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942B1 -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942B1
KR101304942B1 KR1020110145547A KR20110145547A KR101304942B1 KR 101304942 B1 KR101304942 B1 KR 101304942B1 KR 1020110145547 A KR1020110145547 A KR 1020110145547A KR 20110145547 A KR20110145547 A KR 20110145547A KR 101304942 B1 KR101304942 B1 KR 10130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using
connector
guid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047A (ko
Inventor
김문종
박성철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9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하우징(11)이 제1커넥터(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는 레버(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20)와 연동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서 직선운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30)가 제1하우징(11)의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레버(20)는 제2커넥터(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11)에 형성된 록레버(16)에 체결되어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에는 록아암(38)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5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이드플레이트(30)가 이동되지 않도록 제1하우징(11)의 일측에 걸어진다. 상기 록아암(38)이 제1하우징(11)에 걸어진 상태는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1) 외면에 형성된 해제리브(56)에 의해 해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타입 커넥터의 레버(20)가 소형화되고 레버(20)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Lever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의 하우징 내부에 도전재질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커넥터끼리 서로 결합되어 터미널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 상기 터미널의 갯수가 많아지면 커넥터끼리 결합하기 위한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를 사용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채용되었다.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도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 사이로 균일하게 힘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레버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는 레버가 특정 위치에 있어야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가 레버 또는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해 결합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레버를 커넥터들의 상태에 따라 특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를 커넥터의 상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록레버 채용하는데, 이와 같은 록레버는 상기 레버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레버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록레버가 레버에 인접하여 있게 되면 레버와 록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져 좁은 공간에서 레버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상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레버가 결합되게 하면서도 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플레이트삽입공간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연동축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 내에서 직선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레버의 회전궤적 내에 상기 제1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에는 상기 록레버의 일측 단부가 걸어지는 탄성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걸이턱은 상기 레버에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록아암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져 플레이트삽입공간으로의 진입이 방지된다.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의 입구에는 상기 록아암이 상기 하우징에 걸어진 상태를 해제하는 상대 커넥터의 해제리브가 통과하는 해제관통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레버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하우징에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직선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레버가 상기 레버의 회전궤적 내에 위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플레이트삽입공간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제2하우징의 선단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안내채널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에는 상기 록레버의 일측 단부가 걸어지는 탄성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걸이턱은 상기 레버에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버의 골격을 레버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레버몸체의 양측에서 나란히 장착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판의 사이에 해당되는 레버몸체의 부분에서 상기 탄성걸이턱이 레버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록아암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져 플레이트삽입공간으로의 진입이 방지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으로 들어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록아암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 내에 형성된 안내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리브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연동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결합상태에서 레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록레버를 레버의 회전궤적 내에 레버와 간섭되지 않도록 두었으므로, 레버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전체 레버타입 커넥터의 크기가 작아지고 좁은 공간에서 레버타입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에서 레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레버와 연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에 두고, 상기 레버가 구비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완성되었을 때, 레버를 고정하는 록레버를 두었으므로, 레버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는 초기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11')에는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11')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삽입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플레이트(3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선단쪽으로 개방되어 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13')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1)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내면에는 안내채널(14)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입구(13')의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해제관통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해제관통부(14')는 아래에서 설명될 해제리브(56)가 간섭없이 통과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입구가 있는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록레버(16)가 구비된다. 상기 록레버(16)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간부분이 상기 제1하우징(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선단과 후단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록레버(16)를 측방향에서 보면 'T'자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도면부호 17은 상기 록레버(16)가 과도하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변형방지돌기이다.
상기 록레버(16)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리브(18)가 상기 록레버(16)에 인접한 양쪽에 구비된다. 상기 보호리브(18)에는 회전축(19)이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9)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20)의 회전중심이 된다.
레버(20)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보호리브(18)의 회전축(19)이 회전중심공(20')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하우징(11)에 설치되고,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9)을 중심으로 레버(20)가 회전된다. 상기 레버(20)의 골격을 레버몸체(22)가 형성하는데, 상기 레버몸체(22)의 일측에는 탄성걸이턱(2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걸이턱(24)은 상기 레버몸체(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된다. 상기 탄성걸이턱(24)은 상기 레버몸체(22)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레버(20)의 가상의 회전중심축을 향해 선단이 돌출된다. 그리고, 탄성걸이턱(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판(26)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레버몸체(22)의 양단에서는 장착판(26)이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장착판(26)은 상기 보호리브(18)의 양측 외면에 마주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판(26)에는 상기 회전중심공(20')이 선단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판(26)의 외면에는 각각 연동축(2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축(28)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플레이트(30)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즉, 레버(2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30)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연동축(28)이 힘을 전달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플레이트삽입공간(13)에는 가이드플레이트(30)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이드플레이트(30)가 사용되는데,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30)만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힘 전달의 균형 등을 고려할 때, 한쌍의 가이드플레이(3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골격을 플레이트몸체(32)가 형성하는데, 상기 플레이트몸체(32)는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일면에는 안내리브(33)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리브(33)는 상기 안내채널(14)을 따라 안내되어 가이드플레이트(30)가 직선운동을 정확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일면에는 연동돌기(3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돌기(3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50)의 연동채널(54)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2커넥터(50)와 제1커넥터(10)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일단부에는 연동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36)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입구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동부(36)에는 연동슬롯(3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슬롯(36')의 연장방향은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36')에는 상기 레버(20)의 연동축(28)이 안착되어 안내되면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록아암(38)이 형성된다. 상기 록아암(38)은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연장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동부(36)에서 상기 플레이트(3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록아암(38)은 외팔보 형상으로 그 중간 일측에 록돌기(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돌기(39)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임의로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는 패널(40)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40)은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패널(40)에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조립체가 관통하게 된다. 도면부호 44는 패킹으로 상기 패널(40)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50)의 장착플랜지(58)의 사이에 밀착되어 방수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제2커넥터(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커넥터(50)는 상기 패널(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50)의 외관을 제2하우징(5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51)도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삽입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2)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1)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선단 외면에는 연동채널(54)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채널(54)은 다수개가 경사지게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동돌기(34)가 안착되어 안내된다. 상기 연동채널(54)은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선단 외면에는 또한 해제리브(56)가 구비된다. 상기 해제리브(56)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해제관통부(14')를 통과하는 부분으로, 상기 해제리브(56)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록아암(38)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해제리브(56)가 상기 록아암(38)을 밀어 상기 록돌기(39)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걸어진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해제리브(56)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면에는 장착플랜지(58)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플랜지(58)는 상기 패킹(44)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패널(40)의 관통공(42)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플랜지(58)는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면을 둘러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의 레버(20)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와 제 9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20)가 직접 고정된 것은 아니나, 상기 레버(30)와 연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록아암(38)에 형성된 록돌기(39)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 걸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
참고로,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외부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은 상기 레버(2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회전축(19)에 걸어진 상태로 상기 레버(20)의 연동축(28)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연동슬롯(36')에 걸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서로 접근하여 상기 제2커넥터(50)의 연동채널(54)의 입구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연동돌기(34)가 들어가면 서로의 결합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1)의 선단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입구(13')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해제리브(56)가 상기 해제관통부(14')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록아암(38)을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록아암(38)이 탄성변형되면 상기 록돌기(39)가 상기 제1하우징(11)에서 분리되면서 가이드플레이트(30)가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레버(20)를 조작하면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13)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데, 상기 레버(20)가 상기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동축(28)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의 연동부(36)에 형성된 연동슬롯(3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를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가 이동되면, 상기 연동돌기(34)도 함께 이동하는데, 상기 연동돌기(34)가 상기 연동채널(54)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30)는 제1하우징(11)에 구속된 상태로 직선운동을 하므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동채널(54)을 연동돌기(34)가 안내되면 연동채널(54)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가 이동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제1커넥터(1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에는 상기 연동채널(54)의 중간쯤에 상기 연동돌기(34)가 안내되는 상태이다.
한편, 도 9에는 상기 연동돌기(34)가 상기 연동채널(54)의 끝부분까지 들어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2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측면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0)의 탄성걸이턱(24)에 상기 록레버(16)가 걸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0)는 상기 록레버(16)가 상기 탄성걸이턱(24)에서 빠질 수 있을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레버(20)는 회전되지 못한다.
상기 레버(20)가 회전되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록레버(16)를 조작하여 상기 록레버(16)의 선단이 상기 탄성걸이턱(24)에서 빠지도록 해야 한다. 또는 상기 레버(20)에 상기 탄성걸이턱(24)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록레버(16)에서 빠질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해야 한다.
상기 레버(20)를 결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에서 도 7의 상태로 되도록 하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고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1': 제1터미널안착부 13: 플레이트삽입공간
13': 입구 14: 안내채널
16: 록레버 18: 보호리브
19: 회전축 20: 레버
20': 회전중심공 22: 레버몸체
24: 탄성걸이턱 26: 장착판
28: 연동축 30: 가이드플레이트
32: 플레이트몸체 33: 안내리브
34: 연동돌기 36: 연동부
36': 연동슬롯 38: 록아암
39: 록돌기 40: 패널
42: 관통공 44: 패킹
50: 제2커넥터 51: 제2하우징
52: 삽입공간 54: 연동채널
56: 해제리브 58: 장착플랜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측에 레버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하우징에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직선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제1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삽입공간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레버가 상기 레버의 회전궤적 내에 위치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하우징의 플레이트삽입공간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제2하우징의 선단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안내채널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으로 들어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록아암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 내에 형성된 안내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리브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제2커넥터의 연동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록레버의 일측 단부가 걸어지는 탄성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걸이턱은 상기 레버에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골격을 레버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레버몸체의 양측에서 나란히 장착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판의 사이에 해당되는 레버몸체의 부분에서 상기 탄성걸이턱이 레버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록아암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삽입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져 플레이트삽입공간으로의 진입이 방지되는 커넥터조립체.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45547A 2011-12-29 2011-12-29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1304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547A KR101304942B1 (ko) 2011-12-29 2011-12-29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547A KR101304942B1 (ko) 2011-12-29 2011-12-29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47A KR20130077047A (ko) 2013-07-09
KR101304942B1 true KR101304942B1 (ko) 2013-09-06

Family

ID=4899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547A KR101304942B1 (ko) 2011-12-29 2011-12-29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615A (ko) 2014-11-10 2016-05-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1406A (zh) * 2019-09-30 2019-12-17 上海徕木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线束连接器二次互锁组件
KR20210064553A (ko) 2019-11-26 2021-06-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2342857B1 (ko) * 2019-12-27 2021-12-24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102342858B1 (ko) * 2019-12-30 2021-12-24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102455573B1 (ko) 2020-09-03 2022-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90U (ko) * 2008-02-15 2009-08-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112479A (ko) * 2008-04-24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커넥터
KR100995271B1 (ko) 2008-02-29 201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20110000709U (ko) * 2009-07-15 2011-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용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90U (ko) * 2008-02-15 2009-08-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95271B1 (ko) 2008-02-29 201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20090112479A (ko) * 2008-04-24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커넥터
KR20110000709U (ko) * 2009-07-15 2011-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용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615A (ko) 2014-11-10 2016-05-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47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JP49851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223312Y1 (ko)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101342165B1 (ko) 커넥터 조립체
EP2609658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96303B1 (ko) 커넥터 조립체
US10381777B2 (en) Lever-type connector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090052722A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839388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95279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10081493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30003377U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95280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100988793B1 (ko) 레버타입커넥터
KR200466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0700552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20240047084A (ko) 커넥터
KR200472716Y1 (ko) 레버 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0450640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230167663A (ko) 커넥터
KR102520914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04736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100846844B1 (ko) 레버타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