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720B1 -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720B1
KR101648720B1 KR1020140194257A KR20140194257A KR101648720B1 KR 101648720 B1 KR101648720 B1 KR 101648720B1 KR 1020140194257 A KR1020140194257 A KR 1020140194257A KR 20140194257 A KR20140194257 A KR 20140194257A KR 101648720 B1 KR101648720 B1 KR 10164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mounting
mounting bod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065A (ko
Inventor
조경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7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3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pin-shaped elements, capable of being orientated in different angular positions around their own longitudinal axes, e.g. pins with hexagonal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01R13/6466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on substrate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20)는 제1커넥터(1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4)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장착몸체(22)와, 상기 제1장착몸체(22)에서 연장되고 제2커넥터(3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8)가 형성된 제2장착몸체(26)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부(24)가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2)에서 분리되는 방향과 상기 제2결합부(28)가 제2커넥터(30)의 제2하우징(22)에서 분리되는 방향은 반대로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20)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제1커넥터(10)에서 탈락되지 않게 되어 분실의 위험이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Half fitting detection apparatus of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상대물과의 결합이 확실하게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성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 또는 정션블럭 등에 형성된 커넥터부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게 되면 터미널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아 제품의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터미널끼리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1-134680 일본공개특허 2001-076816 일본공개특허 2012-02822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끼리의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의 미결합 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브릿지에 의해 연결되고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제1장착몸체와, 상기 제1장착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제2장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가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과 상기 제2결합부가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은 반대로 된다.
상기 제1결합부는 한 쌍의 제1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한 쌍의 제2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몸체와 제2장착몸체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장착몸체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안내부가 형성되어 제2장착몸체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제1장착몸체의 쌍을 연결하는 연결브릿지에는 와이어를 안내함과 동시에 터미널을 지지하는 와이어안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터미널이 안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단 외면에 형성된 제1커넥터결합부와, 상기 제1커넥터결합부에 제1장착몸체의 제1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와 상기 제1장착몸체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1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 외면에 형성된 제2커넥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미결합을 검지하는 미결합 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가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과 상기 제2결합부가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은 반대로 된다.
상기 제1결합부는 한 쌍의 제1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한 쌍의 제2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몸체와 제2장착몸체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장착몸체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안내부가 형성되어 제2장착몸체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제1장착몸체의 쌍을 연결하는 연결브릿지에는 와이어를 안내함과 동시에 터미널을 지지하는 와이어안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미결합 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검지함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와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되는 제2장착몸체가 일체로 간단한 구성으로 만들어져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장착몸체의 분리방향과 제2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장착몸체의 분리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미결합 검지장치가 제1커넥터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어 분실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장착몸체는 제2커넥터의 외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와 함께 외부의 이물이 제2커넥터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미결합 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미결합 검지장치를 구비한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미결합 검지장치와 제1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미결합 검지장치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미결합 검지장치가 장착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조립체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20)는 제1커넥터(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제1커넥터(10)는 제1하우징(12)이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터미널이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후단에는 제1커넥터결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결합부(1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12) 후단의 서로 반대방향을 보는 외면에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에는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3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18)가 일측에 있다. 상기 체결레버(18)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아치형상의 레버로서 외면 일측에 체결턱(19)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2)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미결합 검지장치(20)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몸체(22)가 연결브릿지(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장착몸체(2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하우징(12) 후단의 서로 반대방향을 보는 외면에 장착된다. 상기 연결브릿지(23)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공간(14) 후단의 일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제1장착몸체(22)에는 각각 제1결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4)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제1커넥터결합부(16)가 안착되는 통공이다. 상기 제1결합부(24)는 반드시 통공일 필요는 없으면 홈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부(24)가 홈형상일 경우에는 양측의 제1결합부(2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몸체(22)의 양단에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부(24)가 형성된 부분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제1장착몸체(22)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2장착몸체(2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몸체(26)의 형상도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물론 상기 제2장착몸체(26)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안내부(27)가 형성되어, 제2장착몸체(26)의 폭은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몸체(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30)의 제2커넥터결합부(36)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장착몸체(26)에는 제2결합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28)도 역시 통공으로 되는데, 홈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부(28)가 홈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2장착몸체(26)의 외면으로 개방되어 양측의 제2결합부(2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브릿지(23)의 일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공간(14)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안내부(29)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29)는 터미널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1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와이어안내부(29)의 선단은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일종의 리어홀더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30)는 정션블럭의 몸체부(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커넥터(30)가 반드시 정션블럭과 같은 유니트의 몸체부(30')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2커넥터(30)도 제1커넥터(10)와 같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커넥터(30)의 외관을 제2하우징(3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32)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터미널이 안착되는 제2내부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내부공간(34)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체결레버(18)의 체결턱(19)이 체결되는 걸림턱(35)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2)의 양측 외면에는 제2커넥터결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결합부(36)는 상기 제2하우징(32)의 외면에 별도의 격벽(3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격벽(36')은 상기 제2하우징(32)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격벽(36')의 내면에는 걸이턱(3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이턱(37)은 상기 격벽(36')의 내면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격벽(36')에 절결부(37')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37)이 상기 격벽(36')의 선단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절결부(37')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36')의 내면 선단에 상기 걸이턱(37)이 형성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턱(37)을 상기 격벽(36')의 선단에 형성하는 것은 작업자가 상기 제2결합부(28)에 상기 걸이턱(37)이 결합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의 후단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1장착몸체(22)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2) 후단 양측 외면에 안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장착몸체(22)의 제1결합부(24)가 상기 제1하우징(12)의 제1커넥터결합부(16)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와이어안내부(29)가 상기 제1하우징(1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내부공간(14)에 있는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 즉 제1커넥터(10)에 미결합 검지장치(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30)에 제1커넥터(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이 상기 제2하우징(32)의 제2내부공간(34)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10)의 체결레버(18)의 체결턱(19)이 상기 제2내부공간(34)의 내면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걸림턱(35)을 타고 넘게 되고, 상기 걸림턱(35)을 상기 체결턱(19)이 타고넘어 걸어지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결합이 완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턱(35)에 상기 체결턱(19)이 걸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미결합 검지장치(20)의 제2장착몸체(26)의 제2결합부(28)에는 상기 제2커넥터결합부(36)의 걸이턱(37)이 안착되어 걸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30)의 제2내부공간(34)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 상기 걸림턱(35)에 상기 체결턱(19)이 걸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당연히 상기 제2장착몸체(26)의 제2결합부(28)에 상기 걸이턱(37)이 걸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 상황을 육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고, 이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로 힘을 가해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30)와 결합되고, 상기 제2장착몸체(26)의 제2결합부(28)도 상기 걸이턱(37)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10)를 상기 제2커넥터(30)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양측의 제2장착몸체(26)를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눌러준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장착몸체(26)를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2) 외면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걸이턱(37)이 상기 제2결합부(28)에서 빠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1장착몸체(22)는 상기 제2장착몸체(26)를 제1하우징(12) 외면으로 눌어줌에 의해 더 제1하우징(12)의 외면에 밀착된다. 즉, 제1장착몸체(22)가 상기 제1하우징(12)에서 분리되는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0)를 상기 제2커넥터(30)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제2장착몸체(26)에 힘을 주더라도 상기 제1장착몸체(22)의 장착상태에는 변함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3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1커넥터(10)는 제2커넥터(30)에서 상기 미결합 검지장치(20)와 함께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안내부(29)는 미결합 검지장치(20)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리어홀더의 역할을 겸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필요하다.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제1내부공간 16: 제1커넥터결합부
18: 체결레버 19: 체결턱
20: 미결합 검지장치 22: 제1장착몸체
24: 제1결합부 26: 제2장착몸체
28: 제2결합부 29: 와이어안내부
30: 제2커넥터 30': 몸체부
32: 제2하우징 34: 제2내부공간
35: 걸림턱 36: 제2커넥터결합부
36': 격벽 37: 걸이턱
37': 절결부

Claims (8)

  1. 연결브릿지에 의해 연결되고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제1장착몸체와,
    상기 제1장착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제2장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가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과 상기 제2결합부가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은 반대로 되는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한 쌍의 제1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한 쌍의 제2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몸체와 제2장착몸체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장착몸체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안내부가 형성되어 제2장착몸체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는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몸체의 쌍을 연결하는 연결브릿지에는 와이어를 안내함과 동시에 터미널을 지지하는 와이어안내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5. 제1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터미널이 안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단 외면에 형성된 제1커넥터결합부와,
    상기 제1커넥터결합부에 제1장착몸체의 제1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와 상기 제1장착몸체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1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 외면에 형성된 제2커넥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미결합을 검지하는 미결합 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가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과 상기 제2결합부가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는 방향은 반대로 되는 커넥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한 쌍의 제1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한 쌍의 제2장착몸체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몸체와 제2장착몸체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장착몸체의 선단 양측에는 삽입안내부가 형성되어 제2장착몸체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는 커넥터조립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몸체의 쌍을 연결하는 연결브릿지에는 와이어를 안내함과 동시에 터미널을 지지하는 와이어안내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140194257A 2014-12-30 2014-12-30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10164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257A KR101648720B1 (ko) 2014-12-30 2014-12-30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257A KR101648720B1 (ko) 2014-12-30 2014-12-30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065A KR20160081065A (ko) 2016-07-08
KR101648720B1 true KR101648720B1 (ko) 2016-08-17

Family

ID=5650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257A KR101648720B1 (ko) 2014-12-30 2014-12-30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705B1 (ko) 2016-12-08 2024-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KR102076249B1 (ko) 2018-08-10 2020-02-11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KR102107434B1 (ko) 2018-09-06 2020-05-08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KR102114667B1 (ko) 2019-04-17 2020-05-26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KR102279461B1 (ko) 2019-07-19 2021-07-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KR20210010783A (ko)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유니크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657485B1 (ko) 2021-11-25 2024-04-16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816A (ja) 1999-09-07 2001-03-23 Yazaki Corp コネクタの半嵌合防止構造
JP5390373B2 (ja) 2009-12-25 2014-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半嵌合検知機構
JP5518614B2 (ja) 2010-07-26 2014-06-11 株式会社デジタル 電源接続構造
KR101748846B1 (ko) * 2010-12-22 2017-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065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720B1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US91479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quib connection device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9997881B2 (en) Electric connector
KR102039749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US20190190197A1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JP201400284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拡張構造およ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TW201541744A (zh) 連接器
JP2014054005A (ja) 電気接続箱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US9410991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onductive member
JP604460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101446531B1 (ko) 커넥터
KR101786594B1 (ko) 커넥터
JP2015022968A (ja) コネクタ
KR10219838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JP6309788B2 (ja) コネクタ
JP5271314B2 (ja) 表面実装用接続端子
KR101110426B1 (ko) 암커넥터 조립체
KR101477730B1 (ko) 전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