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6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162B1
KR101652162B1 KR1020140086021A KR20140086021A KR101652162B1 KR 101652162 B1 KR101652162 B1 KR 101652162B1 KR 1020140086021 A KR1020140086021 A KR 1020140086021A KR 20140086021 A KR20140086021 A KR 20140086021A KR 101652162 B1 KR101652162 B1 KR 10165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sliding contact
terminal fitting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015A (ko
Inventor
미츠노리 기타지마
시게토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에 대하여 리테이너가 기울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삽입되는 단자 피팅(30)과, 하우징(10)에 대하여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됨으로써 단자 피팅(30)을 리테이닝하는 리테이너(20)와, 리테이너(20)에서의 하우징(10)에 대한 부착 방향 기단부에 형성되며, 하우징(10)에 로킹함으로써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대한 부착 상태로 유지하는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와, 리테이너(20)에서의 하우징(10)에 대한 부착 방향 선단측에 형성되며,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접촉부(28)와, 하우징(10)에 형성되며,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슬라이딩 접촉부(28)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가이드부(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 내에 단자 피팅을 삽입하고, 하우징 내에 부착한 리테이너에 의해 단자 피팅을 리테이닝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대한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탄성 변형 가능한 유지편을 갖는다. 이 유지편을 하우징에 로킹함으로써,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부착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커넥터는,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2개의 감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감합 수단은, 하우징에 대한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 기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감합되어 있다. 다른쪽의 감합 수단은, 하우징에 대한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 선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감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23078호 공보
상기 2개의 감합 수단 중 하우징에 대한 부착 방향 선단부의 감합 수단은, 한 쌍의 유지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유지편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가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리테이너가 기울어지면 유지편을 정확하게 하우징에 로킹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하우징에 대하여 리테이너가 기울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단자 피팅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단자 피팅을 리테이닝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서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 방향 기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로킹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 상태로 유지하는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와,
상기 리테이너에서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 방향 선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과정에서는, 부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슬라이딩 접촉부가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가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의 기울어짐에 기인하여 탄성 로크 부재와 하우징이 정확하게 로킹되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촉부와 탄성 로크 부재를, 부착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촉부와 탄성 로크 부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완전 로킹 위치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배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리테이너가 부분 로킹 위치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리테이너의 배면도.
도 7은 리테이너의 평면도.
(1)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단자 피팅에 로킹하는 리테이닝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부착 방향 기단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테이너의 부착 과정에서 탄성 로크 부재가 하우징에 로킹될 때에, 조작부를 정확한 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탄성 로크 부재는 정확한 방향으로 유지되어 확실하게 하우징에 로킹된다.
(2)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단자 피팅에 로킹하는 리테이닝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부착 방향 기단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의 돌출 방향이 상기 조작부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와 슬라이딩 접촉부가 본체부로부터 동일한 쪽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와 슬라이딩 접촉부가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교하면, 리테이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10)과, 복수의 단자 피팅(30)과,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너(20)를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 챔버(11)가 상하 2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 챔버(11) 내에는 각각 하우징(10)의 후방(도 3에서의 우측)으로부터 단자 피팅(30)이 삽입되어 랜스(18)의 로킹 작용에 의해 리테이닝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 챔버(11)에 삽입된 단자 피팅(30)은, 후술하는 리테이너(20)의 로킹 작용에 의해서도 리테이닝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그 좌우 양측면에 개구된 부착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우측면에서의 부착 구멍(12)의 개구 영역은, 하우징(10)의 좌측면에서의 부착 구멍(12)의 개구 영역보다 크다. 부착 구멍(12)은, 상하 양단부가 단자 수용 챔버(11)에 연통하는 제1 챔버(13)와, 제1 챔버(13)보다 높이 치수가 작은 제2 챔버(14)와, 제2 챔버(14)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제3 챔버(1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챔버(13)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면까지 연통하고 있다. 제1 챔버(13)의 단면 형상, 즉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에서의 개구 형상은 세로로 긴 사각형이다. 제1 챔버(13) 내에는, 리테이너(20)의 본체부(21)와 리테이닝부(22)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챔버(14)는, 제1 챔버(13)의 후면에 연통하고,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2 챔버(14)의 우측 단부는 하우징(10)의 우측면에 개구되고, 제2 챔버(14)의 좌측 단부는 하우징(10)의 외벽부로 폐색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챔버(14)의 단면 형상, 즉 하우징(10)의 우측면에서의 개구 형상은 세로로 긴 사각형이다. 제1 챔버(13)의 높이 방향 중심과 제2 챔버(14)의 높이 방향 중심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제2 챔버(14)의 상면은, 상단(上段)의 단자 수용 챔버(11)의 저벽부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챔버(14)의 하면은, 하단(下段)의 단자 수용 챔버(11)의 상벽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챔버(14)의 상면과 하면은,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16)로서 기능한다. 가이드부(16)는, 좌우 방향[즉,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제2 챔버(14)에는,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접촉부(28)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3 챔버(15)의 좌우 방향에서의 형성 영역은, 하우징(10)의 우측의 단부에만 한정되어 있다. 제3 챔버(15)는, 제2 챔버(14)의 후면에 연통하고, 하우징(10)의 우측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3 챔버(15) 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20)의 조작부(23)와 탄성 로크 부재(25)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3 챔버(15)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씩의 로킹 돌기(17L, 17R)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측의 로킹 돌기(17L, 17R)와 하면측의 로킹 돌기(17L, 17R)는 상하 대칭의 형태이다. 리테이너(20)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이하, 「부착 방향」이라고 함)과 평행한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본체부(21)를 갖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테이닝부(22)가, 단자 수용 챔버(11)와 대응하도록 좌우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의 하면에도,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테이닝부(22)가, 단자 수용 챔버(11)와 대응하도록 좌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우측 단부에는, 후방[즉,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의 조작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3)는 사각형의 판형을 이루며, 조작부(23)의 우측면은,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부착할 때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기 위한 평탄한 조작면(24)으로 되어 있다. 이 조작면(24)을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부착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해졌다.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에서의 기단부에는,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대하여 부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 수단으로서, 상하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는, 상하 방향[즉,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이면서, 하우징(10)에 대한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두 탄성 로크 부재(25)의 사이의 공간은, 탄성 로크 부재(25)가 리테이너(20)의 부착 과정에서 탄성 변형하기 위한 변형 공간(26)으로 되어 있다. 탄성 로크 부재(25)는, 조작부(23)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탄성 로크 부재(25)의 연장 방향은,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동일한 방향(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탄성 로크 부재(25)의 연장 단부에는, 변형 공간(26)과는 반대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로크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20)에서의 부착 방향 선단측의 영역에는, 상하 한 쌍의 슬라이딩 접촉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접촉부(28)는, 본체부(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좌우 방향[즉,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좌우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접촉부(28)의 형성 영역은, 리테이너(20)[본체부(21)]의 좌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리테이너(20)[본체부(21)]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이르는 범위이다. 슬라이딩 접촉부(28)의 본체부(21)로부터의 연장 방향은, 조작부(23)의 본체부(21)로부터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우징(10)에 단자 피팅(30)을 부착할 때에는, 미리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대하여 부분 로킹 위치에 부착해 놓는다. 부착시에는, 본체부(21)의 좌측 단부를 앞으로 향하게 하여, 하우징(10)의 우측으로부터 리테이너(20)를 부착 구멍(12) 내에 넣는다. 이때, 본체부(21)와 리테이닝부(22)를 제1 챔버(13)에 끼워 넣고, 상하 한 쌍의 슬라이딩 접촉부(28)를 제2 챔버(14)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조작면(24)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리테이너(20)의 부착 공정이 진행되어 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20)의 부착 과정에서는, 상측의 슬라이딩 접촉부(28)의 상면이 상측의 가이드부(16)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측의 슬라이딩 접촉부(28)의 하면이 하측의 가이드부(16)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20)는, 하우징(10)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 및 하우징(10)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규제된다. 따라서, 리테이너(20)는 바른 자세를 유지한 채로 평행 이동한다. 또한, 조작면(24)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23)는, 본체부(21)로부터 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조작면(24)에 부여한 좌측 방향의 압박력에 의해 리테이너(20)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체부(21)가 제1 챔버(13)의 전후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리테이너(20)가 전후로 기울어질 우려는 없다.
그리고, 리테이너(20)의 부착이 진행되면, 조작부(23)와 탄성 로크 부재(25)가 제3 챔버(15) 내에 진입한다. 리테이너(20)가 부분 로킹 위치에 근접하면, 상하 양 탄성 로크 부재(25)의 로크 돌기(27)가 로킹 돌기(17L, 17R)와 간섭하고, 양 탄성 로크 부재(25)가 변형 공간(26) 내에 진입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리테이너(20)가 부분 로킹 위치에 도달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탄성 로크 부재(25)가 탄성 복귀하여 로크 돌기(27)가 좌우에 인접하는 로킹 돌기(17L, 17R)의 사이에 감합된다. 이 로크 돌기(27)와 로킹 돌기(17L, 17R)의 로킹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20)는, 부분 로킹 위치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가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리테이너(20)가 부분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리테이닝부(22)가 단자 피팅(30)에 대하여 우측으로 벗어난 비대응 위치에 있다. 따라서, 각 단자 수용 챔버(11)에는 단자 피팅(30)을 삽입할 수 있다. 모든 단자 수용 챔버(11)에 단자 피팅(30)을 삽입한 후에는, 로킹 돌기(17L, 17R)와 로크 돌기(27)의 로킹력을 상회하는 누름 조작력을 조작면(24)에 부여한다. 그렇게 하면, 탄성 로크 부재(25)가 탄성 변형하고, 리테이너(20)는 부분 로킹 위치로부터 완전 로킹 위치로 이동한다. 리테이너(20)가 완전 로킹 위치로 이동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돌기(27)가 좌측의 로킹 돌기(17L)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로킹되고, 이 로킹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20)가 완전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리테이너(20)가 완전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리테이닝부(22)가 단자 피팅(30)의 각통부(角筒部)(31)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로킹되기 때문에, 이 로킹 작용에 의해 단자 피팅(30)이 리테이닝된다. 따라서, 단자 피팅(30)은, 랜스(18)에 의한 1차 로킹 작용과, 리테이너(20)에 의한 2차 로킹 작용에 의해, 확실하게 리테이닝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리테이너(20)가 부분 로킹 위치로부터 완전 로킹 위치로 이동할 때에도, 슬라이딩 접촉부(28)가 가이드부(16)에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리테이너(20)의 상하로의 기울어짐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하우징(10)에 대하여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부착됨으로써 단자 피팅(30)을 리테이닝하는 리테이너(20)를 구비한다. 리테이너(20)에서의 하우징(10)에 대한 부착 방향 기단부에는, 하우징(10)에 로킹함으로써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대한 부착 상태로 유지하는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20)에서의 부착 방향 선단측에는,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접촉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0)에는, 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슬라이딩 접촉부(28)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가이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테이너(20)를 하우징(1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는, 부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슬라이딩 접촉부(28)가 가이드부(16)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2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확실하게 규제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20)가 기울어짐 규제되는 방향은,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가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 의하면, 리테이너(20)의 기울어짐에 기인하여 탄성 로크 부재(25)와 하우징(10)이 정확하게 로킹되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접촉부(28)와 탄성 로크 부재(25)를, 부착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리테이너(20)의 부착 방향에서의 선단측과 기단부]로 나누어 배치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촉부(28)와 탄성 로크 부재(25)를 형성함에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리테이너(20)는, 단자 피팅(30)에 로킹하는 리테이닝부(22)가 형성된 본체부(21)와, 본체부(21)에서의 부착 방향 기단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의 조작부(23)를 갖는다. 그리고,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는, 조작부(23)로부터 부착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테이너(20)의 부착 과정에서 탄성 로크 부재(25)가 하우징(10)에 로킹될 때에, 조작부(23)를 정확한 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탄성 로크 부재(25)는 정확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25)를 확실하게 하우징(10)의 로킹 돌기(17L, 17R)에 로킹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접촉부(28)는, 본체부(21)로부터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또한 슬라이딩 접촉부(28)의 돌출 방향이 조작부(23)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조작부(23)와 슬라이딩 접촉부(28)가 본체부(21)로부터 동일한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조작부(23)와 슬라이딩 접촉부(28)가 본체부(2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것과 비교하면, 리테이너(2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하고, 가이드부를 홈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슬라이딩 접촉부를 홈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하고, 가이드부를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를 2개 마련했지만, 슬라이딩 접촉부의 수는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조작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탄성 로크 부재를 조작부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했지만, 탄성 로크 부재는, 조작부와는 상이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형태이어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를 본체부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했지만, 조작부는 본체부의 두께 또는 높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와 슬라이딩 접촉부가 본체부로부터 동일한 쪽으로 연장되도록 했지만, 조작부와 슬라이딩 접촉부는,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으로 연장된 형태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6 : 가이드부
20 : 리테이너 21 : 본체부
22 : 리테이닝부 23 : 조작부
25 : 탄성 로크 부재 28 : 슬라이딩 접촉부
30 : 단자 피팅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단자 피팅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단자 피팅을 리테이닝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서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 방향 기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로킹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 상태로 유지하는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와,
    상기 리테이너에서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부착 방향 선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가이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단자 피팅에 로킹하는 리테이닝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부착 방향 기단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탄성 로크 부재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평행하게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단자 피팅에 로킹하는 리테이닝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부착 방향 기단부로부터 부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의 돌출 방향이 상기 조작부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의 돌출 방향이 상기 조작부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086021A 2013-07-26 2014-07-09 커넥터 KR101652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5976 2013-07-26
JP2013155976A JP6124133B2 (ja) 2013-07-26 2013-07-2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015A KR20150013015A (ko) 2015-02-04
KR101652162B1 true KR101652162B1 (ko) 2016-08-29

Family

ID=5233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021A KR101652162B1 (ko) 2013-07-26 2014-07-09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06311B2 (ko)
JP (1) JP6124133B2 (ko)
KR (1) KR101652162B1 (ko)
CN (1) CN104348032B (ko)
FR (1) FR300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1567B (zh) * 2014-09-18 202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Sip信令解密参数的获取方法及装置
JP2016219201A (ja) * 2015-05-19 2016-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70446B2 (ja) * 2016-06-15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09688911B (zh) * 2016-08-31 2022-03-29 尼普洛株式会社 压力测量装置
JP2018125167A (ja) * 2017-02-01 2018-08-09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6898220B2 (ja) * 2017-12-21 2021-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6939530B2 (ja) * 2017-12-26 2021-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180A1 (en) 2001-03-09 2003-03-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3187895A (ja) 2001-12-19 200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060240693A1 (en) 2005-04-22 2006-10-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7234320A (ja) 2006-02-28 2007-09-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272A (ja) * 2001-03-09 2002-09-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2270274A (ja) * 2001-03-09 2002-09-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007388A (ja) * 2001-06-18 2003-01-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200074A (ja) * 2002-12-19 2004-07-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123078A (ja) * 2003-10-17 2005-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739795B1 (en) * 2005-06-30 2007-12-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5189941B2 (ja) * 2008-09-16 2013-04-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10346B2 (ja) * 2011-01-25 2014-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180A1 (en) 2001-03-09 2003-03-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3187895A (ja) 2001-12-19 200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060240693A1 (en) 2005-04-22 2006-10-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7234320A (ja) 2006-02-28 2007-09-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8032A (zh) 2015-02-11
CN104348032B (zh) 2016-12-07
US9306311B2 (en) 2016-04-05
KR20150013015A (ko) 2015-02-04
US20150031230A1 (en) 2015-01-29
JP6124133B2 (ja) 2017-05-10
FR3009138A1 (fr) 2015-01-30
JP2015026537A (ja) 2015-02-05
FR3009138B1 (fr)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162B1 (ko) 커넥터
US9231342B2 (en) Connector
KR101595657B1 (ko) 커넥터
US9887490B2 (en) Connector with erroneous arrangement identifying portion
US943174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extended pushing surface and posture correcting portion
KR100939879B1 (ko) 전기 커넥터
JP5670763B2 (ja) 端子係止構造
JP2018120687A (ja) コネクタ
JP200625301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457987B2 (ja) コネクタ
JP2005216813A (ja) 分割コネクタ
JP2017027678A (ja) コネクタ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US8784133B2 (en) Connector
KR101048462B1 (ko) 커넥터
US10826229B2 (en) Connector with coupling portion
US7717758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and retainer locking surfaces aligned oblique to movement direction of retainer
US11342710B2 (en) Connector
JP2022147894A (ja) コネクタ
US20190267740A1 (en) Connector
KR20200051491A (ko) 슈라우드 래치용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565184B2 (ja) コネクタ
US20220294149A1 (en) Connector
JP202213639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