12,22)에는 부품(30)이 장착되는데,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양측 내측면(14,14')사이의 거리는 상기 부품(30)의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크다. 일측 내측면(14')에는 걸이편(18)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30)이 제1안착공간(12)에 가조립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의 내측면(24)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25)가 형성되어 부품(3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5)의 선단에는 안내경사(25')가 형성되어 제2안착공간(22)으로 부품(30)이 쉽게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의 천정면(23)에는 다수개의 접촉편(28,28')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30)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30)이 안착공간(12,22) 내부에 별도의 체결구 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도록 된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나사를 사용하여 블럭 등에 장착된다. 하지만, 부품을 나사 등을 사용하여 장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럭의 블럭몸체에 커버를 장착하면서 해당되는 부품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고 있으나, 블럭몸체에 상기 부품이 가조립되지 않게 되면, 조립중에 부품이 유동되어 조립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87423 호 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 20-0453236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부품을 가조립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로 개방되게 제1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공간의 일측 내측면에는 걸이편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케이스를 향해 개방되게 제2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가 형성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안착공간과 제2안착공간에 안착되는 것으로 외관을 부품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부품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걸이편이 걸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공간의 양측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부품의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선단에 상기 제2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부품몸체의 외면이 접촉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의 천정면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을 눌러주는 제1 및 제2 접촉판이 구비된다.
상기 제1안착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부품의 대응되는 외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선단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2안착공간으로 상기 부품이 진입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제1 접촉판은 상기 부품의 부품몸체 외면에 형성된 제2장착편과 부품몸체의 일부를 눌러주고, 상기 제2접촉판은 상기 부품의 일측에서 돌출된 연장부의 표면 가장자리를 둘러 눌러준다.
상기 부품의 연장부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안착공간의 천정면을 관통하는 통과부를 통해 제2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품의 일부와 대응되는 표면을 가지는 제1안착공간에 부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품이 제1안착공간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편을 두었으므로, 제1케이스 부품이 가조립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제2케이스를 제1케이스에 조립하면서 상기 부품의 나머지 부분이 제2케이스의 제2안착공간에 안착되면서 제2안착공간의 내면과의 틈새가 없도록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와 접촉판들을 두었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구없이 부품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조립과정에서 부품이 가조립될 수 있어 나머지 부품의 조립 및 제1 및 제2 케이스의 조립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의 중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케이스의 중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케이스의 제1안착공간에 부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품이 제1안착공간에 안착되어 걸이편에 걸어졌을 때 제1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블럭의 하부 외관을 제1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측면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체결턱(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케이스(20)의 체결편(21)이 걸어져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일측 상면에는 제1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대략 하반부 외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제1안착공간(12)이 완전히 부품(30)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바닥면(13)은 부품(30)의 대응되는 부분과 같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닥면(13)이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부품몸체(32)와 연장부(34)의 대응되는 외면과 같은 곡면 및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13)의 일측에는 간섭회피공간(1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간(13')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제1장착편(35)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제1내측면(14)과 제2내측면(14')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면(14,14') 사이의 거리는 부품(30)의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편(18)의 돌출길이 정도만큼 길게 하는 것이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편(18)과 간섭되지 않도록 부품(30)을 제1안착공간(12)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내측면(14')의 상단 일부는 제거되어 절결부(16)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결부(16)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관통공(33)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이다. 상기 절결부(16)의 최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내부를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된 걸이편(18)이 있다.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제2내측면(14')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서로 결합되어 제2케이스(20)가 차량용 블럭의 상부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2케이스(20)의 외측면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체결편(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21)은 상기 제1케이스(10)의 체결턱(11)에 걸어져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서로 체결되게 한다.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케이스(10)를 향해 개방되도록 제2안착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의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은 상기 제1안착공간(12)과 협력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은 상기 제2케이스(20)의 하면에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안착공간(12)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23은 상기 제2안착공간(22)의 천정면이다. 상기 천정면(23)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같지는 않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의 천정면(23)을 둘러 형성되는 내측면(24)들은 본 실시례에서는 4각형을 이루는데, 상기 내측면(24)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25)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5)는 상기 내측면(24)과 부품(30)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5)의 돌출 길이는 상기 내측면(24)과 부품(30) 사이의 간격만큼이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5)는 상기 내측면(24)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5)의 선단, 즉 상기 제1안착공간(12) 쪽 단부에는 안내경사(25')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25')는 상기 스페이서리브(25)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부품(30)이 제2안착공간(2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천정면(23)의 일측에는 통과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부(26)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외부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커넥터부(37)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천정면(23)에서 돌출되어서는 제1접촉판(28)과 제2접촉판(28')이 있다. 상기 접촉판(28,28')들은 상기 천정면(23)에서 상기 제1안착공간(1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리브(25)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접촉판(28,28')들이 부품(30)의 대응되는 외면에 접촉되어 부품(30)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촉판(28)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제2장착편(36)과 그에 인접한 부품몸체(32)의 일부를 눌러주고, 상기 제2접촉판(28')은 부품몸체(32)에서 연장된 연장부(34)의 일부를 눌러준다. 상기 제2접촉판(28')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연장부(34)의 가장자리를 둘러 눌러주게 된다.
상기 안착공간(12,22)에 안착되는 부품(30)은 본 실시례에서는 전류센서이다. 상기 부품(30)의 골격을 부품몸체(32)가 형성하는데, 상기 부품몸체(32)는 본 실시례에서 원통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부품몸체(32)가 반드시 원통형이지 않아도 되고, 다양한 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부품몸체(32)를 관통하여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3)에는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 있는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한다.
상기 부품몸체(32)의 일측에는 연장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4)는 상기 부품몸체(32)의 일측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부품몸체(32)의 내부에는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 있고, 상기 연장부(34)에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연장부(34)도 실질적으로 상기 부품몸체(32)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부품몸체(32)의 외면에는 제1장착편(35)과 제2장착편(36)이 있다. 상기 장착편(35,36)들의 원래 기능은 부품(30)을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요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상기 부품(30)에 상기 장착편(35,36)들이 있는 것은, 상기 부품(30)이 다양한 제품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연장부(34)의 일측에는 커넥터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37)는 부품(30)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부품몸체(32)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상기 커넥터부(37)가 수행한다. 상기 커넥터부(37)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통과부(26)를 통해 제2케이스(20)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이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안착공간(12)이 중력 반대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설치한 상태하고, 제1케이스(10)에 설치되어야 하는 다양한 것들을 설치한다. 그 중의 하나가 상기 부품(30)이 상기 부품(30)의 부품몸체(32) 하반부와 상기 연장부(34)의 일부가 상기 제1안착공간(1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편(18)과 부품(30)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부품(30)을 상기 제1내측면(14)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안착공간(12)으로 연직 하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안착공간(12)에 상기 부품(30)이 안착되면 상기 부품(30)을 상기 제2내측면(14')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부품(30)의 관통공(33)에 들어가서 관통공(33)의 내면에 걸어진다. 도 7에 이와 같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부품(30)의 일측과 상기 제1내측면(14)의 사이에 틈새(D)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안착공간(12)에 상기 부품(30)이 안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30)의 상반부는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스(20)를 상기 제1케이스(10)에 결합한다. 참고로 상기 부품(30)을 상기 제1안착공간(12)에 안착하고 상기 관통공(33)을 관통하여 버스바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부품(30)의 상반부가 상기 제2케이스(20)의 제2안착공간(22)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품(30)의 상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안착공간(22)의 입구가 위치하도록 제2케이스(20)를 상기 제1케이스(10)와 마주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스(20)를 상기 제1케이스(10)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부품(30)의 상반부가 상기 제2케이스(20)의 제2안착공간(22)에 들어가고, 상기 스페이서리브(25)의 안내경사(25')에 의해 안내되기 시작하면서 제2케이스(20)의 제2안착공간(22)으로 정확하게 부품(30)의 상반부가 들어가기 시작한다.
상기 제2안착공간(22)에 상기 부품(30)이 완전히 들어가게 되면, 상기 천정면(23)에서 연장된 제1접촉판(28)이 상기 부품(30)의 제2장착편(36)과 부품몸체(32) 일부를 눌러준다. 상기 제2접촉판(28')은 상기 부품(30)의 부품몸체(32) 정확히 말해 상기 연장부(34)를 눌러준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는 상기 체결턱(11)에 상기 체결편(21)이 걸어지면서 서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체결되면, 상기 제1안착공간(12)과 제2안착공간(22)에 안착된 부품(30)도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에 의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바닥면(13)이 상기 부품(30)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같으므로 상기 부품(30)이 상기 제1안착공간(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상기 걸이편(18)이 상기 관통공(33)에 위치하므로 상기 부품(30)이 상기 제1안착공간(12)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차단된다. 물론, 이 방향의 움직임은 상기 제1접촉편(28)과 제2접촉편(28')에 의해서도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30)이 상기 안착공간(12,22) 내에서 상기 제1안착공간(12)의 제1내측면(14)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것은 상기 스페이서리브(25)들에 의해 방지된다. 참고로, 상기 스페이서리브(25)들은 상기 부품(30)이 상기 제2안착공간(22) 내에서 내측면(24)쪽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리브(25)들에 의해 부품(30)이 제2안착공간(22) 뿐만 아니라 제1안착공간(12) 내에서도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부품(30)은 본 실시례에서의 경우 상기 버스바를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커넥터부(37)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케이스 11: 체결턱
12: 제1안착공간 13: 바닥면
14: 제1내측면 14': 제2내측면
16: 절결부 18: 걸이편
20: 제2케이스 21: 체결편
22: 제2안착공간 23: 천정면
24: 내측면 25: 스페이서리브
25': 안내경사 26: 통과부
28: 제1접촉판 28': 제2접촉판
30: 부품 32: 부품몸체
33: 관통공 34: 연장부
35: 제1장착편 36: 제2장착편
37: 커넥터부

Claims (5)

  1. 상부로 개방되게 제1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공간의 일측 내측면에는 걸이편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케이스를 향해 개방되게 제2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가 형성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안착공간과 제2안착공간에 안착되는 것으로 외관을 부품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부품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걸이편이 걸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공간의 양측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부품의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선단에 상기 제2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부품몸체의 외면이 접촉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의 천정면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을 눌러주는 제1 및 제2 접촉판이 구비되는 차량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부품의 대응되는 외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선단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2안착공간으로 상기 부품이 진입하는 것을 안내하는 차량용 블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판은 상기 부품의 부품몸체 외면에 형성된 제2장착편과 부품몸체의 일부를 눌러주고, 상기 제2접촉판은 상기 부품의 일측에서 돌출된 연장부의 표면 가장자리를 둘러 눌러주는 차량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연장부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안착공간의 천정면을 관통하는 통과부를 통해 제2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차량용 블럭.
KR1020140165624A 2014-11-25 2014-11-25 차량용 블럭 KR10159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24A KR101596002B1 (ko) 2014-11-25 2014-11-25 차량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24A KR101596002B1 (ko) 2014-11-25 2014-11-25 차량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002B1 true KR101596002B1 (ko) 2016-02-18

Family

ID=5545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624A KR101596002B1 (ko) 2014-11-25 2014-11-25 차량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0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137A (ko) * 2008-12-17 2010-06-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453236Y1 (ko) 2009-03-25 2011-04-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고정장치
KR20140087423A (ko) 2012-12-29 2014-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20140087422A (ko) * 2012-12-29 2014-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137A (ko) * 2008-12-17 2010-06-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453236Y1 (ko) 2009-03-25 2011-04-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고정장치
KR20140087423A (ko) 2012-12-29 2014-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20140087422A (ko) * 2012-12-29 2014-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165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396303B1 (ko) 커넥터 조립체
CA2974291C (en) Arrangement of multiple latching feet for an assembly, and assembly
JP6390906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配線ユニット
EP2958198A1 (en) Wiring fixture
KR101648720B1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US9306341B2 (en) Power adapter
US9930805B2 (en) Bracket and foolproof device thereof
TW201640982A (zh) 電子裝置
KR101596002B1 (ko) 차량용 블럭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783661B1 (ko) 대각형 제품 조립용 고정 플레이트
KR20170056877A (ko)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TWI661618B (zh) 電連接器和電連接器組件
KR101512615B1 (ko) 자동차용 박스
US20200386253A1 (en)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WO2016065806A1 (zh) 电视盒
KR20170085941A (ko) 커넥터
KR200477203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JP2010130769A (ja) 電設用取付体
US9288926B2 (en) Structure for holding electric/electronic component with electric wire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CN210489939U (zh) 一种具有usb模块校正限位功能的插座
KR20180037485A (ko) 자동차용 블럭
KR20120073696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