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86B1 -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86B1
KR101348186B1 KR1020120106924A KR20120106924A KR101348186B1 KR 101348186 B1 KR101348186 B1 KR 101348186B1 KR 1020120106924 A KR1020120106924 A KR 1020120106924A KR 20120106924 A KR20120106924 A KR 20120106924A KR 101348186 B1 KR101348186 B1 KR 10134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ide
terminal
lev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0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들의 결합과정에서 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의 저면에 돌출된 단자와, 내부공간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안내돌기와,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100); 외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레버를 구비하며 레버의 일단이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를 따라 이동하면 제1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단자에 접속하는 제2커넥터(200); 상기 제1, 2커넥터 결합전에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준위치를 유지하며, 제1, 제2커넥터 체결시 제2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제1커넥터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가이드부재(300);포함하되, 가이드부재(300)는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가 관통가능한되어 단자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외측단에 기립되는 외벽과,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외벽에서 회전안내돌기가 삽입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 및 제1커넥터의 안내홈에 삽입되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홀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본 발명은 커넥터들의 결합과정에서 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전자제어장치는 물론 여러 장치들의 작동과 제어를 위한 전원과 신호가 흐르는 와이어를 배선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는 통상, 커넥터와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즉,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장치로부터 와이어를 매개로 인출되어 삽입홀을 형성하면서 단자를 구비한 제2커넥터에 제어대상에 대해 생성된 측정 신호가 흐르는 제1커넥터를 결합시켜 제어기인 메인 장치와 제어 대상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1커넥터는 통상 제2커넥터의 삽입홀을 형성한 단자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다수의 단자를 매개로 결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의 결합시 오삽입에 의해 단자가 휘어지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의 변형에 의해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 간의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자가 형성된 제1커넥터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를 형성하여 제1커넥터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가 분리될때까지 가이드부재가 함께 움직이면서 커넥터 분리시에 단자의 변형을 재차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제2커넥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초기상태로 위치시켜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는, 내부공간의 저면에 돌출된 단자와, 내부공간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안내돌기와,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100); 외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레버를 구비하며 레버의 일단이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를 따라 이동하면 제1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단자에 접속하는 제2커넥터(200); 상기 제1, 2커넥터 결합전에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준위치를 유지하며, 제1, 제2커넥터 체결시 제2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제1커넥터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가이드부재(300);를 포함하되, 가이드부재(300)는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가 관통가능한되어 단자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외측단에 기립되는 외벽과,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외벽에서 회전안내돌기가 삽입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 및 제1커넥터의 안내홈에 삽입되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홀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는, 단자를 가이드하면서 제2커넥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결합될 때에 제2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가이드부재가 제2커넥터가 분리될때까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커넥터 분리시에 단자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가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제2커넥터를 따라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제1커넥터에서 초기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의 내부를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정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에 단자(101)가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100)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단자(10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00) 및 가이드부재(200)에 결합된 상태로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커넥터(300)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100)는 제2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의 저면에 단자(101)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의 양측면에서 회전안내돌기(110)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안내돌기(110)는 가이드부재(2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50)에 삽입되어 가이드부재(200)의 승강을 안내하면서 후술되는 레버(350)의 착탈홈(351)이 끼워져서 걸린다.
이때,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의 저면에서 상부로 수형돌기(1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형돌기(120)는 후술되는 가이드부재(200)의 관통홀(212)과 제2커넥터(300)의 삽입홈(320)에 순차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된다. 즉, 수형돌기(120)가 관통홀(212)과 삽입홈(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관통홀(212)과 삽입홈(320)의 내주면이 수형돌기(120)의 외주면에 지지되므로,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서 가이드부재(200)가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상하로 바르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에서 양측면에 마주되게 상부지지턱(130)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에서 다른 양측면에 마주되게 하부지지턱(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지지턱(130)은 가이드부재(200)의 상부걸림턱(230)에 대응되고 하부지지턱(140)은 가이드부재(200)의 하부걸림턱(240)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부지지턱(130)과 하부지지턱(140)은 후술되는 상부걸림턱(230)과 하부걸림턱(240)에 각각 걸린 상태에서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부드럽게 넘어서 지나도록 각각의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후술되는 가이드부의 가이드돌기(261)가 삽입되어서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안내홈(150)이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150)에는 가이드부재(200)의 걸림부(26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안내홈(150)에 연장되면서 안내홈(150)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유격홈(151)이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부재(200)는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 저면에 지지되고 단자(101)가 관통되어 단자(101)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단자홀(211)이 형성되는 베이스판(210)과 베이스판(210)의 외측단에 기립되는 외벽(220)으로 구성되어 캡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는 가이드부재(200)의 내부로 수용되어 외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판(210)에는 제1커넥터(100)의 내부에 수형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형돌기(12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00)는 외벽(220)의 상부외측에 제1커넥터(100)의 상부지지턱(130)이 걸리도록 상부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외벽(220)의 하부외측에 제1커넥터(100)의 하부지지턱(140)이 걸리도록 하부걸림턱(24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걸림턱(230)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부걸림턱(230)은 제1커넥터(100)의 상부지지턱(130)을 따라 상단과 하단을 이동하며, 하부걸림턱(240)은 제1커넥터(100)의 하부지지턱(130)의 하단에서 바닥면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즉, 제2커넥터가 체결되지 전의 초기상태인 경우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상단에 위치하고, 하부걸림턱(240)은 하부지지턱(13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제2커넥터(300)가 체결되면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커넥터(300)가 분리되는 경우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상단으로 이동하지만, 하부걸림턱(240)은 하부지지턱(130)의 하단에 지지되어 초기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00)는 제1커넥터(100)의 회전안내돌기(110)에 대응되는 제1커넥터(100)의 외벽(220)에 회전안내돌기(110)가 삽입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홀(250)이 관통 형성되고, 제1커넥터(100)의 안내홈(150)에 삽입되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홀(250)의 양측에 가이드돌기(26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홀(250)의 외측과 가이드돌기의 내측부분에는 단부가 서로 마주되는 걸림부(260)가 외벽(22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부(260)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회전돌기(330)의 걸림홈(34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제2커넥터(300)는 가이드부재(200)에 결합된 상태로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부재(200)의 단자홀(211)에 관통된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가 접속되는 접속홀(310)이 형성된다. 이때, 제1커넥터(100)에 수형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형돌기(120)가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홀(250) 위치에 대응되도록 회전돌기(330)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돌기(330)의 양측에 가이드부재(200)의 걸림부(260)가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홈(340)이 형성된다. 회전돌기(330)에 레버(35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레버(350)는 양측면에 회전안내돌기(110)에 걸리도록 아크형태의 착탈홈(351)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홈(340)에 가이드부재(200)의 걸림부(260)가 끼워진 상태에서 레버(350)가 회전되면, 걸림홈(340)이 회전안내돌기(110)에 안내되므로 제2커넥터(3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다. 즉, 레버(350)의 회전에 의해 착탈홈(351)이 회전안내돌기(110)에 걸리게 됨에 따라 제2커넥터(3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부재(200)를 제1커넥터(100)의 입구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커넥터(100)의 상부지지턱(130)의 상부에 가이드부재(200)의 상부걸림턱(230)이 걸쳐지도록 하면서 하부걸림턱(240)이 하부지지턱(140)을 넘어서 하부걸림턱(240)의 하부에 걸리게 되도록 가이드부재(200)를 약간 가압한다. 이때, 가이드부재(200)의 베이스판(210)에 형성된 단자홀(211)에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 끝부분이 약간 삽입되고, 가이드부재(200)의 관통홀(212)에 제1커넥터(100)의 수형돌기(120) 끝부분이 약간 삽입된 상태이다. 또한,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돌기(261)의 일단이 제1커넥터(100)의 유격홈(151)을 지나서 안내홈(150)에 약간 삽입되고, 회전안내돌기(110)가 가이드홀(250)에 약간 삽입된다. 물론, 레버(350)의 착탈홈(351)도 회전안내돌기(110)가 삽입되도록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2커넥터(300)를 가이드부재(200)에 삽입시키면 제2커넥터(300)의 회전돌기(330)에 형성된 걸림홈(340)에 걸림부(260)가 착탈가능하게 걸리면서 하부면이 베이스판(210)에 접촉되어 단자(101)의 끝부분이 제2커넥터(300)의 접속홀(310) 입구측에 위치되고 수형돌기(120)의 끝부분이 제2커넥터(300)의 삽입홈(320) 입구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걸림부(260)는 회전돌기에 삽입되면서 걸림홈(340)에 체결되기 전에 유격홈(151) 방향으로 탄성변형으로 벌어진 후에 체결된다. 이때, 제2커넥터(300)의 걸림홈(340)에 가이드부재의 걸림부(260)가 체결될 때까지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2커넥터(300)와 가이드부재(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레버(350)를 회전시키면 아크형태의 착탈홈(351)이 회전안내돌기(110)를 따라 안내되어서 끼워지게 되므로 제2커넥터(300)가 제1커넥터(100)에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레버(350)가 회전되는 경우 제2커넥터(300)와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으로 함께 삽입되므로, 상부걸림턱(230)이 상부지지턱(130)을 넘어서 지나게 된다. 이때, 수형돌기(120)가 관통홀(212)에 관통된 상태에서 베이스판(210)이 이동하므로 관통홀(212)의 내주면이 수형돌기(120)의 외주면에 지지되면서 수형돌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관통홀(212)을 관통한 수형돌기(120)가 삽입홈(320)에 연이어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에 일측이 면접촉된 상태로 베이스판(210)이 이동되므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으로 바르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300)의 가이드홀(250)이 회전안내돌기(110)의 외주면에 지지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걸림부(26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261)도 안내홈(150)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베이스판(210)은 더욱 바른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단자(101)의 외주면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단자(101)가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즉, 제2커넥터(300)와 결합된 상태로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에 삽입되면서 단자(101)를 가이드하므로 단자(101)가 변형되지 않으면서 제2커넥터(3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레버(350)를 역회전시키면 착탈홈(351)이 회전안내돌기(1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제2커넥터(300)와 함께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에서 상부향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걸림턱(230)이 상부지지턱(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더라도 하부걸림턱(240)에 하부지지턱(140)이 걸리게 되므로,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남게 된다.
계속해서 제2커넥터(300)를 상부방향으로 당기면 걸림부(260)가 회전돌기(330)의 걸림홈(340)에서 분리되면서, 제2커넥터(300)가 가이드부재(200)에서 분리된다. 이때, 걸림부(260)는 회전돌기에서 분리될 때에 유격홈(151) 방향으로 탄성변형으로 벌어진 후에 분리된다.
제2커넥터(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00)의 하부걸림턱(240)에 하부지지턱(140)이 걸리게 되면서 상부지지턱(130)의 상부에 상부걸림턱(230)이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00)는 제1커넥터(100)의 입구측에 위치되어 제2커넥터(300)가 결합되기 전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커넥터 101 : 단자
110 : 회전안내돌기 120 : 수형돌기
130 : 상부지지턱 140 : 하부지지턱
150 : 안내홈 151 : 유격홈
200 : 가이드부재 210 : 베이스판
211 : 단자홀 212 : 관통홀
220 : 외벽 230 : 상부걸림턱
240 : 하부걸림턱 250 : 가이드홀
260 : 걸림부 261 : 가이드돌기
300 : 제2커넥터 310 : 접속홀
320 : 삽입홈 330 : 회전돌기
340 : 걸림홈 350 : 레버
351 : 착탈홈

Claims (10)

  1. 내부공간의 저면에 돌출된 단자와, 내부공간의 양측면에 형성된 회전안내돌기와,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외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레버를 구비하며 레버의 일단이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를 따라 이동하면 제1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단자에 접속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제1, 2커넥터 결합전에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준위치를 유지하며, 제1, 제2커넥터 체결시 제2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제1커넥터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가 관통가능한되어 단자홀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외측단에 기립되는 외벽과,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외벽에서 회전안내돌기가 삽입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 및 제1커넥터의 안내홈에 삽입되어서 이동하도록 가이드홀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되게 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제2커넥터의 회전돌기에 체결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단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2커넥터는 회전돌기의 양측에 가이드부재의 걸림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의 외측에는 안내홈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유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의 회전안내돌기가 삽입되도록 아크형태의 착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내부공간의 저면에서 상부로 수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저면에는 제1커넥터의 수형돌기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수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내부공간에서 양측면에 마주되게 상부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 외측면에 제1커넥터의 상부지지턱이 걸리도록 상부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은 상부지지턱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내부공간에서 양측면에 마주되게 하부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 외측면에 제1커넥터의 하부지지턱이 걸리도록 하부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걸림턱은 하부지지턱의 저면과 하부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KR1020120106924A 2012-09-26 2012-09-26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KR10134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24A KR101348186B1 (ko) 2012-09-26 2012-09-26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24A KR101348186B1 (ko) 2012-09-26 2012-09-26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186B1 true KR101348186B1 (ko) 2014-01-07

Family

ID=5014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24A KR101348186B1 (ko) 2012-09-26 2012-09-26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79A (ko)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레버커넥터
KR101921426B1 (ko) 2017-08-28 2018-11-22 케이유엠 유한회사 레버 타입 컨넥터
KR101962391B1 (ko) * 2017-12-29 2019-03-26 주식회사 유라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
WO2019234950A1 (ja) * 2018-06-06 2019-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2332152A (zh) * 2020-08-20 2021-02-05 东莞市鼎通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通讯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552A (ko) * 2006-11-20 2008-05-23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00025378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00709U (ko) * 2009-07-15 2011-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용 결합장치
JP4950797B2 (ja) 2007-07-31 2012-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可動ガイド部材付き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552A (ko) * 2006-11-20 2008-05-23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4950797B2 (ja) 2007-07-31 2012-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可動ガイド部材付きコネクタ
KR20100025378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00709U (ko) * 2009-07-15 2011-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용 결합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79A (ko)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레버커넥터
KR101723054B1 (ko) * 2015-06-25 2017-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레버커넥터
KR101921426B1 (ko) 2017-08-28 2018-11-22 케이유엠 유한회사 레버 타입 컨넥터
KR101962391B1 (ko) * 2017-12-29 2019-03-26 주식회사 유라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
WO2019234950A1 (ja) * 2018-06-06 2019-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WO2019234950A1 (ja) * 2018-06-06 2020-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2236908A (zh) * 2018-06-06 2021-01-15 住友电装株式会社 杆式连接器
CN112236908B (zh) * 2018-06-06 2022-02-25 住友电装株式会社 杆式连接器
US11322888B2 (en) 2018-06-06 2022-05-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type connector
CN112332152A (zh) * 2020-08-20 2021-02-05 东莞市鼎通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通讯连接器
CN112332152B (zh) * 2020-08-20 2022-04-19 东莞市鼎通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通讯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KR101320881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US714089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being moved by vacuum-suction device
US9543697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fitting tube with guide walls with a lock arm inbettween
JP3144131U (ja) 電気コネクタ
US2007025451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PA plug
US9673561B2 (en) Connector and structure for fixing connector to wiring harness
KR20080073145A (ko)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
CN203787681U (zh) 线束组件
CN108352656B (zh) 连接器装置
KR100599313B1 (ko) 와이어하니스 커넥터
KR101348189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JP7412093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141674U (ja) ガイド付コンセント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03839606U (zh) 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2008198582A (ja) 電源プラグ
KR101348191B1 (ko) 체결확인 가능한 커넥터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CN103904486A (zh) 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200440518Y1 (ko) 커넥터
CN207282828U (zh) 一种3孔多功能电源插座
KR101346703B1 (ko) 커넥터
KR200459492Y1 (ko) 케이블 트레이용 분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