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35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354A
KR20130103354A KR1020130018370A KR20130018370A KR20130103354A KR 20130103354 A KR20130103354 A KR 20130103354A KR 1020130018370 A KR1020130018370 A KR 1020130018370A KR 20130018370 A KR20130018370 A KR 20130018370A KR 20130103354 A KR20130103354 A KR 20130103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locking member
connection objec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174B1 (ko
Inventor
마사유키 스즈키
유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고,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10)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82)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와 결합하는 결합부(205, 225)와 타측단에 회동 부재(18)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206, 226)을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202, 22)를 사용하여 이러한 잠금 부재(202, 22)를 하우징(12)에 배치하고, 누름 받이부(206, 226)에 작용하는 밀어 누름부(182)를 가진 회동 부재(18)를 접속 대상물의 삽입측과 반대측에 배치하고, 회동 부재(18)가 열렸을 때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 작용함으로써 잠금 부재(202, 22)의 결합부(205, 225)가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노트북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반적인 것으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하'FPC'라 함)이 삽입되는 반대측에서 회동 부재를 회전시켜 회동 부재의 부위를 컨택트 부위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컨택트와 상기 FPC를 접속시키는 것(특허문헌 1)이 있다. 이것과 같은 형태의 구조인 잠금 부재를 이용하여 심(芯)의 수가 적더라도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는 것(특허문헌 2)이 있다. 즉, 컨택트와 같은 형태의 구조인 잠금 부재를 상기 FPC가 삽입된 후에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FPC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와 달리 상기 FPC가 삽입되기 전에 회동 부재가 컨택트에 작용함으로써 접촉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FPC가 삽입될 때의 ZIF(제로 인서션 포스, zero insertion force) 구조로 한 것(특허문헌 3)이 있다. 특허문헌 3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달리, 회동 부재를 끼움결합 홀(상기 FPC의 삽입측)측에 도달하도록 한 것이다. 이들 문헌은 전부, 상기 FPC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력이 걸리지 않는 ZIF 구조인 것이다.
아래에 본 출원인이 제안한 문헌 중에서 백 로크 타입(back lock type)의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특개2004-71160)을 들고, 백 로크 타입에서 잠금 부재를 이용한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21067)을 들며, 회동 부재가 컨택트에 작용함으로써 접촉부가 열리는 구조의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3(일본공개특허 특개 2006-114436)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71160을 요약하면, 각 부위의 강도나 사양 등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이 슬라이더(16)로 FPC(40) 또는 FFC(Flexibl Flat Cable)를 확실하게 컨택트(14)의 접촉부(22)에 밀어 누를 수 있으며, 작업성이 좋고, 피치의 협소화나 저 배위화(背位化)가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저 배위화는 컨택트(14)의 접촉부(22)와 접속부(24) 사이에 탄성부(34)와 지지점부(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접촉부(22)와 탄성부(34)와 지지점부(32)와 접속부(24)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접속부(24)와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부(34)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누름 받이부(20)를 설치하며, 슬라이더(16)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밀어 누름부(36)를 설치하고, 밀어 누름부(36)가 컨택트(14)의 접속부(22)와 누름 받이부(20)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게 슬라이더(16)를 하우징(12)에 장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21067을 요약하면, 심의 수가 적은 커넥터(10)라도, 요구되는 FPC(22)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접속 불량에도 연결되지 않는 커넥터(1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FPC(22)와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커넥터(10)에 있어서, FPC(22)와 접촉하는 접촉부(30)를 가진 요구되는 갯수의 컨택트(14)와, 이러한 컨택트(14)가 지지, 고정됨과 동시에 FPC(22)가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24)을 가진 하우징(12)을 구비한 커넥터(10)에 있어서, FPC(22)에 멈춤부(54)를 설치하고, 멈춤부(54)와 결합하는 결합부(56)를 가진 잠금 부재(20)를 하우징(12)에 장착하며, 잠금 부재(20)의 결합부(56)를 FPC(22)의 멈춤부(54)에 결합시킴으로써 FPC(22)가 하우징(1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56)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57)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확실한 잠금이 가능한 구조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114436을 요약하면, 조작 공간이 끼움 결합 방향밖에 없는 경우라도, 끼움 결합 방향으로 회동 부재를 조작할 수 있고, ZIF 구조가 가능하며, 상하 접점 구조로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컨택트(14)의 구성을,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6)와 타단측에 회동 부재(16)에 의하여 밀어 눌려지는 누름 받이부(32)를 가지는 제1 편(22)과, 일단측에 지지점부(28)와 타단측에 기판(20)과 접속하는 접속부(40)를 가진 제2 편(24)과, 제1 편(22)과 지지점부(28)를 연결하는 연결부(30)와, 접속부(40) 근방으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자유단측에 제2 누름 받이부(34)를 구비하고, 접촉부(26)와 연결부(30)와 지지점부(28)와 접속부(40)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접촉부(26)는 끼움결합 홀(17) 내에 돌출되도록 하며, 회동 부재(16)를 회동하도록 하우징(12)에 장착하고, 회동 부재(16)의 밀어 누름부(46)를 컨택트(14)의 누름 받이부(32)와 제2 누름 받이부(34) 사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FPC 등의 접속 대상물과 더욱 확실한 잠금을 하기 위하여는 잠금 부분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은 접속 대상물과의 잠금 부재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캠을 컨택트로 작용시킨 ZIF 구조로, 접속 대상물과 잠금되는 것은 불가능하며, 원터치로 접속되는 구조가 아니다.
특허문헌 2는 잠금 부재를 가진 것인 ZIF 구조이고, non-ZIF 구조가 되지 않으며, 원터치로 접속되는 구조가 아니다. 캠의 작용을 역으로 하여, non-ZIF 구조가 되면 접속 대상물의 삽입 전에는 잠금 부재에 부가가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잠금 부재의 내구성이 짧아지고 마는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접속 대상물과의 잠금 부재를 가진 것이 아니며, 캠을 컨택트로 작용시킨 ZIF 구조로, 접속 대상물과 잠금되는 것은 불가능하며, 원터치로 접속되는 구조가 아니다.
수요자로부터는 필요하다면, EMI 대책도 요구되며, 컨택트는 ZIF 구조가 요구되는 것도 있다면 컨택트도 non-ZIF 구조가 요구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요구되는 수의 컨택트와, 해당 컨택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결합 홀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쉘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를 상기 쉘의 길이 피치 방향 양측 부근에 상기 쉘과 탄성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부재가 들어가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목적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요구되는 갯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결합 홀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의 길이 피치 방향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탄성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부재가 들어가는 삽입홈과 상기 보강편이 들어가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를 밀어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연결부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측으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커넥터에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커넥터는, 상기 쉘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편에는 상기 회동 부재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축받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커넥터에 있다.
그리고, 청구항 5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를 가진 제1 편과, 일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1 컨택트 및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2 컨택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 4 기재의 커넥터에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에는,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 형성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연장 형성부가 들어가는 별개 독립의 멈춤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멈춤 홀 사이에 칸막이벽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 4, 5 기재의 커넥터에 있다.
또한, 청구항 7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타측단에 누름 받이부를 가진 제1 편과, 일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3 컨택트 및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타측단에 누름 받이부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4 캔택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가 들어가는 별개 독립의 멈춤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멈춤 홀 사이에 칸막이벽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닫힌(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3 컨택트의 접촉부 및 상기 제4 컨택트의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 4 기재의 커넥터에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1)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요구되는 수의 컨택트와, 해당 컨택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결합 홀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쉘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를 상기 쉘의 길이 피치 방향 양측 부근에 상기 쉘과 탄성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부재가 들어가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쉘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EMI 대책도 가능하다.
(2)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요구되는 갯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결합 홀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의 길이 피치 방향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탄성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부재가 들어가는 삽입홈과 상기 보강편이 들어가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3) 청구항 3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를 밀어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연결부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측으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4) 청구항 4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쉘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편에는 상기 회동 부재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축받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삽입할 때에는 힘이 걸리지만,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뽑을 때에는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고, EMI 대책도 가능하며,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5) 청구항 5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를 가진 제1 편과, 일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1 컨택트 및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2 컨택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 4 기재의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6) 청구항 6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에는,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 형성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연장 형성부가 들어가는 별개 독립의 멈춤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멈춤 홀 사이에 칸막이벽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 4, 5 기재의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7) 청구항 7 기재의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타측단에 누름 받이부를 가진 제1 편과, 일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3 컨택트 및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타측단에 누름 받이부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4 캔택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가 들어가는 별개 독립의 멈춤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멈춤 홀 사이에 칸막이벽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닫힌(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3 컨택트의 접촉부 및 상기 제4 컨택트의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 4 기재의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혔을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컨택트도 비접속 상태가 되어 용이하게 접속 대상물을 뽑아낼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화살표 방향으로 뽑아낸 상태의 FPC를 끼움결합 홀측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화살표 방향으로 뽑아낸 상태의 FPC를 끼움결합 홀과 반대측의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c)는 FPC가 삽입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넥터를 끼움결합 홀측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FPC가 삽입되지 않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 부재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 부재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잠금 부재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FPC가 삽입되지 않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어느 한 컨택트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어느 한 컨택트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어느 한 컨택트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지그재그로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컨택트(제2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ZIF 구조인 컨택트(제4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끼움결합 홀측 상측으로부터 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하우징을 어느 한 컨택트 삽입홀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c)는 하우징을 잠금 부재 삽입홈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d)는 하우징을 보강편 장착홀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회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회동 부재를 어느 멈춤 홀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쉘을 하우징 접촉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b)는 잠금 부재를 하우징 장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의 별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141)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143)를 가진 요구되는 수의 컨택트(14)와, 해당 컨택트(14)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121)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30)을 가진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끼움결합 홀(30)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18)와, 상기 하우징(12)을 감싸는 쉘(20)을 구비하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82)를 설치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와 결합하는 결합부(205)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18)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206)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202)를 상기 쉘(20)의 길이 피치 방향 양측 부근에 상기 쉘(20)과 탄성 연결부(204)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잠금 부재(202)가 들어가는 삽입홈(122)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18)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206)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한 밀어 누름부(182)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부재(18)가 열렸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상기 잠금 부재(202)의 누름 받이부(206)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202)의 결합부(205)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141)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143)를 가진 요구되는 수의 컨택트(14)와, 해당 컨택트(14)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121)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30)을 가진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끼움결합 홀(30)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18)를 구비한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뭄춤부(82)를 설치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와 결합하는 결합부(225)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18)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226)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22)와 상기 잠금 부재(22)의 길이 피치 방향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223)을 탄성 연결부(224)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잠금 부재(22)가 들어가는 삽입홈(122)과 상기 보강편(224)이 들어가는 장착홈(123)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18)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226)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182)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부재(18)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상기 잠금 부재(22)의 누름 받이부(226)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22)의 결합부(225)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이다.
즉,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을 뽑아낼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1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82)를 설치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와 결합하는 결합부(205, 225)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18)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206, 226)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한 잠금 부재(202, 22)를 이용하여, 이러한 잠금 부재(202, 22)를 하우징(12)에 배치하고, 누름 받이부(206, 226)에 작용하는 밀어 누름부(182)를 가진 회동 부재(18)를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측과 반대측에 배치하며, 상기 회동 부재(18)가 열렸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결합부(205, 225)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8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화살표 방향으로 뽑아낸 상태의 FPC를 끼움결합 홀측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화살표 방향으로 뽑아낸 상태의 FPC를 끼움결합 홀과 반대측의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1(c)는 FPC가 삽입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넥터를 끼움결합 홀측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FPC가 삽입되지 않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 부재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며, 도 2(b)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 부재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2(c)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잠금 부재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FPC가 삽입되지 않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어느 한 컨택트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며, 도 3(b)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어느 한 컨택트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3(c)는 FPC가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어느 한 컨택트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지그재그로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컨택트(제2 컨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ZIF 구조인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끼움결합 홀측 상측으로부터 본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하우징을 어느 한 컨택트 삽입홀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고, 도 5(c)는 하우징을 잠금 부재 삽입홈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며, 도 5(d)는 하우징을 보강편 장착홀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회동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회동 부재를 어느 멈춤 홀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쉘을 하우징 접촉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7(b)는 잠금 부재를 하우징 장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의 별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주로 하우징(12)과 컨택트(14)와 회동 부재(18)와 잠금 부재(22, 202)를 구비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쉘(20)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쉘(20)을 구비하고, 잠금 부재(202)가 상기 쉘(20)과 일체 구조로 된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잠금 부재(202)는 상기 쉘(20)과 별도의 부품이어도 좋으며, 후술할 것이다.
구성부품을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접속 대상물인 FPC(8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FPC(80)에는 주로 컨택트(14)의 접촉부(141)와 접촉하는 접점과 해당 접점으로부터 회로로 연결되는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FPC(80)에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와 결합하는 멈춤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멈춤부(82)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와 결합할 수 있으며, 안정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면 좋고, 그 형상은 홈이나 홀 또는 멈춤 홀 등이라도 좋으며, 지지력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구성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쉘(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쉘(20)은 금속제이며, 공지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쉘(20)의 재질로는 스프링 성이나 도전성 또는 EMI 특성이나 길이 안정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 동 또는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쉘(20)에 상기 잠금 부재(20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쉘(20)에는, 주로, 본체부(201)와 해당 본체부(201)에 연결된 잠금 부재(202) 및 보강편(203)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부(201)는, EMI 대책이나 오삽입에 따른 단자의 변형 및 파손 방지 대책(kojiri대책, コジリ對策)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2)의 천장부(124)를 감싸는 부분이며, 대략 판 형상의 조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1)의 형상, 크기는, 상기 하우징(12)의 천장부(124)에 따르도록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일체 구조인 상기 잠금 부재(202)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잠금 부재(202)는 상기 본체부(201)에 탄성 연결부(204)에 의하여 길이 피치 방향 양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202)는, 일측단측에 상기 FPC(80)의 멈춤부(82)와 결합하는 결합부(205)와 타측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206)를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부(205)와 상기 누름 받이부(206)는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202)는, 상기 FPC(80)를 삽입할 때에는 삽입력이 걸리는, 이른바 Non-ZIF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FPC(80)를 상기 하우징(12)의 끼움결합 홀(30)에 삽입하면, 상기 FPC(80)가 상기 결합부(205)를 타고 넘어서, 상기 결합부(205)가 상기 FPC(80)의 멈춤부(82)에 결합하고, 잠겨진다. 즉, 상기 결합부(205)와 상기 하우징과의 간격은 상기 FPC(80)의 두께보다 좁게 되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20)는, 상기 FPC(80)를 뽑아낼 때에는 뽑아내는 힘이 걸리지 않는, 이른바 ZIF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회동 부재(18)를 열면,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상기 잠금 부재(202)의 누름 받이부(206)에 작용하고, 상기 누름 받이부(206)가 하측 방향(실장 기판측)으로 밀어 내려지면 크랭크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탄성 연결부(204)측으로 넘어짐으로써 상기 결합부(205)가 상측 방향(실장 기판과 반대측)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결합부(205)가 상기 FPC(80)의 멈춤부(82)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뽑아내는 힘이 걸리지 않고 상기 FPC(80)를 뽑아낼 수 있다. 상기 FPC(80)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1(a) 및 도 1(b)이다.
상기 결합부(205)의 형상, 크기는, 상기 FPC(80)의 멈춤부(82)와 결합할 수 있으면 좋지만, 삽입할 때나 뽑아낼 때의 상기 역할(움직임)을 만족하는 것이나 지지력 또는 강도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205)의 선단 부분을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누름 받이부(206)와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탄성 연결부(204)의 형상, 크기는, 삽입할 때나 뽑아낼 때의 상기 역할(움직임)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상기 보강편(203)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보강편(203)은, 길이 피치 방향 양측에서 끼움결합 홀(30)측으로 상기 본체부(20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강편(203)의 주된 역할은, 상기 쉘(20, 상기 잠금 부재(202)를 포함)을 상기 하우징(12)에 지지(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편(203)에는, 상기 하우징(12)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2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07)는,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으면 좋고, 상기 지지부(207)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지지력이나 균형 또는 가공성이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편(203)에는 상기 회동 부재(18)의 축(185)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 받이부(2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 받이부(206)는 상기 회동 부재(18)의 축(185)과 회동할 수 있도록 축 장착될 수 있으면 좋고, 그 형상, 크기는 상기 회동 부재(18)가 회동했을 때에, 상기 밀어 누름부(182)가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는 것이나 가공성 또는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 받이부(206)를 상기 쉘(20)에 설치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2)에 설치하여도 좋다. 마모 등을 고려하면, 상기 쉘(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쉘(20)과 별개로 된 잠금 부재(22)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쉘(20)과 일체 구조로 된 상기 잠금 부재(202)와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잠금 부재(22)에도, 상기와 같은 보강편(223)이 도 7(b)와 같이 탄성 연결부(224)에 의하여 일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강편(223)의 형상, 크기 및 역할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잠금 부재(22)에 설치된 결합부(225)나 누름 받이부(226)의 형상, 크기 및 배치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태이며, 각각의 역할이나 작용도 같다. 크랭크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탄성 연결부(224)의 역할, 작용도 같다. 차이점을 말하면, 탄성 연결부(224)의 연결 부위이다.
다음으로, 컨택트(14)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14)는 금속제이며, 공지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컨택트(14)의 재질로는, 스프링성이나 도전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 또는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택트(14)는 상기 하우징(12)의 삽입홀(121) 내에 삽입된다.
상기 컨택트(14)에는, 적어도 상기 FPC(80)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측의 접촉부(141)와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부(142)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143)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141)와 상기 접속부(143)는 'ㄷ'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141)와 상기 접속부(143)의 중간 부분에는, 2 개의 조각끼리 연결하는 연결부(14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부(141)와 반대 방향(상기 FPC(80)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 형성부(144)와 상기 접촉부(141)와 대향하는 위치에 하나 더 하부측의 접촉부(141)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하 접점이 가능하게 되며, Non-ZIF 구조라도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141, 141)는, 상기 FPC(80)와 접촉하기 쉽도록 볼록부(凸部) 형상으로 해 두고, 상기 접속부(143)는 본 실시예에서 도 4(a)와 같이 포면 실장형(SMT)으로 하고 있으나, DIP(Dual Inline Package)형이라도 좋다. 상기 접속부(143)의 근방에, 상기 하우징(12)을 향하는 고정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42)가 상기 하우징(12)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지지된다.
상기 컨택트(14)의 접촉부(141, 141) 2 개 사이는, 상기 FPC(80)의 두께보다도 좁게 하여두고, 이른바, Non-ZIF 구조로 하고 있다. 즉, 상기 FPC(80)를 상기 하우징(12)의 끼움결합 홀(30)에 삽입하면, 상기 FPC(80)가 2 개의 상기 접촉부(141, 141)를 밀어 넓히도록 하여 삽입되고, 상기 접촉부(141, 141)가 상기 FPC(80)의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컨택트(14)의 경우, 상기 FPC(80)를 삽입할 때에도, 뽑아낼 때에도 힘을 요하는, 이른바, Non-ZIF 구조이다. 상기 컨택트(14)를 Non-ZIF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FPC(8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FPC(80)를 삽입하는 원터치로 접속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연장 형성부(144)는, 상기 회동 부재(18)가 회동하여 열렸을 때의 상기 밀어 누름부(182)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밀어 누름부(182)가 실장 기판과 반대측(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밀어 누름부(182)가 들어 올려져 버리면, 상기 잠금 부재(20, 202)의 누름 받이부(206, 226)을 밀어 누를 수 없게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부터 상기 컨택트(14)에는, 상기 연장 형성부(14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형성부(144)의 형상, 크기는, 이와 같은 역할이나 가공성 또는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다음으로, 회동 부재(18)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회동 부재(18)는 전기 절연성을 지닌 플라스틱이며, 공지기술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고, 이러한 재질로는 길이 안정성이나 가공성 또는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 또는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나 이들의 합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회동 부재(18)는 주로 조작부(181)와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축(185) 부분과 누름 받이부(206)를 밀어 누르는 밀어 누름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14)의 연장 형성부(144)가 들어가는 멈춤홀(18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185)은, 회동 부재(18)를 회동하기 위한 지지점이며, 하우징(12) 혹은 상기 쉘(20)의 길이 방향 양측에 회동 부재(18)가 회동 가능하게 적절히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축(185)과 상기 하우징(12) 혹은 상기 쉘(20)의 축받이와의 관계는, 상기 회동 부재(18)가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밀어 누름부(182)가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인 0.05~0.07mm 정도의 틈(clearance)을 형성한다.
상기 밀어 누름부(182)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 밀어 붙여지는 부분이며, 그 형상으로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한다. 상기 밀어 누름부(18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타원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18)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밀어 누름부(182)의 크기 변화에 의하여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가 눌려 내려지며, 상기 FPC(80)의 멈춤부(82)로부터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결합부(205, 225)가 분리된다. 상기 밀어 누름부(182)의 형상으로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 작용할 수 있으며, 장축과 단축으로 하여 크기가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를 눌러 내릴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좋다.
또한, 상기 회동 부재(18)를 회동하여 열었을 때에,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를 확실하게 눌러 내리기 위하여, 상기 컨택트(14)의 연장 형성부(144)가 들어가는 멈춤 홀(183)이 별개 독립으로 형성되어 있다. 별개 독립으로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인접한 상기 컨택트(14)의 사이에는, 칸막이벽(184)이 형성되는 것이 되어 상기 멈춤 홀(183)을 별개 독립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벽(18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18)의 강도 향상이나 회동할 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81)는, 상기 회동 부재(18)를 회동시킬 때에, 손가락이나 지그 등으로 누르는 부분이다. 상기 조작부(181)의 형상, 크기는, 손가락이나 지그 등으로 누를 수 있다면 좋으며, 커넥터의 소형화나 강도 또는 가공성이나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 부재(18)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회동 부재(18)가 열렸을 때에 확실하게 잠그는 로크(186)를 설치하면 좋다. 상기 로크(186)의 형상, 크기는 확실하게 잠글 수 있으면 좋으며, 지지력이나 커넥터의 소형화 또는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다음으로, 하우징(12)에 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2)은 전기 절연성을 지닌 플라스틱이며, 공지기술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고, 그 재질로는 길이 안정성이나 가공성 또는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 또는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이들의 합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FPC(80)가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결합 홀(30)은, 상기 FPC(80)가 들어가면 좋고, 상기 FPC(80)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으나, 상기 FPC(80)를 삽입했을 때에는, 상기 컨택트(14)의 접촉부(141)와 접촉하는 이른바 non-ZIF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요구되는 수 만큼의 컨택트(14)가 장착된 삽입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밀어 넣거나 잡아당겨 걸치거나 용착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삽입홀(121)은, 상기 회동 부재(18)가 장착된 측으로부터 상기 끼움결합 홀(30)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택트(14)는 상기 끼움결합 홀(30)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2)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가 들어가는 삽입홈(122)과 상기 보강편(203, 223)이 들어가는 장착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22)과 상기 장착홀(123)의 형상, 크기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 및 상기 보강편(203, 223)의 형상에 따르며, 지지력이나 가공성 또는 강도나 커넥터의 소형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컨택트(14)의 접촉부(141)를 피복하는 천장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천장부(124)는 먼지 등으로부터 상기 컨택트(14)의 접촉부(141)를 보호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동 부재(18)가 회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FPC(80)의 삽입 방향과 반대측으로 절결부(125)를 형성한다.
이하, 다른 컨택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좁은 피치를 실현하기 위한 컨택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도 적어도 접촉부와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접촉부(151)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153)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55)를 가지고 있는 것을, 제2 컨택트(15)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4(b)와 같이 상기 접속부(153)와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부(154)가 설치된다. 상기 연장 형성부(154)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좁은 피치로 하기 위하여 상기 컨택트(14)와 상기 제2 컨택트(15)를 지그재그로 배치하였다. 즉, 1개 간격으로, 상기 컨택트(14)를 끼움결합 홀(30) 방향으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제2 컨택트(15)를 끼움결합 홀(30)의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위에서 설명한 컨택트(14, 15) 두 개는, 상기 연장 형성부(144, 154)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컨택트(14, 15) 두 개는, 대략 넘어진 'h' 형상인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컨택트(14)의 경우에는 상기 연장 형성부(144)와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2 연장 형성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 컨택트(15)의 경우에는 상기 접촉부(151)와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한 제2 연장 형성부를 형성하며, 각각 대략 넘어진 'H' 형상으로 하는 것도 좋다.(미도시)
커넥터로서는, 위에서 설명한 컨택트(14, 15) 두 개 중 어느 일측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양측의 컨택트(14, 15)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제2 컨택트(15)의 제2 연장 형성부 선단에서 상기 접촉부(151)와 대향하는 위치에 2번째의 접촉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위에서 설명한 컨택트(14, 15) 두 개는, 삽입하고 뽑아내는 양측 모두 힘(삽입력과 뽑아내는 힘)이 걸리는 것이다.
다음으로, 컨택트를 ZIF 구조(삽입할 때에는 힘이 걸리지만, 뽑아낼 때에는 힘이 걸리지 않음)로 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c)에 나타낸 ZIF 구조의 컨택트는, 위에서 설명한 제2 컨택트(15)와 동일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2 컨택트(15)의 연장 형성부(154)를 제4 누름 받이부(164)로 하며, 상기 연결부(155)를 탄성 연결부(165)로 한 제4 컨택트(16)로 하며, 상기 제4 누름 받이부(164)에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가 작용하여, 상기 제4 누름 받이부(164)를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탄성 연결부(165)가 접촉부인 제4 접촉부(161)측으로 넘어지고, 상기 제4 접촉부(161)가 하측으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4 접촉부(161)가 상기 FPC(80)의 지지점에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4 누름 받이부(164)와 상기 탄성 연결부(165)의 형상, 크기는, 이와 같은 작용(움직임)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제4 컨택트(16)는, 삽입할 때에는 힘이 걸리지만, 뽑아낼 때에는 힘이 걸리지 않는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a)와 같은 형상으로, ZIF 구조인 제3 컨택트가 있다. 상기 제3 컨택트도, 상기 컨택트(14)의 연장 형성부(144)를 제3 누름 받이부로 하고, 상기 연결부(144)를 탄성 연결부로 한 것이다. 상기 제3 누름 받이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는 위와 같은 형태이다. 상기 제3 컨택트와 상기 제4 컨택트(16)의 형상을 대략 넘어진 'H' 형상으로 한 것도 같은 형태이다. 커넥터로서는, 위에서 설명한 제3 컨택트와 제4 컨택트(16)의 양측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3 컨택트와 제4 컨택트(16)의 제3 접촉부와 제4 접촉부(161)가 대향하는 측에도 2번째의 접촉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들 제3 컨택트와 제4 컨택트(16)는, 삽입할 때에는 힘이 걸리지만, 뽑아낼 때에는 힘이 걸리지 않는 것이다.
최후에, 상기 FPC(80)를 삽입할 때에는 힘이 걸리지만, 뽑아낼 때에는 힘이 걸리지 않는 컨택트를 ZIF 구조로 하고, 상기 잠금 부재(202, 22)를 Non-ZIF 구조로 하는 경우의 상기 회동 부재(18)에 관하여, 서로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부재(18)의 밀어 누름부(182)를 90도로 바꿈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90도로 바꿈으로써, 일측이 작용할 때는 이미 일측(90도로 바꾼 방향)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ZIF 구조와 Non-ZIF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즉, 상기 FPC(80)가 삽입될 때(상기 회동 부재(18)를 닫았을 때)에는, 상기 밀어 누름부(182)는 컨택트(14, 15, 16) 각각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고, 90도로 바꾼 상기 밀어 누름부(182)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역으로, 상기 FPC(80)가 뽑혀질 때(상기 회동 부재(18)를 열었을 때)에는, 상기 밀어 누름부(182)는 컨택트(14, 15, 16) 각각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지 않으며, 90도로 바꾼 상기 밀어 누름부(182)는 상기 잠금 부재(202, 22)의 누름 받이부(206, 226)에는 작용한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휴대 전화나 노트북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기기기나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커넥터(10)로 활용되며, 특히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원터치로 안정된 접속 및 확실한 잠금이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이 뽑혀질 때에는 간단히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커넥터
12...하우징
121...삽입홀
122...삽입홈
123...장착홀
124...천장부
125...절결부
14...컨택트
141...접촉부
142...고정부
143...접속부
144...연장 형성부
15...제2 컨택트
151...접촉부
152...고정부
153...접속부
154...연장 형성부
155...연결부
16...제4 컨택트
161...제4 접촉부
162...제4 고정부
163...제4 접속부
164...제4 누름 받이부
165...탄성 연결부
18...회동 부재
181...조작부
182...밀어 누름부
183...멈춤 홀
184...칸막이 벽
185...축
186...로크
20...쉘
201...본체부
202...잠금 부재
203...보강편
204...탄성 연결부
205...결합부
206...누름 받이부
207...지지부
208...축 받이부
22...잠금 부재
223...보강편
224...탄성 연결부
225...결합부
226...누름 받이부
227...지지부
228...축 받이부
30...끼움결합 홀
80...FPC(플렉시블 인쇄기판)
82...멈춤부

Claims (7)

  1.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요구되는 갯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결합 홀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쉘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를 상기 쉘의 길이 피치 방향 양측 부근에 상기 쉘과 탄성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부재가 들어가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접속 대상물이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뽑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요구되는 갯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열, 지지되는 삽입홀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끼움결합 홀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끼움결합 홀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회동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멈춤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단에 상기 회동 부재가 작용하는 누름 받이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의 길이 피치 방향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탄성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잠금 부재가 들어가는 삽입홈과 상기 보강편이 들어가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진 밀어 누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열렸을 때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누름 받이부를 밀어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연결부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측으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멈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외측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편에는 상기 회동 부재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축받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를 가진 제1 편과, 일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1 컨택트 및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2 컨택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에는, 상기 접촉부의 반대 방향(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 형성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에는 상기 연장 형성부가 들어가는 별개 독립의 멈춤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멈춤 홀 사이에 칸막이벽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타측단에 누름 받이부를 가진 제1 편과, 일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3 컨택트 및
    일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타측단에 누름 받이부를 가진 제1 편과, 타측단에 상기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는 제4 캔택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누름 받이부가 들어가는 별개 독립의 멈춤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상기 멈춤 홀 사이에 칸막이벽을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닫힌(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의 밀어 누름부가 상기 누름 받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3 컨택트의 접촉부 및 상기 제4 컨택트의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18370A 2012-03-08 2013-02-21 커넥터 KR102076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1557A JP5989362B2 (ja) 2012-03-08 2012-03-08 コネクタ
JPJP-P-2012-051557 2012-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354A true KR20130103354A (ko) 2013-09-23
KR102076174B1 KR102076174B1 (ko) 2020-02-11

Family

ID=4938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370A KR102076174B1 (ko) 2012-03-08 2013-02-21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89362B2 (ko)
KR (1) KR102076174B1 (ko)
CN (1) CN1034413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94U (ko) * 2020-11-09 2022-05-1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KR20220002175U (ko) * 2021-03-03 2022-09-14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4345B2 (ja) * 2001-11-05 2005-08-17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こんろ
KR102141490B1 (ko) 2014-02-06 2020-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6380744B2 (ja) * 2014-07-04 2018-08-2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4375575B (zh) * 2014-10-31 2018-04-27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笔记本计算机的按压连接器
JP6604968B2 (ja) * 2014-12-18 2019-11-1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62634B2 (ja) * 2016-06-27 2019-01-30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959A (ja) * 2002-11-27 2004-06-24 D D K Ltd コネクタ
JP2009064577A (ja) * 2007-09-04 2009-03-26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10238512A (ja) * 2009-03-31 2010-10-21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323B2 (ja) * 2003-05-14 2009-02-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64013B2 (ja) * 2007-04-20 2012-06-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956339B2 (ja) *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548803B2 (ja) * 2008-04-24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959A (ja) * 2002-11-27 2004-06-24 D D K Ltd コネクタ
JP2009064577A (ja) * 2007-09-04 2009-03-26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10238512A (ja) * 2009-03-31 2010-10-21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94U (ko) * 2020-11-09 2022-05-1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KR20220002175U (ko) * 2021-03-03 2022-09-14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174B1 (ko) 2020-02-11
CN103441378A (zh) 2013-12-11
JP2013187056A (ja) 2013-09-19
CN103441378B (zh) 2016-07-13
JP5989362B2 (ja)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174B1 (ko) 커넥터
JP4484218B2 (ja) コネクタ
JP4484219B2 (ja) コネクタ
JP52030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4578931B2 (ja) コネクタ
KR101878829B1 (ko) 커넥터
JP4731311B2 (ja) カム構造及び該カム構造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2018005976A (ja) コネクタ
JP2007173043A (ja) コネクタ
KR20110008185A (ko) 전기커넥터
JP5501788B2 (ja) コネクタ
JP4927454B2 (ja) コネクタ
JP2013109995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用いるコンタクトの挿入方法
JP2008171706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使用される抜去部品
JP5185543B2 (ja) コネクタ
JP5230759B2 (ja) コネクタ
JP2012114061A (ja) コネクタ
JP4907436B2 (ja) コネクタ
US20110143601A1 (en) Connector
JP2006120481A (ja) コネクタ
JP4768438B2 (ja) コネクタ
JP6440236B1 (ja) コネクタ
JP2016195141A (ja) コネクタ
JP2016184594A (ja) コネクタ
JP201617109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