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78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878B1
KR101032878B1 KR1020090003377A KR20090003377A KR101032878B1 KR 101032878 B1 KR101032878 B1 KR 101032878B1 KR 1020090003377 A KR1020090003377 A KR 1020090003377A KR 20090003377 A KR20090003377 A KR 20090003377A KR 101032878 B1 KR101032878 B1 KR 10103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ulator
lock
supported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173A (ko
Inventor
린타로 가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결합 가능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인슐레이터와 제1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록부는, 금속제이고 또한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록부에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록부를 관통하는 피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인슐레이터와 제2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록부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인슐레이터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록부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록부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록부의 상기 피결합 구멍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서로 결합 가능한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함과 아울러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록 기구(lock機構)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 조립체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6797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기판 상에 탑재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피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결합/분리 가능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는 모난 C형상의 풀 바(pull bar)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상태에서는, 풀 바의 선단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풀 바를 세우 면, 풀 바의 선단(先端)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결합부에서 빠진다. 그 후에 풀 바를 끌어당기면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분리된다.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록 기구로서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있다. 그러나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당해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 고신뢰성의 록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즈를 작게 유지하면서 록 기구가 높은 신뢰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인슐레이터와 제1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록부는 금속제이고 또한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록부에는 피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결합 구멍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록부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인슐레이터와 제2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록부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인슐레이터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록부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록부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록부의 상기 피결합 구멍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예의 설명을 검토함으 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록부를 금속제로 하였으므로,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1록부와 제2록부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도4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1커넥터(200)와 제2커넥터(3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커넥터(200)는,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搭載)되어 고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00)는,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제1커넥 터(200)는, 제2커넥터(300)에 대하여 Z방향(제1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이다.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제2커넥터(300)는, 베이스 쉘(base shell)(320), 제2인슐레이터(340), 복수의 콘택트(360), 제2록부(370) 및 커버 쉘(cover shell)(390)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쉘(320)은, 제2인슐레이터(340)의 저면(底面)을 부분적으로 커버하고 있다. 콘택트(360)는, 제2인슐레이터(3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커버 쉘(390)은, 제2인슐레이터(340)의 상면을 커버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록부(370)는 금속제(金屬製)의 풀 바(pull bar)이다. 상세하게는, 제2록부(370)는, 단일한 금속제 로드(rod)를 구부려서 얻어지는 것 같은 대략 크랭크(crank) 형상을 하고 있다. 제2록부(370)는, 주부(主部)(372), 피지지부(374) 및 연결부(376)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372)는, Y방향(제2방향), 즉 제2커넥터(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피지지부(372)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지지부(372)의 길이는 L1이다. 연결부(376)는, 피지지부(374)의 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주부(372)와 피지지부(374)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피지지부(374)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단부는 결합부(375)로서 기능한다.
도4 내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인슐레이터(340)는, Y방 향에 있어서 단부(340a)를 구비하고 있다. 제2인슐레이터(340)에는, 수용부(342) 및 관통구멍(350)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부(342)는, Z방향으로 개구하여 있고, Z방향을 따라 제2록부(370)의 대응하는 연결부(376)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수용부(342)는, 소폭부(小幅部)(344), 광폭부(廣幅部)(346) 및 캠부(cam部)(348)를 구비하고 있다. 소폭부(3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제1폭(W1)이다. 또한 제2인슐레이터(340)에 있어서의 소폭부(344)와 제2인슐레이터(340)의 단부(340a) 사이의 두께는 T1이다. 한편 광폭부(346)의 Y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제2폭(W2)이다. 또한 제2인슐레이터(340)에 있어서의 광폭부(346)와 제2인슐레이터(340)의 단부(340a) 사이의 두께는 T2이다. 여기에서 두께 T2는 두께 T1보다 얇다. 또한 제1폭(W1)은 제2록부(370)의 피지지부(374)의 길이(L1)보다 작고, 제2폭(W2)은 피지지부(374)의 길이(L1)보다 크다. 제1폭(W1)과 길이(L1)의 관계에 의하여 제2록부(370)를 Z방향을 따라 잡아당겼을 때에, 제2록부(370)가 제2인슐레이터(340)로부터 잘못하여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2폭(W2)과 길이(L1)의 관계에 의하면, 제2록부(370)와 제2인슐레이터(34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부가하여, 두께 T1은 길이(L1)보다 크고 두께 T2는 길이(L1)보다 작다. 제2록부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상태(通常狀態; normal state)에 있어서는, 연결부(376)의 일부가 광폭부(346)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광폭부(346)는 통상상태에 있어서 연결부(376)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도5 및 도7을 참조하면, 캠부(348)는, 소폭부(344)와 광폭부(34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캠부(348)는, 수용부(342)의 내벽(342a)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내벽(342a)은, 수용부(342)의 벽부 중 가장 제2인슐레이터(340)의 단부(340a)에 가까운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캠부(348)는, Z방향, Y방향 및 X방향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도 비스듬하게 교차하고 있다. 제2록부(370)가 조작되어 피지지부(374)가 회전되었을 때, 연결부(376)가 캠부(348)를 따르고, 이에 의하여 캠부(348)는 결합부(375)를 제2인슐레이터(34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상세하게는, 주부(372)의 조작에 따라 연결부(376)가 광폭부(346)로부터 소폭부(344)로 이동할 때, 캠부(348)는 연결부(376)의 이동을 제어하여 결합부(375)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각 관통구멍(350)은, 수용부(342)의 내벽(342a)과 제2인슐레이터(340)의 단부(340a) 사이에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 수용부(342)는 관통구멍(350)을 통하여 제2인슐레이터(340)의 외부와 통한다. 관통구멍(350)은, 피지지부(374)가 주부(372)의 조작에 따라 관통구멍(350)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또한 Y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피지지부(374) 를 지지하고 있다. 통상상태에 있어서, 피지지부(374)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즉 결합부(375)는, 도2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인슐레이터(340)의 단부(340a)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부(376)가 광폭부(346) 내에서 내벽(342a)에 눌려지게 되도록, 제2록부(370)의 주부(372)의 길이를 고려하여 수용부(342)의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께 T1은 길이(L1)보다 크고, 두께 T2는 길이(L1)보다 작다. 따라서 결합부(375)는 통상상태에 있어서는 제2인슐레이터(340)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연결부(376)가 소폭부(344) 내에 위치하고 있는 때에는 결합부(375)는 관통구멍(35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단지,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록부(370)가 일으켜질 때에 연결부(376)가 캠부(348)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한, 두께 T1, 두께 T2 및 길이(L1)가 상기와 다른 관계에 있어도 좋다. 즉 캠부(348)를 적절하게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상태에 있어서 연결부(376)가 소폭부(344)의 면(344a)보다 단부(340a)에 가까운 위치에 있도록 수용부(342)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8 및 도10을 참조하면, 제1커넥터(第1 connector)(200)는, 제1인슐레이터(第1 insulator)(220), 복수의 콘택트(contact)(240) 및 쉘(shell)(250)을 구비하고 있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인슐레이터(220)는 콘택트(240)를 지지하고 있다. 도1 및 도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인슐레이터(220)는 측벽부(224)를 구비하고 있고, 제1커넥터(200)와 제2커넥터(30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는 제2커넥터(300)가 Y방향에 있어서 측벽부(224)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의 제1인슐레이터(220)의 양단(220a)에는, 각각 광폭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광폭홈(226)은, X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고 또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광폭홈(226)에는 피압입부(228)가 형성되어 있다. 피압입부(228)는 측벽부(224) 밑에 위치하고 있다.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쉘(250)은 금속제이고 제1인슐레이터(220)의 대부분을 커버하고 있다. 쉘(250)에는, 제1록부(252)가 설치되어 있다. 제1록부(252)는, 도2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224)의 내벽(224a)에 설치되어 있다. 제1록부(252)에는, 제1록부(252)를 Y방향으로 관통하는 피결합 구멍(25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제1록부(252)는 가이드부(256)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256)는 피결합 구멍(254)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Y방향 및 Z방향의 쌍방과 비스듬하게 교차하고 있다. 가이드부(256)는, 제1커넥터(200)를 제2커넥터(300)에 결합할 때에, 제2록부(370)의 결합부(375)를 피결합 구멍(254) 내로 가이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결합상태에 있어서, 결합부(375)는 피결합 구멍(374)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결합상태에 있어서는, 제2커넥터(300)에 대하여 제1커넥터(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힘이 잘못하여 가해졌다고 하여 도 결합부(375)가 피결합 구멍(254)의 둘레와 결합함으로써,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록부(252)는 금속제이므로, 제1록부(252)는 결합상태의 고정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결합부(375)와 피결합 구멍(254)의 결합에 변경을 가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224)에 피결합 오목부(224e)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피결합 오목부(224e)는, Y방향에 있어서 피결합 구멍(2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결합부(375)는 피결합 구멍(254)을 통과하여 피결합 오목부(224e) 내에 삽입되고, 이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더 확실하게 고정한다.
도8 내지 도10으로 되돌아가서, 쉘(250)에는 피고정부(258)가 구비되어 있다. 도2에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258)는, 측벽부(224)의 상부(224c)의 상방에서 제1록부(252)와 접속되어 있다. 제1록부(252)와 피고정부(258)의 접속부는, X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피고정부(258)는 측벽부(224)의 외면(224b)을 커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측벽부(224)는 Y방향에 있어서 제1록부(252)와 피고정부(258)에 끼워져 있다. 도8 및 도10에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258)는, 제1커넥터(200)가 회로기판에 탑재되었을 때에, 그 회로기판까지 연장되어 회로기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피고정부(258)에는 날개부(264) 및 납땜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64)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 다. 날개부(264)는, 제1인슐레이터(220)의 피압입부(228) 내에 압입(壓入)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피고정부(258)는 광폭홈(226)에 지지되어 있다. 납땜부(260)는, Z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258)의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회로기판 상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된다. 쉘(250)에는, 납땜부(262)가 더 설치되어 있고, 그 납땜부(262)도 또한 납땜부(260)와 마찬가지로 회로기판 상에 납땜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록부(252)는, Y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258)의 납땜부(260)로부터 측벽부(224)의 두께만큼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납땜부(260)는, 제1록부(252)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납땜부(260)와 제1록부(252)의 위치적 관계에 의하면, 제1록부(252)는 상방향의 힘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적 내성을 가지고 있다.
제2커넥터(300)를 제1커넥터(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제2록부(370)를 일으켜 연결부(376)를 소폭부(344)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의하여 결합상태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 후에 일으킨 제2록부(370)를 상방을 향하여 빼면, 제2커넥터(300)를 제1커넥터(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2008년 1월 16일에 일본국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06763호에 의거하고 있어,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 하듯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I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플러그 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절단확대사시도이다.
도6은, 도4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콘택트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8은, 도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10은, 도8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10)

  1.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인슐레이터(第1 insulator)와 제1록부(第1 lock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록부는, 금속제(金屬製)이고 또한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록부에는 피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결합 구멍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록부를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인슐레이터(第2 insulator)와 제2록부(第2 lock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록부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록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록부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록부의 상기 피결합 구멍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결합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제1록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쌍방과 비스듬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될 때에 상기 제2록부의 상기 결합부를 가이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측벽부(側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측벽부는 내면(內面)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록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피결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결합 오목부는,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상태가 고정될 때, 상기 피결합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피결합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회로기판 상에 탑재(搭載) 가능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피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회로기판 상에 탑재되었을 때에,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측벽부는, 상부 및 외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제1록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기 외면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쉘(shell)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록부는 상기 쉘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부는, 단일한 금속 로드(金屬 rod)를 구부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제2록부는, 주부(主部), 피지지부 및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피지지부가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端部)를 가지도록 상기 주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는,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에는 수용부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개구(開口)하여 있고 또한 내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내벽과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상기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또한 상기 주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내벽에는, 캠부(cam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록부가 통상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상기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피지지부가 회전되어지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캠부를 따르고, 이에 의하여 상기 캠부는 상기 결합부를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소폭부(小幅部) 및 광폭부(廣幅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폭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제1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폭보다 넓은 제2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캠부는 상기 소폭부와 상기 광폭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주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상기 광폭부에서 상기 소폭부로 이동할 때, 상기 캠부는 상기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제1폭보다 크면서 상기 제2폭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1커넥터.
  10.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2커넥터.
KR1020090003377A 2008-01-16 2009-01-15 커넥터 조립체 KR101032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6763 2008-01-16
JP2008006763A JP4482041B2 (ja) 2008-01-16 2008-01-16 コネクタ対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73A KR20090079173A (ko) 2009-07-21
KR101032878B1 true KR101032878B1 (ko) 2011-05-06

Family

ID=4087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377A KR101032878B1 (ko) 2008-01-16 2009-01-1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67011B2 (ko)
JP (1) JP4482041B2 (ko)
KR (1) KR101032878B1 (ko)
CN (1) CN101488624B (ko)
TW (1) TWI380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887B2 (ja) * 2009-01-22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203218601U (zh) * 2013-04-25 2013-09-2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快扣式板对板连接器组件
KR101489491B1 (ko) * 2013-08-23 2015-0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6156641B2 (ja)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CN104698725A (zh) * 2013-12-09 2015-06-10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微投影系统
JP7028024B2 (ja) * 2018-03-29 2022-03-0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CN114982072B (zh) * 2020-05-11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口适配器、收发器及光口连接组件
US11205876B1 (en) * 2020-06-23 2021-12-21 Aces Electronics Co., Ltd. Lock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7977A (ja)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KR20060049700A (ko) * 2004-06-25 2006-05-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뢰성있는 접지 접속이 보장되는 커넥터
KR100794733B1 (ko) * 2006-03-03 2008-01-15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0797345B1 (ko) 2003-11-04 2008-01-2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419B2 (ja) 1995-05-17 1999-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5915987A (en) * 1997-09-19 1999-06-29 Tektronix, Inc. Latched electrical connector
JP4174149B2 (ja) * 1999-12-01 2008-10-29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TWI254498B (en) * 2001-08-02 2006-05-01 Hosiden Corp Plug connector
US6478623B1 (en) * 2001-12-11 2002-11-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eader connector with shell
JP2003243093A (ja) * 2002-02-21 2003-08-29 Yazaki Corp Usbコネクタ
JP3689849B2 (ja) * 2002-09-30 2005-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37123B2 (ja) 2003-04-23 2006-10-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22144B2 (ja) * 2004-05-21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128595B2 (en) * 2005-03-23 2006-10-31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45B1 (ko) 2003-11-04 2008-01-2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05267977A (ja)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KR20060049700A (ko) * 2004-06-25 2006-05-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뢰성있는 접지 접속이 보장되는 커넥터
KR100794733B1 (ko) * 2006-03-03 2008-01-15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2041B2 (ja) 2010-06-16
KR20090079173A (ko) 2009-07-21
CN101488624B (zh) 2012-05-23
US7867011B2 (en) 2011-01-11
CN101488624A (zh) 2009-07-22
TWI380534B (en) 2012-12-21
TW200941854A (en) 2009-10-01
US20090186514A1 (en) 2009-07-23
JP2009170250A (ja)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78B1 (ko) 커넥터 조립체
JP499586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503795B2 (en) Connector prevented from undesired separation of a locking member
US10236628B2 (en) Connector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JP6251500B2 (ja) コネクタ
JP4678887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JP4620587B2 (ja) 電気コネクタ
JP53479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699029B2 (ja) 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US20120052711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00582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6391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30103354A (ko) 커넥터
KR10132132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689705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US8333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ith a connecting section and a held section on two opposite sides of a contact section
JP2006269406A (ja) 電気コネクタ
JP202210710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EP3588687B1 (en) Terminal metal fitting
WO2018220975A1 (ja) コネクタ
US1063719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411554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