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41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841B1 KR101899841B1 KR1020120075342A KR20120075342A KR101899841B1 KR 101899841 B1 KR101899841 B1 KR 101899841B1 KR 1020120075342 A KR1020120075342 A KR 1020120075342A KR 20120075342 A KR20120075342 A KR 20120075342A KR 101899841 B1 KR101899841 B1 KR 101899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lever
- housing
- plate body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 제2커넥터(20) 및 안전판(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분리와 결합은 레버(25) 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판(30)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서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전판(30)은 판몸체(32)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이레버(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레버(37)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안전판(30)의 이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플레이트(30)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에 따라 그 위치를 이동하므로 단자의 보호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커넥터의 단자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판을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에 따라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 내부의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조립체에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자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들 단자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넥터의 단자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안전판은 예를 들면 제1커넥터 내부의 임시결합위치에 설치되어 그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단자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제2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1커넥터의 내부로 더 들어가 완전결합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안전판이 완전결합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단자들이 일정 이상의 결합길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판이 임시결합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제2커넥터가 없을 때, 제1커넥터의 단자들이 서로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에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필요성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판을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자체의 구성만을 가지고 제1커넥터에서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이 제1하우징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단자의 선단이 위치하며 결합해제핀이 형성된 탄성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 내면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 내부로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돌기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결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제2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판몸체에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해제핀과 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레버가 판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안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외팔보 모양이고 상기 결합해제핀은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결합해제핀은 상기 탄성레버의 폭방향 일측에 치우쳐 형성된다.
상기 안전판은 상기 결합공간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모양의 판형상이고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상기 단자공이 형성되는 판몸체와, 상기 탄성레버와 대응되는 상기 판몸체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돌기와 상기 제1하우징의 걸이해제핀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레버와, 상기 판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일측에 선단이 지지되는 지지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결합공간에 형성된 가이드판이 관통하는 가이드판공이 상기 판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공에 상기 지지레버의 선단이 위치되며 상기 지지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에 형성된 유지단에 안착된다.
상기 유지단은 상기 가이드판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의 양측에는 보호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버는 상기 판몸체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있는 지지레버의 연장방향이 서로 향하도록 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선단이 판몸체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판이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와 연동하여 별도의 부품없이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의 단자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전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에서 안전판이 임시결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가 결합되어 안전판이 완전결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제2커넥터가 분리되면서 안전판이 제1커넥터에서 임시결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전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에서 안전판이 임시결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가 결합되어 안전판이 완전결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제2커넥터가 분리되면서 안전판이 제1커넥터에서 임시결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는 제1하우징(1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의 전부 또는 선단쪽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결합공간(12') 내에는 제1커넥터(10)를 구성하는 단자(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돌출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간(12')은 본 실시예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커넥터연동돌기(13)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25)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제1커넥터(10)의 단자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후단과 상기 결합공간(12')의 바닥면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단자안착부(13')에 일부가 위치되고, 선단은 상기 결합공간(12')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의 내면에는 가이드판(1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판(3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단자안착부(13')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 상기 결합공간(12')의 입구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판(14)의 선단은 단자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된다.
상기 가이드판(14)에는 유지단(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지단(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판(30)의 지지레버(36)가 안착된다. 지지레버(36)가 상기 유지단(15)에 지지됨에 의해 상기 지지레버(36)가 탄성변형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안전판(30)이 완전결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지단(15)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판(14)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의 내측면에는 탄성레버(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레버(16)가 총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레버(16)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12)을 관통하여 만들어진 관통창(16') 내에 위치된다. 하지만, 상기 탄성레버(16)는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면, 반드시 관통창(16')내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레버(16)의 선단에는 결합해제핀(18)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해제핀(18)은 상기 탄성레버(16) 선단의 폭방향 일부에 하향 경사지게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해제핀(18)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있는 탄성레버(16)의 것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해제핀(18)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레버(16)의 폭에서 일부만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결합돌기(23)가 상기 결합해제핀(18)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2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2)도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22)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을 전후로 관통하여 단자안착부(22')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2커넥터(20)를 구성하는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양측 외면에는 결합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3)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판(30)의 걸이레버(37)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돌기(23)는 도 2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22)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3)는 제2하우징(22)의 외면중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3)의 갯수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레버(37)의 그것과 동일하게 된다. 도면부호 24는 레버회전축이다.
상기 제2커넥터(20)에는 레버(25)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25)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시에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버(25)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안전판(30)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외력에 의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안전판(30)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서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를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시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임시결합위치는 상기 안전판(30)의 판몸체(32)가 상기 단자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이다. 완전결합위치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완전히 결합되어 판몸체(32)가 결합공간(12')의 바닥면에 접촉되거나 바닥면쪽으로 가장 많이 이동된 상태이다.
상기 안전판(30)에는 판몸체(32)가 구비되는데, 상기 판몸체(32)는 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판몸체(32)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판몸체(32)에는 다수개의 단자공(3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단자공(33)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몸체(32)에는 또한 가이드판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공(34)은 상기 가이드판(14)과 협력하여 안전판(30)의 삽입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판공(34)에 선단이 위치되도록 지지레버(36)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버(36)는 상기 판몸체(32)에 외팔보형상으로 만들어져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레버(36)의 선단은 상기 유지단(15) 상에 안착되어 임시결합위치에서 안전판(30)이 완전결합위치쪽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유지단(15)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지지레버(36)가 탄성변형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레버(36)는 상기 판몸체(32)의 길이방향 중간을 기준을 양측의 것이 선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지지레버(36)들을 탄성변형시키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대략 판몸체(32)의 중앙쪽에 가해지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몸체(32)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걸이레버(37)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37)는 상기 판몸체(32)의 상면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걸이레버(37)의 선단에는 결합턱(3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37)는 상기 탄성레버(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37)의 양측에는 보호리브(3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호리브(38)는 상기 걸이레버(37)의 측방향에서 불의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몸체(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면의 돌출리브(도면부호 부여 않음)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39)는 상기 판몸체(32)의 가장자리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는 별개로 만들어져서, 서로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에는 상기 안전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판(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커넥터(10)내에 임시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완전히 결합되면 완전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먼저, 상기 안전판(30)이 도 6에 도시된 임시결합상태에 있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안전판(30)은 상기 결합공간(12')의 내부에 상기 지지레버(36)의 선단이 상기 유지단(15)에 안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안전판(30)은 상기 결합공간(12')의 내측으로 임의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레버(37)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해제핀(18)에 걸어져 상기 안전판(30)이 상기 결합공간(12')의 외부 쪽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도 6의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안전판(30)은 어느 방향으로라도 이동될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간(12')의 내부로 제2커넥터(20)를 삽입하면 제2커넥터(20)가 결합공간(12')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안전판(30)을 밀게 된다. 상기 안전판(30)은 완전결합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레버(36)가 상기 유지단(15)을 벗어나도록 탄성변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판(30)에 상기 제2커넥터(20)를 통해 힘을 가해주면 된다. 상기 지지레버(36)가 상기 유지단(15)을 벗어나면 도 7의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레버(37)가 상기 결합해제핀(18)에서 벗어나므로 원래의 상태로 되고,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20)의 결합돌기(23)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사이의 결합을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2커넥터(20)를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에서 빼내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23)에 상기 걸이레버(37)의 결합턱(37')이 걸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2커넥터(20)가 이동되면 상기 안전판(30)도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커넥터(20)가 제1커넥터(10)에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안전판(30)의 걸이레버(37)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해제핀(18)에 걸어진다. 참고로, 상기 결합해제핀(18)에는 걸이레버(37)만 걸어지는데, 이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결합돌기(23)는 상기 결합해제핀(18)과 간섭되지 않는 탄성레버(16)의 부분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레버(37)의 결합턱(37')의 폭은 상기 탄성레버(16)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특성상 상기 안전판(30)은 상기 걸이레버(37)가 상기 결합해제핀(18)에 걸어져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지지레버(36)는 또한 상기 유지단(15)을 통과하여 유지단(15) 상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도 8에는 상기 걸이레버(37)가 상기 결합해제핀(18)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돌기(23)에서 분리되어 임시결합상태에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후에는 상기 제2커넥터(20)만이 이동되어 제1커넥터(10)에서 빠져나간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25)가 사용되었으나, 상기 레버(2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레버(25) 없이 작업자의 힘만으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2': 결합공간 13: 연동돌기
14: 가이드판 15: 유지판
16: 탄성레버 18: 결합해제핀
20: 제2커넥터 22: 제2하우징
22': 단자안착부 23: 결합돌기
25: 레버 30: 안전판
32: 판몸체 33: 단자공
34: 가이드판공 36: 지지레버
37: 걸이레버 38: 보호리브
39: 간섭회피부
12': 결합공간 13: 연동돌기
14: 가이드판 15: 유지판
16: 탄성레버 18: 결합해제핀
20: 제2커넥터 22: 제2하우징
22': 단자안착부 23: 결합돌기
25: 레버 30: 안전판
32: 판몸체 33: 단자공
34: 가이드판공 36: 지지레버
37: 걸이레버 38: 보호리브
39: 간섭회피부
Claims (7)
-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이 제1하우징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단자의 선단이 위치하며 결합해제핀이 형성된 탄성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 내면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 내부로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돌기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결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제2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판몸체에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해제핀과 결합돌기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레버가 판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안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외팔보 모양이고 상기 결합해제핀은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커넥터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해제핀은 상기 탄성레버의 폭방향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은
상기 결합공간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모양의 판형상이고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상기 단자공이 형성되는 판몸체와,
상기 탄성레버와 대응되는 상기 판몸체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돌기와 상기 제1하우징의 걸이해제핀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레버와,
상기 판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일측에 선단이 지지되는 지지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결합공간에 형성된 가이드판이 관통하는 가이드판공이 상기 판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공에 상기 지지레버의 선단이 위치되며 상기 지지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에 형성된 유지단에 안착되는 커넥터조립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단은 상기 가이드판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의 양측에는 보호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버는 상기 판몸체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있는 지지레버의 연장방향이 서로 향하도록 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선단이 판몸체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하는 커넥터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5342A KR101899841B1 (ko) | 2012-07-11 | 2012-07-11 | 커넥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5342A KR101899841B1 (ko) | 2012-07-11 | 2012-07-11 | 커넥터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642A KR20140008642A (ko) | 2014-01-22 |
KR101899841B1 true KR101899841B1 (ko) | 2018-09-19 |
Family
ID=5014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5342A KR101899841B1 (ko) | 2012-07-11 | 2012-07-11 |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98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00714A1 (en) * | 2022-06-30 | 2024-01-03 | Kum LLC | Connector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8382B1 (ko) * | 2014-07-10 | 2021-01-05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633432B1 (ko) * | 2016-06-24 | 2024-02-06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667461B1 (ko) * | 2016-12-27 | 2024-05-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플러그 단자 보호 장치가 적용된 세이프티 플러그 |
KR101862851B1 (ko) * | 2017-03-20 | 2018-05-3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05552A (ja) * | 2009-03-03 | 2010-09-16 | Yazaki Corp | 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及び、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の成形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4440B2 (ja) * | 1994-03-16 | 2000-08-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保護板を備えたコネクタ |
KR100858755B1 (ko) * | 2006-11-20 | 2008-09-16 |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KR101586486B1 (ko) * | 2009-11-26 | 2016-01-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
-
2012
- 2012-07-11 KR KR1020120075342A patent/KR1018998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05552A (ja) * | 2009-03-03 | 2010-09-16 | Yazaki Corp | 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及び、ロックアーム付き樹脂成形部品の成形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00714A1 (en) * | 2022-06-30 | 2024-01-03 | Kum LLC | Connecto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642A (ko) | 2014-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6303B1 (ko) | 커넥터 조립체 | |
KR101342165B1 (ko) | 커넥터 조립체 | |
KR101899841B1 (ko) | 커넥터 조립체 | |
JP2006339154A (ja) | ロックレバーを有するコネクタ | |
KR20170051901A (ko) | 커넥터 조립체 | |
KR101941072B1 (ko) |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
TWM604975U (zh) | 第一連接器、第二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 | |
KR101862851B1 (ko) |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 |
KR200447848Y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WO2014198928A1 (en) | Plug and connector arrangement | |
JP2011142050A (ja) | レバー式コネクタ | |
KR101304942B1 (ko) |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 |
US20160123361A1 (en) | Connector | |
KR101939072B1 (ko) | 레버타입 커넥터 | |
US109718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EP2795735B1 (en) | Electrical connector, its assembly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 |
JP2019067744A (ja) | コネクタ | |
KR20130042161A (ko) |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 |
KR101839388B1 (ko) | 레버타입 커넥터 | |
JPH11250985A (ja) | コネクタ嵌合構造 | |
KR20120120810A (ko) |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 |
KR20140006558A (ko) | 커넥터 | |
JP2013045608A (ja) | コネクタ取付構造 | |
KR100955054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 |
KR101919034B1 (ko) |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