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948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948B1
KR102355948B1 KR1020170078689A KR20170078689A KR102355948B1 KR 102355948 B1 KR102355948 B1 KR 102355948B1 KR 1020170078689 A KR1020170078689 A KR 1020170078689A KR 20170078689 A KR20170078689 A KR 20170078689A KR 102355948 B1 KR102355948 B1 KR 102355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ap
slider
coupl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548A (ko
Inventor
임근택
마용훈
이상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2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상기 캡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 및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에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고,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및 캡을 서로 결합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차량의 엔진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여러가지 편의장치가 탑재되는 등 고급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차량 내에는 많은 전장품 및 제어기들이 탑재되고 있고, 각종 전장품에 대한 전원선 및 제어신호선, 그리고 제어기들 간의 통신선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비롯하여 케이블 등이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각종 전장품을 비롯하여 제어기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케이블 등의 일끝단에는 다수의 입력 및 출력 단자를 갖는 다극 커넥터가 장착되고 있는 바, 다극 커넥터는 전장품의 정격용량 및 사용전선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인-라인에서 각종 와이어링 하네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다극 커넥터를 조립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는 파워 윈도우장치, 도어 잠금장치, 사이드미러 조정장치 등의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구동수단은 차체의 메인 콘트롤러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은 차체의 측부에서 인출되어 도어의 내부로 연결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차체패널에는 차체에서 인출되는 케이블과 도어 내부의 각 구동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작업자가 커넥터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작이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상기 캡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 및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에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고,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및 캡을 서로 결합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차량의 차체 패널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 1 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장착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함몰된 형상의 가이드 홈을 구비한 삽입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차체 패널을 기준으로 상기 캡의 반대편인 외부 공간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 및 상기 플러그 바디가 결합되면, 상기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바디를 향하여 돌출된 삽입 방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측에 연결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관통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지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플러그의 내부로 상기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 관통부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삽입 방지턱으로부터 벗어나는 간섭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 레버는,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지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플러그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벤딩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삽입 관통부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 방지턱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해제부의 높이는, 상기 걸림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해제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 및 해제부는 하나의 돌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기 전, 상기 플러그를 상기 캡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부에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삽입 관통부에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해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함께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해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관통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해제부를 간섭함으로써 상기 벤딩부가 상기 삽입 관통부의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공간; 및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는 1차 락킹 홀 및 2차 락킹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1차 락킹 홀 또는 2차 락킹 홀에 선택적으로 락킹 가능한 락킹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러그에 삽입되는 슬라이더의 1차 락킹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에 플러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방향으로 요구되는 삽입력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도, 1차 락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플러그에 슬라이더가 1차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및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에 슬라이더가 1차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를 생략한 도면이다.
이하 커넥터 어셈블리(1)이 차량 도어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실시 예가 반드시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플러그(11), 캡(12) 및 슬라이더(13)를 포함할 수 있다. 캡(12)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차체 패널(P)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캡(12)은, 차량의 차체(B)의 내부의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C1)을 지지하고, 캡(12)의 삽입 관통부(122)는 차량의 차체 패널(P)에 형성된 장착 홀(H)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플러그(11)는, 차체 패널(P)을 기준으로 캡(12)의 반대편인 외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11)는, 차량의 도어(D)의 내부의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C2)을 지지하고, 차체(B) 및 도어(D)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량의 차체 패널(P)을 사이에 두고, 캡(12) 및 플러그(11)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체결됨으로써, 제 1 케이블(C1) 및 제 2 케이블(C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플러그(11)는, 플러그(1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C2)을 지지하며, 캡(12)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11)가 캡(12)에 정상적으로 결합되면,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C2)은 캡(1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C1)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11)는,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C2)을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 바디(111)와, 플러그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12)은, 플러그 바디(111)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12)은, 슬라이딩 공간(113)과, 플러그 바디(11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 방지턱(115, 도 5 참조)과, 복수 개의 락킹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공간(113)은 슬라이더(13)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공간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1) 및 캡(12)의 결합 과정에서 슬라이더(13)의 벤딩부(137)가 캡(12)의 삽입 관통부(122)의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후퇴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락킹 홀(114)은, 플러그 하우징(12)에 대한 슬라이더(13)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공간(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는 1차 락킹 홀(114a) 및 2차 락킹 홀(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은, 캡(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C1)을 지지하며, 플러그(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캡(12)은,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C1)을 지지하기 위한 캡 바디(121)와, 캡 바디(121)로부터 연장되며 플러그 바디(111) 및 플러그 하우징(11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되어 플러그 바디(111)의 둘레를 감싸는 삽입 관통부(122)와, 플러그(11) 및 캡(12) 사이에 끼워지는 패널(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3)와,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4)의 단부에는 패널의 장착 홀(H)이 걸리는 걸림 홈(124a)이 형성되어 패널이 캡(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 관통부(122)의 외면에는 가이드 홈(122a), 체결 홈(122b) 및 간섭부(122c)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2a)은 슬라이더(13)의 가이드 돌기(131)를 안내하는 공간으로, 삽입 관통부(122)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122a)은 플러그(11)가 캡(12)에 삽입되는 방향(z축 방향)과 평행한 진입부와, 진입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22a)의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더(13)가 플러그 하우징(112)에 삽입되는 동작과 동시에, 플러그(11) 및 캡(12)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플러그(11)가 캡(12)에 조립되게 할 수 있다.
체결 홈(122b)은 슬라이더(13)의 체결 돌기(132, 도 3 참조)가 체결되는 공간으로, 삽입 관통부(122)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가이드 홈(122a) 및 체결 홈(122b)을 삽입 관통부(122)에 형성하고, 가이드 돌기(131) 및 체결 돌기(132)를 각각 슬라이더(13)에 배치시킨 구조에 의하면, 삽입 관통부(122)가 삽입되는 차체 패널(P)의 장착 홀(H)을 삽입 관통부(122)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150076호에 개시되는 구조, 즉, 삽입 관통부로부터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는 구조에 비하여, 추가적인 리브를 형성하지 않고도 장착 홀(H) 및 삽입 관통부(122)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뛰어난 실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간섭부(122c)는 플러그(11)가 캡(12)에 결합되는 동안 슬라이더(13)의 해제부(136)를 간섭함으로써, 슬라이더(13)의 벤딩부(137)가 삽입 관통부(122)의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간섭부(122c)는, 삽입 관통부(122)의 외면 중 함몰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섭부(122c)는, 가이드 홈(122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3)는, 플러그(11)의 슬라이딩 공간(113)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플러그(11)가 캡(12)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13)는, 캡(12)에 플러그(11)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11)에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고, 캡(12)에 플러그(11)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플러그(11)에 상기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됨으로써, 플러그(11) 및 캡(12)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13)는, 가이드 돌기(131), 체결 돌기(132), 락킹 돌기(133), 락킹 바(134), 간섭 레버(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1)는, 가이드 홈(122a)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에 삽입되는 동시에, 플러그(11) 및 캡(12)이 조립되게 할 수 있다.
체결 돌기(132)는,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에 완전히 삽입될 때, 체결 홈(122b)에 체결됨으로써, 플러그(11) 및 캡(12)을 체결시킬 수 있다.
락킹 돌기(133)는,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서, 1차 락킹 홀(114a) 또는 2차 락킹 홀(114b)에 선택적으로 락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11)에 대한 슬라이더(13)의 삽입 위치를, 1차 락킹 위치 또는 2차 락킹 위치에서 각각 임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슬라이더(13)가 1차 락킹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락킹 바(134)는, 캡(12)에 플러그(11)가 결합되는 방향, 다시 말하면, 도 2의 z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락킹 돌기(133)는 락킹 바(134)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간섭 레버(A)는, 플러그(11) 및 캡(12)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슬라이더(13)가 선택적으로 플러그(11)에 설정 길이 이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간섭 레버(A)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11)에 형성된 삽입 방지턱(115, 도 5 참조)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의 내부로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섭 레버(A)는, 캡(12)에 플러그(11)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캡(12)의 삽입 관통부(122)에 간섭됨으로써 슬라이더(13)의 측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후퇴하여 삽입 방지턱(115)으로부터 벗어나고, 결과적으로,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의 내부로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될 수 있다. 간섭 레버(A)는, 걸림부(135), 해제부(136), 벤딩부(137) 및 파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137)는, 캡(12)에 플러그(11)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다시 말하면, 도 2의 x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벤딩부(137)는, 예를 들어, 슬라이더(13)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면서, 슬라이더(13)의 측벽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걸림부(135) 및 해제부(136)는 동일한 벤딩부(13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135) 및 해제부(136)는 도 5a에 도시한 것처럼 벤딩부(137)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이격 배치되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걸림부(135) 및 해제부(136)는 간섭 레버(A) 중 일부의 영역들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b 및 도 5c와 같이, 벤딩부(137)에 형성되는 구조물 중 삽입 방지턱(115, 도 5 참조)에 걸리는 부분을 걸림부(135)라고 하고, 간섭 레버(A) 중 삽입 관통부(122)의 간섭부(122c)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을 해제부(136)라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b와 같이 걸림부(135) 및 해제부(136)는 하나의 돌기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구조에 의하면, 해제부(136)가 간섭부(122c)에 의해 가압이 되면, 슬라이더(13)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부(135)의 전진 방향 쪽에 형성된 경사면이 삽입 방지턱(115)과 오버랩되므로, 슬라이더(13)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부(135)는 삽입 방지턱(115)을 넘어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구조에 의하면, 해제부(136)가 간섭부(122c)에 의해 가압이 되면, 슬라이더(13)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부(135)가 삽입 방지턱(115)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므로, 도 5b 및 도 5c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슬라이더(13)를 삽입시킬 수 있다.
걸림부(135)는, 플러그(11)가 캡(12)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플러그(11)의 삽입 방지턱(115, 도 5 참조)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135)는, 예를 들어,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에 삽입되는 방향(y축의 음의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직각의 형상을 갖고, 후방에는 둔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플러그(11)가 캡(12)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예상하지 못한 충격 등에 의해 슬라이더(13)가 플러그(11)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그(11) 및 캡(12)이 조립된 상태에서 플러그(11)를 캡(12)으로부터 분리할 때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슬라이더(13)를 플러그(1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해제부(136)는, 플러그(11)가 캡(12)에 결합되는 동안 삽입 관통부(122)의 간섭부(122c)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벤딩부(137)가 삽입 관통부(122)의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걸림부(135)가 삽입 방지턱(115, 도 5 참조)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해제부(136)는, 플러그(11)가 캡(12)에 삽입되는 방향(z축의 음의 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부(135)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간섭부(122c)는 걸림부(135)를 지나서 해제부(136)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 관통부(122)가 충분히 삽입하여 플러그(11) 및 캡(12)이 올바른 위치에 정렬될 때까지 1차 락킹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조립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해제부(136)는, 예를 들어, 플러그(11)가 캡(12)에 삽입되는 방향(z축의 음의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둔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11)를 캡(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해제부(136)는 가이드 돌기(131)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가이드 돌기(131)와 함께 가이드 홈(122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파지부(138)는, 2개의 슬라이더(13)의 측벽이 동시에 플러그(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2개의 슬라이더(13)의 측벽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작업자는 파지부(138)를 파지하고 슬라이더(13)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커넥터 어셈블리(1)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의 도면은 동일한 상태에서 바라보는 바라보는 관점을 달리한 것임을 밝힌다. 도 7(c)는 도 7(b)의 절개선 A-A를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절개선 B-B를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절개선 C-C를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더(13)의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해제부(136)의 높이는, 걸림부(135)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도 7과 같이 플러그(11)가 캡(12)에 결합되기 전, 작업자가 플러그(11)를 캡(12)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플러그(11)가 캡(12)에 삽입되는 방향(z축의 음의 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부(135)는 삽입 관통부(122)에 오버랩되지 않고, 해제부(136)는 삽입 관통부(122)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플러그(11) 및 캡(12)을 정렬시키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걸림부(135)가 삽입 관통부(122)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하게 마찰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가 슬라이더(13)가 결합된 플러그(11)를 캡(12) 상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31)는 가이드 홈(122a)의 진입부에 위치하고, 해제부(136)는 간섭부(122c)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플러그(11)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이드 돌기(131)는 가이드 홈(122a)으로 진입하고, 해제부(136)는 간섭부(122c)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삽입 관통부(122)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면, 간섭부(122c)가 해제부(136)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벤딩부(137)가 슬라이더(13)의 측벽에 대하여 휘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걸림부(135)가 삽입 방지턱(115, 도 5 참조)으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13)가 1차 락킹 위치에서 벗어나 플러그(11)로 더욱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슬라이더(13)를 삽입함으로써 가이드 돌기(131)는 가이드 홈(122a)의 경사부를 따라서 진입하면서, 플러그(11)가 캡(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13)의 삽입 동작에 따라서, 해제부(136)는 간섭부(122c)로부터 벗어나 가이드 홈(122a)으로 진입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해제부(136)는 더 이상 간섭부(122c)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슬라이더(13)를 더욱 삽입함으로써, 가이드 돌기(131)는 가이드 홈(122a)의 경사부의 끝 부분까지 이동되고, 플러그(11)가 캡(12)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사이의 과정에서, 해제부(136)는, 인접한 가이드 돌기(131)와 함께 가이드 홈(122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부(136)를 가이드 돌기(131)에 충분히 인접하게 배치하거나, 가이드 돌기(131) 및 가이드 홈(122a)의 폭을 충분히 크게 하면, 해제부(136)는 인접한 가이드 돌기(131)와 함께 가이드 홈(122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11) 및 캡(12)이 결합하는 초기 과정, 다시 말하면, 도 8과 같이 간섭부(122c) 및 해제부(136)가 서로 간섭되는 과정 이후에는, 해제부(136)가 가이드 홈(122a) 내로 진입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해제부(136)가 삽입 관통부(122)에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및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2)는, 플러그(21), 캡(22), 슬라이더(23) 및 회동 레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캡(22)은, 가이드 홈(222a), 체결 홈(222b) 및 간섭부(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23)는, 가이드 돌기(231), 걸림부(235), 해제부(236), 벤딩부(237) 및 랙(239)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레버(24)는 플러그(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23)와 상호 작용하여 슬라이더(23)가 플러그(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다. 회동 레버(24)는, 파지부(241) 및 피니언(2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슬라이더(23)가 플러그(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동 레버(24)를 회전시키면, 피니언(241)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랙(239)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슬라이더(23)가 플러그(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러그에 삽입되는 슬라이더의 1차 락킹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캡에 플러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요구되는 삽입력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도, 1차 락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3)

  1.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캡;
    상기 캡에 결합 가능한 플러그; 및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에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고,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설정 길이 이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및 캡을 서로 결합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캡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플러그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벤딩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캡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간섭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함께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차량의 차체 패널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장착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함몰된 형상의 상기 가이드 홈을 구비한 삽입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차체 패널을 기준으로 상기 캡의 반대편인 외부 공간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플러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 및 상기 플러그 바디가 결합되면, 상기 복수 개의 제 1 케이블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케이블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바디를 향하여 돌출된 삽입 방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측에 연결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관통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해제부의 높이는, 상기 걸림부의 높이보다 더 높은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해제부는 하나의 돌기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기 전, 상기 플러그를 상기 캡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부에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삽입 관통부에 오버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캡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해제부를 간섭함으로써 상기 벤딩부가 상기 삽입 관통부의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공간; 및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는 1차 락킹 홀 및 2차 락킹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1차 락킹 홀 또는 2차 락킹 홀에 선택적으로 락킹 가능한 락킹 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78689A 2016-08-24 2017-06-21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55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7765 2016-08-24
KR1020160107765 2016-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548A KR20180022548A (ko) 2018-03-06
KR102355948B1 true KR102355948B1 (ko) 2022-01-27

Family

ID=6143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89A KR102355948B1 (ko) 2016-08-24 2017-06-21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5948B1 (ko)
CN (1) CN107785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106428U1 (de) * 2018-11-13 2019-05-24 Odu Gmbh & Co. Kg Koppelverbinder mit einem Schieberteil
KR102342857B1 (ko) * 2019-12-27 2021-12-24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102303788B1 (ko) * 2019-12-30 2021-09-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2302283B1 (ko) * 2020-01-02 2021-09-14 주식회사 경신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KR102455573B1 (ko) * 2020-09-03 2022-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879A (zh) 2014-09-22 2016-03-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连接器和连接器系统及操作连接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069B2 (ja) * 1996-03-29 2002-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US6254407B1 (en) * 1999-02-17 2001-07-03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Mechanical assist cam slide device
KR200447848Y1 (ko) * 2008-02-15 201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214847B1 (ko) * 2011-04-13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JP2014165031A (ja) * 2013-02-26 2014-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倍力機構付きコネクタ
KR102198382B1 (ko) * 2014-07-10 2021-01-05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879A (zh) 2014-09-22 2016-03-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连接器和连接器系统及操作连接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85720B (zh) 2021-06-01
CN107785720A (zh) 2018-03-09
KR20180022548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94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73527B1 (ko) 축방향 연결 보조구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3006653B1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US8986036B2 (en) Plug connector
KR101529261B1 (ko) 커넥터
WO2017057215A1 (ja) 電池間接続装置及び電池間接続装置組立体
US9666987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80034206A1 (en) Connector with fitting detection member
JP5614792B2 (ja) 分割コネクタ
EP3823106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ist
US10714863B2 (en) Connector
TWI707504B (zh) 端子以及連接器
US20150147902A1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JP2008277036A (ja) L型コンタクト
JP396025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8277037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7098678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5002120A1 (ja) フラット回路体用コネクタ
JP2008277035A (ja) コネクタ装置
JP5000561B2 (ja) 車両用電気接続装置
KR10235317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WO2013038651A1 (en) Connector unit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pacer for locking a second terminal
KR102008449B1 (ko) 실드 커넥터
EP3796477B1 (en) Electric wire cover
JP2010177205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両の配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