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573B1 -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573B1
KR102455573B1 KR1020200112225A KR20200112225A KR102455573B1 KR 102455573 B1 KR102455573 B1 KR 102455573B1 KR 1020200112225 A KR1020200112225 A KR 1020200112225A KR 20200112225 A KR20200112225 A KR 20200112225A KR 102455573 B1 KR102455573 B1 KR 10245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ever
connector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632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5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레버이동공간(25)이 형성된 제1하우징(20)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끼워져 상기 레버이동공간(25)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상대커넥터의 가이드캠(57d)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7)와 상기 상대커넥터의 결합캠(56d)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돌기(46)가 각각 돌출된 레버(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결합캠(56d)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에 먼저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상기 가이드캠(57d)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40)는 상기 제1하우징(20)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40)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결합캠(56d)의 결합채널(56b)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Lever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운동하는 레버를 사용하여 2개의 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최근에 많은 수의 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위해 큰 결합력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레버를 사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수행하는 레버타입 커넥터도 만들어지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047호에는 이러한 레버타입 커넥터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타입 커넥터에 설치된 레버가 이동하면 상대커넥터가 레버의 이동에 딸려 오면서 두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레버와 상대커넥터에는 서로 대응하는 캠홈과 돌기 구조가 있어서 서로 연동될 수 있는데, 레버의 직선운동이 두 커넥터 사이의 결합력을 분산시켜 준다. 따라서 두 커넥터가 서로 직접 조립되는 것에 비해서, 레버타입 커넥터를 이용하면 결합력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서 작업자가 두 커넥터 사이의 체결이나 분리를 위한 힘을 가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넥터에 직선왕복운동하는 레버를 두어서 두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와 본체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조립체에서 이러한 레버타입 커넥터를 사용하면 좁은 조립환경에서도 쉽게 두 커넥터를 조립/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타입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레버를 눌러주어야 하는데, 먼저 레버는 작업자에 의해 눌릴 수 있는 초기위치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 초기위치는 레버가 커넥터로부터 돌출된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렇게 레버를 돌출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먼저 레버를 커넥터에서 빼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추가되는 불편함이 있고,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물론, 레버를 미리 초기위치로 빼내서 레버가 커넥터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보관 및 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레버가 커넥터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보관이나 운송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다시 눌리기 쉽고, 레버의 돌출된 부분이 주변과 간섭되어 파손될 우려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04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커넥터들 사이의 초기조립과정에서 레버가 자동으로 초기위치(결합준비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넬의 구멍을 사이에 두고 두 커넥터들이 서로 조립되더라도 레버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판넬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레버이동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이동공간에 끼워져 상기 레버이동공간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상대커넥터의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상대커넥터의 결합캠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된 레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캠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먼저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캠의 결합채널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버의 동일표면 상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조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결합돌기 보다 상기 상대커넥터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캠의 제1가이드면에 접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형상인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의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캠의 상기 제1가이드면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채널의 입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캠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결합방향 폭을 증가시키는 강화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직선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가 있고, 상기 결합돌기에서 상기 상대커넥터를 향한 전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후단은 상기 평면부의 말단 보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조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대커넥터에서 먼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레버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레버의 표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가 초기위치로 돌출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캠의 제1결합면을 타고 넘어 결합채널의 입구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레버이동공간에는 레버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져 상기 레버이동공간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조립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에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상기 제2커넥터의 가이드캠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캠에 안내되는 결합돌기가 있다. 이때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캠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먼저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버의 동일표면 상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결합캠과 상기 가이드캠에는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캠의 입구부에 형성하는 제1가이드면은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여 상기 레버가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1가이드면은 곡면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면에 선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캠에는 상기 가이드캠의 입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가이드면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캠에 가이드채널을 형성하는 제2가이드면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면의 끝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캠에는 상기 결합캡의 입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제1결합면과, 상기 제1결합면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캠에 결합채널을 형성하는 제2결합면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어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채널의 입구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캠의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곡면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의 단턱부가 있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제1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제2커넥터)와의 조립을 쉽게 하는 레버가 설치되는데, 두 커넥터의 조립초기과정에서 레버는 상대커넥터에 밀려 원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레버가 커넥터 내부에서 초기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상대커넥터가 레버를 초기위치로 밀어내주기 때문에, 작업자는 레버를 초기위치로 빼내기 위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커넥터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처럼 레버가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를 커넥터 안쪽으로 수납한 상태로 커넥터를 보관/운송할 수 있다. 레버가 커넥터에서 돌출되지 않으면 보관/운송과정에서 외력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적어지고, 낙하하더라도 파손될 염려가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레버가 상대커넥터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조는 레버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상대커넥터에서 함몰된 가이드캠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돌출되는 돌기구조가 레버쪽에 있는데, 레버는 커넥터의 안쪽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두 커넥터가 판넬의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돌기구조가 판넬에 간섭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의 조립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버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인 가이드돌기와, 레버를 누를 때 상대커넥터를 당겨주는 결합돌기가 모두 레버 쪽에 있고, 특히 가이드돌기와 결합돌기는 레버의 동일한 평면에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고, 레버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대커넥터의 가이드캠은 레버의 가이드돌기를 밀어 올려주는데, 가이드돌기와 접촉하는 가이드캠의 표면(제1가이드면)은 가이드돌기와 선접촉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와 가이드캠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 수 있고, 작업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레버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조립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레버가 커넥터에서 돌출된 상태와 삽입된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단면형태로 보인 조립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는 레버(40)가 직선이동하면서 두 커넥터(C1,C2)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반대로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레버(40)의 직선이동은 상대적으로 짧은 커넥터 조립방향으로의 직선이동으로 변환되는데, 이처럼 상대적으로 긴 레버(40)의 이동행정을 이용해서 커넥터들의 조립에 필요한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레버타입 커넥터에서 레버(40)를 초기위치, 즉 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돌기(47)가 레버(40)에 있고, 상대커넥터에는 가이드돌기(47)를 밀어올리기 위한 가이드캠(57d)이 있다. 레버(40)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면, 레버(40)에 있는 결합돌기(46)는 상대커넥터의 결합캠(56d)에 의해 안내될 수 있는 결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0)의 초기위치는 준비위치로 볼 수도 있다.
참고로,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는 제1하우징(20)-레버(40)로 구성되는 하나의 레버타입 커넥터와, 여기에 조립되는 상대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에서 레버타입 커넥터를 제1커넥터(C1)로 하고, 상대커넥터를 제2커넥터(C2)로 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C1)에는 레버(40)가 설치되는데, 도 1에서 보듯이 레버(40)가 상기 제1커넥터(C1) 안쪽으로 눌리면 제2커넥터(C2)가 제1커넥터(C1) 방향으로 당겨져 두 커넥터(C1,C2) 사이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두 커넥터(C1,C2)는 판넬(P)을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될 수도 있는데, 도 1에서 도면부호 P는 판넬(P)이 위치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판넬(P)에는 구멍(PH, 도 2참조)이 있고, 이 구멍(PH)을 기준으로 제1커넥터(C1)는 한쪽에 위치하고, 제2커넥터(C2)는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판넬(P)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 두 커넥터(C1,C2)를 조립하기 위한 힘을 가하기 어렵지만, 레버(40)를 눌러 두 커넥터(C1,C2)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보면, 상기 제1커넥터(C1)의 골격은 제1하우징(20)이 만드는데, 상기 제1하우징(20)은 대략 육면체의 입체형상이다. 상기 제1하우징(20)에는 제1터미널설치공간(21)이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공간(21)에는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고, 제1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는 제1커넥터(C1)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커넥터(C1)는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C1)에는 결합몸체(22)가 있다. 상기 결합몸체(22)는 상기 제1커넥터(C1)의 전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여기에는 제1터미널의 앞부분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22)는 상대커넥터인 제2커넥터(C2) 쪽으로 더 돌출되고, 제2커넥터(C2)의 안쪽에 수납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결합몸체(22)는 상기 제1커넥터(C1)의 나머지 부분 보다 폭이 좁게 만들어져, 제2커넥터(C2)의 결합공간(5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몸체(22)에는 제1장착부(23)가 있고, 상기 제1장착부(23)에는 제1스페이서(30)가 조립된다. 상기 제1장착부(23)는 두 커넥터(C1,C2)가 서로 조립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장착부(23)의 한쪽은 개방되어서 제1스페이서(30)가 끼워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장착부(23)의 안쪽에는 제1터미널이 장착되는 제1터미널홀(24)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1커넥터(C1)에는 레버이동공간(25)이 있다. 상기 레버이동공간(25)은 상기 제1커넥터(C1)의 안쪽에 마련된 공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이동공간(25)은 두 커넥터(C1,C2)가 조립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쪽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는 레버(40)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레버이동공간(25)은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레버(40)는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서 직선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C1)에는 레버조립홀(27)이 있다. 상기 레버조립홀(27)은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레버조립홀(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40)의 조립후크(44)가 끼워진다. 즉, 레버(40)의 조립후크(44)가 레버조립홀(27)에 끼워지면, 상기 레버(40)는 제1커넥터(C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버조립홀(27)은 제1조립홀(27a)과 제2조립홀(27b)로 구성된다. 상기 제1조립홀(27a)과 제2조립홀(27b)은 상기 레버이동공간(2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다. 레버(40)의 조립후크(44)가 상기 제1조립홀(27a)에 끼워지면 레버(40)가 제1커넥터(C1)에 가조립된 상태로, 레버(40)가 초기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5(a)를 보면 레버(40)가 초기위치에 있는데, 레버(40)의 조립후크(44)에서 돌출된 조립턱(45)이 상기 제1조립홀(27a)에 끼워진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레버(40)의 조립후크(44)가 상기 제2조립홀(27b)에 끼워지면 레버(40)가 제1커넥터(C1)에 완전조립된 상태로, 레버(40)가 결합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결합위치란, 두 커넥터(C1,C2)라 서로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고, 레버(40)가 제1커넥터(C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b)를 보면 레버(40)가 결합위치에 있는데, 레버(40)의 조립후크(44)에서 돌출된 조립턱(45)이 상기 제2조립홀(27b)에 끼워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결합몸체(22)에는 제1실링수단(29)이 조립된다. 상기 제1실링수단(29)은 상기 결합몸체(22)를 감싸면서 결합몸체(22)의 안쪽에 조립되고, 두 커넥터(C1,C2)의 조립과정에서 두 커넥터(C1,C2)의 사이에 강하게 압착되면서 방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도 7에는 제1실링수단(29)이 두 커넥터(C1,C2)의 사이에 위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C1)의 제1장착부(23)에는 제1스페이서(30)가 조립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30)는 상기 제1장착부(23)에 삽입되면 상기 제1터미널홀(24)에 수납되어 있는 제1터미널을 걸어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스페이서(30)에는 제1관통홀(32)들이 있어서 제1터미널을 통과시켜줄 수 있지만, 상기 제1장착부(23)에 끼워지는 깊이에 따라 상기 제1터미널의 한쪽과 간섭되어서 제1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33은 상기 제1스페이서(30)가 상기 제1장착부(23)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돌기로, 상기 장착돌기(33)는 여러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스페이서(30)가 상기 제1장착부(23)에 1차조립 및 2차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30)가 상기 제1장착부(23)에 장착되지만, 상기 제1스페이서(30)는 상기 제1커넥터(C1)의 후방에 끼워지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레버(40)를 살펴보면, 상기 레버(40)는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끼워진 상태로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C2)를 상기 제1커넥터(C1) 방향으로 당겨주거나, 반대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 일부는 제1커넥터(C1)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40)의 손잡이(42)는 제1커넥터(C1)의 바깥쪽에 있어서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40)는 연결몸체(41)와, 상기 연결몸체(41)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작동몸체(4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몸체(41)는 상기 제1커넥터(C1)의 바깥쪽, 즉 레버이동공간(25)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부분이고, 한 쌍의 작동몸체(43)는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몸체(41)와 상기 작동몸체(43)는 각각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몸체(41)와 상기 작동몸체(43)가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몸체(41)에는 손잡이(42)가 있다. 상기 손잡이(42)는 상기 연결몸체(41)에서 돌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레버(40)를 조작할 때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42)는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걸어 조작하기 쉽도록 상기 연결몸체(41)에서 작동몸체(43)가 연장되는 방향(도 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작동몸체(43)는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끼워지는 부분인데, 상기 작동몸체(43)가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끼워지는 깊이에 따라 레버(40)가 (i) 초기위치에 있거나, (ii) 결합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몸체(43)는 제2커넥터(C2)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작동몸체(43)에는 제2커넥터(C2)와의 연동을 위한 가이드돌기(47)와 결합돌기(46)가 있다.
상기 작동몸체(43)에는 조립후크(44)가 있다. 상기 조립후크(44)는 상기 작동몸체(43)가 상기 레버이동공간(25)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후크(44)는 외팔보형상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끝에는 조립턱(45)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립턱(45)은 앞서 설명한 제1커넥터(C1)의 제1조립홀(27a) 또는 제2조립홀(27b)에 걸린다. 상기 조립턱(45)이 상기 제1조립홀(27a)에 걸리면 레버(40)는 초기위치에 있는 것이고, 제2조립홀(27b)에 걸리면 레버(40)는 결합위치에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몸체(43)에는 결합돌기(46)가 있다.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작동몸체(43)의 안쪽면에서 상기 한 쌍의 작동몸체(4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레버(40)가 상기 제1커넥터(C1)에 조립된 상태에서, 두 커넥터(C1,C2)가 조립될 때 상기 결합돌기(46)는 제2커넥터(C2)의 결합캠(56d)에 안내된다. 상기 결합돌기(46)가 결합캠(56d)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C2)는 제1커넥터(C1) 방향으로 당겨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돌기(46)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고, 앞부분에는 돌기경사면(46a)이 있다. 상기 돌기경사면(46a)은 상기 결합돌기(46)의 돌출된 정도가 작아지는 부분으로, 결합캠(56d)을 향해서 하향경사진 부분이다. 상기 결합돌기(46)는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46)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돌기(47)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결합돌기(46)와 가이드돌기(47)는 상기 레버(40)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레버(40)의 표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돌기(46)는 2개이고 가이드돌기(47)는 1개인데, 결합돌기(46)와 가이드돌기(47)의 개수는 더 추가될 수도 있고, 결합돌기(46)는 1개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몸체(43)에는 가이드돌기(47)가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47)는 레버(4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켜주는 것으로, 제2커넥터(C2)의 가이드캠(57d)을 타고 이동한다. 두 커넥터(C1,C2)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제2커넥터(C2)의 가이드캠(57d)을 타고 이동하면 상기 레버(40)는 밀려 올라가면서 초기위치(도 5(a) 참조)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47)는 레버(40)가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상기 레버(40)가 이미 초기위치에 있다면 상기 가이드돌기(47)에 의해 레버(40)가 밀려 올라가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가이드돌기(47)의 전면에는 경사면(47a)이 있다. 여기서 전면이라함은 상기 가이드돌기(47)에서 제2커넥터(C2)의 가이드캠(57d)을 향하는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을 기준으로 보면 우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돌기(47)의 전면이 경사면(47a)으로 구성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캠(57d)을 보다 쉽게 타고 넘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47a)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후면에는 강화부(47b)가 있다. 상기 강화부(47b)는 상기 가이드돌기(47)의 결합방향 폭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강화부(47b)는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폭이 좁아져 쉽게 파손될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강화부(47b)는 가이드돌기(47)의 상부 후면에만 있지만, 아래쪽 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47)에는 평면부(47c)가 있다. 상기 평면부(47c)는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하부에서 상기 레버(40)가 상기 제1하우징(20)에 대해 직선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이다. 상기 평면부(47c)는 가이드돌기(47)의 전체 길이 또는 좌우폭이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돌기(47)의 앞부분은 상기 결합돌기(46)의 앞부분 보다 제2커넥터(C2)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46)가 결합캠(56d)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에 먼저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캠(57d)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7)는 가이드캠(57d)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40)는 상기 제1커넥터(C1)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40)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돌기(46)는 결합캠(56d)의 결합채널(56b)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결합돌기(46)와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제2커넥터(C2)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같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C2)의 가이드캠(57d)이 결합캠(56d) 보다 상기 제1커넥터(C1)를 향해 더 전진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캠(57d)에 먼저 닿아 레버(4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결합돌기(46)에서 제2커넥터(C2)를 향한 전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후단은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평면부(47c)의 말단 보다 제2커넥터(C2)에서 먼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46)의 후단이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후단 보다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의 조립방향을 기준으로 제2커넥터(C2)에서 먼 위치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캠(57d)에 안내되어 상기 레버(40)가 초기위치에 있고, 상기 결합돌기(46)는 결합캠(56d)의 결합채널(56b) 입구에 위치했을 때, 가이드돌기(47)도 제1가이드면(57d1)을 완전히 타고 넘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40)를 눌러 결합돌기(46)가 결합채널(56b)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돌기(47)도 제1가이드면(57d1)에 간섭되지 않고 가이드채널(57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2커넥터(C2)를 살펴보면, 상기 제2커넥터(C2)의 골격은 제2하우징(50)이 만드는데, 상기 제2하우징(50)은 대략 육면체의 입체형상이다. 상기 제2하우징(50)에는 제2터미널들이 수납되고, 제2하우징(50)의 앞부분에는 상기 제1커넥터(C1)의 결합몸체(22)가 삽입되는 결합공간(51)이 개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하우징(50)에는 제2장착부(53)가 있고, 상기 제2장착부(53)에는 제2스페이서(60)가 조립된다. 상기 제2장착부(53)는 두 커넥터(C1,C2)가 서로 조립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2장착부(53)의 한쪽은 개방되어서 제2스페이서(60)가 끼워질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2장착부(53)의 안쪽에는 제2터미널이 장착되는 제2터미널홀(54)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50)의 표면에는 판넬고정부(55)가 있다. 상기 판넬고정부(55)는 판넬(P)의 구멍(PH) 가장자리에 걸리는 부분인데, 상기 제2하우징(50)에서 탄성변형가능한 형태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커넥터(C2)가 상기 판넬(P)의 구멍(PH)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판넬고정부(55)는 제2하우징(50)의 안쪽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판넬(P)의 구멍(PH)을 통과하면 복원되어 판넬(P)의 구멍(PH) 가장자리에 걸린다. 도면부호 55a는 판넬(P)이 끼워지는 판넬장착홈을 나타낸다.
상기 판넬고정부(55)에 인접한 위치에는 실링고정리브(58)가 돌출되고, 상기 실링고정리브(58)에는 제2실링수단(59)이 끼워진다. 상기 제2실링수단(59)은 상기 실링고정리브(58)를 감싸면서 실링고정리브(58)게 끼워지는데, 도 6에는 제2실링수단(59)이 끼워진 모습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링수단(59)이 실링고정리브(58)에 끼워지면, 상기 판넬(P)은 상기 판넬고정부(55)와 상기 제2실링수단(59)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판넬(P)의 구멍(PH)을 통해 수분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58a는 상기 제2실링수단(59)의 후방을 지지해주는 지지리브이다.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제2커넥터(C2)에는 결합캠(56d)과 가이드캠(57d)이 있다. 상기 결합캠(56d)과 가이드캠(57d)은 각각 상기 레버(40)의 결합돌기(46)와 가이드돌기(47)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2커넥터(C2)의 표면에서 함몰된 결합경로(56)와 가이드경로(57)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캠(56d)과 상기 가이드캠(57d)은 각각 결합경로(56) 및 가이드경로(57)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결합캠(56d)을 보면, 상기 결합캠(56d)은 제1결합면(56d1)과 제2결합면(56d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면(56d1)과 상기 제2결합면(56d2)은 서로 연결되지만, 제1결합면(56d1)이 상기 결합돌기(46)가 끼워지는 입구부의 폭을 점점 좁히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진다면, 제2결합면(56d2)은 이와 반대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면(56d1)은 상기 결합캠(56d)이 만드는 결합경로(56)의 입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레버(40)가 상기 제1커넥터(C1)에서 돌출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결합면(56d1)은 제1커넥터(C1)가 제2커넥터(C2) 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서 점점 높이가 높아진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46)는 제1결합면(56d1)을 따라 점점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두 커넥터(C1,C2)의 조립초기에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을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결합돌기(46)는 제1결합면(56d1)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캠(56d)의 상기 제2결합면(56d2)은 상기 제1결합면(56d1)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캠(56d)에 결합채널(56b)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결합면(56d1)과 제2결합면(56d2)은 상기 제2커넥터(C2)에 결합경로(56)를 만드는데, 상기 결합경로(56)을 구성하는 결합입구(56a)-결합채널(56b)은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입구(56a)는 상기 제1결합면(56d1)이 만드는 부분이고, 결합채널(56b)은 제2결합면(56d2)이 만드는 부분으로 각각 제2커넥터(C2)의 표면에서 함몰된 구조이다. 상기 결합입구(56a)는 상기 제1커넥터(C1)를 향해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결합입구(56a)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버(40)가 눌리면,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결합채널(56b)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결합채널(56b)의 한쪽을 구성하는 제2결합면(56d2)을 누르면 상기 제2커넥터(C2)는 상기 제1커넥터(C1)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채널(56b)의 끝부분에는 결합홈(56c)이 있다. 상기 결합홈(56c)은 상기 결합채널(56b)의 끝부분에서 연장되는데, 레버(40)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결합홈(56c)은 상기 결합채널(56b)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결합홈(56c)에 끼워지면, 상기 결합돌기(46)는 두 커넥터(C1,C2)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고, 두 커넥터(C1,C2)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다.
상기 가이드캠(57d)은 상기 레버(40)의 가이드돌기(47)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을 타고 이동하면 상기 레버(40)가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캠(57d)은 대략 상기 결합캠(56d)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캠(57d)은 제1가이드면(57d1)과 제2가이드면(57d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은 실제 두 커넥터(C1,C2)의 조립초기에 가이드돌기(47)를 안내하는 부분이고, 제2가이드면(57d2)은 결합캠(56d)의 제2결합면(56d2)과 같이 레버(40)가 눌릴 때 제2커넥터(C2)를 제1커넥터(C1) 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캠(57d)은 가이드돌기(47)가 이동하는 가이드경로(57)를 만드는데, 상기 가이드경로(57)는 가이드입구(57a)와 가이드채널(57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은 상기 가이드경로(57)의 입구부인 가이드입구(57a)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40)가 상기 제1커넥터(C1)에서 돌출되는 상향으로 경사진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은 제1커넥터(C1)가 제2커넥터(C2) 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서 점점 높이가 높아진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제1가이드면(57d1)을 따라 점점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입구(57a)는 상기 결합입구(56a) 보다 폭이 넓다. 이것은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가 결합돌기(46)의 이동길이 보다 길기 때문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입구(57a)에서 연장되는 가이드채널(57b)의 폭도 결합채널(56b) 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7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은 대략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타고 넘을 때, 상기 가이드돌기(47)와 상기 제1가이드면(57d1) 사이가 면접촉되지 않고 선접촉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7)와 상기 제1가이드면(57d1) 사이의 접촉면적이 적게 만들어지고,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입구(57a)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면(57d1)은 상기 가이드돌기(47)를 안내하여 상기 레버(40)가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하는데,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은 곡면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상기 제1가이드면(57d1)에 선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캠(57d)의 상기 제1가이드면(57d1)과 상기 제2가이드면(57d2) 사이에는 단턱부(57d')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57d')는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형성하는 곡면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57d')는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돌기(47)와 접촉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단턱부(57d')를 타고 넘어 상기 가이드채널(57b) 안쪽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단턱부(57d')는 상기 가이드돌기(47)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스토퍼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단턱부(57d')는 곡면이 아니라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캠(57d)의 제2가이드면(57d2)은 상기 제1가이드면(57d1)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경로(57)의 가이드채널(57b)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채널(57b)은 상기 레버(40)가 눌려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상기 가이드채널(57b)의 한쪽을 구성하는 상기 제2가이드면(57d2)을 누르면서 이동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상기 결합돌기(46)와 마찬가지로 제2커넥터(C2)를 제1커넥터(C1)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이드면(57d2)의 끝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안착되는 안착홈(57c)이 있다. 상기 안착홈(57c)은 가이드채널(57b)의 끝부분에서 연장되는데, 레버(40)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안착홈(57c)은 상기 가이드채널(57b)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면, 상기 가이드돌기(47)는 두 커넥터(C1,C2)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걸릴 수 있고, 두 커넥터(C1,C2)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커넥터(C2)의 제1장착부(53)에는 제2스페이서(60)가 조립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60)는 상기 제2장착부(53)에 삽입되면 상기 제2터미널홀(54)에 수납되어 있는 제2터미널을 걸어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스페이서(60)에는 제1관통홀(62)들이 있어서 제2터미널을 통과시켜줄 수 있지만, 상기 제2장착부(53)에 끼워지는 깊이에 따라 상기 제2터미널의 한쪽과 간섭되어서 제2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63은 장착돌기로, 제1스페이서(30)의 장착돌기(33)와 같은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보면, 상기 제2커넥터(C2)에는 정렬수단(70)이 조립된다. 상기 정렬수단(70)은 제2터미널을 정렬해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렬수단(70)의 플레이트몸체(71)에는 다수개의 정렬홀(72)들이 있다. 상기 정렬수단(70)은 상기 제2커넥터(C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1커넥터(C1)가 제2커넥터(C2) 방향으로 조립되면, 제1커넥터(C1)에 밀려 후퇴할 수 있다. 상기 정렬수단(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례를 이용하여 두 커넥터(C1,C2)를 서로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가 서로 조립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레버(40)의 조립돌기와 가이드돌기(47)가 잘 보이도록 도 7 내지 도 10은 단면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을 보면,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의 조립초기 위치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40)가 상기 제1커넥터(C1)에 눌려 있는 상태, 즉 결합위치에 있다. 따라서 레버(40)를 누르기 위한 준비위치인 초기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레버(40)는 두 커넥터(C1,C2)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레버(4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도 7에서 보듯이, 두 커넥터(C1,C2)가 서로 가까워지면, 레버(40)의 가이드돌기(47)가 먼저 가이드경로(57)의 입구, 즉 가이드입구(57a)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는 결합돌기(46)가 아직 결합경로(56)에 삽입되기 전이다. 상기 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입구(57a)에 위치하면, 상기 가이드돌기(47)의 전면에 있는 경사면(47a)이 상기 제2커넥터(C2)의 가이드캠(57d)을 구성하는 제1가이드면(57d1)에 닿는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두 커넥터(C1,C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47)의 경사면(47a)은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타고 이동하는데,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위쪽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제1커넥터(C1)가 제2커넥터(C2) 방향인 화살표 ①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돌기(47)는 제1가이드면(57d1)을 타고 화살표 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두 커넥터(C1,C2)는 판넬(P)의 구멍(PH)에 가고정된 상태이므로, 레버(40)만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가이드돌기(47)가 제1가이드면(57d1)을 타고 어느 정도 이동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47)와 선접촉하면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면(57d1)과 상기 제2가이드면(57d2) 사이에 있는 단턱부(57d')는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형성하는 곡면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이어서 상기 가이드돌기(47)는 단턱부(57d')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돌기(47)의 이동과정에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타고 넘어 레버(40)가 초기위치로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에 안내되면 상기 레버(40)가 상기 제1커넥터(C1)에서 돌출되어 초기위치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결합채널(56b)의 입구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돌기(47)가 상기 가이드캠(57d)의 상기 제1가이드면(57d1)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돌기(47)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캠(57d)의 상기 제1가이드면(57d1)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채널(57b)의 입구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40)를 도 9의 화살표 ③방향으로 눌러도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제1결합면(56d1)을 따라 다시 원위치되거나, 가이드돌기(47)가 제1가이드면(57d1)을 타고 다시 원위치될 염려가 없다.
작업자가 레버(40)를 누르면,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결합채널(56b)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결합채널(56b)의 한쪽을 형성하는 제2결합면(56d2)을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도 10의 화살표 ④, ④'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47)도 상기 제2가이드면(57d2)을 눌러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47)도 결합돌기(46)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는 서로 완전히 조립될 수 있는데, 두 커넥터(C1,C2)를 조립할 때 가장 많은 힘이 필요한 마지막 부분에서 레버(40)의 도움을 받으면 조립을 위한 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0)가 완전히 눌리면,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결합홈(56c)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돌기(47)는 상기 안착홈(57c)에 안착된다. 따라서 레버(40)는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두 커넥터(C1,C2)를 분리하는 과정은 이와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40)를 제1커넥터(C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결합돌기(46)가 상기 결합채널(56b)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커넥터(C2)를 제1커넥터(C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커넥터(C1)와 제2커넥터(C2)는 어느 정도 서로 멀어지면서 분리될 수 있는데, 두 커넥터(C1,C2)를 분리할 때 가장 많은 힘이 필요한 분리초기에 레버(40)의 도움을 받으면 분리를 위한 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20: 제1하우징 25: 레버이동공간
30: 제1스페이서 40: 레버
41: 연결몸체 43: 작동몸체
44: 조립후크 45: 조립턱
46: 결합돌기 47: 가이드돌기
50: 제2하우징 51: 결합공간
56: 결합경로 56a: 결합입구
56b: 결합채널 56c: 결합홈
56d: 결합캠 56d1: 제1결합면
56d2: 제2결합면 57: 가이드경로
57a: 가이드입구 57b: 가이드채널
57c: 안착홈 57d: 가이드캠
57d1: 제1가이드면 57d2: 제2가이드면
60: 제2스페이서 70: 정렬수단
C1: 제1커넥터 C2: 제2커넥터
P: 판넬

Claims (16)

  1.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레버이동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이동공간에 끼워져 상기 레버이동공간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상대커넥터의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상대커넥터의 결합캠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캠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먼저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캠의 결합채널 입구에 위치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버의 동일표면 상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조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결합돌기 보다 상기 상대커넥터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의 제1가이드면에 접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형상인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의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캠의 상기 제1가이드면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채널의 입구에 위치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결합방향 폭을 증가시키는 강화부가 구비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직선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가 있고, 상기 결합돌기에서 상기 상대커넥터를 향한 전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후단은 상기 평면부의 말단 보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조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대커넥터에서 먼 위치에 있는 레버타입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레버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레버의 표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가 초기위치로 돌출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캠의 제1결합면을 타고 넘어 결합채널의 입구에 위치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10.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레버이동공간에는 레버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져 상기 레버이동공간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조립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에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상기 제2커넥터의 가이드캠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캠에 안내되는 결합돌기가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캠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먼저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커넥터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버의 동일표면 상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결합캠과 상기 가이드캠에는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커넥터조립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의 입구부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면은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여 상기 레버가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1가이드면은 곡면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면에 선접촉되는 커넥터조립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에는
    상기 가이드캠의 입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가이드면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캠에 가이드채널을 형성하는 제2가이드면;이 포함되며,
    상기 제2가이드면의 끝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있는 커넥터조립체.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캠에는
    상기 결합캠의 입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제1결합면;과
    상기 제1결합면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캠에 결합채널을 형성하는 제2결합면;이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어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채널의 입구에 위치되는 커넥터조립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의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곡면 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의 단턱부가 있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접촉되지 않는 커넥터조립체.
  16.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레버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커넥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이동공간에 끼워져 상기 레버이동공간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가이드돌기와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된 레버;와
    상기 제1커넥터와 조립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에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각각 끼워지는 가이드캠 및 결합캠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캠에 안내되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먼저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캠에 안내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200112225A 2020-09-03 2020-09-03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245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25A KR102455573B1 (ko) 2020-09-03 2020-09-03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25A KR102455573B1 (ko) 2020-09-03 2020-09-03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32A KR20220030632A (ko) 2022-03-11
KR102455573B1 true KR102455573B1 (ko) 2022-10-17

Family

ID=8081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25A KR102455573B1 (ko) 2020-09-03 2020-09-03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5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48Y1 (ko) * 2008-02-15 201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52247Y1 (ko) * 2009-07-21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214847B1 (ko) * 2011-04-13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KR101304942B1 (ko) 2011-12-29 2013-09-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2355948B1 (ko) * 2016-08-24 2022-01-2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32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574B2 (en) Connector with detecting member
US7537469B2 (en) Lever-fitting type connector
US20120225587A1 (en) Connector
US11052789B2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s
JP201409926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7154563B (zh) 连接器
KR101032878B1 (ko) 커넥터 조립체
JP2003007390A (ja) コネクタ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KR102455573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A2543391C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US8297993B2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mate-assist device
US10550877B2 (en) Cable joint and cable operation mechanism including the same
KR101048462B1 (ko) 커넥터
KR20140016819A (ko) 커넥터
JP2009026590A (ja) コネクタ
US20150147902A1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JP4965374B2 (ja) コネクタ用電線カバーの取付構造
JP4577201B2 (ja) コネクタ
KR101150479B1 (ko)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
KR20150115640A (ko) 커넥터
KR20100070843A (ko) 커넥터어셈블리
JP3203710U (ja) 脱着利便式スクレーパー付きリニアガイドウェー
KR20210064553A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JP521787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