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288A - 레버 감합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감합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288A
KR20140093288A KR1020147017264A KR20147017264A KR20140093288A KR 20140093288 A KR20140093288 A KR 20140093288A KR 1020147017264 A KR1020147017264 A KR 1020147017264A KR 20147017264 A KR20147017264 A KR 20147017264A KR 20140093288 A KR20140093288 A KR 2014009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pair
portions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츠로 스즈키
야스하루 콘도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레버의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계합(係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대형화하는 것 없이 레버의 회동(回動) 조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한 레버 감합식(嵌合式)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 하우징(2)의 양 측벽(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부(30)와, 한 쌍의 측판부를 연결하는 조작부(32)를 가지는 레버(3)와, 조작부에 설치한 계지부(係止部)(38)와, 커넥터 하우징 상벽(上壁)(8)에 있어서의 후단부(後端部) 측(10)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후방(後方)으로 연장되는 암(arm)부(13)와, 암부의 자유단 측에 설치되고, 계지부에 계합하는 계지 받이부(18)를 구비하였다. 조작부는, 레버가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되고 계지부가 계지 받이부에 계합될 때, 상벽의 후단부 측과 대향하는 연장판부(33)를 포함하고, 연장판부가 암부의 상면(上面)을 덮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1)를 채용하였다.

Description

레버 감합식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의 회동(回動) 조작으로 커넥터 하우징을 상대 커넥터에 가까이 하고 감합(嵌合)시키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21은, 종래의 로크(lock)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커넥터는, 수커넥터(101)와 당해 수커넥터(101)에 감합되는 암커넥터(102)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의 로크 구조에는, 다극화(多極化)된 단자(端子)(106)를 가지는 수·암 양 커넥터(101, 102)에 있어서의 일방(一方)의 커넥터 하우징(103)의 외측면(外側面)에 계지(係止) 돌기(107)가 설치되고, 타방(他方)의 커넥터 하우징(104)의 외측면에, 계지 돌기(107)에 계합(係合)하는 계지 멈춤쇠(116)를 가지는 로크 암(lock arm)(115)이 탄성 변형 가능한 힌지(hinge) 형상 다리부(117)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당해 힌지 형상 다리부(117)보다 후방(後方)으로 연장되는 로크 암(115)의 후단부(後端部)에 압압(押壓) 조작 레버(1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압 조작 레버(118)에는, 당해 압압 조작 레버(118)의 양 측부로부터 외측(外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만곡(彎曲)하여 커넥터 하우징(104)의 상벽(上壁)의 외면(外面)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단락편(端絡片)(119)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는, 한 쌍의 단락편(119)을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하여, 대형화하는 것 없이 압압 조작 레버(118)의 강성을 높이고 있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진 커넥터에 있어서는, 수·암 양 커넥터(101, 102)의 다극화된 단자(106)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 감합 조작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레버를 이용하여 감합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가 채용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도 22A는, 종래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일부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2B는, 도 22A에 도시된 요부(要部)의 확대도이다. 이 특허문헌 2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는,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2)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202)에 장착되고, 전선을 외부로 이끌어 내는 와이어 커버(240)와, 당해 커넥터 하우징(202)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取付)되고, 회동되는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202)에 상대방의 커넥터를 가까이 하고 감합시키는 레버(230)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 커버(240)는, 로크 암(242)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된 로크부(245)를 포함한다. 레버(230)는, 로크부(245)에 계합하는 레버 멈춤쇠부(236)와, 레버 멈춤쇠부(236)의 계합 방향 측에 형성되고, 로크부(245)를 덮는 로크 보호부(237)를 가지고 있다.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는, 레버 멈춤쇠부(236)의 로크 보호부(237)가 로크부(245)를 덮는 것에 의하여, 당해 로크부(245)가 파손 및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5703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46249호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는, 당해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가 취부되는 부분의 상하 공간에 여유가 없기 때문에 당해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의 저배화(底背化)(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레버(230)의 조작부(234)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으로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의 저배화를 시도해 보고 있었지만, 조작부(234)의 두께를 얇게 하면, 당해 조작부(234)에 있어서의 레버(230)의 회동 조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작부(234)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가 대형화하여 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즉,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에서는, 조작부(234)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 및 저배화를 양립할 수 없었다. 또한, 이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에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진 커넥터의 로크 구조를 적용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201)는, 로크 보호부(237)가 로크 암(242)의 선단부에 설치된 로크부(245)만을 덮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외력이 로크 암(242)의 기단 측에 걸릴 때에, 로크 암(242)이 하방으로 휘고, 레버 멈춤쇠부(236)와 로크부(245)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레버의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대형화하는 것 없이 레버의 회동 조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제공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단자를 수용하고, 상대 커넥터를 전방(前方)으로부터 감합시키는 커넥터 하우징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의 양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부(側板部)와, 당해 한 쌍의 측판부를 연결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레버와,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계지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벽에 있어서의 커넥터 감합 방향의 후단부 측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후방(後方)으로 연장되는 가요성(可撓性)의 암부와, 당해 암부의 자유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에 계합하는 계지 받이부를 포함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계지 받이부에 계합될 때에,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벽의 후단부 측과 대향하는 연장판부를 포함하고, 당해 연장판부가 상기 암부의 상면(上面)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당해 커넥터 하우징에 상대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가까이 하고, 레버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당해 레버의 회동에 수반하여 양 커넥터의 완전 감합과 동시에 계지부가 계지 받이부에 계합하고, 레버가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레버의 회동 조작만으로, 양 커넥터의 완전 감합 및, 레버와 커넥터 하우징과의 고정이 행하여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부가, 상기 상벽의 후단부 측에 좌우 병렬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암부가 한 쌍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암부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고 저감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암부의 기저부(基底部)로부터 상기 계지 받이부까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암부 전체가 연장판부와 조작부로 덮여, 외부와의 간섭으로부터 보호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를 수용하고, 상대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감합시키는 커넥터 하우징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의 양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부와, 당해 한 쌍의 측판부를 연결한 조작부를 가지는 레버와,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계지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벽에 있어서의 커넥터 감합 방향의 후단부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암부와, 당해 암부의 자유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에 계합하는 계지 받이부를 포함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계지 받이부에 계합될 때에,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벽의 후단부 측과 대향하는 연장판부를 포함하고, 당해 연장판부가 상기 암부의 상면을 덮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에 감합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레버의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암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연장판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회동 조작할 때에 작업자에게 밀리는 부분의 면적이 크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레버의 작업자에게 밀리는 부분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여, 대형화하는 것 없이 레버 회동 조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암부가, 상기 상벽의 후단부 측에 좌우 병렬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암부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여, 계지 멈춤쇠의 계지 받이부로의 계합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장판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암부의 기저부로부터 상기 계지 받이부까지를 덮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레버의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암부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레버가 커넥터 로크부에 계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의 커넥터 로크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레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에 감합되는 상대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감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도 9에 도시된 레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b는, 도 9에 도시된 레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9에 도시된 레버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로크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A는, 종래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의 일부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2B는, 도 22A에 도시된 요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도 1 내지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감합식 커넥터(1)는,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당해 단자를 수용한 절연 수지제의 커넥터 하우징(2)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3)를 가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은, 복수의 단자 수용부(40)(도 2에 도시함)를 가지는 하우징 주체부(主體部)(4)와, 당해 하우징 주체부(4)의 외측에 설치되고, 전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5)를 감합시키는 후드(hood)부(6)와, 당해 후드부(6)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리어 홀더(rear holder)(21)를 포함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주체부(4)는, 후드부(6)에 일체(一體) 성형된 이너 하우징(inner housing)(41)과, 프런트 홀더(front holder)(42)(도 2에 도시함)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프런트 홀더(42)는 생략되어 있다.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 홀더(42)는, 전방으로부터 이너 하우징(41)에 장착되고, 당해 프런트 홀더(42)가 이너 하우징(4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단자 수용부(40)가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수용부(40)는, 도시예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2단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X)으로 병렬로 나란히 놓여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 방향, 및 각 단자 수용부(40)의 종방향(縱方向)을 전후(前後) 방향(Y)으로 도시하고,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후드부(6)의 후술하는 개구부(開口部)(6a) 측을 「전(前)」이라고 표현하고, 이 전에 대하여 개구부(6a) 반대 측을 「후(後)」라고 표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단자 수용부(40)는, 전후로 개구를 가지는 각통상(角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부(40)는 내측에, 전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단자가 후방의 개구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각 단자 수용부(40)의 내면에는, 전술한 전선에 접속된 단자에 계지하는 랜스(lance)(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후드부(6)는, 좌우 방향(X)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7)와, 당해 한 쌍의 측벽부(7)를 연결하는 상벽(8) 및 하벽(下壁)(9)과, 당해 상벽(8)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벽(10)과, 커넥터 로크부(11)를 포함한다. 이 후드부(6)의 전방 측에는 상대 커넥터(5)가 감합하는 개구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프런트 홀더(42)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부(7)에는, 한 쌍의 슬릿부(71)와, 당해 한 쌍의 슬릿부(71)를 보강한 한 쌍의 열림 방지부(72)와, 레버 지승용(支承用)의 한 쌍의 축부(75)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부(7)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양 측벽」에 상당한다.
상기 한 쌍의 슬릿부(71)는, 상대 커넥터(5)의 후술하는 종동(縱動) 핀(55)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슬릿부(71)는, 레버(3)의 후술하는 캠 구멍(34)에 연통(連通)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측에 상대 커넥터(5)의 종동 핀(55)이 진입된다. 각 슬릿부(71)는, 각 측벽부(7)에 있어서의 전방(개구 측)의 가장자리를 노치(notch)하여, 전후 방향(Y)을 따라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열림 방지부(72)의 각각은, 각 슬릿부(71)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부(73a, 73b)와, 당해 한 쌍의 제1 테두리부(73a, 73b)의 개구부(6a)로부터 멀어진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브리지부(74)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부(73a, 73b)는, 한 쌍의 측벽부(7)의 개구부(6a)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방향(外方向)으로 연재(延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축부(75)는 원기둥상(狀)으로 형성되고, 각 측벽부(7)의 외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설(突設)되어 있다. 각 축부(75)는, 각 슬릿부(71)의 후단 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벽(8)에는, 그 내측에 레버(3)의 후술하는 연장판부(33)를 위치 부여하기 위한 노치부(81)와, 당해 노치부(81)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부(83)와, 상대 커넥터(5)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오목 홈(8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81)는 상벽(8)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개구부(6a) 측의 가장자리를 노치하고 있다. 이 노치부(81)는, 그 좌우 방향(X)의 치수가 레버(3)의 후술하는 연장판부(33)의 치수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부(83)의 각각은 각 제1 테두리부(73a)에 연결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제2 테두리부(83)는, 상벽(8)의 개구부(6a)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오목 홈(82)은 그 내측에 상대 커넥터(5)의 후술하는 한 쌍의 리브(rib)(58)가 삽입된다. 각 오목 홈(82)은 상벽(8)의 하면에 설치되고, 각 오목 홈(82)은 제2 테두리부(83)의 개구부(6a) 측의 가장자리를 노치하여, 상벽(8)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의 전장(全長)으로 연재하고 있다. 각 오목 홈(82)은 그 상하 방향(Z)의 치수가 상벽(8)의 두께보다도 크기 때문에, 각 오목 홈(82)이 설치된 부분의 상면에 볼록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84)는 제2 테두리부(8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방 연장벽(10)은, 그 좌우 방향(X)의 치수가 상벽(8)보다도 작고, 상벽(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후방 연장벽(10)은 그 외면이 평탄하고 상벽(8)과 면일(面一)하다. 후방 연장벽(10)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상벽의 후단부 측」에 상당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로크부(11)는, 한 쌍의 보호벽(12)과, 당해 한 쌍의 보호벽(12)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암부(13)와, 당해 한 쌍의 암부(13)의 자유단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4)와, 당해 연결부(14)의 후단부에 설치된 계합 해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암부(13)의 기저부보다도 자유단 측 및 연결부(14)는, 후방 연장벽(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보호벽(12)은, 후방 연장벽(10)의 좌우 방향(X)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입설(立設)되어 있다. 각 보호벽(12)은, 후방 연장벽(10)의 후단부로부터 상벽(8)의 후단부까지 연재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암부(13)는 후방 연장벽(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암부(13)는,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X)으로 병렬로 나란히 놓여 있다. 각 암부(13)는 그 기저부가, 한 쌍의 굵은 다리부(19)와, 당해 한 쌍의 굵은 다리부(19) 사이에 설치된 가는 다리부(20)와의 3개 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굵은 다리부(19)와 가는 다리부(20)는 좌우 방향(X)으로 나란히 놓여 있다. 또한, 각 암부(13)는, 후방 연장벽(1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암 본체(16)와, 당해 암 본체(16)의 자유단 측에 설치된 상향(上向)의 돌기(17)와, 당해 돌기(17)의 후방 측에 설치된 계지 받이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굵은 다리부(19)의 각각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하 방향(Z)의 치수가 커져 있다. 이 굵은 다리부(19)의 전후 방향(Y)의 치수가 가는 다리부(20)보다도 크다. 또한, 굵은 다리부(19)는 그 좌우 방향(X)의 치수가 가는 다리부(20)보다도 작다.
상기 돌기(17)는, 암 본체(16)의 좌우 방향(X)의 양 단부(端部)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돌기(17)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上方)으로 경사한 경사면(17b)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돌기(17)의 상면(17a)과, 당해 상면(17a)에 연결되는 계지 받이부(18)의 상면(18a)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 상면(17a, 18a)은 암부(13)에 있어서의 가장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상면(17a, 18a)은, 각 보호벽(12)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계지 받이부(18)는, 한 쌍의 돌기(17)의 후단 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계지 받이부(18)는 암 본체(16)의 좌우 방향(X)의 전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계지 받이부(18)는, 상면(18a)에 수직인 수직면(18b)과, 당해 수직면(18b)에 연결되는 경사면(18c)을 포함한다. 이 경사면(18c)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 경사면(18c)과 연결부(14)의 사이에 레버의 계지 멈춤쇠(38)가 진입할 때, 레버(3)의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에 걸려,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에 계합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계합 해제부(15)는, 연결부(14)의 후단 측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X)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 해제부(15)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또 계합 해제부(15)는 그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한다.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3)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측판부(30)와, 당해 한 쌍의 측판부(30)의 내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중간부(31)와, 당해 한 쌍의 중간부(31) 사이에 연결되는 조작부(32)와, 당해 조작부(32)의 하방에 연결되는 연장판부(33)를 구비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32) 및 연장판부(33)는, 상벽(8)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조작부(32)와 연장판부(33)가 연결되는 방향이, 상벽(8)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Z)을 따르고 있는 상태를 「레버 기립 상태」라고 한다. 또한,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32) 및 연장판부(33)의 후방 측에는, 레버(3)가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될 때에, 그 내측에 당해 커넥터 로크부(11)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 홈(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 홈(3a)은 상하 방향(Z)으로 연재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32)와 연장판부(33)가 연결되는 방향의 조작부(32) 및 연장판부(33)의 길이(L)는, 전술한 암부(13)의 계지 받이부(18)로부터 암부(13)의 기저부인 가는 다리부(20)까지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즉, 레버(3)의 계지 멈춤쇠(38)가 커넥터 로크부(11)의 계지 받이부(18)에 계합하면, 연장판부(33) 및 조작부(32)가 암부(13)의 상면에 있어서의 암부(13)의 기저부로부터 계지 받이부(18)까지 덮고 있다.
상기 각 측판부(30)에는, 상대 커넥터(5)의 후술하는 종동 핀(55)이 진입하는 캠 구멍(34)과, 당해 캠 구멍(34)의 입구에 있어서의 양 단부를 연결한 판상(板狀)의 보강편(35)과, 전술한 커넥터 하우징(2)의 축부(75)가 끼워지는 원(圓) 구멍(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구멍(34)은, 레버(3)가 경도(傾倒)하는 후방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캠 구멍(34)에는,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선단 측에, 상대 커넥터(5)의 종동 핀(55)이 삽입되는 당해 캠 구멍(34)의 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 구멍(36)은, 캠 구멍(34)의 종단(終端)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캠 구멍(34)은, 측판부(30)의 내면에 형성된 캠 홈이어도 무방하다.
도 10,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2)는, 한 쌍의 측판부(3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32)에는,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전방 측의 면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한 미끄럼 방지부(37)와, 후방 측의 면에 설치되고, 전술한 암부(13)의 한 쌍의 계지 받이부(18)에 계합하는 한 쌍의 계지 멈춤쇠(38)와, 당해 한 쌍의 계지 멈춤쇠(38) 각각의 하방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39)와, 한 쌍의 계지 멈춤쇠(38) 사이에 설치되고, 조작부(32)의 상방의 가장자리를 노치한 노치부(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b)는, 레버(3)가 경도될 때에 커넥터 로크부(11)의 계합 해제부(15)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계지 멈춤쇠(38)는, 좌우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각 계지 멈춤쇠(38)는,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32)의 상방의 단부에 설치되고, 조작부(32)의 후방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각 계지 멈춤쇠(38)는 그 선단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계지 멈춤쇠(38)는, 레버(3)가 경도될 때, 계지 받이부(18)의 수직면(18b)에 당접(當接)하는 제2 수직면(38b)과, 당해 제2 수직면(38b)에 연결되고 경사면(18c)에 당접하는 제2 경사면(38c)과, 당해 제2 경사면(38c)에 연결되고 연결부(14)의 상면에 겹쳐지는 수평면(38d)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계지 멈춤쇠(38)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진 「한 쌍의 계지부」에 상당한다.
상기 한 쌍의 오목부(39)는 연장판부(33)까지 연재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부(33)는, 조작부(32)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연장판부(33)는 조작부(32)보다도 좌우 방향(X)을 따르는 치수가 짧다.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연장판부(33)의 상하 방향(Z)의 치수는, 상벽(8)의 제2 테두리부(83)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3)의 계지 멈춤쇠(38)가 커넥터 하우징(2)의 계지 받이부(18)에 계합할 때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3)를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시킴에 수반하여, 계지 멈춤쇠(38)의 선단이 계지 받이부(18)의 상면(18a)에 당접하고, 돌기(17) 및 계지 받이부(18)를 하측으로 눌러 암 본체(16)가 하방향(下方向)으로 휘고, 이어서,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를 올라타서 넘어가, 계지 멈춤쇠(38)의 선단이 계지 받이부(18)와 연결부(14)의 사이에 진입하여, 계지 멈춤쇠(38)의 제2 수직면(38b)이 계지 받이부(18)의 수직면(18b)에 당접하고, 제2 경사면(38c)이 경사면(18c)에 당접하는 것과 동시에, 암 본체(16)가 휘기 전의 상태로 복원하여,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에 계합한다.
또한, 레버(3)의 계지 멈춤쇠(38)의 커넥터 하우징(2)의 계지 받이부(18)로의 계합을 해제할 때에는, 먼저,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에 계합한 상태로, 계합 해제부(15)를 눌러서 밑으로 내리는 것에 의하여, 연결부(14)가 눌러서 밑으로 내려가고, 암 본체(16)가 하방으로 휘고, 계지 받이부(18)가 눌러서 밑으로 내려가,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와 연결부(14)의 사이로부터 내보내져, 계지 멈춤쇠(38)의 계지 받이부(18)로의 계합이 해제된다.
상술한 구성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1)는, 레버(3)의 한 쌍의 측판부(30)를 외측 방향으로 휘게 하여, 커넥터 하우징(2)의 한 쌍의 축부(75)가 레버(3)의 원 구멍(36)에 끼워져, 레버(3)가 커넥터 하우징(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조립된다. 이때, 레버 감합식 커넥터(1)는 레버 기립 상태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대 커넥터(5)는, 좌우 방향(X)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51)와, 당해 한 쌍의 측벽부(51)를 연결하는 상벽부(52) 및 하벽부(53)와, 상하 좌우의 벽부(51, 52, 53)로 둘러싸인 커넥터 감합실(50)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54)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54)의 외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설되는 한 쌍의 종동 핀(55)과, 전측(前側)의 수직인 기벽(基壁)(56)과, 당해 기벽(56)을 관통하여 커넥터 감합실(50) 내로 돌출하는 수형의 핀(pin)상(狀)의 단자(57)(이하, 수단자(57)로 기재함)와, 상기 한 쌍의 오목 홈(82)의 내측에 삽입되는 한 쌍의 리브(58)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5)에 감합시키는 수순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레버 기립 상태의 레버 감합식 커넥터(1)의 전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5)를 가까이 하고, 서로 연통한 슬릿부(71) 및 캠 구멍(34) 내에 종동 핀(55)을 진입시키고, 레버(3)를 후방으로 회동하며, 종동 핀(55)을 슬릿부(71) 및 캠 구멍(34) 내에 움직이고 커넥터 하우징(2) 내에 상대 커넥터(5)의 커넥터 하우징(54)을 끌어 들이고, 그리고 계지 멈춤쇠(39)를 계지 받이부(18)에 계합시키고, 커넥터 하우징(2)에 수용된(암형의) 단자와 상대 커넥터(5)의 수단자(57)를 감합시켜, 레버 감합식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5)에 감합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3)를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계지부로서의 계지 멈춤쇠(38)가, 계지 받이부(18)에 계합될 때에, 상벽(8)의 후단부 측으로서의 후방 연장벽(10)과 대향하는 연장판부(33)가 조작부(32)에 설치되고, 당해 연장판부(33)가 암부(13)의 상면을 덮기 때문에, 레버(3)의 회동 조작만으로, 양 커넥터(1, 5)의 완전 감합 및, 레버(3)와 커넥터 하우징(2)과의 고정이 행하여지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이 상대 커넥터(5)에 감합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레버(3)의 커넥터 하우징(2)으로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암부(13)를 보호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판부(3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회동 조작할 때에 작업자에게 밀리는 부분의 면적이 크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레버(3)의 작업자에게 밀리는 부분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고, 대형화하는 것 없이 레버 회동 조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한 레버 감합식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암부(13)가, 상벽(8)의 후단부 측에 좌우 병렬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암부(13)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여, 계지 멈춤쇠(17)의 계지 받이부(18)로의 계합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장판부(33)와 조작부(32)가, 암부(13)의 기저부로부터 계지 받이부(18)까지를 덮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레버(3)의 커넥터 하우징(2)으로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암부(13)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연장판부(33)는, 허용되는 스페이스에 따라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의 그 상하 방향(Z)의 치수, 좌우 방향(X)의 치수, 또는 전후 방향(Y)의 치수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 레버(3A)의 연장판부(33A)의 상하 방향(Z)의 치수를, 전술한 실시예의 연장판부(33)보다도 작게 하여도 무방하고, 또는 다르게는,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기립 상태에 있어서, 레버(3B)의 연장판부(33B)의 전후 방향(Y)의 치수를, 전술한 실시예의 연장판부(33, 33A)보다도 크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연장판부(33)는, 조작부(32)보다도 좌우 방향(X)을 따르는 치수가 작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3C)의 연장판부(33C)는, 조작부(32)보다도 좌우 방향(X)을 따르는 치수가 커도 무방하다. 도 19, 20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연장판부(33A, 33B, 33C)의 상하 방향(Z)의 치수, 좌우 방향(X)의 치수, 또는 전후 방향(Y)의 치수를 여러 가지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대형화하는 것 없이 레버 회동 조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한 레버 감합식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레버(3)에서는, 커넥터 하우징(2)의 축부(75)가 끼워지는 원 구멍(36)이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레버(3)에 축부가 설치되고, 커넥터 하우징(2)에 레버(3)의 축부에 끼워지는 원 구멍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원 구멍(36)은 측판부(30)의 내면으로부터 오목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레버 감합식 커넥터
2 커넥터 하우징
3, 3A, 3B, 3C: 레버
5: 상대 커넥터
7: 한 쌍의 측벽부(양 측벽)
8: 상벽
10: 후방 연장벽
11: 커넥터 로크부
13: 한 쌍의 암부
16: 암 본체
17: 돌기
18: 계지 받이부
19: 굵은 다리부(암부의 기저부)
20: 가는 다리부(암부의 기저부)
30: 한 쌍의 측판부
32: 조작부
33, 33A, 33B, 33C: 연장판부
38: 계지 멈춤쇠(계지부)

Claims (3)

  1. 단자(端子)를 수용하고, 상대 커넥터를 전방(前方)으로부터 감합(嵌合)시키는 커넥터 하우징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의 양 측벽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부(側板部)와, 당해 한 쌍의 측판부를 연결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레버와,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계지부(係止部)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벽(上壁)에 있어서의 커넥터 감합 방향의 후단부(後端部)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후방(後方)으로 연장되는 가요성(可撓性)의 암(arm)부와,
    당해 암부의 자유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에 계합(係合)하는 계지 받이부를 구비한 레버 감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레버가 기립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계지 받이부에 계합될 때, 상기 상벽의 후단부 측과 대향하도록 배열된 연장판부를 포함하고,
    당해 연장판부가 상기 암부의 상면(上面)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가, 상기 상벽의 후단부 측에 좌우 병렬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암부의 기저부(基底部)로부터 상기 계지 받이부까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감합식 커넥터.
KR1020147017264A 2011-11-24 2012-11-20 레버 감합식 커넥터 KR20140093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5829A JP5798897B2 (ja) 2011-11-24 2011-11-24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JP-P-2011-255829 2011-11-24
PCT/JP2012/007429 WO2013076962A1 (en) 2011-11-24 2012-11-20 Lever type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288A true KR20140093288A (ko) 2014-07-25

Family

ID=4732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264A KR20140093288A (ko) 2011-11-24 2012-11-20 레버 감합식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59651B2 (ko)
EP (1) EP2783428B1 (ko)
JP (1) JP5798897B2 (ko)
KR (1) KR20140093288A (ko)
CN (1) CN104067457B (ko)
IN (1) IN2014CN04631A (ko)
WO (1) WO2013076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898B2 (ja) * 2011-08-30 2016-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820290B2 (ja) * 2012-02-08 201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9368911B2 (en) * 2014-11-14 2016-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losing electrical connector
JP6131239B2 (ja) 2014-12-03 2017-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R3043264B1 (fr) * 2015-10-28 2018-09-21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eur avec verrouillage du levier d'assistance a la connexion
JP6424190B2 (ja) * 2016-09-07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564750B2 (ja) 2016-09-07 2019-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032467B2 (ja) * 2020-03-09 2022-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247Y2 (ja) * 1991-06-03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付コネクタ
JP3516243B2 (ja) * 1994-11-30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レバーのロック機構
DE69626706T2 (de) * 1995-10-24 2003-12-04 Sumitomo Wiring Systems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ebel
JP3405954B2 (ja) 2000-03-13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3902605B2 (ja) * 2004-03-31 2007-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7175451B2 (en) * 2005-03-15 2007-02-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579083B2 (ja) * 2005-07-29 2010-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JP4679458B2 (ja) * 2006-07-19 2011-04-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レバー付コネクタ
JP4878535B2 (ja) * 2006-10-10 2012-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12613A (ja) * 2006-10-30 2008-05-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85172B2 (ja) * 2007-07-19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555497B2 (ja) 2010-01-14 2014-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07960B2 (ja) * 2010-03-1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9651B2 (en) 2018-01-02
US20140256169A1 (en) 2014-09-11
EP2783428A1 (en) 2014-10-01
JP2013110054A (ja) 2013-06-06
JP5798897B2 (ja) 2015-10-21
EP2783428B1 (en) 2018-06-27
IN2014CN04631A (ko) 2015-09-18
CN104067457A (zh) 2014-09-24
WO2013076962A1 (en) 2013-05-30
CN104067457B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3288A (ko) 레버 감합식 커넥터
US8303326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mbers with spring-actuated plungers
JP449703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1983618B1 (en) A connector
US2009018652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581969B2 (en) Connector with auxiliary housing having inverted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JP39877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9249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3650249B (zh) 具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JP3987737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235290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00027008A (ko)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단자 위치 확정 부재
KR20110061553A (ko) 전기 커넥터
JP7275275B2 (ja) コネクタ
US7850469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and a dummy connector having a guide projection with a transverse protrusion
JP7281089B2 (ja) コネクタ
US20140148031A1 (en) Lever-type connector
JP4131693B2 (ja) コネクタ
JP468962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20126826A (ja)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4157823B2 (ja) コネクタ
EP195387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7243551B2 (ja) コネクタ
JP7420647B2 (ja) コネクタ
JP2010062077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