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46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462B1
KR101048462B1 KR1020080102123A KR20080102123A KR101048462B1 KR 101048462 B1 KR101048462 B1 KR 101048462B1 KR 1020080102123 A KR1020080102123 A KR 1020080102123A KR 20080102123 A KR20080102123 A KR 20080102123A KR 101048462 B1 KR101048462 B1 KR 10104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inner housing
recepta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235A (ko
Inventor
다카코 아사리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2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60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90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5410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01R13/4365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조립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외부 하우징(10)은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12)을 포함하고, 이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에는 접속 공간(14)이 형성된다. 단자 피팅(50)을 유지하는 내부 하우징(20)이 리셉터클(12)에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10)에 조립되며, 접속 공간(14)에 끼워 넣어진다. 내부 하우징(20)이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셉터클(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셉터클(12)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리브(28a 내지 28d)가,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04-139758호에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에 있어서 탭 후방에 있는 부분은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수용 챔버에 수용되고, 탭은 내부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외부 하우징은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이 리셉터클의 후방 단부에는 내부 하우징이 끼워 넣어지는 접속 공간이 형성된다.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조립할 때, 내부 하우징은 전방으로부터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접속 공간에 끼워 넣어진다.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에서, 탭은 리셉터클에 의해 둘러쌓여 보호를 받는다.
전술한 커넥터에서, 단자의 수가 적고 내부 하우징이 리셉터클보다 작다면, 리셉터클의 후방측에 있는 접속 공간은 리셉터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하우징이 외부 하우징에 조립되었을 때,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과 리셉터클의 내주면 사이에는 큰 간격이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이 끼워 넣어지는 접속 공간은 사출 노즐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전방으로부터 살펴보기가 곤란 하므로, 내부 하우징을 접속 공간에 성공적으로 끼워 넣을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06-185759호에는,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부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하우징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단자 피팅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립되고, 단자 피팅의 삽입 조작을 허용하는 부분 잠금 위치와 단자 피팅과 맞물려 단자 피팅을 구속하는 완전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자 피팅이 전술한 타입의 커넥터에 삽입되므로, 커넥터를 단자 피팅 삽입 장소로 이송할 때 리테이너는 부분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전술한 종래의 커넥터에서, 부분 잠금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는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우징에 깊이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커넥터를 단자 피팅 삽입 장소로 이송하는 동안에 리테이너의 외면이 다른 커넥터 등에 의해 밀려서 리테이너가 완전 잠금 위치로 밀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가 완전 잠금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커넥터가 단자 피팅 삽입 장소로 이송되는 경우, 단자 피팅을 삽입하기 전에, 리테이너를 부분 잠금 위치로 되돌려 놓는 가외 작업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커넥터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후방 단부에 접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을 갖는 외부 하우징과,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유지하고, 리셉터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접속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 상태로 외부 하우징과 조립되는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내부 하우징이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셉터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셉터클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리브가,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리셉터클에 삽입된 내부 하우징은, 리브가 리셉터클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위치 설정되므로, 내부 하우징은 접속 공간에 신뢰 가능하게 끼워 넣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는 내부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된다.
리브는 내부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내부 하우징이 조립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조립성이 개선되며, 그에 따라 커넥터의 전반적인 조작성이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과 맞물려서 이들 단자 피팅을 구속할 수 있는 리테이너가, 그 일부분이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고,
내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리테이너의 일부분의 외면은 리셉터클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은 리브뿐만 아니라 리테이너를 이용하여 위치 설정되므로, 내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리브의 수가 줄어들 수 있고, 그 결과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내부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2개의 외면을 갖는 블럭 형상이고,
리브는 내부 하우징의 2개의 외면 중 하나에 형성되며,
리테이너는 내부 하우징의 2개의 외면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한다.
내부 하우징의 방위는 리브 및 리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쉽게 판별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틀린 방위를 취하고 있는 내부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의 내주면은, 2개의 반원형 면을 실질적으로 평 행한 2개의 평탄면으로 연결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을 실질적으로 갖고,
리테이너는 평탄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내부 하우징의 2개의 외면 중에서 리테이너가 돌출하는 외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리고
내부 하우징에는, 리테이너 돌출측에 있는 반원형 면의 4분원 영역과 리테이너 돌출측의 대향측에 있는 반원형 면의 4분원 영역에 각각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반원형 면 각각에 대한 2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의 내주면이 2개의 반원형 면을 평행한 2개의 평탄면으로 연결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을 실질적으로 갖고, 리테이너는 실질적으로 평탄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내부 하우징의 2개의 외면 중에서 리테이너가 돌출하는 내부 하우징의 외면에 리브가 형성되지 않으면,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사이의 조립 공차가 큰 경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은 평탄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리셉터클에 대해 요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리브는 리테이너 돌출측에 있는 반원형 면의 4분원 영역과 리테이너 돌출측의 대향측에 있는 반원형 면의 4분원 영역에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반원형 면을 이루는 2개의 4분원 영역에 2개의 리브가 접촉하게 되는 방향들은, 평탄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평탄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부 하우징 및 리테이너의 백래쉬(backlash)가 일어날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하우징과,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하우징에 조립된 리테이너는, 단자 피팅의 삽입 조작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단자 피팅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을 구속하는 제2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리테이너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은,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방향과 단자 피팅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방향 모두에 교차하는 것인 커넥터가 또한 제공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조립된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 혹은 제1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 혹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의 전반적인 조작성이 개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단자 피팅, 그리고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에 조립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하우징에 조립된 리테이너는, 단자 피팅의 삽입 조작을 허용하는 (바람직한 제1 위치로서의) 부분 잠금 위치와, 단자 피팅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을 구속하는 (바람직한 제2 위치로서의) 완전 잠금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와 완전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은,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방향과 단자 피팅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방향 모두에 교차한다.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이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방향에 교차하므로, 리테이너의 외면에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할 가능성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수용 공간이 하우징에 형성되고,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테이너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에 조립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형상의 개구가 마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제1 위치(부분 잠금 위치)와 제2 위치(완전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리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제1 위치(부분 잠금 위치)와 제2 위치(완전 잠금 위치) 사이에서 안내되므로, 리테이너는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넥터의 전반적인 조작성이 개선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의 길이가 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고, 및/또는
리테이너가 제1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는, 리테이너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부가, 하우징의 외면보다 제2 위치측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의 길이가 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고,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는,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부가, 하우징의 외면보다 완전 잠금 위치측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는,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부가 하우징의 외면보다 완전 잠금 위치측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외부 물체가 리테이너를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하더라도, 이 외부 물체는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부에 직접 접촉하지 못한다. 따라서, 부분 잠금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가 외부 물체의 간섭으로 인해 완전 잠금 위치로 밀릴 가능성이 없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조립된 리테이너와 맞물려서 하우징으로부터 리테이너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속부가 하우징에 형성된다.
리테이너는 구속부의 잠금 작용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된 채로 유지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와 맞물려서 리테이너를 제1 위치(부분 잠금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잠금부(부분 잠금부)와, 리테이너와 맞물려서 리테이너 를 제2 위치(완전 잠금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제2 잠금부(완전 잠금부)가 상기 구속부에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에 제1 혹은 부분 잠금부와 제2 혹은 완전 잠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혹은 부분 잠금부 및/또는 제2 혹은 완전 잠금부가 구속부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과, 이 내부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공간은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단자 피팅이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과, 이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수용 공간은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에 형성되며, 그리고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있는 수용 공간의 개구 영역이 외부 하우징에 의해 덮인다.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 즉 리테이너의 외면에 있는 수용 공간의 개구 영역이 외부 하우징에 의해 덮이므로, 외부 물질의 리테이너에 대한 간섭이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에 조립되는 리테이 너의 외면은,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1 위치(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제2 위치(완전 잠금 위치)로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영역을 구비하는 미끄럼 접촉면의 역할을 하며,
미끄럼 접촉면을 외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하면서, 리테이너가 제1 위치(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제2 위치(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되거나 혹은 이동될 수 있다.
미끄럼 접촉면이 외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실현되는 안내 기능에 의해, 리테이너는 제1 혹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제2 혹은 완전 잠금 위치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에 하나 이상의 조작부가 형성되며, 이 조작부는 내부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혹은 이 전방면 부근에서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부터, 외부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jig)가 조작부와 맞물린다.
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에 조작부가 형성되며, 이 조작부는 내부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전방으로부터 외부 하우징에 삽입되는 지그가 조작부와 맞물린다.
전방으로부터 외부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지그를 조작부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리테이너는 제1 혹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제2 혹은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이 부가적인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종래의 것에 비해 조작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양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커넥터는,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을 조립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 하우징(1), 이 커넥터 하우징(1)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50), 및 내부 하우징(20)에 장착되어 단자 피팅(50)을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30)를 구비한다.
외부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상인) 단자 수용부(11)와 이 단자 수용부(11)의 외주연부로부터 또는 이 외주연부 부근에서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12)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후방 캐비티(13)가 단자 수용부(11)에서 하나 이상의 단(段)에 형성되고, 단자 수용부(11)를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단자 수용부(11)의 전방 단부면]을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외부 하우징(10)에 접속 공간(14)이 형성된다. 접속 공간(14)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를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하 고, 후방 캐비티(13) 중 일부 혹은 전체가 개구를 접속 공간(14)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한다. 접속 공간(14)은 수직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단자 수용부(11)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혹은 둥근 (좌우) 한쌍의 측방면(15)과,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한쌍의 측방면(15)의 상단에 매끄럽게 연속해 있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1 평탄면(17a), 그리고 제1 평탄면(17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한쌍의 반원형 측방면(15)의 하단에 매끄럽게 연속해 있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2 평탄면(17b)을 포함한다. 각각의 반원형 측방면(15)은, 상반부의 일부분을 구성 혹은 형성하는 (리테이너 돌출측에 대향하는 측에 있는 바람직한 4분원 영역으로서의) 실질적으로 4분원 형태인 제1의 4분원 영역(16a)과, 하반부의 일부분을 구성 혹은 형성하는 (리테이너 돌출측에 있는 바람직한 4분원 영역으로서의) 실질적으로 4분원 형태인 제2의 4분원 영역(16b)으로 이루어진다. 두 평탄면(17a, 17b) 사이의 거리가 접속 공간(14)의 수직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평판면(17a, 17b)의 측방 치수가 접속 공간(14)의 측방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전체적으로 보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상인) 하우징 본체(21)와 이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혹은 이 후방 단부면의 부근에서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상인) 피팅부(22)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피팅부(22)의 수직 치수가 하우징 본체(21)의 수직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피팅부(22)의 측방 치수가 (또한) 하우징 본체(21)의 측방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피팅부(22)가 하우징 본체(21)의 수직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및/또는 피팅부의 하면이 하우징 본체(21)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또한, 이러한 피팅부(22)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측방 중심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전방 캐비티(23)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그리고 하나 이상의 후방 캐비티(13) 각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되도록,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된다. 전방 캐비티(23)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 본체(21)[내부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전방 캐비티(23)의 후방 단부는 그 형성 위치에 따라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면에 혹은 피팅부(22)의 후방 단부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전후 방향으로 높이차가 있고 리테이너(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단의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슬릿 형상인 수용 공간(24)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면을 따라 모든 전방 캐비티(23)와 실질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위치로부터 아래로 혹은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내부 하우징(20)에 조립된 리테이너(30)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의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구속부(25)가,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의 전방 단부 에지에 형성된다. 구속부(25)는 그 하단부가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옆에서[내부 하우징(20)의 외부 하우징(10)에 대한 조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구부 러져 있거나 L자 형상이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잠금용 돌출부(26)가 각 구속부(25)의 후방 돌출부의 측방면에 혹은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의 측방(혹은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는, 내부 하우징(20)의 조립 방향 및 평탄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면(27)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측방면 혹은 상면[내부 하우징(20)의 외면]에는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가 바깥쪽으로 혹은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된다.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 리브(28a)는 하우징 본체(21)의 좌측 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제2 리브(28b)는 하우징 본체(21)의 측방 중심에 위치하며, 제3 리브(28c)는 하우징 본체(21)의 우측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리브(28a)의 폭이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의 폭보다 크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리브(28b)의 폭과 제3 리브(28c)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리브(28a)의 상면 중에서 실질적으로 좌측 절반 영역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져 있고, 반원형 측방면(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아치형 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좌측 및/또는 우측) 측방면(들)[내부 하우징(20)의 외면(들)]에는 제4 리브(28d), 제 5 리브(28e), 제6 리브(28f) 및 제7 리브(28g)가 옆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4 리브(28d), 제5 리브(28e), 제6 리브(28f) 및 제7 리브(28g)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4 리브(28d)는 하우징 본체(21)의 좌측면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제5 리브(28e)는 하우징 본체(21)의 좌측면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6 리브(28f)는 하우징 본체(21)의 우측면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제7 리브(28g)는 하우징 본체(21)의 우측면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 리브(28d), 제5 리브(28e), 제6 리브(28f) 및 제7 리브(28g) 각각의 돌출 단부면은, 반원형 측방면(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아치형 면이다.
리테이너(3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내부 하우징(20)의 조립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 및/또는 격자 형상인) 본체(31)와, 본체(31)의 측방 단부 에지 혹은 하단부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조립 방향에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인) 연장부(32)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본체(31)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전방 캐비티(2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33)이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 구멍(33)의 내주면에는 혹은 이 내주면 상에는 단자 피팅(50)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속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판형 연장부(32)의 전방 단부면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리세스(35)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 부근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움푹 들어가 있다. (바람직한 제1 홈으로서의) 부분 잠금용 홈(36)과 (바람직한 제2 홈으로서의) 완전 잠금용 홈(37)이, 각 리세스(35)에 (바람직하게는 각 리세스의 천장면에) 좌우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형 연장부(32)의 상면의 서로 대향하는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는 실질적으로 내부 하우징(20)의 조립 방향 및 평탄면(17a, 17b)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안내 가능면(38)의 역할을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조작부(39)가 판형 연장부(32)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의 하나 이상의 위치로부터, 특히 좌우 방향으로 리세스(들)(35)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판형 연장부(32) 및/또는 조작부(들)(39)의 하면(들)은 미끄럼 접촉면(40)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미끄럼 접촉면(40)의 서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는 반원형 측방면(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아치형 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미끄럼 접촉면(40) 중에서 아치형 면 사이에 있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제2 평탄면(17b)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자 피팅(50)은 수형 단자 피팅인데, 이 수형 단자 피팅은 바람직하게는 전반적으로 전후 방향[내부 하우징(20)의 외부 하우징(10)에 대한 조립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가늘고 긴 것이고, 박스부(51), 이 박스부(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탭(52), 및 박스부(51)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부(53)를 포함하는] 와이어 접속부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와이 어는 와이어 접속부에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부(53)에] 전기 접속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커넥터의 조립시에, 리테이너(30)는 우선 본체(31)가 수용 공간(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지도록 내부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과정에서, 리세스(35)의 상벽은 일시적으로 구속부(25)를 전방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장착된 리테이너(30)는 부분 잠금용 홈(들)[제1 홈(들)](36)과 잠금용 돌출부(들)(26)의 맞물림에 의해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되어, [완전 잠금 위치 혹은 제2 위치(2P)를 향하는] 상대적인 측방 운동을 일으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1P)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31)가 수용 공간(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지고, 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2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전후 방향의 상대적 변위 및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리테이너(30)의 하나 이상의 안내 가능면(38)은 내부 하우징(20)의 가이드 면(27)에 측방에서 혹은 아래로부터 혹은 안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면접촉하게 되고, 및/또는 내부 하우징(20)의 구속부(25)의 후방 돌출부는 리세스(35)의 상벽에 측방에서 혹은 아래로부터 혹은 안쪽으로부터 맞물리며, 이로 인해 리테이너(30)의 내부 하우징(20)에 대한 수직 방향의 상대적 변위가 방지된다. 또한, 리테이너(30)의 하단부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인) 연장부(32)는, 내부 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21)의 측방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그 후에,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20)은, 외부 하우징(10)에 조립된다. 조립시에, 내부 하우징(20)은 전방으로부터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의 상면(돌출 단부면)은,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2)의 제1 평탄면(17a)에 아래로부터 면접촉한 채로 유지되면서, 제1 평탄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및/또는 제1 리브(28a)의 실질적인 좌측 절반 영역은 좌측에 있는 제1의 4분원 영역(16a)의 상단부에 실질적으로 아래로부터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30)의 하면에 있는 미끄럼 접촉면(40)이, 실질적으로 제2 평탄면(17b)에 위로부터 혹은 안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채로 유지되면서, 실질적으로 제2 평탄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제4 리브(28d)의 돌출 단부면은, 실질적으로 좌측의 제1의 4분원 영역(16a)에 우측 아래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채로 비스듬하게 유지되면서, 실질적으로 좌측의 제1의 4분원 영역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5 리브(28e)의 돌출 단부면은, 실질적으로 좌측의 제2의 4분원 영역(16b)에 우측 윗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채로 비스듬하게 유지되면서, 좌측의 제2의 4분원 영역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제6 리브(28f)의 돌출 단부면은, 실질적으로 우측의 제1의 4분원 영역(16a)에 좌측 아래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채로 비스듬하게 유지되면서, 실질적으로 우측의 제1의 4분원 영역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및/또는 제7 리브(28g)의 돌출 단부면은, 실질적으로 우측의 제2의 4분원 영역(16b)에 좌측 윗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채로 비스듬하게 유지되면서, 우측의 제2의 4분원 영역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내지 제7 리브(28a 내지 28g)는 이러한 방식 으로 리셉터클(12)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20)은, 조립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운동의 발생이 방지되면서, 리셉터클(12)에 위치 설정된다.
내부 하우징(20)이 리셉터클(12)의 후방측을 향해 끼워질 때, 피팅부(22)가 접속 공간(14)에 끼워 넣어진다. 이때, 내부 하우징(20)은 리셉터클(12)에 수직 및/또는 좌우 방향에 관하여 위치 설정되므로, 피팅부(22)는, 피팅부(22)의 주연부가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서 접속 공간(14)의 개구 에지와 간섭을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접속 공간(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내부 하우징(20)이 실질적인 적정 조립 위치에 도달한 경우, 하우징 본체(21)의 후방면은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바람직하게는 전방 한계 위치에서 정지되고, 내부 하우징(20)은 피팅부(22)의 외주면과 접속 공간(14)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또는 도시되지 않은 잠금 수단에 의해 외부 하우징(10)에 조립된 채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1)이 구성되거나 조립된다.
내부 하우징(20)과 외부 하우징(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전방 캐비티(23)와 후방 캐비티(13)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자 피팅(5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리테이너(30)는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므로, 관통 구멍(33)의 하나 이상의 구속부(34)는 단자 피팅(50)을 위한 전방 캐비티(23)의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들어가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자 피팅(50)은 각각의 후방 캐비티(13)에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혹은 삽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이 실질적인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한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리셉터클(1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쌓이게 되며, 박스부(51)는 전방 캐비티(23) 내에 위치한다. 적절하게 삽입된 단자 피팅(50)은 잠금 랜싯의 1차적인 잠금 작용에 의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단자 피팅(5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 지그 등을 이용하여, 측방 압박력을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된 리테이너(30)의 조작부(39)에 인가하면, 리테이너(30)는, 리테이너의 미끄럼 접촉면(40)이 제2 평탄면(17b)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 방향(MD)을 따라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로 움직이거나 변위되고,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30)가 완전 잠금용 홈(들)(37)과 잠금용 돌출부(들)(26)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에 유지된다. 리테이너(30)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리테이너(30)의 구속부(34)는 전방 캐비티(2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후퇴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50)에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의 박스부(51)의 측방 에지에] 맞물린다. 단자 피팅(50)은 박스부(51)에 있어서의 구속부(34)의 2차적인 잠금 작용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구속 및 잠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7 리브(28a 내지 28g)가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20)은, 조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리셉 터클(12)에 대해 상대적인 변위를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면서, 리셉터클(12) 내에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0)의 피팅부(22)는 접속 공간(14)에 신뢰 가능하게 끼워 넣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내지 제7 리브(28a 내지 28g)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내부 하우징(20)이 조립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20)에 장착된 리테이너(30)의 외면은 내부 하우징(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내부 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한 리테이너(30)의 돌출부의 외면[미끄럼 접촉면(40)]은 리셉터클(12)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하우징(20)이 제1 내지 제7 리브(28a 내지 28g)뿐만 아니라 리테이너(30)를 이용하여 위치 설정되므로,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되는 리브의 수가 줄어들 수 있고, 그 결과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21)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외면(상면 및 하면)을 갖는 블럭 형상이며, 하우징 본체(21)의 상면 및 하면 중에서, 상면에는 제1 내지 제3 리브(28a 내지 28c)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리테이너(30)가 배치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0)의 수직 방위는 제1 내지 제3 리브(28a 내지 28c) 및 리테이너(3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쉽게 판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직 방향으로 뒤집힌 틀린 방위를 취하고 있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삽입할 가능성은 없거나 거의 없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은 바람직하게는 좌우 2개의 반원형 측방면(15)을 상하 2개의 평행한 평탄면(17a, 17b)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을 갖고, 실질적으로 리테이너(30)는 아래쪽에 있는 제2 평탄면(17b)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하우징 본체(21)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리테이너(30)가 돌출하는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에는, 리셉터클(12)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리브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드에서, 내부 하우징(20)과 리테이너(30) 사이의 조립 공차가 크고 리테이너(30)가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거리가 짧으면, 내부 하우징(20)과 리테이너(30)는 평탄면(17a, 17b)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리셉터클(12)에 대해 요동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4 내지 제7 리브(28d 내지 28g)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돌출측에 있는 반원형 측방면(15)의 제2의 4분원 영역(16b) 및 실질적으로 리테이너 돌출측의 대향측에 있는 반원형 측방면(15)의 제1의 4분원 영역(16a)에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2개의 리브[제4 리브(28d)와 제5 리브(28e) 혹은 제6 리브(28f)와 제7 리브(28g)]가 하나의 반원형 측방면(15)을 이루는 2개의 4분원 영역(16a, 16b)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방향들이, 평탄면(17a, 17b)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0) 및 리테이너(30)의 리셉터클(12)에 대한 수직 방향 백래쉬가 일어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조립성을 개선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10)은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12)을 포함하고, 이 리셉터클(12)의 후방 단 부에는 접속 공간(14)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을 유지하는 내부 하우징(20)은, 접속 공간(14)에 끼워 넣어지면서,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10)에 조립된다. 내부 하우징(20)이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셉터클(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1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28a 내지 28g)가,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변형례>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리브는 내부 하우징을 리셉터클에 조립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하우징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우징 본체(내부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만 형성되거나 하우징 본체의 전방 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2) 리브는 하우징 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연속 연장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후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3) 리테이너는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수 있고, 내부 하우징은 리브에 의해서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4) 리브는 리테이너가 돌출하는 측에 있는 내부 하우징의 외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5) 본 발명은 리셉터클이 타원 형상 이외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6) 리브는 평탄면에 미끄럼 접촉한 채로 유지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리브가 4개의 4분원 영역에 미끄럼 접촉한 채로 유지되어 있다면, 내부 하우징의 상하 및 좌우 운동은 방지될 수 있다.
(7) 본 발명은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지 않은 타입의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양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커넥터는,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을 조립하는 것에 의해 구성 혹은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1), 이 커넥터 하우징(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50), 및 내부 하우징(20)에 장착되어 단자 피팅(50)을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30)를 구비한다.
외부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상인) 단자 수용부(11)와 이 단자 수용부(11)의 외주연부로부터 또는 이 외주연부에서 또는 이 외주연부 상에서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12)의 통합형 조립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후방 캐비티(13)가 단자 수용부(11) 내에서 혹은 이 단자 수용부에서 하나 이상의 단에 형성되고, 단자 수용부(11)를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단자 수용부(11)의 전방 단부면]을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외부 하우징(10)에 접속 공간(14)이 형성 된다. 접속 공간(14)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를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하고, 후방 캐비티(13) 중 일부 혹은 전체가 개구를 접속 공간(14)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한다. 접속 공간(14)은 수직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두 방향 모두에 대하여) 단자 수용부(11)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은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혹은 둥근 (좌측 및/또는 우측) 한쌍의 측방면(15)과, 이 한쌍의 반원형 측방면(15)의 상단에 매끄럽게 연속해 있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1 평탄면(17a), 그리고 제1 평탄면(17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한쌍의 반원형 측방면(15)의 하단에 매끄럽게 연속해 있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2 평탄면(17b)을 포함한다. 두 평탄면(17a, 17b) 사이의 거리가 접속 공간(14)의 수직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평판면(17a, 17b)의 측방 치수가 접속 공간(14)의 측방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전체적으로 보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상인) 하우징 본체(21)와 이 하우징 본체(2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본체의 후방 단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긴 블럭 형상인) 피팅부(22)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피팅부(22)의 수직 치수가 하우징 본체(21)의 수직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피팅부의 측방 치수가 (또한) 하우징 본체(21)의 측방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피팅부(22)가 하우징 본체(21) 의 수직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피팅부의 하면이 하우징 본체(21)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피팅부(22)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측방 중심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전방 캐비티(23)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그리고 후방 캐비티(1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되도록,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된다. 전방 캐비티(23)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 본체(21)[내부 하우징(20)]의 전방 단부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전방 캐비티(23)의 후방 단부는 그 형성 위치에 따라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면에 혹은 피팅부(22)의 후방 단부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리테이너(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조립하기 위한 수단인 수용 공간(24)이,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수용 공간(24)은 하우징 본체(21)의 측방면 혹은 하면에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단자 피팅(50)을 내부 하우징(20)에 삽입하는 방향(I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윈도우)으로서 형성된다. 리테이너(30)는, 단자 피팅(50)을 상기 수용 공간(24)의 윈도우형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수용 공간(24)에 조립될 수 있다. 수용 공간(24)은 모든 전방 캐비티(23)와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위치로부터) 아래로 혹은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내부 하우징(20)에 조립된 리테이너(30)를 유지하기 위한 수 단의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구속부(25)가,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의 전방 단부 에지에 혹은 그 전방 단부 에지 부근에 형성된다. 구속부(25)의 하나 이상의 하단부는 하나 이상의 구속용 돌출부(25a)의 역할을 하도록 후방으로 돌출하고, 이러한 구속부(25)는 바람직하게는 옆에서[내부 하우징(20)의 외부 하우징(10)에 대한 조립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구부러져 있거나 L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바람직한 부분 잠금부 및 완전 잠금부 혹은 제1 잠금부 및 제2 잠금부로서의) 잠금용 돌출부(26)가 각 구속용 돌출부(25a)의 측방면에 혹은 상면에 형성된다.
수용 공간(24)의 개구 앞에 있는 영역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는, 내부 하우징(20)의 외부 하우징(10)에 대한 조립 방향에 평행하고 리셉터클(12)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바깥쪽 혹은 아래쪽 평탄면(17b)에 평행한 (바람직한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이드 면(27)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면(27)은, 리테이너(30)를 내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상향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및/또는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 사이에서 리테이너(30)가 이동하는 방향(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리테이너(30)는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이동 방향(MD)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면(들)(27)에 의해 안내된다.
실질적으로 수용 공간(24)의 개구의 후방 에지를 따라서 혹은 이 후방 에지 부근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한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9)가,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29)는, 리테이너(30)를 내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상향 방향)과 단자 피팅(50)을 내부 하우징(20)에 삽입하는 방향(ID)(전진 방향) 모두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 사이에서 리테이너(30)가 이동하는 방향(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리테이너(30)는 가이드 리브(29)에 의해 안내되어 부분 잠금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2P) 사이에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상면[내부 하우징(20)의 외면]에는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가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된다. 제1 리브(28a), 제2 리브(28b) 및 제3 리브(28c)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 리브(28a)는 하우징 본체(21)의 좌측 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제2 리브(28b)는 하우징 본체(21)의 측방 중심에 위치하며, 제3 리브(28c)는 하우징 본체(21)의 우측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좌측 및/또는 우측) 측방면들[내부 하우징(20)의 외면들]에는 제4 리브(28d), 제5 리 브(28e), 제6 리브(28f) 및 제7 리브(28g)가 옆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제4 리브(28d), 제5 리브(28e), 제6 리브(28f) 및 제7 리브(28g)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조립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우징 본체(21)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4 리브(28d)는 하우징 본체(21)의 좌측면의 상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하고, 제5 리브(28e)는 하우징 본체(21)의 좌측면의 하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하며, 제6 리브(28f)는 하우징 본체(21)의 우측면의 상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하고, 제7 리브(28g)는 하우징 본체(21)의 우측면의 하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 리브(28d), 제5 리브(28e), 제6 리브(28f) 및 제7 리브(28g) 각각의 돌출 단부면은, 반원형 측방면(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아치형 면이다.
리테이너(3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내부 하우징(20)의 조립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 및/또는 격자 형상인) 본체(31)와, 본체(31)의 하단부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조립 방향에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인) 연장부(32)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본체(31)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전방 캐비티(2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33)이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 구멍(33)(바람직하게는 그 내주면)에는 혹은 그 상에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단자 피팅(50)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속부(34)가 형성되 어 있다. 판형 연장부(32)의 전방 단부면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리세스(35)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 부근의 위치에서 움푹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1 잠금 홈으로서의) 부분 잠금용 홈(36)과 (바람직한 제2 잠금 홈으로서의) 완전 잠금용 홈(37)이, 각 리세스(35)의 천장면에 좌우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 연장부(32)의 상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는 내부 하우징(20)의 외부 하우징(10)에 대한 조립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평탄면(17a, 17b)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하나 이상의 안내 가능면(38)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내 가능면(38)은, 가이드 면(27)과 유사하게, 리테이너(30)를 내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상향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및/또는 부분 잠금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2P) 사이에서 리테이너(30)가 이동하는 방향(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판형 연장부(32)에는, 실질적으로 판형 연장부의 후방 단부 에지[본체(31)의 하단부 에지]를 따라서 혹은 이 후방 단부 에지 부근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 접촉 리브(41)가 형성된다. 이러한 미끄럼 접촉 리브(41)는, 가이드 리브(29)와 유사하게, 리테이너(30)를 내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상향 방향)과 단자 피팅(50)을 내부 하우징(20)에 삽입하는 방향(ID)(전진 방향) 모두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및/또는 부분 잠금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2P) 사이에서 리테이너(30)가 이동하는 방향(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조작부(39)가 판형 연장부(32)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의 하나 이상의 위치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리세스들(35)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조작부에는, 조작부(39)의 전방 단부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작동 구멍(39a)이 형성된다. 전방으로부터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가늘고 긴 지그(도시 생략)의 선단부는, 상기 작동 구멍(39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작동 구멍(39a)에 맞물린 하나 이상의 지그를 조작하면, 리테이너(30)는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 사이에서 이동 방향(MD)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인) 연장부(32) 및 조작부(39)의 하면은 미끄럼 접촉면(40)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끄럼 접촉면(4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들)는 실질적으로 반원형 측방면(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아치형 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미끄럼 접촉면(40) 중에서 아치형 면 사이에 있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제2 평탄면(17b)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끄럼 접촉면(40)은, 하나 이상의 안내 가능면(38)과 유사하게, 리테이너(30)를 내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상향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바람직하 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부분 잠금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2P) 사이에서 리테이너(30)가 이동하는 방향(MD)에 평행하다.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로의 이동 방향(MD)(좌우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30)의 길이는, 내부 하우징(2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짧다. 구체적으로, 각 단자 피팅(50)은 수형 단자 피팅인데, 이 수형 단자 피팅은 전반적으로 전후 방향[내부 하우징(20)의 외부 하우징(10)에 대한 조립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가늘고 긴 것이고, 박스부(51), 이 박스부(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탭(52), 및 박스부(51)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부(53)를 포함하는] 와이어 접속부의 통합형 혹은 일체형 조립체이다. 와이어는 와이어 접속부에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부(53)에] 전기 접속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커넥터의 조립시에, 리테이너(30)는 우선 본체(31)가 수용 공간(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지도록 내부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과정에서, 리세스(35)의 상벽은 일시적으로 구속부(25)를 전방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장착된 리테이너(30)는 부분 잠금용 홈(들)[제1 잠금 홈(들)](36)과 잠금용 돌출부(들)(26)의 맞물림에 의해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어, 바람직하게는 [완전 잠금 위치 혹은 제2 위치(2P)를 향하는] 상대적인 측방 운동을 일으키지 못하게 된다.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31)가 수용 공간(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지고, 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2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전후 방향의 상대적 변위 및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로의 이동 방향(MD)에 있어서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단부(30a)(도 14의 우측 단부)가, 내부 하우징(20)의 우측 외면[리브(28f, 28g)]보다 완전 잠금 위치측(도 14의 좌측)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리테이너(30)가 조립된 상태에서, 리테이너(30)의 안내 가능면(들)(38)은 내부 하우징(20)의 가이드 면(들)(27)에 아래로부터 면접촉하게 맞물리고, 미끄럼 접촉 리브(41)는 가이드 리브(29)에 아래로부터 맞물리며, 및/또는 내부 하우징(20)의 구속부(들)(25)의 구속용 돌출부(들)(25a)는 리세스(들)(35)의 상벽(들)에 아래로부터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30)의 내부 하우징(20)에 대한 수직 방향의 상대적 변위(혹은 조립 방향으로의 움직임)가 방지된다. 또한, 리테이너(30)의 하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있는 판형 연장부(32)[미끄럼 접촉면(40)]는, 내부 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21)의 하면으로부터 혹은 그 부근에서 실질적으로 하향 돌출한다. 또한, 리테이너(3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인) 연장부(32)는 구속부(25)와 가이드 리브(29)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유지되어 위치 설정된다.
그 후에,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20)은, 외부 하우징(10)에 조립된다. 조립시에, 내부 하우징(20)은 전방으로부터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 내지 제7 리브(28a 내지 28g)는,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2)의 내주면에 면접촉한 채로 유지되면서,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20)은, 조립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수직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운동의 발생이 방지되면서, 리셉터클(12)에 위치 설정된다.
내부 하우징(20)이 리셉터클(12)의 후방측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때, 피팅부(22)가 접속 공간(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때, 내부 하우징(20)은 리셉터클(12)에 수직 및/또는 좌우 방향에 관하여 위치 설정되므로, 피팅부(22)는, 피팅부(22)의 주연부가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서 접속 공간(14)의 개구 에지와 간섭을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접속 공간(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내부 하우징(20)이 실질적인 적정 조립 위치에 도달한 경우, 하우징 본체(21)의 후방면은 리셉터클(12)의 후방 단부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바람직하게는 전방 한계 위치에서 정지되고, 내부 하우징(20)은 바람직하게는 피팅부(22)의 외주면과 접속 공간(14)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또는 도시되지 않은 잠금 수단에 의해 외부 하우징(10)에 조립된 채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1)이 구성된다.
내부 하우징(20)과 외부 하우징(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전방 캐비티(23)와 후방 캐비티(13)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자 피팅(5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리테이너(30)는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므로, 관통 구멍(33)의 구속부(34)는 단자 피팅(50)을 위한 전방 캐비티(23)의 삽입 영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들어가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내부 하우징(20)의 하면에 있는 수용 공간(24)의 개구 영역과, 수용 공간(24)의 개구 영역에 노출되어 있는 리테이너(30)의 하면[미끄럼 접촉면(40)]이 리셉터클(12)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은 하나 이상의 후방 캐비티(13) 각각에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단자 피팅(50)이 실질적인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본체(21)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리셉터클(1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쌓이게 되며, 박스부(51)는 전방 캐비티(23) 내에 위치한다. 적절하게 삽입된 단자 피팅(50)은 잠금 랜싯의 1차적인 잠금 작용에 의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모든 단자 피팅(5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 하나 이상의 지그를 이용하여, 측방 압박력을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에 유지된 리테이너(30)의 조작부(39)에 인가하면, 리테이너(30)는, 리테이너의 미끄럼 접촉면(40)이 제2 평탄면(17b)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 방향(MD)으로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로 혹은 완전 잠금 위치를 향해 움직이거나 변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30)가 완전 잠금용 홈(37)과 잠금용 돌출부(26)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된다. 리테이너(30)가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리테이너(30)는 미끄럼 접촉면(40)과 평탄면(17b)의 미끄럼 접촉뿐만 아니라 가이드 면(들)(27)과 안내 가능면(들)(38)의 미끄럼 접촉 및/또는 가이드 리브(들)(29)와 미끄럼 접촉 리브(들)(41)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안내된다.
리테이너(30)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리테이너(30)의 구속부(34)는 전방 캐비티(23) 내에 위치하여, 후퇴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50)에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의 박스부(51)의 측방 에지에] 맞물린다. 단자 피팅(들)(50)은 단자 피팅(들)(5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박스부(들)(51)에 있어서] 구속부(들)(34)의 (바람직하게는 2차적인) 잠금 작용(들)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구속 및 잠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로 이동하는 방향(MD)이 리테이너(30)를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에 교차하므로, 리테이너(30)의 외면에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1P)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2P)로 이동할 가능성이 없다.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1P)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는,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단부(30a)가 내부 하우징(20)의 외면보다 완전 잠금 위치측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외부 물체가 리테이너(30)를 완전 잠금 위치(2P)로 혹은 완전 잠금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하더라도, 이 외부 물체는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단부(30a)에 직접 접촉하게 되지 못한다. 따라서, 부분 잠금 위치(1P)에 있는 리테이너(30)가 외부 물체의 간섭으로 인해 완전 잠금 위치(2P)로 밀릴 가능성이 없다.
내부 하우징(20)에 조립된 리테이너(30)와 맞물려서 리테이너(30)의 내부 하우징(20)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속부(25)가,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테이너(30)는 구속부(25)의 잠금 작용에 의해 내부 하우징(20)에 조립된 채로 유지된다.
잠금용 돌출부(26)는 리테이너(30)와 맞물려서 리테이너(30)를 부분 잠금 위치(1P)에 유지시키기 위한 부분 잠금부의 역할과, 리테이너(30)와 맞물려서 리테이너(30)를 완전 잠금 위치(2P)에 유지시키기 위한 완전 잠금부의 역할을 모두 감당하므로, 내부 하우징(20)의 형상은, 부분 잠금부와 완전 잠금부가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잠금용 돌출부(26)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하우징(20)에 조립된 리테이너(30)의 분리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구속부(25)에 형성되므로, 내부 하우징(20)의 형상은, 부분 잠금부와 완전 잠금부가 구속부(25)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이 내부에 삽입된 내부 하우징(20)이 외부 하우징(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거나 수용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이 형성되고, 리테이너(30)가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 공간(24)에 조립된다.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있는 수용 공간(24)의 개구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하우징(10)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외부 물질의 리테이너(30)에 대한 간섭이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30)를 내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방향과 단자 피팅(50)을 내부 하우징(20)에 삽입하는 방향(ID) 모두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테이너(30)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수단(27, 29)이 내부 하우징(20)에 마련되어 있고, 리테이너(30)는 가이드 수단(27, 29)에 의해 안내되어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1P)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2P) 사이에서 이동된다.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1P)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2P)로 이동하는 방향(MD)이 리테이너(30)의 조립 방향에 교차하므로, 리테이너(30)의 외면에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리테이너(30)가 완전 잠금 위치(2P)로 이동하지 않는다.
<변형례>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방향은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2) 하우징은 2개의 부분, 즉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에 국한되지 않고, 단일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리테이너의 수용 공간은 하우징의 외면에서 노출된다.
(3) 리테이너가 부분 잠금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부가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4) 리테이너의 외면은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수 있다.
(5) 리테이너의 외면이 외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지 않게 되도록, 리테이너가 형성될 수 있다.
(6) 리테이너는 내부 하우징의 전방면에서 노출되면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테이너는 잠금 랜싯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랜싯용 변형 공간에 들어가서 단자 피팅을 구속할 수 있다.
(7) 단자 피팅(들)은 단자 피팅 및/또는 하우징에 추가적인 잠금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서도 리테이너의 작용에 의해서만 커넥터 하우징에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정면도.
도 2는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내부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내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
도 6은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7은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8은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 9는 내부 하우징이 외부 하우징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13은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14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양태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부분 잠금 위치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는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로 유지되어 잇 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16은 내부 하우징이 외부 하우징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9는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로 유지되어 잇는 상태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
도 20은 리테이너가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2는 내부 하우징의 정면도.
도 23은 내부 하우징의 배면도.
도 24는 내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25는 내부 하우징의 저면도.
도 26은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
도 27은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28은 리테이너의 배면도.
도 29는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30은 리테이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하우징(하우징)
10 : 외부 하우징
12 : 리셉터클
14 : 접속 공간
15 : 반원형 측방면
16b : 제2의 4분원 영역(리테이너 돌출측에 있는 4분원 영역)
16a : 제1의 4분원 영역(리테이너 돌출측의 대향측에 있는 4분원 영역)
17a : 제1 평탄면
17b : 제2 평탄면
20 : 내부 하우징
24 : 수용 공간
25 : 구속부
26 : 잠금용 돌출부(부분 잠금부, 완전 잠금부)
27 : 가이드 면(가이드 수단)
28a : 제1 리브
28b : 제2 리브
28c : 제3 리브
28d : 제4 리브
28e : 제5 리브
28f : 제6 리브
28g : 제7 리브
29 : 가이드 리브(가이드 수단)
30 : 리테이너
30a : 부분 잠금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의 단부
39 : 조작부
40 : 미끄럼 접촉면
50 : 단자 피팅

Claims (15)

  1. 후방 단부에 접속 공간(14)이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12)을 갖는 외부 하우징(10)과,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을 유지하고, 리셉터클(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접속 공간(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진 상태로 외부 하우징(10)과 조립되는 내부 하우징(20)
    을 포함하고, 내부 하우징(20)이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셉터클(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셉터클(12)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리브(28a∼28g)가,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28a∼28g)는 내부 하우징(20)을 리셉터클(12)에 조립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 연장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과 맞물려서 이들 단자 피팅을 구속할 수 있는 리테이너(30)가, 그 일부분이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내부 하우징(20)에 장착되고,
    내부 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하는 리테이너(30)의 일부분의 외면은 리셉터클(12)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20)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외면을 갖는 블럭 형상이고,
    리브(28a∼28g)는 내부 하우징(20)의 2개의 외면 중 하나에 형성되며,
    리테이너(30)는 내부 하우징(20)의 2개의 외면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12)의 내주면은, 2개의 반원형 면(15)을 평행한 2개의 평탄면(17)으로 연결한 것에 의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을 갖고,
    리테이너(30)는 평탄면(17)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내부 하우징(20)의 2개의 외면 중에서 리테이너(30)가 돌출하는 외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리고
    내부 하우징(20)에는, 리테이너 돌출측에 있는 반원형 면의 4분원 영역(16b)과 리테이너 돌출측의 대향측에 있는 반원형 면의 4분원 영역(16a)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반원형 면(15) 각각에 대한 2개의 리브(28a∼28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방향(ID)으로 삽입되는 하우징(1)과, 단자 피팅(50)의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30)를 포함하고,
    하우징(1)에 조립된 리테이너(30)는, 단자 피팅(50)의 삽입 조작을 허용하는 제1 위치(1P)와, 단자 피팅(50)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50)을 구속하는 제2 위치(2P)에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리테이너(30)가 제1 위치(1P)와 제2 위치 사이(2P)에서 이동하는 방향(MD)이, 리테이너(30)를 하우징(1)에 조립하는 방향과 단자 피팅(50)을 하우징(1)에 삽입하는 방향(ID) 모두에 교차하는 것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리테이너(30)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수용 공간(24)이 하우징(1)에 형성되고,
    단자 피팅(50)의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리테이너(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24)에 조립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1)에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형상의 개구가 마련되는 것인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1)은, 제1 위치(1P)와 제2 위치(2P) 사이에서 이동하는 리테이너(3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27; 29)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리테이너(30)가 제1 위치(1P)로부터 제2 위치(2P)로 이동하는 방향(MD)에 있어서, 리테이너(30)의 길이가 하우징의 길이(1)보다 짧고, 및/또는
    리테이너(30)가 제1 위치(1P)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는, 리테이너(30)가 제1 위치(1P)로부터 제2 위치(2P)로 이동하는 방향(MD)에 있어서 제1 위치측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단부가, 하우징(1)의 외면보다 제2 위치측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1)에 조립된 리테이너(30)와 맞물려서 하우징(1)으로부터 리테이너(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속부(25)가 하우징(1)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리테이너(30)와 맞물려서 리테이너(30)를 제1 위치(1P)에 유지시키기 위한 제1 잠금부와, 리테이너(30)와 맞물려서 리테이너(30)를 제2 위치(2P)에 유지시키기 위한 제2 잠금부가 구속부(25)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2.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1)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5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20)과, 이 내부 하우징(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10)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용 공간(24)은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되고,
    내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있는 수용 공간(24)의 개구 영역이 외부 하우 징(1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것인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20)에 조립되는 리테이너(30)의 외면은, 하우징(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1 위치(1P)로부터 제2 위치(2P)로의 이동 방향(MD)에 평행한 영역을 구비하는 미끄럼 접촉면의 역할을 하며,
    미끄럼 접촉면을 외부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하면서, 리테이너(30)가 제1 위치(1P)로부터 제2 위치(2P)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리테이너(30)에 하나 이상의 조작부(39)가 형성되며, 이 조작부는 내부 하우징(20)의 전방면으로부터 또는 이 전방면 부근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외부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jig)가 조작부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080102123A 2007-10-19 2008-10-17 커넥터 KR101048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2911A JP4636072B2 (ja) 2007-10-19 2007-10-19 コネクタ
JPJP-P-2007-272911 2007-10-19
JPJP-P-2007-279069 2007-10-26
JP2007279069A JP5125410B2 (ja) 2007-10-26 2007-10-2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235A KR20090040235A (ko) 2009-04-23
KR101048462B1 true KR101048462B1 (ko) 2011-07-12

Family

ID=3996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123A KR101048462B1 (ko) 2007-10-19 2008-10-17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95325B2 (ko)
EP (2) EP2325950B1 (ko)
KR (1) KR101048462B1 (ko)
CN (1) CN1021578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6667B2 (ja) * 2012-10-30 2015-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160034A1 (en) * 2015-04-03 2016-10-0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onnector mounts
CN109155483B (zh) * 2016-05-18 2020-09-22 日本端子株式会社 连接器
CN109728466A (zh) * 2017-10-27 2019-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壳体、对配壳体、连接器壳体组件、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2023023763A (ja) * 2021-08-06 2023-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雄コネクタ及び雄コネクタ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758A (ja) 2002-10-15 2004-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302671A (ja) 2004-04-16 2005-10-27 Fujikura Ltd 電気接続装置
JP2006019065A (ja) 2004-06-30 2006-01-19 Union Machinery Co Ltd コネクタ及び雌雄嵌合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65895C3 (de) * 1967-03-10 1979-03-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Kragensteckvorrichtung in runder Form
JP2789973B2 (ja) 1992-11-06 1998-08-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81476Y2 (ja) * 1993-04-13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336116A (en) * 1993-08-06 1994-08-09 Hubbell Incorporated Male electrical plug assembly with increased electrical creepage distance between contacts
JP3463636B2 (ja) * 1999-12-13 2003-11-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98203B2 (ja) * 2003-09-05 2007-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58686B2 (ja) * 2003-11-21 2008-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ロック構造
DE102004006707A1 (de) * 2004-02-11 2005-09-01 Rexroth Indramat Gmbh Sicherheitssteckverbinder
JP2006185759A (ja) 2004-12-28 2006-07-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758A (ja) 2002-10-15 2004-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302671A (ja) 2004-04-16 2005-10-27 Fujikura Ltd 電気接続装置
JP2006019065A (ja) 2004-06-30 2006-01-19 Union Machinery Co Ltd コネクタ及び雌雄嵌合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7837B (zh) 2014-12-10
EP2051335A2 (en) 2009-04-22
EP2325950A1 (en) 2011-05-25
EP2051335A3 (en) 2009-05-27
EP2051335B1 (en) 2011-09-14
KR20090040235A (ko) 2009-04-23
US20090104808A1 (en) 2009-04-23
US7695325B2 (en) 2010-04-13
EP2325950B1 (en) 2014-07-23
CN102157837A (zh)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4068B2 (ja) コネクタ
JP3872054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95657B1 (ko) 커넥터
KR101652162B1 (ko) 커넥터
KR101048462B1 (ko) 커넥터
JP2003007390A (ja) コネクタ
JP2003007388A (ja) コネクタ
JP4457987B2 (ja) コネクタ
US8784133B2 (en) Connector
JP4636072B2 (ja) コネクタ
JP4316451B2 (ja) コネクタ
US11342710B2 (en) Connector
JP5217974B2 (ja) コネクタ
JP5125410B2 (ja) コネクタ
US10559908B2 (en) Connector
US11757227B2 (en) Connector having rear holder
JP7469175B2 (ja) コネクタ
JP5565184B2 (ja) コネクタ
US20220294149A1 (en) Connector
JP5217975B2 (ja) コネクタ
JP2003031290A (ja) コネクタ
JP2003187895A (ja) コネクタ
JP2003272747A (ja) コネクタ
JP2003045548A (ja) コネクタ
JP201012952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