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054B1 - 레버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054B1
KR101723054B1 KR1020150090521A KR20150090521A KR101723054B1 KR 101723054 B1 KR101723054 B1 KR 101723054B1 KR 1020150090521 A KR1020150090521 A KR 1020150090521A KR 20150090521 A KR20150090521 A KR 20150090521A KR 101723054 B1 KR101723054 B1 KR 10172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housing
connector
lever
housing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79A (ko
Inventor
김대진
홍승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9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0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2Pair of camm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저부면에 메일 단자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일 단자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견인부재가 구비된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된 수커넥터와; 상기 메일 단자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수커넥터의 개구 형성된 상기 상면을 통하여 상기 수커넥터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수커넥터와 체결되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견인부재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가 삽입되는 연동홈이 형성되어 회전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연동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버커넥터{LEVE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호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메일 단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레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넥터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역시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 회전형 커넥터가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레버 회전형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레버 회전형 커넥터는 내부에 내부공간(11)이 형성되는 수커넥터(10)와, 수커넥터(10)의 내부공간(11)에 삽입되고 외부에는 회전축(21)이 구비되는 암커넥터(20)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암커넥터(20)에 조립되어 회전하면서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를 체결시키는 레버(30)와,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 사이에 설치되어 수커넥터(10)에 구비되는 메일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플레이트(40)로 구성되어 있다.
수커넥터(10)에는 수커넥터(10) 및 암커넥터(20)의 결합과정에서 레버(30)의 가고정편의 선단 중 나머지 일부와 간섭되어 가고정편이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편(12)을 구비하여 암커넥터(20)가 수커넥터(10)에 체결되기 전에는 레버(30)가 암커넥터(20)에 일정 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암커넥터(20)가 수커넥터(10)에 체결될 때 자유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암커넥터(20)는 수커넥터(10)에 구비된 메일 단자와 암커넥터(20)에 구비된 피메일 단자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수커넥터(10)의 내부공간(11)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그 일측에는 레버(30)에 구비된 가고정편(33)의 하단을 지지하는 가고정턱(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커넥터(20)의 중앙 영역 내부에는 보호플레이트(40)에 구비된 걸림돌기(41)에 걸림되는 고리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30)에는 암커넥터(20)의 외면에 일부 영역이 걸리어 상기 레버(30)가 암커넥터(20)에 일정각도로 가고정되도록 하는 가고정편(33)이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보호플레이트(40)의 상면 중앙 영역에는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가 상호 체결시에 암커넥터(20)와 보호플레이트(40)가 체결됨으로써 수커넥터(10)에 구비된 메일 단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암커넥터(20)에 마련된 걸림고리에 체결되는 걸림돌기(41)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41)는 중앙이 절개 형성되고 보호플레이트(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되어 그 단부가 양측 벌어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버 회전형 커텍터에 있어서, 별도의 보호플레이트(40)를 구비하여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가 체결시에 보호플레이트(40)가 승강 이동하면서 메일 단자의 단부가 보호플레이트(40)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보호플레이트(40)가 수커넥터(10)의 저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메일 단자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일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플레이트(40)를 별도로 제작하여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 사이에 배치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보호플레이트(40)를 제작하는데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보호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메일 단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일 단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보호플레이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레버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레버커넥터는, 저부면에 메일 단자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일 단자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견인부재가 구비된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된 수커넥터와; 상기 메일 단자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수커넥터의 개구 형성된 상기 상면을 통하여 상기 수커넥터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수커넥터와 체결되는 암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견인부재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가 삽입되는 연동홈이 형성되어 회전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연동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에 유동이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벽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벽은 밀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내부하우징이 승강 이동전에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레버의 회전이 완료시에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저부면 하측과 접촉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동홈은 입구 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에 근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에는 가이드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기 저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는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암커넥터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에는 상기 견인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공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의 내측에는 상기 견인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부 측면 양측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측면 양측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버커넥터는, 별도의 보호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메일 단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일 단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보호플레이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버 커넥터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레버커넥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버커넥터는, 저부면에 메일 단자(100a)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일정한 내부공간(101)을 구비하고 상면이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110)과, 상기 내부공간(101)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일 단자(100a)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견인부재(121)가 구비된 내부하우징(120)으로 구성된 수커넥터(100)와; 상기 메일 단자(100a)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00a)가 배치되며 상기 수커넥터(100)의 개구 형성된 상기 상면을 통하여 상기 수커넥터(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수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암커넥터(200)와; 상기 암커넥터(20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견인부재(121)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121a)가 삽입되는 연동홈(310)이 형성되어 회전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동돌기(121a)가 상기 연동홈(3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커넥터(100)와 상기 암커넥터(200)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레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커넥터(100)는 일정한 내부공간(101)을 구비하고 상면이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110)과, 외부하우징(110)의 내부공간(101)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부하우징(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하우징(110)의 저부면에는 메일 단자(100a)가 외부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피메일 단자(200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10)의 하면은 내부하우징(120)이 외부하우징(110)의 내부공간(101)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하우징(11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는 내부하우징(120)에 형성된 견인부재(121)가 외부하우징(11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공(112)이 외부하우징(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공(112)의 내면 양측에는 견인부재(121)가 슬라이드공(112)으로 삽입시에 견인부재(121)의 측면과 접촉되어 견인부재(12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돌출턱(112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외부하우징(110)의 높이는 내부하우징(120)이 승강 이동전에 메일 단자(100a)가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수커넥터(100)가 암커넥터(200)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하우징(120)에 구비된 메일 단자(100a)가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력으로부터 메일 단자(100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10)의 저부면 중앙에는 내부하우징(120)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122)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공(1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하우징(110)의 하부 측면 양측에는 별도의 걸림부재(114)가 구비되어 내부하우징(120)에 구비된 걸림턱(123)에 걸림으로써 외부하우징(110)에 내부하우징(120)이 삽입 완료된 후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하우징(120)은 외부하우징(110)의 내부공간(101)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그 상면에는 암커넥터(200)에 구비된 피메일 단자(200a)와 체결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메일 단자(100a)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하우징(120)이 외부하우징(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에 유동이 발생되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내부하우징(120)의 외벽과 외부하우징(110)의 내벽은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20)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외부하우징(110)의 슬라이드공(112)을 통하여 외부하우징(110)으로 삽입되어 내부하우징(120)이 레버(300)의 회전 운동과 연동되도록 하는 견인부재(121)가 구비되어 있다.
견인부재(121)의 내측면 단부 중앙에는 레버(300)의 연동홈(310)에 삽입되는 연동돌기(121a)가 돌출 형성되는데, 연동돌기(121a)는 레버(3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인부재(121)는 내부하우징(12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됨으로써 연동돌기(121a)가 레버(300)의 양측에 형성된 연동홈(310)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수커넥터(100)가 암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시에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견인부재(121)는 레버(300)의 회전이 완료시에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상면이 외부하우징(110)의 상면 하측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메일 단자(100a)가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완전히 인출될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메일 단자(100a)와 피메일 단자(200a)의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하우징(120)의 상면 중앙 영역에는 외부하우징(110)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113)을 통과하여 암커넥터(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22)에 의하여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200)는 결합시에 수커넥터(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암커넥터(200)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20)의 양측면에는 외부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부재(114)가 걸려서 내부하우징(120)이 외부하우징(110)에 삽입 완료된 후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23)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암커넥터(2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하우징(120)이 승강 이동하면서 메일 단자(100a)가 암커넥터(2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암커넥터(200)에 구비된 피메일 단자(200a)와 수커넥터(100)에 구비된 메일 단자(100a)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암커넥터(200)의 측면 상측의 중앙 영역에는 레버(300)가 회전 가능하게 암커넥터(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2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돌기(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레버(300)가 암커넥터(200)에 결합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암커넥터(200)에는 피메일 단자(200a)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230)이 형성되어 복수의 피메일 단자(200a)가 삽입홈(230)에 수용됨으로써, 암커넥터(200)와 수커넥터(100)가 결합시에 피메일 단자(200a)가 수커넥터(100)에 구비되는 메일 단자(100a)와 결합되어 전기적인 접속되도록 한다.
레버(300)는 암커넥터(200)의 양측면에 구비된 회전돌기(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암커넥터(200)와 수커넥터(100)가 결합시에 작은 힘으로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메일 단자(200a)와 메일 단자(100a)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레버(300) 양측면의 일측에는 연동홈(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커넥터(100)의 내부하우징(120)에 구비된 연동돌기(121a)가 레버(300)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연동홈(310)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여 수커넥터(100)의 내부하우징(120)을 암커넥터(200) 측으로 압착함으로써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200) 사이의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레버(300)는 양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320)과, 측판(320)을 연결하는 연결바(330) 및 측판(320)에 형성된 연동홈(310)으로 구성되며, 측판(32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암커넥터(200)의 회전돌기(210)가 결합될 수 있는 회전공(340)이 관통형성 되어 있다.
측판(320)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공(340)은 암커넥터(200)에 대하여 레버(300)가 회전가능하도록 암커넥터(200)에 형성된 회전돌기(210)에 결합되고, 연동홈(310)은 레버(300)의 회전 반경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되, 레버(300)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300)의 내측으로 갈수록 회전공(340)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커넥터가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20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수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10) 저부면에 암커넥터(200)를 올리고 외부하우징(110)의 슬라이드공(112)을 통하여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견인부재(121)에 형성된 연동돌기(121a)가 연동홈(310)의 입구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내부하우징(120)의 승강 이동함에 따라 외부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부재(114)가 내부하우징(120)에 형성된 걸림턱(123)에 걸려서 내부하우징(12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레버(300)를 회전시키면 연동돌기(121a)가 연동홈(310)을 따라 연동홈(3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견인부재(121)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내부하우징(120)이 외부하우징(110)의 내부공간(101)에서 승강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20)의 승강 이동이 더 진행됨에 따라, 내부하우징(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외부하우징(110)에 의하여 외부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일 단자(100a)가 보호되므로 메일 단자(100a)가 외력에 의하여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메일 단자(100a)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하우징(120)의 승강 이동에 의하여 내부하우징(120)에 고정되어 있는 메일 단자(100a)가 암커넥터(20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암커넥터(200)에 구비된 피메일 단자(200a)와 체결됨으로써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200)를 분리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며, 수커넥터(100)와 암커넥터(200)가 체결시 레버(30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하우징(120)이 하강 이동하면서 메일 단자(100a)가 서서히 외부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분리시에도 메일 단자(100a)를 외력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메일 단자(100a)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수커넥터 100a : 메일 단자
101 : 내부공간 110 : 외부하우징
111 : 돌출공 112 : 통공
120 : 내부하우징 121 : 견인부재
121a : 연동돌기 200 : 암커넥터
210 : 회전돌기 230 : 삽입홈
300 : 레버 310 : 연동홈
320 : 측판 330 : 연결바
340 : 회전공

Claims (8)

  1. 저부면에 메일 단자(100a)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일정한 내부공간(101)을 구비하고 상면이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110)과, 상기 내부공간(101)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일 단자(100a)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견인부재(121)가 구비된 내부하우징(120)으로 구성된 수커넥터(100)와;
    상기 메일 단자(100a)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00a)가 배치되며 상기 수커넥터(100)의 개구 형성된 상기 상면을 통하여 상기 수커넥터(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수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암커넥터(200)와;
    상기 암커넥터(20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견인부재(121)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121a)가 삽입되는 연동홈(310)이 형성되어 회전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동돌기(121a)가 상기 연동홈(3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커넥터(100)와 상기 암커넥터(200)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레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에는 상기 견인부재(121)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공(112)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112)의 내측에는 상기 견인부재(12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112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120)이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에 유동이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외벽과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내벽은 밀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높이는 상기 내부하우징(120)이 승강 이동전에 상기 메일 단자(100a)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121)는 상기 레버(300)의 회전이 완료시에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상면이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하측과 접촉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홈(310)은 입구 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레버(300)의 회전 중심에 근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상면에는 가이드부재(1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상기 저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22)가 통과하는 가이드공(11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암커넥터(200)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0)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하부 측면 양측에는 걸림부재(114)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측면 양측에는 상기 걸림부재(114)가 걸림되는 걸림턱(1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커넥터.
KR1020150090521A 2015-06-25 2015-06-25 레버커넥터 KR10172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21A KR101723054B1 (ko) 2015-06-25 2015-06-25 레버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21A KR101723054B1 (ko) 2015-06-25 2015-06-25 레버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9A KR20170001079A (ko) 2017-01-04
KR101723054B1 true KR101723054B1 (ko) 2017-04-05

Family

ID=5783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521A KR101723054B1 (ko) 2015-06-25 2015-06-25 레버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944B1 (ko) * 2021-12-28 2024-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메일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86B1 (ko) * 2012-09-26 2014-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86B1 (ko) * 2012-09-26 2014-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9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49B1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US7267564B2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KR101809330B1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JP6419210B2 (ja) コネクタ嵌合保証
EP2466695B1 (en) Connector
US7448888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KR100865019B1 (ko) 밀봉된 커넥터용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
US7922504B2 (en) Lever-type connector
US9812813B1 (en) Lever-type connector
JP5649866B2 (ja) ロック環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9124033B2 (en) Lever-type connector
US8197271B2 (en) Lever engagement type connector
CN103606783B (zh) 公连接器、母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9153894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with dual primary lock reinforcement and independent secondary lock
KR102421403B1 (ko) 커넥터 조립체
US9246242B2 (en) Push wire connector having a rotatable release member
JP2014502032A (ja) 無応力コネクタ位置保証装置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76723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blocking feature
KR20140093288A (ko) 레버 감합식 커넥터
KR101723054B1 (ko) 레버커넥터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US10804638B1 (en) Safety shield assembly for power receptacle and related power receptacle
KR20110128310A (ko)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6322596B2 (ja) スライダ付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嵌合構造
KR101962391B1 (ko)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