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382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382B1
KR102198382B1 KR1020140124357A KR20140124357A KR102198382B1 KR 102198382 B1 KR102198382 B1 KR 102198382B1 KR 1020140124357 A KR1020140124357 A KR 1020140124357A KR 20140124357 A KR20140124357 A KR 20140124357A KR 102198382 B1 KR102198382 B1 KR 10219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plug
cap housing
rib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320A (ko
Inventor
조항구
정규택
장상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10402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322345B/zh
Publication of KR2016000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이상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케이블 터미널 구멍과, 상기 케이블 터미널 구멍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는 플러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구비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리테이너; 및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인입 길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리브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캡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A connector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여러가지 편의장치가 탑재되는 등 고급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차량 내에는 많은 전장품 및 제어기들이 탑재되고 있고, 각종 전장품에 대한 전원선 및 제어신호선, 그리고 제어기들 간의 통신선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비롯하여 케이블 등이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각종 전장품을 비롯하여 제어기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케이블 등의 일끝단에는 다수의 입력 및 출력 단자를 갖는 다극 커넥터가 장착되고 있는 바, 다극 커넥터는 전장품의 정격용량 및 사용전선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인-라인에서 각종 와이어링 하네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다극 커넥터를 조립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8505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터미널(15)들을 포함하는 캡 하우징(10)과, 상기 캡 하우징(10)에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30)와, 상기 터미널(15)의 정위치 여부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15)을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한 리테이너(락킹부, 14) 등을 포함하는 다극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플러그에 측면 삽입되며, 보통 두 번의 걸림에 의해 고정 되도록 한다.
고객의 요구 사항 중 터미널을 유지하는 힘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너 2차 잠금(Locking)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구조에서는 리테이너 2차 잠금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도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다양한 형태의 품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전의 구조에서는 상기 리테이너의 모서리부분의 라운드 형상과, 유동 공간으로 인해 밀려 들어가 상기 리테이너의 2차 잠금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고 미체결된 상태로 삽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단자가 미삽입 상태인 채로 완제품 내에 들어 있을 불량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정리하면, 제품의 제작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리테이너가 제대로 체결되지 않은 체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터미널들이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되거나, 잘못 결합되는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실시 예의 목적은 체결이 용이하고 확실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케이블 터미널 구멍과, 상기 케이블 터미널 구멍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는 플러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구비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리테이너; 및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인입 길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리브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캡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 가능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몸체부로부터 더욱 돌출되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및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및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끼움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리브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끼움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케이블 터미널이 삽입되는 플러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구비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케이블의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리테이너; 및 상기 플러그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케이블의 터미널에 접속되는 제 2 케이블 터미널과, 상기 제 2 케이블 터미널의 접속부를 보호하는 단자 보호 돌기를 포함하는 캡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보호 돌기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플러그에 완전히 결합될 때, 상기 리브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돌기는, 상기 캡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케이블 터미널의 접속부의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돌기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 가능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돌기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 주변에 배치된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가 미삽입되면 가이드 돌기 및 리브가 서로 간섭되어 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테이퍼부를 적용하면, 리테이너가 일부 미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체결되더라도, 테이퍼부를 따라서 리테이너가 제대로 삽입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제대로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하면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미세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플러그(100)와, 캡 하우징(200)과, 제 1 리테이너(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00)는, 상기 플러그(100)에 설치되는 제 1 케이블(또는 제 1 케이블이 끼워지는 제 1 케이블 터미널)을 지지하며, 상기 캡 하우징(2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정상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제 1 케이블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설치되는 제 2 케이블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00)는, 플러그 캡(110)과, 플러그 삽입부(120)와, 고정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캡(110)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케이블 구멍(112)과, 가이드 구멍(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구멍으로 터미널이 체결된 케이블이 삽입되는 경우, 케이블 구멍은, 터미널 구멍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는, 상기 캡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케이블 구멍(122)과, 가이드 구멍(124)과, 제 1 수용 홈(126)과, 가이드 홈(128)과, 안착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에 형성되는 케이블 구멍(122) 및 가이드 구멍(124)은, 상기 플러그 캡(110)에 형성되는 케이블 구멍(112) 및 가이드 구멍(114)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 홈(126)은,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제 1 수용 홈(126)은, 상기 플러그(100)의 케이블 구멍(11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용 홈(126)은, 상기 케이블 구멍(1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 홈(126)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의 일 측면에 함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28)은, 후술할 가이드부(224, 도 4)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9)는, 상기 제 1 리테이너(300)의 제 2 걸림부(320)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 2 걸림부(3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30)는,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30)에는, 슬라이딩 돌기(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132)는, 상기 캡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홈(212)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고정 부재(130)가 상기 플러그 캡(110)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이 조립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테이너(300)는, 상기 제 1 수용 홈(126)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테이너(300)는, 상기 제 1 케이블의 터미널을 상기 플러그(10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테이너(300)는, 제 1 케이블의 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리테이너(300)의 케이블 구멍(312)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제 1 케이블 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설치된 단자의 일측에 걸리는 구조를 이용하여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개특허 제10-2012-0085051호 등에 충분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리테이너(300)는, 리테이너 본체(310)와, 제 2 걸림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본체(310)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케이블 구멍(312)과, 가이드 구멍(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본체(310)의 케이블 구멍(312) 및 가이드 구멍(314)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에 형성되는 케이블 구멍(122) 및 가이드 구멍(124), 상기 플러그 캡(110)에 형성되는 케이블 구멍(112) 및 가이드 구멍(124)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320)는, 후술할 제 1 걸림부(222, 도 4)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320)는,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상기 제 1 수용 홈(126)에 기 설정된 길이 이하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320)는, 상기 리테이너 본체(310)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200)은, 캡 하우징 본체(210)와, 삽입 공간(220)과, 제 2 수용 홈(230)과, 제 2 리테이너(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는,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에 설치되는 제 2 케이블(또는 제 2 케이블이 끼워지는 제 2 케이블 터미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는, 슬라이딩 홈(212)과 상기 제 2 케이블이 설치되기 위한 케이블 구멍(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홈(212)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132)가 안내되는 공간이다. 상기 슬라이딩 홈(212)은,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홈(212)은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홈(212)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130)가 상기 플러그 캡(110)에 삽입되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조립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220)은,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공간으로,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 홈(230)은, 상기 제 2 리테이너(240)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수용 홈(230)은,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의 일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테이너(240)는, 상기 제 2 수용 홈(2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제 2 리테이너(240)는, 상기 제 2 케이블을 상기 캡 하우징(200)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 2 리테이너(240)는, 상기 제 2 케이블이 설치되기 위한 케이블 구멍(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리테이너(240)의 케이블 구멍(242)은, 상기 캡 하우징 본체(210)에 형성되는 케이블 구멍(232)과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테이너(300)에 대한 설명은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2 리테이너(24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하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플러그(100)에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캡(110)의 케이블 구멍(112),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의 케이블 구멍(122) 및 상기 제 1 리테이너(300)의 케이블 구멍(312)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구멍(112)(122)(312)으로, 상기 제 1 케이블(또는 제 1 케이블이 설치된 제 1 케이블 터미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캡(110)의 가이드 구멍(114),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의 가이드 구멍(124) 및 상기 리테이너 본체(310)의 가이드 구멍(314)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114)(124)(314)으로, 후술할 가이드 돌기(226)가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조립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캡 하우징(200)은, 제 1 걸림부(222)와, 가이드부(224)와, 가이드 돌기(2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캡 하우징(200)의 삽입 공간(220)으로는 상기 제 2 케이블의 접속부(T)들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222)는, 상기 삽입 공간(220)의 내벽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222)는, 상기 제 1 리테이너(300)의 인입 길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삽입 공간(220)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완전히 체결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상기 제 1 수용 홈(126)에 기 설정된 길이 이하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222)는 상기 제 1 리테이너(300)의 일측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4)는, 상기 삽입 공간(220)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100)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4)는, 상기 삽입 공간(220)의 타측 내벽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4)는,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를 상기 삽입 공간(22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4)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가 상기 삽입 공간(220)의 내벽과 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의 결합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4)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걸림부(222)가 형성된 일측 내벽의 반대편 내벽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224) 및 제 1 걸림부(222)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24)는, 상기 플러그(100)를 상기 일측 내벽 방향으로 밀착되게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리테이너(300)가 상기 제 1 걸림부(222)에 더욱 확실하게 걸리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상기 삽입 공간(2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상기 제 2 케이블의 접속부(T)가 노출된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접속부(T)를 잘못 건드려서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단자 보호 돌기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상기 리테이너(300, 도 2 참조)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상기 리테이너(300)의 삽입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제 1 가이드 돌기(2261)와, 제 2 가이드 돌기(2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 및 제 2 가이드 돌기(2262)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가이드 구멍(314)에 삽입되는 끼움부(2261a)와, 후술할 리브(315, 도 6 참조)가 삽입되는 수용부(2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끼움부(2261a)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의 몸체부로부터 더욱 돌출되는 돌기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261a)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2261b)는, 상기 복수 개의 끼움부(2261a)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수용부(2261b)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의 단부로부터 함몰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부(2261a)는, 제 1 가이드 돌기(2261)의 단부 중 함몰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리테이너 본체(310)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구멍(314)은, 상기 리테이너(300)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314)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가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구멍(3141)과,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262)가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구멍(3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 및 제 2 가이드 구멍(3142)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는, 구멍을 가로지르는 형상의 리브(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5)는,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부(2261b, 도 5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브(315)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은, 상기 리브(315)를 기준으로 상기 리테이너(3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리테이너(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315)는, 상기 끼움부(2261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100)는 상기 캡 하우징(200)으로 더 이상 진입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았다는 것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리테이너(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315)는, 상기 수용부(2261b)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2261a)는,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으로 인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가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과 형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으로 계속하여 진입하여,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이 제대로 체결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제대로 삽입되었다는 것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300) 및 제 1 가이드 돌기(2261)는 억지끼움(tight 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315) 및 수용부(2261b)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리브(315)의 두께는 상기 수용부(2261b)의 너비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261a) 및 제 1 가이드 구멍(3141)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끼움부(2261a)의 두께는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의 너비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브(315) 및 수용부(2261b)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2개의 제 1 가이드 구멍(3141) 사이의 리브(315)가 생략됨으로써 하나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도 5의 제 1 가이드 돌기(226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하나의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가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3141)에 삽입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각 부품의 공차는 통상적으로 각 부품의 부피에 비례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첫째, 상기 리브(31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가이드 구멍을 분리하여 보다 작은 2개의 제 1 가이드 구멍(3141)을 형성하고, 둘째, 상기 수용부(2261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261) 보다 작은 2개의 끼움부(226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부품의 절대적인 공차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체결의 정확성을 높힐 수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미세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브(315)의 단부는, 상기 플러그(10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브(315)의 단부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테이퍼부(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테이퍼부(315a)는, 상기 리테이너(300)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브(315)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테이퍼부(315a)에 의하면, 상기 리테이너(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미세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삽입될 때, 상기 리브(315)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된 뒤에 상기 수용부(2261b)로 인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리브(315)가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리테이너(300)는 상기 플러그(100)에 제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261a)의 단부는, 상기 플러그의(100)의 이탈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끼움부(2261a)의 단부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2261a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테이퍼부(2261aa)는, 상기 리테이너(300)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끼움부(2261a)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테이퍼부(2261aa)에 의하면, 상기 리테이너(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미세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캡 하우징(200)에 삽입될 때, 상기 리브(315)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된 뒤에 상기 수용부(2261b)로 인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리브(315)가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리테이너(300)는 상기 플러그(100)에 제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테이퍼부(315a) 및 제 2 테이퍼부(2261aa)에 의하면, 상기 리테이너(300)가 미세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이 결합될 때에, 상기 리브(315) 및 끼움부(2261a)가 서로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리테이터(300)가 상기 플러그(100)에 제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100) 및 캡 하우징(200)이 제대로 체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돌기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 주변에 배치된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가 미삽입되면 가이드 돌기 및 리브가 서로 간섭되어 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테이퍼부를 적용하면, 리테이너가 일부 미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체결되더라도, 테이퍼부를 따라서 리테이너가 제대로 삽입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플러그 및 캡 하우징이 제대로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케이블 터미널 구멍과, 상기 케이블 터미널 구멍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는 플러그;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에 구비되는 리브가 형성된 리테이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리테이너; 및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인입 길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리브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캡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케이블 터미널 구멍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를 가로질러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 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리테이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가 기 설정된 길이로 인입되어야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캡 하우징이 상호 결합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및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및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끼움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리브가 삽입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끼움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 본체로부터 상기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수용 홈에 기 설정된 길이 미만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 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걸림부는 상기 제 1 걸림부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 하우징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제 1 걸림부가 형성된 내벽의 반대편 내벽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 1 걸림부 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삭제
KR1020140124357A 2014-07-10 2014-09-18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9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02935.7A CN105322345B (zh) 2014-07-10 2015-07-10 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6614 2014-07-10
KR1020140086614 2014-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20A KR20160007320A (ko) 2016-01-20
KR102198382B1 true KR102198382B1 (ko) 2021-01-05

Family

ID=5530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357A KR102198382B1 (ko) 2014-07-10 2014-09-18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48B1 (ko) * 2016-08-24 2022-01-2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39076B1 (ko) * 2016-12-02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0236A (ja) * 2007-05-31 2008-12-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レバーコネクタ及びリテーナの押し込み確認方法
JP2012119215A (ja) 2010-12-02 2012-06-21 Caterpillar Sarl コネクタの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386A (ja) * 1996-08-05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324690B2 (ja) * 1997-03-26 2002-09-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307164A (ja) * 1998-04-21 1999-1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KR20100025378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86486B1 (ko) * 2009-11-26 2016-0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899841B1 (ko) * 2012-07-11 201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0236A (ja) * 2007-05-31 2008-12-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レバーコネクタ及びリテーナの押し込み確認方法
JP2012119215A (ja) 2010-12-02 2012-06-21 Caterpillar Sarl コネクタ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20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US9985380B2 (en)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KR101648720B1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102039749B1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9461420B2 (en) Connector holder
KR10219838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622747B2 (en) Connector
US2014004537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Housing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KR101725929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KR101725928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KR102629846B1 (ko)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KR101869545B1 (ko) 방수 커넥터
KR200486277Y1 (ko) 도어 커넥터
KR101869540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6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3B1 (ko) 방수 커넥터
CN107634379B (zh) 连接器
WO2013038651A1 (en) Connector unit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pacer for locking a second terminal
KR102402303B1 (ko) 커넥터
KR101869542B1 (ko) 방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