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5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57B1
KR102342857B1 KR1020190177008A KR20190177008A KR102342857B1 KR 102342857 B1 KR102342857 B1 KR 102342857B1 KR 1020190177008 A KR1020190177008 A KR 1020190177008A KR 20190177008 A KR20190177008 A KR 20190177008A KR 102342857 B1 KR102342857 B1 KR 10234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male connector
connector housing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077A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9017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다수의 수단자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수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커넥터; 및 다수의 암단자가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암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암단자가 내부에 수납되는 암커넥터 하우징;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캠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에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따라서,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암수 커넥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자를 동시에 체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단자(터미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커넥터에 설치되는 단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역시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다수개의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 회전형 커넥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레버 회전형 커넥터의 경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간 결합력을 발휘하는 지점이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골고루 분산되기 어려워, 편심 체결이 되게 된다. 그 결과,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자는 체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잇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수의 수단자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수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커넥터; 및 다수의 암단자가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암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암단자가 내부에 수납되는 암커넥터 하우징;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캠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에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캠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넥터 하우징 중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된 캠패스홈;을 포함한다.
상기 캠패스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초입 캠패스; 및 상기 초입 캠패스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 캠패스; 를 포함한다.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은, 하측에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수커넥터 결합공이 관통되며, 상기 수커넥터 결합공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벽부; 상기 외벽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하측에 형성된 하측 레일; 및 상기 하측 레일의 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가이드홈이 드러나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 상기 슬라이더 바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돌출되어, 상기 하측 레일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 바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커넥터 결합공에 삽입된 수커넥터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도록 하는 해제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 바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홈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탄성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수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수단자 관통공이 형성된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수단자가 상기 수단자 관통공의 상측으로 드러나지 않는 보호 위치와, 상기 수단자가 상기 수단자 관통공의 상측으로 드러나, 상기 암단자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승하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가 상측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하우징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보호 위치에서 상측으로 더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이탈방지턱에 걸림된다.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가 상기 보호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 하강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보호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에 걸림되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 및 일단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레이트 란스;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텍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 란스를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된 해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란스에 돌출되어 형성된 해제 캠돌기; 및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해제 캠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형성된 해제 캠패스;를 포함한다.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를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된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암커넥터가 체결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복귀시, 상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에 걸릴수 있도로 형성된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 및 일단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귀 란스;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암수 커넥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의 동작을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함으로써, 수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가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의 암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슬라이더가 결합된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보호 플레이트가 결합된 수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수커넥터 하우징의 상측에서 바라보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전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12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좀더 체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절단선 XIV-XIV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좀더 체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도 1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 중인 상태의 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체결 단계에 따라, 도 16의 절단선 XVII-XVII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체결 중 가이드 돌기와, 캠패스홈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가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넥터는, 다수의 수단자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수커넥터 하우징(2100)을 포함하는 수커넥터(2000)와 다수의 암단자가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암커넥터(1000)를 포함한다.
상기 암커넥터(1000)는, 상기 암단자가 내부에 수납되는 암커넥터 하우징(1100)과,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11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300)와, 상기 슬라이더(1300)의 수평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1100)과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2100)을 상하 방향으로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캠장치(30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의 암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암커넥터 하우징(1100)은 슬라이더(1300)가 결합되는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1110)과,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1110)의 내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암단자가 수납되는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50)을 포함한다.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1110)은, 하측에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수커넥터 결합공(1101)이 관통되며, 상기 수커넥터 결합공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벽부(1130)와, 상기 외벽부(1130)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14)과, 상기 가이드홈(1114)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하측에 형성된 하측 레일(1140)과, 상기 하측 레일(1140)의 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가이드홈(1114)이 드러나도록 형성된 걸림홈(1141)을 포함한다.
즉,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1110) 하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4각 링의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50)이 결합되는 4각의 내벽부(1120)와, 내벽부(1120)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벽부(1130)과, 내벽부(1120)와 외벽부(1130)을를 상측에서 연결하는 상면(1111)을 포함한다.
내벽부(1120)에는,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50)을 고정하기 위한 내벽부 결합홈(11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외벽부(1120)에는 슬라이더(130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114)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114)은 슬라이더 본체(1324)가 삽입되는 본체 가이드홈(1115)과, 본체 가이드홈(1115)의 하측에 좁게 형성되어 하측가이드리브(1323)가 삽입되는 하측 가이드홈(1112)을 포함한다.
하측 레일(1140)은, 하측 가이드홈(1112)을 감싸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홈(1141)에 의해 절개된 부분으로 인해 걸림턱(1142)이 자동으로 형성된다.
내측벽(1120)은 높이가 외측벽(1130) 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벽(1120)에 결합된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10)은 내측벽(1120)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외측벽(1130)과 사이에 개방되게 된다.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50)은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암단자가 수납되는 복수의 암단자 수납공(115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50)은, 수커넥터(2000)와 결합시,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해제 캠돌기(2221)가 결합되어,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2223)과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형성된 해제 캠패스(1151)가 형성된다.
또한, 단자 암커넥터 하우징(1110)에는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를 체결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된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내측 결합홈(1121)에 결합되어,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1110)고정되기 위한 결합돌기(115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해제 캠패스(1151)와 결합돌기(1156)가 같은 면에 일면당 2개씩 총 4개씩 형성되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은 이와 다른 면에 형성되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은 일면에 1개씩 총 2개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156)는 내측벽(1120)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측에 치우쳐 형성되며, 해제캠패스(1151)와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은 하측에 치우쳐 형성된다.
도 6은 도 2의 슬라이더가 결합된 외각 암커넥터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더(1300)는, 가이드홈(1114)에 삽입되는 2개의 슬라이더 바(1320)와, 슬라이더바(1320)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바(1330)와, 상기 슬라이더 바(1320)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141)에 돌출되어, 상기 하측 레일(1140)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돌기(1322)와, 상기 걸림돌기(1322)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 바(132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커넥터 결합공에 삽입된 수커넥터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1322)가 상기 가이드홈(1114)에 위치하도록 하는 해제리브(1323)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바(1320)는 4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322)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 바(1320)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홈(111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해제리브(1323)가 눌러지는 경우, 가이드홈(114) 내에서 걸림돌기(1322)가 형성된 슬라이더 바(1320)가 탄성변형함으로써, 걸림돌기(1322)가 걸림턱(1142)에서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얇게 형성하기 위해, 걸림돌기(1322)를 향할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가이드 경사면(1325)을 형성한다.
또한, 슬라이더 바(1320)의 수커넥터 하우징(2100)을 바라보는 면에 각각 2 이상 형성된 가이드 돌기(1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슬라이더 바(1320)에 각각 3개씩 총 6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300)는, 상기 가이드홈(1114)의 내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탄성편(1324)이 형성된다. 가압 탄성편(1324)은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캔틸레버의 자유단에 뭉툭한 돌부가 형성되어 구현된다. 가압탄성편은 가이드홈(1114)의 상측인 상면(1111)을 가압한다. 이와 같은 가압 탄성편(1324)으로 인해, 슬라이더(1300)가 쉽게 착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더(1300)에는, 상기 슬라이더(130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132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132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114)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1100)에 형성된다.
수커넥터(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 하우징(2100)과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2100)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수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수단자 관통공이 형성된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2의 보호 플레이트가 결합된 수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수커넥터 하우징의 상측에서 바라보 사시도이다.
수커넥터 하우징(2100)은, 사각 그릇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사각의 바닥면(2120)과, 바닥면(2120)의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측면(2130)을 포함한다.
바닥면(2120)에는 다수의 수단자가 상하로 설치될 수있는 복수의 수단자 수납공(212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2100)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가 상기 보호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은 측면(2130)의 4개의 모서리 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커넥터 하우징(2100)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가 상측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하우징 이탈방지턱(2115)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 이탈방지턱(2115)은 측면(2130)의 내면에 4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310)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측면(2130)의 외면에 캠패스홈(2110)이 형성된다. 상기 캠패스홈(2110)은, 상기 가이드 돌기(1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초입 캠패스(2111)와, 상기 초입 캠패스(2111)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 캠패스(2112)를 포함한다.
캠장치(30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1310)와 캠패스홈(2110)을 포함한다. 캠장치(3000)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에 적어도 3 이상의 위치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슬라이더(1300)에 각각 3개씩 총 6개의 가이드 돌기(1310)와, 수커넥터 하우징(2000)의 측면에 각3개씩 총 6개의 캠패스홈(2110)이 형성된다. 그 결과, 6개의 캠장치(30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돌기(1310)가 슬라이더(1300)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라이더(1300)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2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2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1310)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더(1300)와 상기 수넥터 하우징(2100) 중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캠패스홈(2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2의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는, 상기 수단자가 상기 수단자 관통공(2211)의 상측으로 드러나지 않는 보호 위치와, 상기 수단자가 상기 수단자 관통공(2211)의 상측으로 드러나, 상기 암단자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2100)의 내부에 승하강 하도록 설치된다.
즉,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는 수단자 관통공(2211)이 형성된 플레이트 바닥판(2210)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바닥판(2210)이 상기 보호 위치에서 상측으로 더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이탈방지턱(2115)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는, 상기 보호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에 걸림되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2223)과, 일단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의 플레이트 측판(2220)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2223)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2223)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레이트 란스(2224)와, 상기 암커넥터(1000)가 체결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복귀시, 상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에 걸릴수 있도로 형성된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2225)과, 일단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2225)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2225)과, 상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귀 란스(22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커텍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 란스(2224)를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2223)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된 해제 장치(2221, 1151)를 포함한다.
상기 해제 장치(2221, 1151)는, 상기 플레이트 란스(2224)에 돌출되어 형성된 해제 캠돌기(2221)와,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해제 캠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형성된 전술한 해제 캠패스(1151)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란스(2224)의 일방향으로는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2223)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방향으로 해제 캠돌기(222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넥터의 체결 동작을 상술한다.
도 11은 도 1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전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12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좀더 체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절단선 XIV-XIV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좀더 체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 하우징(2100)을 암커넥터 하우징(1100)에 체결하면, 수커넥터 하우징(2100)이 해제리브(1323)에 접하게 된다. 다만, 아직, 수커넥터 하우징(2100)이 해제리브(1323)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경우, 도 12와 같이, 걸림돌기(1322)가 하측레일(1140)의 걸림턱(1142)에 걸려있는 상태이어서, 슬라이더(13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상태에서, 도 14와 같이,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2225)에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이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암커넥터에 수커넥터를 좀더 삽입하면, 도 13과 같이, 수커넥터 하우징(2100)이 해제리브(1323)를 도 13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 결과, 걸림턱(1322)이 하측 레일(1140)의 가이드홈(1114)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더(130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5와 같이,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는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2225)을 타고 넘어가서, 향후에 암수 커넥터의 분리시,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를 보호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1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 중인 상태의 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체결 단계에 따라, 도 16의 절단선 XVII-XV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슬라이더(1300)를 도 16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슬라이더의 가이드 돌기(1310)가 수커넥터 하우징의 캠패스홈(21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도 17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가까이 체결되게 된다.
이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의 하강 초기 단계에서는, 아직, 해제 캠패스(1151)와 해제 캠돌기(2221)이 맞물리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 하강방지턱(2223)과,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이 맞물려 있어,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가 보호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 도 18과 같이, 암커넥터가 좀더 하강하게 되면, 해제 캠돌기(2221)가 해제 캠패스(1151)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플레이트 하강방지턱(2223)과 하우징 하강 방지턱(2121)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가 자유롭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19와 같이, 암커넥터(1000)가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를 하측으로 밀어서, 수단자가 완전히 드러나는 결합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결과, 수단자와 암단자가 결합하게 되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이 후,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결합해제 하는 경우, 슬라이더(130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암커넥터(1000)가 상승하게 되고, 도 15와 같이,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1152)이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2225)을 상측으로 인장하여,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000)가 보호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암수 커넥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2200)를 간단한 구성을 구현함으로써, 수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0: 암커넥터 1100: 암커넥터 하우징
1101: 수커넥터 결합공 1114: 가이드홈
1130: 외벽부 1140: 하측 레일
1141: 걸림홈 1151: 해제 캠패스
1152: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 1300: 슬라이더
1310: 가이드 돌기 1320: 슬라이더 바
1322: 걸림돌기 1323: 해제리브
1324: 가압 탄성편 2000: 수커넥터
2100: 수커넥터 하우징 2110: 캠패스홈
2111: 초입 캠패스 2112: 경사 캠패스
2115: 하우징 이탈방지턱 2121: 하우징 하강 방지턱
2200: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 2211: 수단자 관통공
2221: 해제 캠돌기 2223: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
2224: 플레이트 란스 2225: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
2226: 복귀 란스 3000: 캠장치

Claims (11)

  1. 다수의 수단자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수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커넥터; 및
    다수의 암단자가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암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암단자가 내부에 수납되는 암커넥터 하우징;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캠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수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수단자 관통공이 형성된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수단자가 상기 수단자 관통공의 상측으로 드러나지 않는 보호 위치와, 상기 수단자가 상기 수단자 관통공의 상측으로 드러나, 상기 암단자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승하강하며,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가 상기 보호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 하강 방지턱;
    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보호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에 걸림되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 및
    일단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레이트 란스;
    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 란스를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된 해제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 중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된 캠패스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패스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초입 캠패스; 및
    상기 초입 캠패스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 캠패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은,
    하측에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수커넥터 결합공이 관통되며,
    상기 수커넥터 결합공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벽부;
    상기 외벽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하측에 형성된 하측 레일; 및
    상기 하측 레일의 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가이드홈이 드러나도록 형성된 걸림홈;
    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
    상기 슬라이더 바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돌출되어, 상기 하측 레일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슬라이더 바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커넥터 결합공에 삽입된 수커넥터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도록 하는 해제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 바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홈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탄성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가 상측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하우징 이탈방지턱;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보호 위치에서 상측으로 더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이탈방지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란스에 돌출되어 형성된 해제 캠돌기; 및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해제 캠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 하강 방지턱과 상기 하우징 하강 방지턱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형성된 해제 캠패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를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된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는,
    상기 암커넥터가 체결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복귀시, 상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에 걸릴수 있도로 형성된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 및
    일단이 상기 수단자 보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복귀용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 복귀용 걸림턱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귀 란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90177008A 2019-12-27 2019-12-27 커넥터 KR10234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08A KR102342857B1 (ko) 2019-12-27 2019-12-2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08A KR102342857B1 (ko) 2019-12-27 2019-12-2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77A KR20210084077A (ko) 2021-07-07
KR102342857B1 true KR102342857B1 (ko) 2021-12-24

Family

ID=7686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08A KR102342857B1 (ko) 2019-12-27 2019-12-2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7374A1 (en) 2014-09-22 2016-03-24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a vehicle
KR101862851B1 (ko) * 2017-03-20 2018-05-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42B1 (ko) * 2011-12-29 2013-09-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1814008B1 (ko) * 2016-06-17 2018-01-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KR102355948B1 (ko) * 2016-08-24 2022-01-2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39076B1 (ko) * 2016-12-02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7374A1 (en) 2014-09-22 2016-03-24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a vehicle
KR101862851B1 (ko) * 2017-03-20 2018-05-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77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082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cking arms
US8523594B2 (en) Connector
US6475004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engagement assist member an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KR20070045816A (ko) 얼라이너를 갖는 반도체 소자용 테스트 소켓
KR101783862B1 (ko) 일체형 조인트 커넥터
KR20170051901A (ko) 커넥터 조립체
DE60205152T2 (de) Ankopplungsdetektor für Verbinder
US7628639B2 (en) Lever type connector
KR101941072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342857B1 (ko) 커넥터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US6749469B2 (en) Connector with side mounted retainer and support for retainer in connector housing
KR101965588B1 (ko)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KR102342858B1 (ko) 커넥터
US8460025B2 (en) Detecting connector
KR100599313B1 (ko) 와이어하니스 커넥터
KR101028754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장치용 프레스 커버
US6953364B2 (en) Connector, a shorting terminal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CN209805079U (zh) 一种工具解锁式连接器
KR20210145979A (ko) 위치 확보 및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723054B1 (ko) 레버커넥터
KR102316225B1 (ko)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CN115207717B (zh) 一种线对板连接器的分体机械锁及其连接器及其使用方法
US2022034487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KR20190081684A (ko)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