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094U -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 Google Patents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094U
KR20220001094U KR2020210002008U KR20210002008U KR20220001094U KR 20220001094 U KR20220001094 U KR 20220001094U KR 2020210002008 U KR2020210002008 U KR 2020210002008U KR 20210002008 U KR20210002008 U KR 20210002008U KR 20220001094 U KR20220001094 U KR 20220001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unding
press
rubber core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323Y1 (ko
Inventor
시엔 창 린
춘 웨이 창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1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플랫 와이어 및 회로 기판에 적용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랫 와이어는 이의 헤드엔드의 양측변에 각각 노치 및 접지 와이어를 구비한다. 간편 잠금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고무 코어 및 단자를 포함한다. 플랫 와이어의 노치가 하부 하우징의 스토퍼에 의해 버클링된 후, 상부 하우징의 누름부를 눌러 누름부가 하부 하우징의 탄성 부재에 외력을 가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가 변형된다. 이로써 탄성 부재는 하부 하우징의 연장암을 연동하여 스토퍼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스토퍼에 의해 노치가 버클링된 상태를 해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간편 잠금 커넥터는 또한 차폐용 철제 쉘을 추가하여 전자기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EASY LOCK CONNECTOR WITH UNLOCK STRUCTURE}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랫 와이어를 자동으로 잠글 수 있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는 와이어를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중간 연결 소자로, 장점은 엔티티 솔더링을 거치지 않고 회로 기판에 솔더링할 수 있어, 사용자가 플러그를 통해 쉽게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커넥터가 와이어에 단단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자동 잠금 방식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이 개발되었으며, 자동 잠금 커넥터와 와이어는 떨어지지 않고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의 소형화에 따라 나타나는 고주파 문제와 조작 난이도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 잠금 커넥터로 인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고무 코어 및 단자를 포함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고, 멀티소자의 구조는 자동 잠금 및 누름식 잠금 해제의 기능을 구비하는 외에 고주파 환경에서 노이즈에 저항하여 신호를 원활하게 전달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을 간접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잠금 해제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상부 하우징의 누름부가 하부 하우징의 탄성 부재에 작용된 후 발생하는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해 고무 코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과도하게 눌러 탄성 부재와 누름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하부 하우징의 탄성 부재의 형상은 큰 R각을 가진 U형체로, 상부 하우징의 누름부와 간섭을 일으키는 외에 조작이 피드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하부 하우징이 제공하는 하부 하우징의 접지 부재가 플랫 와이어의 접지 와이어에 접촉되기 위해 제2 수용 공간에 형성됨으로써, 고주파 누화 개선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6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상부 하우징이 전자파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및 전자기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을 개선하는 차폐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7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EMI 및 EMC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커넥터를 커버하는 차폐용 철제 쉘을 더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8 목적은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에 따라, 차폐용 철제 쉘, 고무 코어 및 상부 하우징에 삽입 부재, 스냅 및 버클 등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플로팅 구조를 제공하여 커넥터와 회로 기판의 솔더링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랫 와이어 및 회로 기판에 적용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랫 와이어는 이의 헤드엔드의 양측변에 각각 노치 및 접지 와이어를 구비한다.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고무 코어 및 단자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은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은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 본체 및 누름부를 구비한다. 누름부는 파구를 통해 상부 본체의 양측변에 형성된다. 여기서 누름부는 제1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는 상부 본체의 양측변에 형성되고 제1 고정 부재는 회로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은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된다. 하부 하우징은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탄성 부재, 스토퍼, 연장암 및 하부 본체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각각 하부 본체의 양측변에 설치되고 누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스토퍼는 노치를 버클링하도록 노치에 따라 설치되고, 스토퍼는 연장암을 통해 탄성 부재에 연결된다. 고무 코어는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된다. 고무 코어는 삽입구, 작용부 및 개구부를 형성한다. 삽입구는 플랫 와이어가 삽입 및 인출하도록 한다. 작용부는 탄성 부재 및 개구부와 결합하여 탄성 부재의 설치에 사용된다. 단자는 고무 코어에 설치되어 플랫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랫 와이어의 노치가 스토퍼에 의해 버클링된 후, 누름부를 눌러 누름부가 탄성 부재에 외력을 가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가 변형되고, 탄성 부재는 연장암을 연동하여 스토퍼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스토퍼에 의해 노치가 버클링된 상태를 해제한다.
공지된 기술과 비교하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가 플랫 와이어에 적용되어, 플랫 와이어가 멀티소자의 간편 잠금 커넥터에 의해 간편 잠금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하고, 간편 잠금 커넥터의 누름부에 외력을 가하여, 하부 하우징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를 직접 구동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해제 과정에서 누름부가 고무 코어의 경사면의 제한을 받아 탄성 부재 또는 다른 소자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간편 잠금 커넥터는 다양한 전자기 차폐 또는 전자기 차단의 구조를 제공하여, 외부 노이즈가 신호 전달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고주파가 외부의 다른 소자의 신호 전달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단자 및 하부 하우징과 플랫 와이어의 연결을 나타내는 연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도 1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도 1의 고무 코어를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도 1의 고무 코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도 10을 나타내는 분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와 회로 기판을 설명하는 연결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결합하여 본 고안을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일” 또는 “하나”로 본문에 기재된 유닛, 소자 및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고 본 고안의 범위에 대해 통상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달리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를 포함 또는 적어도 하나로 이해되어야 하며, 단수는 또한 복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용어 “포함”, “포괄”, “구비”, “함유”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서 나열된 구성요소로 한정되지 않고, 나열되지 않았지만 상기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가 통상적으로 고유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달리 반대되는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10)(이하 간편 잠금 커넥터라고 함)는 플랫 와이어(2)(도 2의 모식도를 참조할 수 있음) 및 접지단(42)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4)(도 12의 모식도를 참조할 수 있음)에 적용된다. 도 2에서, 플랫 와이어(2)는 이의 헤드엔드의 양측변에 각각 노치(22) 및 접지 와이어(미도시, 플랫 와이어(2)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형성됨)를 구비한다. 이 밖에, 도 2는 플랫 와이어(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아래에서 언급되는 고무 코어(16)에 설치되는 단자(18)를 도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간편 잠금 커넥터(10)는 상부 하우징(12), 하부 하우징(14), 고무 코어(16) 및 단자(18)를 포함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에서, 상부 하우징(12)은 회로 기판(4)에 설치(예를 들어 솔더링, 표면 점착 등 기술)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제1 수용 공간(FSP)을 형성한다. 상부 하우징(12)은 상부 본체(122) 및 누름부(124)를 구비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12), 상부 본체(122) 및 누름부(124)는 일체형이며, 재질은 금속재질이다.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의 상부 하우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도 1의 상부 하우징 외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의 상부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a)에서, 누름부(124)는 파구(126)를 통해 상부 본체(122)의 양측변에 형성되고, 파구(126)가 있는 이유는 누름부(124)가 누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12)은 제1 고정 부재(1210)를 더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1210)는 상부 본체(122)의 양측변에 형성되고 제1 고정 부재(1210)는 회로 기판(4)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1 고정 부재(1210)는 솔더링 방식을 통해 회로 기판(4)의 접지단(4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2)은 제2 고정 부재(128)를 더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12)의 제1 수용 공간(FSP)에 형성된다. 제2 고정 부재(128)는 고무 코어(16)를 제1 수용 공간(FSP)에 제한하기 위해 후속으로 언급되는 고무 코어(16)의 개구부(164)(도 8을 참조 바람)에 설치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12)은 접지 부재(1212)를 더 포함하고, 회로 기판(4)의 접지단(42) 또는 플랫 와이어(2)의 접지 와이어에 연결되기 위해 상부 하우징(12)의 제1 수용 공간(FSP)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12)은 제1 버클 부재(1214)를 더 포함하고, 후속으로 언급되는 고무 코어(16)의 제2 버클 부재(166)에 대응되게 설치(도 8을 참조 바람)되도록 상부 본체(122)의 양측변에 형성되며, 제1 버클 부재(1214)가 제2 버클 부재(166)에 작용하여, 상부 하우징(12)이 고무 코어(16)를 제1 수용 공간(FSP)에 제한하도록 하고, 이는 도 9를 함께 참조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5에서, 하부 하우징(14)은 제1 수용 공간(FSP)에 설치된다. 하부 하우징(14)은 제2 수용 공간(SSP)을 형성하고, 탄성 부재(142), 스토퍼(144), 연장암(146) 및 하부 본체(148)를 구비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탄성 부재(142)는 각각 하부 본체(148)의 양측변에 설치되고 누름부(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42)는 R각을 가진 U형체이고, 이의 일단은 상부 하우징(12)의 내벽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R각은 R0.1보다 크거나 같고, 다른 실시예에서, R각은 임의의 수치일 수 있다. 스토퍼(144)는 노치(22)를 버클링하도록 노치(22)에 따라 설치되고, 스토퍼(144)는 연장암(146)을 통해 탄성 부재(142)에 연결된다. 도 6에서, 상부 하우징(12)은 볼록 리브(1242)를 더 포함하고, 볼록 리브(1242)는 탄성 부재(142)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볼록 리브(1242)는 제1 수용 공간(FSP)을 향해 돌출된다. 누름부(124)가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탄성 부재(142)는 누름부(124)에 접촉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42)는 누름부(124)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4)은 접지 부재(1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부재(1410)는 회로 기판(4)의 접지단(42)에 접촉되기 위해 하부 하우징(14)으로부터 제2 수용 공간의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4)은 제2 하부 하우징 접지 부재(1412)(도 11을 참조 바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하우징 접지 부재(1412)는 제2 수용 공간(SSP)에 형성된다. 제2 하부 하우징 접지 부재(1412)는 플랫 와이어(2)의 접지 와이어에 접촉되기 위해 하부 하우징(14)으로부터 제2 수용 공간(SSP)을 향해 연장된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도 7은 본 고안의 도 1의 고무 코어를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도 1의 고무 코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서, 고무 코어(16)는 제2 수용 공간(SSP)에 설치된다. 고무 코어(16)는 삽입구(162), 작용부(165) 및 개구부(164)를 형성한다. 삽입구(162)는 플랫 와이어(2)가 삽입 및 인출하도록 한다. 작용부(165)는 탄성 부재(142) 및 개구부(164)와 결합하여 탄성 부재(142)의 설치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작용부(165)는 오목홈이고, 오목홈에서 경사면(168)(도 11을 참조 바람)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2)이 고무 코어(16)에 결합된 후,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2)의 누름부(124)에 외력을 가할 때, 누름부(124)는 누름부(124)가 경사면(168)에 완전히 닿을 때까지 오목홈에 가라앉아야만 정지하는데, 즉 누름부(124)가 경사면(168)에 부착된 상태이다. 경사면(168)이 누름부(124)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누름부(124)의 누름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와이어(2)가 삽입구(162)에 삽입되는 경우, 노치(22)가 스토퍼(144)에 닿아 연장암(146)과 탄성 부재(142)가 변형되고, 최종적으로 스토퍼(144)가 노치(22)를 버클링한다. 플랫 와이어(2)의 노치(22)가 스토퍼(144)에 의해 버클링된 후, 누름부(124)를 눌러 누름부(124)가 탄성 부재(142)에 외력을 가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142)가 변형되고, 탄성 부재(142)의 변형량은 경사면(168)의 경사율과 관련되며, 탄성 부재(142)는 연장암(146)을 연동하여 스토퍼(144)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스토퍼(144)에 의해 노치(22)가 버클링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잠금 해제의 목적을 달성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에서,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10')는 제1 실시예의 상부 하우징(12), 하부 하우징(14), 고무 코어(16) 및 단자(18)를 포함하는 외에 차폐용 철제 쉘(20)을 더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2), 하부 하우징(14), 고무 코어(16) 및 단자(18)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차폐용 철제 쉘(20)은 상부 하우징(12)에 설치되고, 이 구조는 도 11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 11은 본 고안의 도 10을 나타내는 분해 모식도이다. 도 11에서, 차폐용 철제 쉘(20)은 제1 외부 버클 부재(202), 제1 철제 하우징 접지(204) 및 삽입 부재(206)를 더 포함한다. 제1 외부 버클 부재(202)는 차폐용 철제 쉘(20)의 양측변에 설치되고, 제1 철제 하우징 접지(204) 및 삽입 부재(206)는 고무 코어(16)의 삽입구(16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1 철제 하우징 접지(204)는 플랫 와이어(2)의 접지 와이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2)은 제2 외부 버클 부재(1216)를 더 포함하고 고무 코어(16)는 소켓(1610) 및 접지 개구(1612)를 더 포함한다. 제2 외부 버클 부재(1216)는 제1 외부 버클 부재(202)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소켓(1610)은 삽입 부재(206)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접지 개구(1612)는 제1 철제 하우징 접지(204)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삽입 부재(206), 제1 외부 버클 부재(202), 제2 외부 버클 부재(1216) 및 소켓(1610)에 의해, 차폐용 철제 쉘(20)이 상부 하우징(12) 및 고무 코어(16)를 커버하도록 한다.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와 회로 기판을 설명하는 연결 모식도이다. 도 12에서, 상부 하우징(12), 하부 하우징(14), 고무 코어(16), 단자(18) 및 차폐용 철제 쉘(20) 외에, 여기서 차폐용 철제 쉘(20)은 제2 하우징 접지(208) 및 제3 하우징 접지(2010)를 더 포함한다. 제2 하우징 접지(208) 및 제3 하우징 접지(2010)는 차폐용 철제 쉘(20)의 측면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2 하우징 접지(208) 및 제3 하우징 접지(2010)는 회로 기판(4)의 접지단(42)에 접촉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삽입 부재(206), 제1 외부 버클 부재(202), 제2 외부 버클 부재(1216) 및 소켓(1610)의 구조에 의해,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플로팅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즉 제1 외부 버클 부재(202) 및 제2 외부 버클 부재(1216)의 설계를 통해,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외부 버클 부재(202)는 개구이고 제2 외부 버클 부재(1216)는 돌출 블록이며, 개구가 돌출 블록보다 크면, 돌출 블록은 개구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차폐용 철제 쉘(20)의 제2 하우징 접지(208) 및 제3 하우징 접지(2010)를 회로 기판(4)의 표면에 따라 위치 조정할 수 있고, 회로 기판(4)에 원활하게 솔더링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시예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실시예와 동등한 모든 변경 및 대체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2: 플랫 와이어 22: 노치
4: 회로 기판 42: 접지단
10, 10’: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2: 상부 하우징 122: 상부 본체
124: 누름부 1242: 볼록 리브
126: 파구 128: 제2 고정 부재
1210: 제1 고정 부재 1212: 접지 부재
1214: 제1 버클 부재 14: 하부 하우징
142: 탄성 부재 144: 스토퍼
146: 연장암 148: 하부 본체
1410: 접지 부재 1412: 제2 하부 하우징 접지 부재
16: 고무 코어 162: 삽입구
164: 개구부 165: 작용부
166: 제2 버클 부재 168: 경사면
1610: 소켓 1612: 접지 개구
18: 단자 20: 차폐용 철제 쉘
202: 제1 외부 버클 부재 204: 제1 철제 하우징 접지
206: 삽입 부재 208: 제2 하우징 접지
2010: 제3 하우징 접지 FSP: 제1 수용 공간
SSP: 제2 수용 공간

Claims (16)

  1.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로서,
    플랫 와이어 및 회로 기판에 적용되고, 상기 플랫 와이어는 이의 헤드엔드의 양측변에 각각 노치 및 접지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고무 코어 및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부 본체 및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부는 파구를 통해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은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탄성 부재, 스토퍼, 연장암 및 하부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각각 상기 하부 본체의 양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노치를 버클링하도록 상기 노치에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암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고무 코어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고무 코어는 삽입구, 작용부 및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삽입 및 인출에 사용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개구부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설치에 사용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플랫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고무 코어에 설치되되;
    상기 플랫 와이어의 상기 노치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버클링된 후,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 부재에 외력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변형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장암을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노치가 버클링된 상태를 해제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경사면을 제공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경사면에 작용된 후, 상기 누름부가 상기 경사면에 제한되며, 나아가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량은 상기 경사면의 경사율에 관련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1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하부 본체의 양측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상기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누름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접촉되지 않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볼록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록 리브는 상기 탄성 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록 리브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고무 코어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무 코어의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R각을 가진 U형체이고, 이의 일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제2 하부 하우징 접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하우징 접지 부재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상기 접지 와이어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코어의 상기 작용부는 오목홈이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오목홈에 형성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누름부에 대응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1 버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 코어는 제2 버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클 부재는 상기 상부 본체의 양측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버클 부재는 상기 고무 코어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버클 부재는 상기 제2 버클 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버클 부재가 상기 제2 버클 부재에 작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고무 코어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제한하도록 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차폐용 철제 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용 철제 쉘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용 철제 쉘은 제1 외부 버클 부재, 삽입 부재 및 제1 철제 하우징 접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버클 부재는 상기 차폐용 철제 쉘의 양측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철제 하우징 접지 및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고무 코어의 상기 삽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철제 하우징 접지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상기 접지 와이어에 연결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용 철제 쉘은 제2 하우징 접지 및 제3 하우징 접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접지 및 상기 제3 하우징 접지는 상기 차폐용 철제 쉘의 측면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 접지 및 상기 제3 하우징 접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단에 접촉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2 외부 버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코어는 소켓 및 접지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외부 버클 부재는 상기 제1 외부 버클 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삽입 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접지 개구는 상기 제1 철제 하우징 접지에 대응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삽입 부재, 상기 제1 외부 버클 부재, 상기 제2 외부 버클 부재 및 상기 소켓에 의해, 상기 차폐용 철제 쉘이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고무 코어를 커버하도록 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버클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외부 버클 부재를 버클링하고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소켓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차폐용 철제 쉘, 상기 고무 코어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은 플로팅 연결을 제공하는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KR2020210002008U 2020-11-09 2021-06-24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KR2004973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214848 2020-11-09
TW109214848U TWM608614U (zh) 2020-11-09 2020-11-09 具有按壓解鎖結構之易鎖連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94U true KR20220001094U (ko) 2022-05-17
KR200497323Y1 KR200497323Y1 (ko) 2023-10-06

Family

ID=7603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08U KR200497323Y1 (ko) 2020-11-09 2021-06-24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3851U (ko)
KR (1) KR200497323Y1 (ko)
CN (1) CN214477999U (ko)
TW (1) TWM6086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8747B (zh) * 2021-03-03 2022-06-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TWI806015B (zh) * 2021-03-12 2023-06-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TWI797580B (zh) * 2021-03-16 2023-04-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TWM616388U (zh) * 2021-04-06 2021-09-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鎖扣與解鎖結構的連接器
TWI784471B (zh) * 2021-04-06 2022-1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鎖扣與解鎖結構的連接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815A (ko) * 2009-08-10 2011-02-1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커넥터 장치
KR20120081650A (ko) * 2010-12-02 201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20087817A (ko) * 2011-01-28 2012-08-0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KR20120106561A (ko) * 2011-03-18 2012-09-26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120106081A (ko) * 2011-03-17 2012-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30103354A (ko) * 2012-03-08 2013-09-23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8005976A (ja) * 2016-06-27 2018-01-11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JP3220680U (ja) * 2018-07-02 2019-03-28 禾昌興業股▲フン▼有限公司P−Two Industries Inc コネクタ構造
CN209843994U (zh) * 2019-06-14 2019-12-24 昆山德朋电子科技有限公司 柔性电路板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0680B2 (ja) 1999-03-05 2001-10-22 財団法人石油産業活性化センター 固体酸触媒の製造方法並びに本触媒を用いたパラフィン系炭化水素の異性化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815A (ko) * 2009-08-10 2011-02-1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커넥터 장치
KR20120081650A (ko) * 2010-12-02 201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20087817A (ko) * 2011-01-28 2012-08-0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KR20120106081A (ko) * 2011-03-17 2012-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20106561A (ko) * 2011-03-18 2012-09-26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130103354A (ko) * 2012-03-08 2013-09-23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8005976A (ja) * 2016-06-27 2018-01-11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JP3220680U (ja) * 2018-07-02 2019-03-28 禾昌興業股▲フン▼有限公司P−Two Industries Inc コネクタ構造
CN209843994U (zh) * 2019-06-14 2019-12-24 昆山德朋电子科技有限公司 柔性电路板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23Y1 (ko) 2023-10-06
JP3233851U (ja) 2021-09-09
CN214477999U (zh) 2021-10-22
TWM608614U (zh)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323Y1 (ko)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EP0188876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US800731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shell
US20080038963A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91484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22787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shroud having board-locks for grasping a circuit board
US10243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988608A1 (en) Connector
US8585433B2 (en)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occurrence of a contact failure
WO2009065051A1 (en) Latching connector
EP1326309A1 (en) Shielded connector
JP569669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4290184B2 (ja) 低背コネクタ
KR20030044875A (ko) 결속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US626762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924857B2 (ja) 電気コネクタ
US11677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76103B2 (ja) コネクタ
KR20080045053A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699459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US6619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KR200496784Y1 (ko)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JP429862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EP1096618A1 (en) Shiel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