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053A -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053A
KR20080045053A KR1020070115393A KR20070115393A KR20080045053A KR 20080045053 A KR20080045053 A KR 20080045053A KR 1020070115393 A KR1020070115393 A KR 1020070115393A KR 20070115393 A KR20070115393 A KR 20070115393A KR 20080045053 A KR20080045053 A KR 2008004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flat cable
contacts
f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8004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종래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보다 저배화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저배화되면서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1)는 FPC(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31, 32)와, 콘택트(31, 32)를 보호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2)과, 하우징(2)에 장착되어 FPC(8)를 복수의 콘택트(31, 32)에 접속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는 쉴드 플레이트(6)를 구비한다. 이 쉴드 플레이트(6)가 FPC(8)를 콘택트(31, 32)에 압압한다.
플랫 케이블, 콘택트, 압압판, 절연성 하우징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플랫 케이블(flat cable)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기능이 부가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로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은 커넥터의 고밀도화를 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라고 함)의 삽발이 용이하고, 나아가, 노이즈 대책이 실시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100)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콘택트(110)의 접촉부(111)와 제2 콘택트(120)의 접촉부(121)를 간격을 두어 상하 2단으로 배치하고, 또 금속제의 쉘(130)을 설치한다. FPC(180)는 전기 커넥터(100)의 감합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한 상태로 FPC(18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쉘(130)은 전기 커넥터(100)가 기판에 실장되고, 이 기판에 설치된 설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자파에 근거하는 노이즈가 전기 커넥터(100) 내부에 입력되거나 또는 전기 커넥터(100)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한다.
특허 문헌 2도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200)를 개시하고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210)의 신호 도체와 접촉하는 콘택트(220)와, 콘택트(220)를 보호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250)을 구비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200)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250)의 외면을 거의 덮도록 절연 하우징(250)에 장착되는 쉴드(shield) 플레이트(260)를 구비한다. 콘택트(220)는, 음차 형상을 하고 있어, 플랫 케이블(210)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 아암(220a)과 압압 아암(220b)을 구비하고 있다. 압압 아암(220b)은 잠금 부재(270)에 의해 상방에 압압되고 그 결과로서 접촉 아암(220a)은 플랫 케이블(210)방향으로 압압된다. 플랫 케이블(210)의 상면에는 쉴드층(210s)이 형성되어 있고 쉴드 플레이트(260)는 상기 쉴드층(2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쉴드 플레이트(260)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200)가 실장되는 기판(280)상에 형성되는 접지부(28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허 문헌 1] 특개평 10-189174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6-66242호 공보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는 그 높이를 낮게 하는 저배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하는 플랫 케이블용의 전기 커넥터(100)는 제1콘택트(110)와 제2콘택트(120)가 상하 2단으로 배치되고, 게다가 그 상방에 쉴드 플레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는 쉘(130)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배화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200)도 콘택트(220)가 음차 형상을 이루고, 나아가 절연 하우징(250)의 상면에 쉴드 플레이트(26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저배화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에 근거하여 이루어 진 것으로 종래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보다 저배화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저배화되면서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압압판이 플랫 케이블을 콘택트에 압압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콘택트의 형상은 플랫 케이블 및 기판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과 같이 상하 2단, 혹은 특허 문헌 2와 같이 음차 형상이 아니며,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와 콘택트를 보호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어 플랫 케이블을 콘택트에 압압하는 압압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이란 평판상의 절연체 내에 복수의 전선이 평행하게 배치된 FFC(플렉서블 플랫 케이블)라고 칭해지는 것 외에 전술한 FPC를 포함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압압판을 금속판으로 구성하면, 압압판이 접지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적어도 플랫 케이블과 복수의 콘택트가 접촉하는 영역을 덮는 압압판은 쉴드 플레이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저배화를 달성하면서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이 플랫 케이블이 인출되는 정면측 및 정면측과 대향하는 배면측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압압판은 적어도 배면 측에 두어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폭방향의 양단에서 쉴드 플레이트를 하우징에 대해 고정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이 포함한다. 그런데, 콘택트의 수가 많아지면 콘택트로부터 압압판이 받는 반력이 커진다. 그러면, 폭방향의 양단에서의 고정으로는 압압판 및 플랫 케이블에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반력 방향으로 볼록이 되는 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휨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서, 압압판은 적어도 배면도에 대해 하우징에 대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 배면 측에 두어 고정하는 것 외에, 다른 부위에서 고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배면측의 고정에 추가해 정면측의 폭방향의 양단에서 압압판을 하우징에 대해 고정하는 구조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는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부를 포함한 탄성 변형부와, 탄성 변형부에 이어지는 것과 동시에,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구속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이어지는 타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부가 배면측에 위치하고, 타인부가 정면 측에 위치하는 것이 저배화에 있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저배화에 있어, 콘택트의 접촉부가 자유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의 플랫 케이블 당접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콘택트가 자유 상태의 위치로부터, 압압판에 의한 압압력이 부여된 상태의 위치까지의 콘택트의 접촉부의 압압 방향의 변위량을 플랫 케이블의 두께 이상으로 할 수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랫 케이블의 두께가 얇아져도 콘택트와 플랫 케이블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는 데에 필요한 콘택트와 플랫 케이블의 사이의 압압력을 높게 설정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압판이 플랫 케이블을 압압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 서, 상하 2단의 콘택트를 이용하는 특허 문헌 1 혹은 음차 형상의 콘택트를 이용하는 특허 문헌 2의 커넥터에 비해, 높이가 낮은, 즉 저배화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압압판을 금속판으로부터 구성함으로써, 저배화를 달성하면서,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이하, 단지 커넥터라고 한다) (1)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1은 FPC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커넥터(1)의 주요 구성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주요 구성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쉴드 플레이트(6)를 제거하고 있다. 도 4는 쉴드 플레이트(6)를 없앤 커넥터(1)의, 4a - 배면도, 4b - 평면도 및 4c - 정면도이다. 도 5는 쉴드 플레이트(6)을 도시하는 3면도, 도 6은 FPC(8)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커넥터(1)의 측면도, 도 8은 도 4(b)의 8a-8a선을 따라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단면에 쉴드 플레이트(6) 및 FPC(8)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넥터(1)는 절연하우징(이하, 단지 하우징이라 한다)(2)과 이 하우징(2)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설된 복수의 콘택트(3)와, 콘택트(3)가 배설된 측의 하우징(2) 을 덮는 쉴드 플레이트(6)와, 쉴드 플레이트(6)를 하우징(2)에 대해 고정하는 펙(4) 및 래치(5)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는 FPC(8)와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기판을 콘택트(3)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커넥터(1)는 전자파에 근거하는 노이즈가 커넥터(1)에 입력되고 또는 커넥터(1)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이즈 대책기능을 쉴드 플레이트(6)가 갖는다. 커넥터(1)는 이에 추가하여 쉴드 플레이트(6)가 콘택트(3)와 FPC(8)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압압력을 콘택트(3) 및 FPC(8)에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쉴드 플레이트(6)에 이 두가지 기능을 부여한 커넥터(1)는 콘택트(3)를 외팔보 형상으로 하여, 저배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커넥터(1)에 있어, FPC(8)가 인출되는 측을 정면 또는 정면측, 그 반대측을 배면 또는 배면측으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하우징(2)은 콘택트(3)의 고정부를 고정하는 콘택트 고정부(21)와 콘택트 고정부(21)의 일단측에 연장하여 설치되는 구형 형상의 콘택트 수용부(22)와 콘택트 수용부(22)의 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는 래치 고정부(23)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 고정부(21), 콘택트 수용부(22) 및 래치 고정부(23)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을 구성한다. 콘택트 고정부(21)는 콘택트(3)를 압입하는 복수의 콘택트 압입공(이하, 단지 압입공)(211)을 구비하고 있다. 압입공(211)은 콘택트 고정부(21)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있고, 해당 폭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콘택트 고정부(21)를 관통한다. 압입공(211)에 압입된 콘택트(3)는 하우징(2)에 보호 유지된다.
콘택트 수용부(22)는 콘택트(3)를 수용하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구(이하, 단 지 수용구)(221)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구(221)는 콘택트 수용부(22)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 각 수용구(221)는 대응하는 압입공(211)과 이어지고 있다. 1개의 콘택트(3)는 한 쌍의 압입공(211)과 수용구(221)에 배설된다. 콘택트(3)는 수용구(221)에 수용되는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콘택트 수용부(22)의 표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222)는 콘택트 수용부(22)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쉴드 플레이트(6)에 형성된 위치 결정공(64) 및 FPC(8)에 형성된 위치 결정공(822)에 위치 결정 돌기(222)를 감입함으로써 하우징(2)에 대해 쉴드 플레이트(6) 및 FPC(8)를 위치 결정한다. 래치 고정부(23)는 래치(5)를 고정하는 래치압입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5)는 그 일부가 고정구(231)에 압입된다.
콘택트(3)는 2종류의 콘택트(31, 32)로 구성된다. 콘택트(31, 32)는 일반적으로 고탄성이며 나아가 고도전성을 구비한 구리합금을 타발하여 형성된다. 콘택트(31)는 정면측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접촉부(311), 접촉부(311)를 포함한 탄성 변형부(312), 탄성 변형부(312)와 이어지는 고정부(313) 및 고정부(313)와 이어지는 타인부(314)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콘택트(32)는 정면측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접촉부(321), 접촉부(321)를 포함한 탄성 변형부(322), 탄성 변형부(322)로 이어지는 고정부(323) 및 고정부 (323)로 이어지는 타인부(324)로 구성된다. 콘택트(31, 32)는 배면측으로부터 하우징(2)의 압입공(211)에 삽입된다. 콘택트(31, 32)의 고정부(313, 323)은 이 압입공(211)에 압입된다. 이 부분이 외팔보의 고정단을 구성한다. 탄성 변형부(312, 322)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수용구(221)에 수용되다. 콘 택트(31, 32)가 쉴드 플레이트(6)에 의해 압압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311, 321)는 FPC(8)가 당접하는 콘택트 수용부(22)의 상면, 즉, 수용구(22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311, 321)는 FPC(8)의 단자(8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콘택트(31, 32)는, 접촉부(311, 321)가 콘택트 수용부(22)의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는, 후술하는 FPC(8)의 단자(821)와 대응하고 있다. 콘택트(31, 32)는 접촉부(311, 321)의 반대측의 단부에 타인부(314, 324)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31, 32)가 하우징(2)에 압입, 고정된 상태에서 타인부(314, 324)는 하우징(2)의 저면(2a)측에 돌출하고 있어 하우징(2)가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취부될 때 기판에 표면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의 랜드(도체 패턴)에는 납땜된다.
펙(4)은 커넥터(1)의 배면측에 위치해 쉴드 플레이트(6)를 계지한다. 또, 펙(4)은 쉴드 플레이트(6)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쉴드 플레이트(6)을 접지할 수가 있다. 이 접지는 펙(4)이 기판의 랜드에 납땜됨으로써 실현된다. 게다가 하우징(2)을 기판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펙(4)은 소정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상벽(41) 및 하벽(42)을 구비하고 있다. 상벽(41) 및 하벽(42)은 후벽(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벽(41)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측벽(44)이 직하하고 있다. 따라서, 펙(4)은 개구(4a)를 가지는 상자 모양의 형태를 갖고 있다. 펙(4)은 동합금, 그 외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타발 및 절곡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하벽(42)과 측벽(44) 사이 및 후벽(43)과 측벽(44) 사이에는 노치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펙(4)은 상벽(41) 및 하벽 (42)이 후벽(43)을 기준으로 하 여 탄성을 구비한다. 펙(4)의 상벽(41)에는 비드(41a)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펙(4)은 쉴드 플레이트(6)을 계지하는 기계 구조 부재이며, 그 강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비드(41a)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펙(4)의 측벽(44)은 압입 돌기(44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에는 이 압입 돌기(441)가 압입되는 압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공에 압입 돌기(441)를 삽입함으로써 펙(4)은 커넥터(1)의 배면측에 고정된다. 커넥터(1)의 배면측에 고정된 펙(4)은 그 개구(4a)의 상부가 하우징(2)의 콘택트 수용부(22)의 표면보다도 돌출한다. 이 돌출한 개구(4a)와 콘택트 수용부(22) 상면에서 형성되는 공극에, 후술하는 쉴드 플레이트(6)의 계지편(63)을 삽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는 동일 형태의 펙(4)을 3개 사용하고 있다. 폭방향으로 긴 단일 펙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폭이 다른 커넥터마다 사이즈가 다른 펙을 준비하기보다도, 소사이즈의 펙을 커넥터의 사이즈(길이)에 적합한 수만큼 이용하는 편이 부품 점수 저감에 유효하기 때문이다. 또, 커넥터(1)는 콘택트(31, 32)의 타인부(314, 324)를 하우징(2)의 정면 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은 펙(4)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즉, 콘택트(31, 32)의 고정부(313, 323)는 그 높이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다. 따라서, 고정부(313, 323)가 배면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에 따라 펙(4)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있고, 커넥터(1)의 저배화에 있어 불리하게 되다.
래치(5)는 쉴드 플레이트(6)를 계지한다. 하우징(2)의 폭방향 양단부에 배설된 래치(5)는 펙(4)과 함께, 쉴드 플레이트(6)를 하우징(2)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래치(5)는 쉴드 플레이트(6)가 계지되는 래치 본체(51)와 래치 본체(51)에 이어지는 강성부(52)와 강성부(52)에 이어지는 압입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래치(5)는 스텐레스강, 그 외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타발 및 절곡가공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치(5)는 그 압입부(53)를 하우징(2)의 래치 압입구(231)에 압입함으로써, 하우징(2)에 대해 고정된다. 래치 본체(51)는 평판부(51b)와 평판부(51b)에 이어져 단면이 C자 모양의 만곡부(51a)로 구성된다. 만곡부(51a)는 평판부(51b)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래치 본체(51)와 압입부(53)와의 사이에 강성부(52)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래치 본체(51)에서 쉴드 플레이트(6)를 계지하면, 쉴드 플레이트(6)는 상당한 압력으로 FPC(8)를 콘택트(3)에 압압할 수가 있다.
도 5는 쉴드 플레이트(6)의 3면도를 도시한다. 쉴드 플레이트(6)는 커넥터(1)로의 노이즈의 입력 또는 커넥터(1)로부터의 노이즈의 출력을 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쉴드 플레이트(6)는 이 노이즈 대책 기능 외에, FPC(8)를 콘택트(3)에 압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노이즈 대책 기능은 펙(4)이 기판상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발휘된다. 또, 쉴드 플레이트(6)는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재료, 예를 들면 구리합금으로 구성된다. 편평이며 구형인 쉴드 플레이트(6)는 단일체인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쉴드 플레이트(6)는 제1 부분(61) 및 제2 부분(65)을 구비하고 있어 전술한 펙(4) 및 래치(5)에 의해 하우징(2)에 고정된다.
제1 부분(61)은 콘택트(3)와 FPC(8)의 단자(821)의 전기적인 접속부분을 덮 음으로써, 해당 접속 부분에 대해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1 부분 (61)은 FPC(8)를 압압함으로써, 콘택트(3)와 FPC(8)의 단자(821)의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제1 부분(61)은 그 폭방향을 따라 2개의 비드(62)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비드(62)는 제1 부분(61)의 강성을 높게 한다. 콘택트(3)의 수가 많아지면, FPC(8)를 통해 콘택트(3)를 압압함으로 인한 콘택트(3)로부터의 반력이 커진다. 따라서, 콘택트(3)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이 비드(62)의 필요성이 크다. 다만, 비드(62)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필수 요소는 아니다. 제1 부분(61)은 펙(4)에 계지되는 계지편(63)을 구비하고 있다. 펙(4)의 수에 대응하여, 제1부분(61)은 3개의 계지편(63)을 구비하고 있다. 계지편(63)은 펙(4)의 개구(4a)와 콘택트 수용부(22)의 상면에서 형성되는 공극에 삽입된다. 제1 부분(61)은 위치 결정공(6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공(64)을 하우징(2)의 위치 결정 돌기(222)에 감입함으로써, 하우징(2)에 대한 쉴드 플레이트(6)의 위치 정밀도가 유지된다.
제2 부분(65)은 FPC(8)를 덮음으로써, 노이즈 대책 기능을 발휘한다. 또, 제2부분(65)는 FPC(8)를 압압한다. 여기서, 노이즈 대책 기능은 콘택트(3)와 FPC(8)의 단자 (821)와의 전기적인 접속 부분에 특히 요구되는 것이다. 또, 제2 부분(65)은 콘택트(3)로부터 받는 반력이 제1 부분(61)에 비해 작다. 따라서, 제2 부분(65)는 제1 부분(61)에 비해, 부차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콘택트(3)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콘택트(3)로부터 받는 반력이 커지므로, 제2 부분(65) 을 설치함으로써, 쉴드 플레이트(6) 전체의 강성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분(65)은 그 폭방향의 양 둘레에 래치(5)와 계지하는 한 쌍의 계지편(66)을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제1 부분(61)의 계지편(63)이 펙(4)과 또, 제2 부분(65)의 계지편(66)이 래치(5)와 계합함으로써, 쉴드 플레이트(6)은 하우징(2)에 대해 고정된다.
도 6은 FPC(8)의 평면도이다. FPC(8)는 케이블 본체(81)와 단자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본체(81)는 복수의 도체와 이 도체를 오버 몰드하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체 및 절연체는 도시를 생략되어 있다. 도체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 도체는 단자부(82)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8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821)는 콘택트(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단자부(82)는 그 폭방향의 양단부에 위치 결정공(8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공(822)을 하우징(2)의 위치 결정 돌기(222)에 감입함으로써, 하우징(2)에 대한 FPC(8)의 위치 정밀도가 유지된다.
커넥터(1)는, 개략적으로, 이하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콘택트(3), 펙(4) 및 래치(5)가 소정 위치에 배설된 하우징(2)를 준비한다. 도 3 및 도 4가 이 상태의 하우징(2)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콘택트(3)는 자유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31, 32)의 접촉부(311, 321)는 콘택트 수용부(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FPC(8)를 하우징(2)의 소정 위치에 배설한다. FPC(8)는 단자(821)가 형성된 면을 콘택트(31, 32)의 접촉부(311, 321)를 향해 배설된다. 이 때, 하우징(2)의 위치 결정 돌기(222)에 FPC(8)의 위치 결정 공(822)을 감입함으로써, FPC(8)를 하우징(2)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설할 수가 있다.
FPC(8)를 배설한 후에, 쉴드 플레이트(6)을 이하의 순서로 하우징(2)에 고정한다. 처음에, 쉴드 플레이트(6)의 계지편(63)을, 펙(4)과 하우징(2)과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4a)에 삽입한다. 이 때, 쉴드 플레이트(6)는 하우징(2)에 대해 경사지고 있다. 계지편(63)을 개구(4a)에 삽입한 후에, 하우징(2)에 대해 쉴드 플레이트(6)가 거의 평행이 되도록 눌러 내린다. 쉴드 플레이트(6)는 계지편(63)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과정에서, 쉴드 플레이트(6)의 계지편(66)이 래치(5)를 눌러 확대해 최종적으로는 래치(5)의 하면과 계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쉴드 플레이트(6)가 장착되어 커넥터(1)의 조립을 완료한다.
도 9는 FPC(8) 및 쉴드 플레이트(6)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콘택트(31, 32)는 FPC(8) 및 쉴드 플레이트(6)을 장착함으로써 그 접촉부(311, 321)가 도 8의 위치보다 하강한다. 이 하강 과정에서, 콘택트(3)의 접촉부(311, 321)가 단자(821)에 대해 접동(와이핑)하고, 콘택트(3)와 FPC(8)의 단자(821)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지원한다. 또 콘택트(3)의 접촉부(311, 321)의 하강에 수반하는 반력이 이 전기적인 접속의 확보에 영향을 주다. 즉, 해당 반력이 약하면 전기적인 접속이 불충분해 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커넥터(1)은 저배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 저배화에 대응해 FPC(8)의 두께가 얇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하의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3)의 접촉부(311, 32l)의 하강량을 FPC(8)의 두께와 동등하게 한 것은, 요구되는 반력을 얻을 수가 없을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커 넥터(1)는 접촉부(311, 321)의 하강량을 FPC(8)의 두께 이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3)의 접촉부(311, 321)가 무부하 상태(도 8)로 쉴드 플레이트(6)를 하우징(2)에 장착한 때에, 콘택트(3)의 접촉부(311, 321)가 쉴드 플레이트(6)과 간섭하도록 콘택트(3)의 접촉부(311, 321)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커넥터(1)는 쉴드 플레이트(6)가 콘택트(3)와 FPC(8)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압압력을 부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배화에 있어 유리한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3)는 전기적인 접속을 주로 고려하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는 적어도, 음차 형상 콘택트의 높이의 절반에 상당하는 양만 저배화할 수가 있다. 쉴드 플레이트(6)가 노이즈 대책 기능도 겸비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쉴드 플레이트(6)는 제1 부분(61) 및, 제2 부분(65)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제2 부분(65)에 상당하는 부분을 생략한 쉴드 플레이트(6)를 이용할 수 있다. 콘택트(3)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전술한 것처럼, 쉴드 플레이트(6)에 요구되는 강성이 낮아도 좋기 때문이다. 한편, 콘택트(3)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장착하는 펙(4) 및 쉴드 플레이트(6)의 계지편(63)의 수를 많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택트(3)의 수가 많아지면, 쉴드 플레이트(6)를 그 압압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반력이 강해진다. 그 때문에, 쉴드 플레이트(6)의 강성이 부족하면,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반력의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계지편(63)과 펙(4)의 계 합에 의한 쉴드 플레이트(6)의 강성의 향상을 꾀한다. 이 경우, 제2 부분(6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커넥터(1)에 있어서 FPC(8)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쉴드층(81s)을 형성할 수가 있다. 쉴드층(81s)은 도전체,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FPC(8)는 쉴드층(81s)을 쉴드 플레이트(6)에 접촉하도록 배설된다. 쉴드층(81s)은 쉴드 플레이트(6), 펙(4)을 통해 기판상의 접지부에 접지된다.
커넥터(1)는 기판과의 땜납이 행해지는 타인부(314, 324)가 하우징(2)의 정면측, 즉, FPC(8)가 인출되는 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쉴드층(81s)이 형성된 케이블 본체 (81)를 커넥터(1)에 감합한 때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인부(314, 324)를 포함하여 콘택트(3)(31, 32)의 전체를 쉴드층(81s)으로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의 노이즈 대책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커넥터(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에 대한 쉴드 플레이드(6)의 고정 방법을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즉, 커넥터(1)는 펙(4) 및 래치(5)를 하우징(2)과 별도의 부재로 했지만, 펙(4)과 래치(5) 중 어느 쪽 일방 또는 양방에 상당하는 부분을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 형태는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커넥터(1)는 펙(4)에 의한 쉴드 플레이트(6)의 계합을 하우징(2)의 배면측에서 행하고 있다. 이것은, 전술한 것처럼, 쉴드 플레이트(6)에 높은 강성을 주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하우징(2)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서 쉴드 플레이트(6)를 계합하는 형태로 할 수가 있다. 이 형태도 콘택트(3)의 수가 적은 경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주요 구성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쉴드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쉴드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4a - 정면도, 4b - 평면도 및 4c -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3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FPC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4(b)의 8a-8a선을 따라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단면에 FPC가 감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쉴드 플레이트를 도 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쉴드층을 갖는 FPC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쉴드층을 갖는 FPC가 감합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2 : 절연 하우징
2a : 저면 21 : 콘택트 고정부
211 : 콘택트 압입공 22 : 콘택트 수용부
221 : 콘택트 수용구 222 : 위치 결정 돌기
23 : 래치 고정부 23l : 래치 압입구
3, 31, 32 : 콘택트 311, 321 : 접촉부
312, 322 : 탄성 변형부 313, 323 : 고정부
314, 324 : 타인부 4 : 펙
4a : 개구 41 : 상벽
4a : 비드 42 : 하벽
43 : 후벽 44 : 측벽
441 : 압입 돌기 5 : 래치
51 : 래치 본체 52 : 강성부
53 : 압입부 6 : 쉴드 플레이트
61 : 제1 부분 62 : 비드
63 : 계지편 64 : 위치 결정공
65 : 제2 부분 66 : 계지편
8 : FPC 81 : 케이블 본체
82 : 단자부 821 : 단자
822 : 위치 결정공 81s : 쉴드층

Claims (5)

  1.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외팔보 형상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보호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을 상기 콘택트에 압압하는 압압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은 적어도 상기 플랫 케이블과 복수의 상기 콘택트가 접촉하는 영역을 덮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랫 케이블이 인출되는 정면측 및 상기 정면측과 대향하는 배면측을 가지며, 상기 압압판은 적어도 상기 배면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부를 포함한 탄성 변형부와, 상기 탄성 변형부에 이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구속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이어지는 타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가 상기 배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인부가 상기 정면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자유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랫 케이블 당접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1020070115393A 2006-11-17 2007-11-13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20080045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1071A JP2008130263A (ja) 2006-11-17 2006-11-17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JP-P-2006-00311071 2006-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53A true KR20080045053A (ko) 2008-05-22

Family

ID=3904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393A KR20080045053A (ko) 2006-11-17 2007-11-13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76435A1 (ko)
EP (1) EP1923958A1 (ko)
JP (1) JP2008130263A (ko)
KR (1) KR20080045053A (ko)
CN (1) CN101183753A (ko)
TW (1) TWM3358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97B1 (ko) * 2011-12-08 2013-08-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370273B1 (ko) * 2011-12-08 2014-03-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15980A2 (pt) * 2007-08-31 2015-06-16 Monsanto Technology Llc Métodos e aparelhos para isolar substancialmente tecidos de planta
KR101133954B1 (ko) * 2010-07-20 2012-04-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6214977B2 (ja) * 2013-09-13 2017-10-18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
CN110098505B (zh) 2018-11-28 2020-10-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与连接器组件
JP7094641B2 (ja) 2019-10-16 202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3156B2 (ja) * 1996-02-21 1999-06-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TW421336U (en) * 1999-09-23 2001-0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1176588A (ja) * 1999-12-17 2001-06-29 Fci Japan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591830B (en) * 2003-05-20 2004-06-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TWM249255U (en) * 2003-07-23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5129255A (ja) * 2003-10-21 2005-05-1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97B1 (ko) * 2011-12-08 2013-08-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370273B1 (ko) * 2011-12-08 2014-03-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3753A (zh) 2008-05-21
US20080176435A1 (en) 2008-07-24
TWM335826U (en) 2008-07-01
JP2008130263A (ja) 2008-06-05
EP1923958A1 (en)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6737B1 (en) Connector
KR100942681B1 (ko) 전기 커넥터
JP4090060B2 (ja) コネクタ
EP1846990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KR101471283B1 (ko) 커넥터 장치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181608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US7980893B2 (en) Coaxial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20090208168A1 (en) Connector,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electrical transmission module
JP2007048491A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45053A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2018186056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1396690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TW202143576A (zh) 連接器組裝體
JP2019140014A (ja) 電気コネクタ
JP4431450B2 (ja) 電気コネクタ
WO2008050666A1 (fr) Connecteur
KR20140141478A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4029205B2 (ja) 電気コネクタ
US699459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CN212209846U (zh) 自锁式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764839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ed element with conductivity and compressibility
JP5704365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370280B2 (ja) 狭ピッチ多段ボード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シェル接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