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817A -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817A
KR20120087817A KR1020120003058A KR20120003058A KR20120087817A KR 20120087817 A KR20120087817 A KR 20120087817A KR 1020120003058 A KR1020120003058 A KR 1020120003058A KR 20120003058 A KR20120003058 A KR 20120003058A KR 20120087817 A KR20120087817 A KR 2012008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fc
arms
pair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이가라시
신스케 쿠니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08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실드 성능을 가지면서 부품수가 적고, 더욱이 인출 방지 해제조작의 공간을 포함하는 배치공간이 클 필요가 없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FFC 커넥터는 수용요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실드 쉘을 구비하고, 복수의 도체가 배열되고 양측둘레에 절결이 형성된 선단부분을 갖는 FFC와 접속한다. 실드 쉘은 양측둘레의 절결에 계지하여 선단부분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계지 아암, 하우징을 감싸는 실드부, 및 실드부로부터 연장된 계지 해제 아암을 갖는다. 계지 해제 아암은 선단부분을 사이에 끼우고 하우징의 수용요부가 향하는 정면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서로 근접하도록 집는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계지 아암의 절결에 대한 계지를 해제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Flexible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에는 플렉서블 케이블과 접속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가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케이블은 예를 들어, FFC(Flexible Flat Cable)이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로 대표되는 케이블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케이블에는 길게 뻗은 복수의 도체가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케이블에는 실드층이 설치된 타입의 것이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FPC와 접속하는 FPC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FPC 커넥터는 하우징을 덮는 실드 플레이트나 FPC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형의 록부를 갖는다. 록부의 일단은 FPC에 설치된 절결(切欠)에 계지되고, 록부의 타단은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액추에이터의 역점부와 계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엑추에이터는 FPC커넥터 후방의 폐위치에 회전조작됨으로써 록부를 FPC에 계지시키고, FPC커넥터 상방의 폐위치로 올리도록 회전조작됨으로써 록부의 계지를 해제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도 FPC에 계지되는 록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커넥터는 FPC의 양측에 설치된 볼록부에 계지되는 록 조부(爪部), 및 하우징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대한 FPC의 접속에 있어서는 우선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더를 인출하고 FPC를 하우징의 소정위치까지 삽입한 후, 이어서 슬라이더를 하우징부에 밀어넣어 록 조부를 FPC에 계지시킨다.
일본특허공개 공보 제2008-52993호 일본특허공개 공보 제平8-180940호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어느 커넥터나 FPC의 인출 방지 조작을 위한 액추에이터나 슬라이더 등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넥터의 부품수가 많다. 더욱이, 특허문헌 1의 FPC커넥터는 커넥터의 상방, 즉 높이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커넥터는 FPC의 분리가 고려되지 않는다. 즉, 슬라이더를 인출해도 록 조부의 FPC에 대한 계지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커넥터는 커넥터 부분에 있어서 실드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드 성능을 가지면서 부품수가 적으며, 나아가 인출 방지 해제조작의 공간을 포함하는 배치공간이 커질 필요성이 없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는, 복수의 도체가 폭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둘레에 절결이 형성된 선단(先端)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케이블과 접속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분을 수용하는 수용요부(受容凹部)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요부 내에 폭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수용요부에 수용된 상기 선단부분에 배열된 복수의 도체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 상기 수용요부에 수용된 양측둘레의 절결에 계지하여 상기 선단부분의 인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계지 아암, 및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실드부와, 상기 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선단부분을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요부가 향한 정면의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서로 근접하도록 집는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 각각의 상기 절결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 아암을 갖는 실드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는 하나의 부품인 실드 쉘에 계지 해제 아암과 실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 성능을 가지면서 부품수가 적다. 더욱이, 계지 해제 아암은 수용요부가 향한 정면의, 선단부분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케이블이 배치된 전방의 공간에서 폭방향 양측으로 약간 확장된 공간에서 인출 방지 해제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출 방지 해제조작을 포함한 배치공간이 작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이 상기 실드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실드 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지 아암이 실드 쉘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의 부품수가 더욱 적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은 각각 상기 수용요부에 수용된 상기 선단부분의 측둘레의 절결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돌출하여 파고드는 계지부, 및 상기 계지 해제 아암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은 상기 조작을 받아 상기 캠 경사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을 눌러내려, 상기 계지부의 절결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지 아암에 캠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계지 해제 아암을 서로 근접하도록 집는 조작으로 계지를 해제할 수 있는 기구를 부품의 추가 없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계지 해제 아암의 폭방향 내측에 인접한 위치에 안내 돌기를 갖고, 상기 계지 해제 아암이 상기 안내 돌기를 상하에서 끼워, 상기 조작을 받을 때 상기 안내 돌기에 따라 안내되는 안내수부(案內受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지 해제 아암이 안내 돌기를 상하에서 끼워 안내되므로, 계지 해제 아암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은 각각 상기 실드부의 전측에서 굴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의 각각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선단부분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케이블에 대해 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 계지 아암은 계지부가 플렉서블 케이블의 절결에 더욱 파고들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케이블의 무리한 인출에 더욱 강하게 견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드 성능을 가지면서 부품수가 적고, 더욱이 인출 방지 해제조작의 공간을 포함하는 배치공간이 커질 필요성이 없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의 제1 실시형태인 FFC 커넥터의 정면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배면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를 나타내고,(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4]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하우징 및 실드 쉘을 서로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하우징 및 실드 쉘을 서로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실드 쉘의 정면도이다.
[도 7] 도 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계지 아암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도 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0] 제2 실시형태인 FFC 커넥터의 정면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0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배면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를 나타내고,(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13]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하우징 및 실드 쉘을 서로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하우징 및 실드 쉘을 서로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실드 쉘의 정면도이다.
[도 16] 도 10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계지 아암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의 제1 실시형태인 FFC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1)는 플렉서블 케이블인 FFC(2; Flexible Flat Cable)와 접속한다. FFC 커넥터(1)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 상에 납땜접속되어 이용되고, FFC(2)가 접속됨으로써 FFC(2)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FFC]
도 1에는 길게 뻗은 FFC(2)의 선단부분(2A)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FFC(2)의 선단부분(2A)에는 가늘고 긴 구형의 복수의 도체(21)가 배열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FFC(2)는 유연성을 갖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필름(22)을 갖고 있다. 필름(22)의 일방의 면(겉면; 도 1에서 하면)에는 FFC(2) 전체에 걸쳐 직선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도체(21)가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필름의 타방의 면(뒷면; 도 1에서 상면)에는 실드(23)가 설치되어 있다. 실드(23)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며, 복수의 도체(21)에 대응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넓이를 갖고 있다. 여기서, FFC(2)에 있어서 복수의 도체(21)가 배열된 폭방향을 좌우방향(LR)이라 칭한다. FFC(2)의 선단부분(2A)의 양측둘레에는 절결(25)이 형성되어 있다.
[FFC 커넥터]
FFC 커넥터(1)는 하우징(11), 복수의 콘택트(12), 및 실드 쉘(13)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하우징(11)에는 FFC(2)의 선단부분(2A)을 수용하는 수용요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요부(111)는 FFC(2)의 선단부분(2A)의 형상에 맞추어 직선상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 홈이다.
여기서 하우징(11)의 수용요부(111)가 향하는 면을 정면(11a)이라 칭한다. 또한 하우징(11)의 수용요부(111)에서 FFC(2)를 향하는 방향, 즉 정면(11a)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향(F)이라 칭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향(B)이라 칭한다. 또한, 하우징(11) 및 수용요부(111)가 길게 연장된 방향을 수용요부(111)에 수용되는 FFC(2)에 맞추어 우방향(R) 및 좌방향(L)이라 칭한다. 또한, 전방향(F), 후방향(B), 우방향(R), 좌방향(L)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을 상방향(U) 및 하방향(D)이라 칭한다. 여기서, 수용요부(111)에 수용되는 FFC(2)의 도체(21)가 배치된 측이 하방향(D)이며, 실드(23)가 배치된 측이 상방향(U)이다.
콘택트(12)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며, 하우징(11)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콘택트(12)는 FFC(2)의 도체(21)의 개수와 같은 개수만큼 설치되어 있고, 수용요부(111) 내에 수용된 FFC(2)의 선단부분(2A)에 배열된 도체(21)에 각각 접촉한다. 콘택트(12)의 일부는 하우징(11)에서 후방향(B)으로 돌출해 있고, 돌출한 후단부(121)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 상의 도체패턴에 표면실장으로 납땜접속된다.
또한, 수용요부(111) 내에는 FFC(2)의 실드(23)와 접촉하는 복수의 실드 콘택트(131)도 설치되어 있다. 실드 콘택트(131)는 콘택트(12)와 함께 수용요부(111) 내에 수용된 선단부분(2A)을 상하방향(UD) 양측으로부터 끼우듯이, 수용요부(111) 내의 콘택트(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실드 콘택트(131)는 실드 쉘(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FFC(2)의 실드(23)와 접촉함으로써 실드 쉘(13) 전체를 FFC(2)와 동전위(통상은 그라운드전위)로 유지한다.
수용요부(111)의 좌우방향(LR) 양단에는 한 쌍의 계지 아암(132)이 설치되어 있다. 계지 아암(132)은 수용요부(111)에 FFC(2)가 수용된 경우에, FFC(2)의 양측둘레(24)의 절결(25)에 계지하여 FFC(2)의 선단부분(2A)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지 아암(132)은 실드 쉘(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실드 쉘(13)은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실드 쉘(13)은 상술한 실드 콘택트(131) 및 계지 아암(132)에 추가하여 실드부(133) 및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을 갖고 있다.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은 그 사이에 FFC(2)의 선단부분(2A)을 좌우방향(LR)으로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1)의 수용요부(111)가 향하는 정면으로부터 전방향(F)으로 돌출되어 있다.
실드부(133)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의 도체패턴에 표면실장으로 납땜접속되는 복수의 납땜접속편(135)이 설치되어 있다. 납땜접속편(135)이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의 도체패턴에 납땜접속됨으로써, FFC 커넥터(1)가 회로기판에 고정된다. 실드부(133)는 하우징(11)을 감싸고 있으며, 실드 콘택트(131)가 FFC(2)의 실드(23)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나아가 납땜접속편(135)이 회로기판에 접지접속함으로써, FFC 커넥터(1) 전체를 전자적으로 실드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하우징 및 실드 쉘을 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실드 쉘의 정면도이다.
실드 쉘(13)에는 실드 콘택트(131), 계지 아암(132), 실드부(133), 계지 해제 아암(134), 및 납땜접속편(135)이 설치되어 있다. 실드부(133)는 하우징(11)을 감싸는 고리 형상의 벨트이다. FFC 커넥터(1; 도 1참조)의 조립시에는 고리 형상의 실드부(133) 내에 하우징(11)이 감입(嵌入)된다. 하우징(11)의 정면(11a) 둘레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플런지(1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이 실드 쉘(13)의 전측에서 후방향으로 삽입되어가면, 하우징(11)의 플런지(112)가 실드부(133)의 전측둘레(133a)에 닿는다. 플런지(112)가 실드부(133)의 둘레(133a)에 닿은 상태에서 하우징(11)의 실드 쉘(13)에 대한 삽입이 완료된다.
실드 쉘(13)의 실드부(133)로부터는 실드 콘택트(131), 계지 아암(132), 계지 해제 아암(134) 및 납땜접속편(135)의 각각이 연장되고 있다. 즉, 실드부(133), 실드 콘택트(131), 계지 아암(132), 계지 해제 아암(134) 및 납땜접속편(135)이 한 개의 부재인 실드 쉘(13)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실드 콘택트(131), 계지 아암(132), 및 계지 해제 아암(134)의 각각은 실드부(133)의 후측둘레(133b)로부터 후방향(B)으로 연장되다가, 도중에 절곡되어 전방향(F)으로 연장되고 있다. 즉, 실드 콘택트(131), 계지 아암(132) 및 계지 해제 아암(134)의 각각은 외팔보 형상으로 실드부(133)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 콘택트(131), 계지 아암(132), 및 계지 해제 아암(134)의 각각은 선단부분에 외력을 받음으로써 탄성변형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실드 콘택트(131)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부(133)로부터 연장되어 전방향(F)을 향해 연장되는 도중에 폭이 두터운 압입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FFC 커넥터(1: 도 1 참조)의 조립 시에는 압입부(131a)가 하우징(11)의 압입슬롯(114)에 압입됨으로써 하우징(11)과 실드 쉘(13)이 서로 고정된다. 이때 실드 콘택트(131)의 압입부(131a)보다도 앞 부분이 하우징(11)의 수용요부(111) 내에 노출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계지 아암(132)의 실드부(133)로부터 연장되어 전방향(F)을 향해 연장되는 선단부분에는 FFC(2; 도 1 참조)의 선단부분(2A)에 계지하는 계지부(132a)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132a)는 상방향(U)으로 돌출한 갈고리 형상의 돌기이며, 수용요부(111; 도 1참조)에 수용된 FFC(2)의 선단부분(2A)의 측둘레(24)의 절결(25)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돌출하여 파고든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계지 아암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의 파트 (A)에서 파트 (B)까지에는 FFC 커넥터(1)의 수용요부(111)에 FFC(2)가 삽입되어 가는 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FFC(2)의 선단부분(2A)은 도 7의 파트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요부(111)에 삽입되면, 계지 아암(132)의 계지부(132a)를 하방향(D)으로 눌러 내린다. 도 7의 파트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분(2A)이 수용요부(111)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계지 아암(132)이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U)으로 되돌아오고, 계지부(132a)가 선단부분(2A)의 절결(25)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파고든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계지 아암(132)의 선단부분에는 인접하는 계지 해제 아암(134)을 향하여 하방향(D)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132b: 도 4, 도 6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은 서로를 향하여 열린 횡방향의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U자형을 이루는 상측편(134a)과 하측편(134b)을 갖는다. 계지 해제 아암(134)의 하측편(134b)의 둘레는 계지 아암(132)의 캠 경사면(132b)에 근접하고 있으며, 계지 해제 아암(134)이 조작되면 캠 경사면(132b)에 작용한다. 하측편(134b)은 밀착하도록 굴곡된 둘레를 갖는다. 이 둘레에 의해 캠 경사면(132b)과 원활하게 캠 계합이 가능하고, 동시에 굴곡에 의해 두께가 증대하므로 계지 아암(132)의 변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우징(11)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요부(111)의 좌우방향(LR)에 있어서 양단의 위치에 한 쌍의 안내돌기(113)를 갖는다. 안내돌기(113)의 각각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FFC 커넥터(1)가 조립된 상태에서 U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계지 해제 아암(134)의 상측편(134a)과 하측편(134b)은 안내돌기(113)를 상하에서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계지 해제 아암(134)을 좌우방향(LR)으로 안내한다.
[FFC의 접속과 해제]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FC 커넥터(1)에 FFC(2)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FFC(2)의 선단부분(2A)을 FFC 커넥터(1)의 수용요부(111)에 삽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2)의 선단부분(2A)이 FFC 커넥터(1)의 수용요부(111)에 삽입되면, FFC(2)의 도체(21: 도 1 참조)는 FFC 커넥터(1)의 콘택트(12: 도 1 참조)와 각각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FFC(2)의 실드(23: 도 1 참조)는 FFC(2)의 실드 콘택트(131: 도 1 참조)와 접촉하고, 하우징(11)을 감싸는 실드부(1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실드 쉘(13)의 납땜접속편(135)이 회로기판의 도체패턴에 접지접속된다. 따라서 FFC 커넥터(1)가 전자적으로 실드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계지부(132a; 도 7의 파트 (B) 참조)가 FFC(2)의 선단부분(2A)의 절결(25)에 돌출하여 파고들고, FFC(2)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FFC(2)에 대해 전방향(F)에 인력이 가해지더라도 FFC(2)가 FFC 커넥터(1)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낸 접속상태에서 FFC 커넥터(1)로부터 FFC(2)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에 대해 해제조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이 서로 근접하도록 손가락으로 집는다. 집는 힘을 인가받음으로써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은 좌우방향(LR)의 화살표(M1, M2)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즉, FFC(2)의 좌우방향(LR) 양측에 설치된 계지 해제 아암(134)의 각각은 해제조작에 있어서 FFC(2)를 향해 구동된다.
도 9는 FFC 커넥터(1)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9의 파트 (A)에는 해제조작의 힘을 받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파트 (B)에는 해제조작의 힘을 받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이 집는 힘을 받아 서로 근접할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계지 해제 아암(134)은 화살표(M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계지 해제 아암(134)의 하측편(134b)의 굴곡된 둘레가 계지 아암(132)의 캠 경사면(132b)에 작용하고, 계지 아암(132)의 선단을 화살표(N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향(D)으로 변위시킨다. 계지 아암(132)의 선단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FFC(2)의 선단부분(2A)의 절결(25)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파고든 계지부(132a)가 배치되어 있다. 계지 아암(132)의 선단이 하방향(D)으로 변위함으로써, 도 7의 파트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지부(132a)의 절결(25)에 대한 계지가 해제된다. 계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FFC(2)를 쥐고 전방향(F)으로 당김으로써 FFC(2)가 FFC 커넥터(1)로부터 빠진다.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FFC(2)의 계지를 해제하므로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을 한 손으로 잡는 것만으로도 계지의 해제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계지 해제 아암(134)은 상측편(134a)과 하측편(134b)에서 안내돌기(113)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안내돌기(113)에 의해 좌우방향(LR)으로 안내를 받는다. 따라서, 비록 해제조작의 힘이 상하방향(UD)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계지 해제 아암(134)이 상하방향(UD)으로 어긋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134)은 수용요부(111)가 향한 정면에서 FFC(2)가 연장되는 전방(F)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FFC(2)가 배치되는 FFC 커넥터(1)보다 전방향(F)의 공간을 이용하여 해제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FFC(2)가 배치된 공간보다 좌우방향(LR)으로 약간 연장한 공간을 이용하여 해제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과 같이 해제조작을 위한 공간을 FFC가 배치된 공간과 다른 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FFC 커넥터(1)의 상부에는 다른 부품이나 광체를 간극 없이 배치할 수 있으며, 탑재하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지 해제 아암(134)이 실드 쉘(13)의 일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FFC 커넥터(1)의 실드성과 FFC(2)의 해제 기능을 확보하면서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부호를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인 FFC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3)는 제1 실시형태의 커넥터(1:도 1참조)와 마찬가지로 FFC(2)에 접속된다. FFC 커넥터(3)는 하우징(31), 복수의 콘택트(32) 및 실드 쉘(33)을 구비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하우징 및 실드 쉘을 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4는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실드 쉘의 정면도이다.
실드 쉘(33)은 실드 콘택트(331), 계지 아암(332), 실드부(333), 계지 해제 아암(334) 및 납땜접속편(335)을 갖는다. 실드부(333)는 하우징(31)을 감싸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드부(333)는 하우징(31)의 상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실드 상부(333U)와 하우징(31)의 하면을 따라 배치되는 실드 하부(333D)가, 하우징(31)의 후면을 따라 상하방향(UD)으로 연장되는 2가닥의 연결부(333C)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실드 쉘(33)의 실드부(333)로부터는 실드 콘택트(331), 계지 아암(332), 계지 해제 아암(334) 및 납땜접속편(335)이 연장되고 있다. 또한, 실드부(333)의 실드 하부(333D)에 있어서, 인접한 모든 납땜접속편(335)의 사이에 하우징(31)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336)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1)에는 결합편(336)과 결합하는 결합부(316)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336)은 하우징(31)의 후방(B)으로부터 파고들어 실드 하부(333D)를 하우징(31)에 고정한다.
실드 콘택트(331), 계지 아암(332), 및 계지 해제 아암(334)의 각각은 외팔보 형상으로 실드부(333)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실드 콘택트(331) 및 계지 해제 아암(33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드부(333)의 후측둘레(333b)에서 후방향(B)으로 연장되다가 도중에 절곡되어 전방향(F)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계지 아암(332)은 실드부(333)의 전측에서 굴곡하여 후방향(B)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계지 아암(332)은 실드부(333)의 전측둘레(333a)에서 전방향(F)으로 연장되다가 도중에 수용요부(311; 도 10참조)가 설치된 상방향(U)으로 굴곡하여 후방향(B)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332)의 실드부(333)로부터 연장되어 후방향(B)을 향해 연장된 선단부분에는, FFC(2: 도 1참조)의 선단부분(2A)에 계지하는 계지부(332a)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332a)는 상방향(U)으로 돌출한 갈고리 형상의 돌기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332)은 하우징(31)의 벽에 둘러싸여 보호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332a)가 하우징(31)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하여 수용요부(311) 내에 둘출하고 있다.
계지 아암(332)의 선단부분에는 인접하는 계지 해제 아암(334)을 향해 하방향(D)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332b: 도 14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334)은 서로를 향하여 열린 횡방향의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 해제 아암(334)의 하측편(334b)의 둘레 일부는 계지 아암(332)을 향해 돌출하고 있으며, 돌출한 선단이 계지 아암(332)의 캠 경사면(332b)에 근접하고 있다. 계지 해제 아암(334)은 조작됨으로써 캠 경사면(332b)에 작용한다.
[FFC의 접속과 해제]
도 16은 도 10에 나타내는 FFC 커넥터의 계지 아암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7 중 파트 (C)에 대응하는 FFC(2)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FC(2)의 선단부분(2A)이 수용요부(311)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그때까지 선단부분(2A)에 눌려 변형된 계지 아암(332)이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U)으로 되돌아오고, 계지부(332a)가 선단부분(2A)의 절결(25)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파고든다. 계지부(332a)가 FFC(2)의 절결(25)에 파고듬으로써 FFC(2)의 인출 방지가 행해진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계지 아암(332)은 실드부(333)의 전측에서 굴곡되어 후방향(B)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계지부(332a)는 계지 아암(33)의 후방향(B)을 향해 연장되는 선단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FFC(2)에 대해 전방향(F)에 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 계지부(332a)에도 전방향(F)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힘에 의해 후방향(B)으로 연장된 계지 아암(332)은, 선단의 계지부(332a)가 전방 비스듬히 상방, 즉 화살표(Q)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변형된다. 다시 말하면, FFC(2)에 전방향(F)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계지부(332a)가 FFC(2)의 절결(25)에 대하여 더욱 파고든다. 따라서, FFC(2)의 유지력이 향상되고 FFC(2)의 무리한 인출에 대하여 보다 강하게 견딜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FFC 커넥터(3)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334)에 대하여 해제조작을 행함으로써 FFC(2)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334)을 서로 근접하도록 손가락으로 집음으로써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334)을 좌우방향(LR)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킨다. 이때, 계지 해제 아암(334)의 하측편(334b)의 굴곡된 둘레가 계지 아암(332)의 캠 경사면(332b)에 작용하고, 계지 아암(332)의 선단을 하방향(D)으로 변위시킨다. 계지 아암(332)의 선단이 하방향(D)으로 변위함으로써, 계지부(332a)의 절결(25)에 대한 계지가 해제된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의 예로서 FFC와 접속하는 FFC 커넥터(1, 3)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는, 복수의 도체가 폭방향으로 배열된 선단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는 필름상의 절연기판 상에 도체가 인쇄된 FPC와 접속하는 커넥터라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렉서블 케이블은, 예를 들어 FPC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도체가 꺽여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도 무관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계지 아암의 예로서 실드 쉘(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계지 아암(132)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계지 아암은 하우징에 설치된 돌기라도 좋다. 다만, 계지 아암이 금속제의 실드 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튼튼하다. 따라서 플렉서블 케이블에 강한 인발력이 가해진 경우, 커넥터보다 플렉서블 케이블이 먼저 파손되므로 교환의 수고가 큰 커넥터의 파손이 회피될 수 있다.
1, 3 : 커넥터 11, 31 : 하우징
11a : 정면 111, 311 : 수용요부
113 : 안내돌기 12, 32 : 콘택트
13, 32 : 콘택트 2 : FFC
2A : 선단부분 21 : 도체
25 : 절결 132, 332 : 계지 아암
132b, 332b : 캠 경사면 132a, 132a : 계지부
133, 333 : 실드부 134, 334 : 계지 해제 아암
F : 전방향

Claims (5)

  1. 복수의 도체가 폭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둘레에 절결이 형성된 선단부분을 갖는 플렉서블 케이블과 접속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분을 수용하는 수용요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요부 내에 폭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수용요부에 수용된 상기 선단부분에 배열된 복수의 도체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콘택트;
    상기 수용요부에 수용된 양측둘레의 절결에 계지하여, 상기 선단부분의 인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계지 아암; 및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실드부, 및 상기 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선단부분을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요부가 향하는 정면의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을 갖는 실드 쉘 - 상기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은 서로 근접하도록 집는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 각각의 절결에 대한 계지를 해제함 -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이 상기 실드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실드 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은 각각 상기 수용요부에 수용된 상기 선단부분의 측둘레의 절결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돌출하여 파고드는 계지부, 및 상기 계지 해제 아암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계지 해제 아암은 상기 조작을 받아 상기 캠 경사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을 눌러내려, 상기 계지부의 상기 절결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계지 해제 아암의 폭방향 내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안내 돌기를 갖고,
    상기 계지 해제 아암이 상기 안내 돌기를 상하에서 끼워, 상기 조작을 받을 때 상기 안내 돌기에 따라 안내되는 안내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은 각각 상기 실드부의 전측에서 굴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한 쌍의 계지 아암 각각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선단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KR1020120003058A 2011-01-28 2012-01-10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KR20120087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6736 2011-01-28
JP2011016736 2011-01-28
JP2011095846A JP2012169243A (ja) 2011-01-28 2011-04-22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JP-P-2011-095846 2011-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817A true KR20120087817A (ko) 2012-08-07

Family

ID=4656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058A KR20120087817A (ko) 2011-01-28 2012-01-10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96466A1 (ko)
JP (1) JP2012169243A (ko)
KR (1) KR20120087817A (ko)
CN (1) CN1026238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94U (ko) * 2020-11-09 2022-05-1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2987209B8 (en) * 2013-04-18 2019-05-22 Amphenol FCI Asia Pte. Ltd.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JP6199153B2 (ja) * 2013-10-25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141490B1 (ko) 2014-02-06 2020-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6281698B2 (ja) * 2014-05-22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227715B1 (ja) 2016-06-08 2017-11-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07028B2 (ja) * 2017-12-20 2021-01-06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729640B2 (ja) * 2018-06-28 2020-07-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0098521A (zh) * 2019-05-07 2019-08-06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型摁压式fpc连接器
JP7216685B2 (ja) * 2020-07-27 2023-02-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94U (ko) * 2020-11-09 2022-05-1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6466A1 (en) 2012-08-02
JP2012169243A (ja) 2012-09-06
CN102623815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7817A (ko)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JP3451393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EP1505695B1 (en)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KR100883724B1 (ko)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US6976865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mechanism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US8585433B2 (en)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occurrence of a contact failure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20150110333A (ko) 커넥터
TWI556511B (zh) 插頭連接器
JP4440122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US9112306B2 (en) Connector
JP2011014397A (ja) 電気コネクタ
JP4575423B2 (ja) コネクタ
JP200813026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EP4002604A1 (en) Connector
JP2012109059A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US6855000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tab
JP3969400B2 (ja) コネクタ
JP4397736B2 (ja) コネクタ
US6957975B2 (en) Plug connecto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and plug connector having such housing
JP3741350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731112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