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185A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185A
KR20110008185A KR1020107023395A KR20107023395A KR20110008185A KR 20110008185 A KR20110008185 A KR 20110008185A KR 1020107023395 A KR1020107023395 A KR 1020107023395A KR 20107023395 A KR20107023395 A KR 20107023395A KR 20110008185 A KR20110008185 A KR 2011000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p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코다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1000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저배화를 유지하면서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위치의 제한이 완화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구(10_1)의 입구로부터 해당 개구(10_1)의 내측에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10b1)이 형성된 볼록부(10b)에 의해 FPC의 접속용 도체를 하향으로 하여 대각선 상에서 개구(10_1)에 삽입하고, 이어서 액츄에이터(40)를 회동하여 개구(10_1)에 삽입되어 있는 FPC를 회동축(40a)으로 상방으로부터 압압하여 FPC의 접속용 도체를 프런트 콘택트(21)의 접점부 (21b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접속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의 가속화되는 소형화, 박형화에 수반하여, 선단부에 접속용 도체를 갖는 평형의 유연한 케이블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이하 FPC라고 한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FPC는 전자기기의 회로 기판에 구비된 전기커넥터에 접속된다. 이러한 전기커넥터로서 특허 문헌 1에, 액츄에이터를 회동함으로써 FPC를 콘택트에 압압하여 접속하는 전기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도 8은 특허 문헌 1에 제안된 전기커넥터에 FPC가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B)에는 각각 회로 기판(3)에 실장된 전기커넥터(100) 및 FPC(2)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전기커넥터(100)에는 FPC(2)가 삽입되는 개구(110_1) 및 하우징 본체(110a)를 갖는 하우징(110)이 구비되어 있다. 이 하우징(110)은 절연성의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있다. FPC(2)는 하면에 노출된 접속용 도체(2_1a) 및 상면에 보강용 수지 부재(2_1b)를 갖는 선단부(2_1)와, 그 선단부(2_1)에 연결되는 부분(2_2)를 갖는다.
또한, 전기커넥터(100)에는 하우징 본체(110a)에 지지되는 콘택트(12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콘택트(122)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본체(110a)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 콘택트(122)는 기판부(122a)와, 기판부(122a)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하측아암(122b)과, 기판부(122a)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상측탄성아암(122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122a)의 후단부에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되는 납땜 접속부(122a_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납땜 접속부(122a_1)는 회로 기판(3)에 납땜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하측아암(122b)의 전단부에는 개구(110_1) 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개구(110_1)에 삽입된 FPC(2)의 접속용 도체(2_1 a)에 접하여 도통하는 접점부(122b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커넥터(100)에는 액츄에이터(1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140)는 회동축(140a)을 갖는다. 이 액츄에이터(140)는 하우징(110)에 대해 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도 8(A)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와 도 8(B)에 나타내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A)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140)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로, FPC(2)가, 그 FPC(2)의 선단부(2_1)가 갖는 접속용 도체(2_1a)를 하향으로 하여 개구(110_1)에 삽입된다. 이어서 액츄에이터(140)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도 8(B)에 나타내듯이 개구(110_1)에 삽입되어 있는 FPC(2)가 액츄에이터(140)의 외형부에서 상방으로부터 압압되고, 이에 따라 FPC(2)의 접속용 도체(2_1a)가 접점부(122b2)에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FPC(2)와 전기커넥터(100)와의 접속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 전기커넥터(100)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 (140)를 폐쇄위치로 한 상태에서는 FPC(2)와 회로 기판(3)의 사이에는 근소한 스페이스(S)밖에 없다. 이 때문에 도 8(A)에 나타내듯이 FPC(2)가 삽입되는 측에 전자 부품(4)을 실장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전기커넥터(100)를 회로 기판(3)의 중앙부에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전기커넥터(100)에는 회로 기판(3)의 단부에 배치하지 않을 수 없는 배치제한이 부과된다. 그리하여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도 전기커넥터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기커넥터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여 전기커넥터의 고배화를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9는 고배화가 시도된 전기커넥터에 FPC가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B)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200)는 도 9(A), (B)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100)과 비교하여, 콘택트(222)의 높이 치수 및 하우징 본체(210a)를 갖는 하우징(210)의 높이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고배화가 시도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커넥터(200)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듯이 FPC(2)가 삽입되는 측에 전자 부품(4)이 실장된 경우라도 FPC(2)의 개구(210_1)에의 삽입이 용이하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140)를 폐쇄위치로 한 상태에 있어서, FPC(2)와 회로 기판(3)의 사이에는 큰 스페이스가 확보되기 때문에 전자 부품(4)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200)를 회로 기판(3)의 중앙부에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접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커버로 대각선상방으로부터 삽입된 FPC를 콘택트에 눌러 잠그는 전기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특허공개 2003-151660호 공보 [특허 문헌 2]실용공개 평5-69881호 공보
상술한 도 9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200)에서는 이 전기커넥터(200)가 회로 기판(3)의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FPC 삽입 측에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커넥터(200)의 부피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 상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의 자유도 확보와 FPC가 접속되는 전기커넥터의 저배화와의 양립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제안된 전기커넥터에서는 FPC의 접속용 도체에 접촉하는 콘택트가 상측에 있다. 일반적으로 FPC는 접속용 도체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조립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만약 이 특허 문헌 2에 제안된 전기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본래 하향 자세에 있는 FPC를 비틀거나 혹은 절곡하고, 상향으로 하여 그 전기커넥터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수납 스페이스 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의 접동 방향이 경사지고 게다가 슬라이드 커버가 FPC의 하부에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저배화를 유지하면서 회로 기판에의 실장 위치의 제한이 완화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선단부에 접속용 도체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부가 그 접속용 도체를 하향으로 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전단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납땜 접속부와, 상기 개구 내 하부에 위치하고, 그 개구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선단부의 상기 접속용 도체에 접촉하여 도통하는 접점부를 갖고 그 하우징에 지지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로의 상기 플렉시블 기판 선단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그 개구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기판 선단부의 상기 접속용 도체를 상기 접점부에 눌러 대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선단부가 그 개구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그 선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방으로 배향시키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상기 볼록부에 의해 개구에 삽입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이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에 배향된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이 전기커넥터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대각선 상향으로 연재한 상태인 채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삽입되는 개구의 근방에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기커넥터의 저배화를 유지하면서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개구 입구로부터 그 개구 내측으로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가 상기 내리막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라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그 개구에 삽입되는 선단부를 그 개구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 삽입 후에는 선단부가 개구의 출구를 향해 대각선 상향이 되고 그 선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이 그 연장 상에 대각선 상향으로 유지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수평 방향이며 더욱이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회동축을 갖고, 상기 회동축의 주위에 상기 회동축을 아래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연재한 자세에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에 회동시켜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재한 자세에 있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를 이와 같이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개구에 삽입되어도 방해가 되지 않고 작업성이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FPC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배화를 유지하면서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위치의 제한이 완화된 전기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프런트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리어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FPC 삽입측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 4]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의 FPC 삽입측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 5]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측면측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 6]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의 측면측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 7]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에 FPC가 삽입되고 나서 장착될 때까지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특허 문헌 1에 제안된 전기커넥터에 FPC가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고배화가 시도된 전기커넥터에 FPC가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프런트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리어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커넥터(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콘택트와 리어 콘택트가 하우징에 교대로 지지되어 장착되고 있다. 먼저 전기커넥터의 프런트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는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전기커넥터(1)의 프런트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B)에는 액츄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의 전기커넥터(1)의 프런트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1)에는 후술 하는 FPC가 갖는 접속용 도체를 하향으로 하여 삽입되는 개구(10_1)와, 하우징 본체(10a)와, 그 하우징 본체(10a)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뻗는 볼록부(10b)를 갖는 하우징(10)이 구비되어 있다. 이 하우징(10)은 절연성의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볼록부(10b)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개구(10_1)의 입구로부터 그 개구(10_1)의 내측으로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10b1)을 형성하여, FPC의 선단부가 개구(10_1)에 삽입된 FPC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게 상방으로 배향시키는 부재이다. 내리막 경사면(10b1)에 의해 개구(10_1)의 입구로부터 삽입된 FPC를 내측으로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전기커넥터(1)에는 하우징 본체(10a)에 지지되는 프런트 콘택트(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프런트 콘택트(21)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전방(도 1에 있어서의 좌측방향)으로부터 하우징 본체(10a)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 프런트 콘택트(21)는 기판부(21a)와, 기판부(21a)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하측아암(21b)과, 기판부(21a)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상측탄성아암(21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측아암(21b)의 전단부에는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는 납땜 접속부(21b1)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하측아암(21b)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구(10_1) 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개구(10_1)에 삽입된 FPC의 선단부의, 예를 들면 홀수 번째의 접속용 도체에 접하여 도통하는 접점부(21b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전기커넥터(1)에는 하우징 본체(10a)의 전방으로부터 압입 고정하듯이 취부된 금속제의 판(솔더펙: 31, 32 도 3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이 판(31, 32)의 저부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에 납땜 접속된다.
또한 전기커넥터(1)에는 액츄에이터(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40)는 수평 방향이며, 나아가 FPC(도시하지 않음)가 개구(10_1)에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회동축(40a)을 갖는다. 회동축(40a)은 액츄에이터(40)의 긴쪽 방향 양단에 있어서 판(31) 및 판(32)에 취부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40)는 도 1(A)에 나타내듯이 회동축(40a)의 주위에 회동축(40a)을 아래로 하여 하우징(10)에 대해 상방으로 연재한 자세에 있는 개방위치와, 도 1(B)에 나타내듯이 개구(10_1)와는 반대측(후방 즉, 도 1의 우측)으로 회동시켜 회동축(40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재한 자세에 있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유자재로 회동한다.
여기서 도 1(A)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10_1)로의 FPC의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10_1)에 삽입된 FPC를 액츄에이터(40)의 회동축(40a)이 상방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FPC의 홀수 번째의 접속용 도체가 접점부(21b2)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탄성아암(21c)의 선단에는 회동축(40a)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하향의 후크부(21c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기커넥터(1)의 리어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에는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전기커넥터(1)의 리어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B)에는 액츄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의 전기커넥터(1)의 리어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리어 콘택트(22)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본체(10a)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 리어 콘택트(22)는 기판부(22a)와 기판부(22a)의 하단에서 전방, 나아가 상방으로 연재하는 하측탄성아암(22b)과, 기판부(22a)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상측탄성아암(22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22a)의 후단부에는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는 납땜 접속부(22a1)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하측탄성아암(22b)의 전단부에는 개구(10_1) 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개구(10_1)에 삽입된 FPC의, 여기에서는 짝수 번째의 접속용 도체에 접하여 도통하는 접점부(22b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A)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10_1)에의 FPC(도시하지 않음)의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10_1)에 삽입된 FPC를 액츄에이터(40)의 회동축(40a)이 상방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FPC의 짝수 번째의 접속용 도체가 접점부(22b2)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FPC 삽입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의 FPC 삽입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는 전기커넥터(1)에 구비된 하우징(10)이 갖는 개구(10_1)가 나타나 있다. 이 개구(10_1)에 후술하는 FPC가, 그 FPC가 갖는 접속용 도체를 하향으로 하여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10)을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10a)는 긴쪽 방향(도 3, 도 4에 있어서의 대각선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다. 더욱이 하우징(10)을 구성하는 볼록부(1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0a)의 하부로부터 뻗음과 동시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개구(10_1)의 입구로부터 그 개구(10_1)의 내측에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10b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하우징(10)에 지지된 프런트 콘택트(21)를 구성하는 납땜 접속부(21b1)와 접점부(21b2), 및 리어 콘택트(22)를 구성하는 접점부(22b2)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에는 프런트 콘택트(21)를 구성하는 상측탄성아암(21c) 및 리어 콘택트(22)를 구성하는 상측탄성아암(22c)도 나타나 있다. 여기서 프런트 콘택트(21)와 리어 콘택트(22)는 하우징(10)에 교대로 지지되어 취부되어 있다.
더욱이 도 3, 도 4에는 하우징 본체(10a)의 긴쪽 방향 양측벽에 전방으로부터 압입 고정하도록 취부된 금속제의 판(31 32)이 나타나 있다. 이들 판(31, 32)의 저부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에 납땜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10)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와 도 4에 나타내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자유로운 액츄에이터(40)도 나타나 있다.
도 5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측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의 측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에는 프런트 콘택트(21)를 구성하는 납땜 접속부(21b1)와 기판부(21a) 및 리어 콘택트(22)를 구성하는 접점부(22b2)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6에는 프런트 콘택트(21)를 구성하는 상측탄성아암(21c)도 나타나 있다.
도 7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에 FPC가 삽입되고 나서 장착될 때까지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1)의 리어 콘택트 측에 있어서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이 전기커넥터(1)는 납땜 접속부(21b1, 22a1)에서 회로 기판(3)에 납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3)에는 전기커넥터(1)의 개구(10_1) 측에 전자 부품(4)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FPC(2)가 나타나 있다. 이 FPC(2)는 하면에 노출한 접속용 도체(2_1a) 및 상면에 보강용의 수지 부재(2_1b)를 갖는 선단부(2_1)와, 그 선단부(2_1)에 연결되는 부분(2_2)을 갖는다.
여기서 도 7(A)에 나타내듯이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로 FPC(2)가 그 FPC(2)의 선단부(2_1)가 갖는 접속용 도체(2_1a)를 하향으로 하여 개구(10_1)에 삽입된다. 여기서 전기커넥터(1)에는 개구(10_1)의 입구로부터 그 개구(10_1)의 내측에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이 형성된 볼록부(10b)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로 FPC(2)를 개구(10_1)에 삽입함에 있어 FPC(2)를 대각선 상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액츄에이터(40)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도 7(B)에 나타내듯이 개구(10_1)에 삽입되어 있는 FPC(2)가 액츄에이터(40)의 회동축(40a)에서 상방으로부터 압압되고, 이에 의해 FPC(2)의 접속용 도체(2_1a)가 접점부(22b2)에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FPC(2)와 전기커넥터(1)과의 사이에 신뢰성이 높은 접속이 행해진다. 여기서 FPC(2)를 개구(10_1)에 삽입한 후에 액츄에이터(40)를 폐쇄위치로 한 상태에 있어서도, 볼록부(10b)에 해당 삽입된 FPC(2)의 선단부(2_1)에 연결되는 부분(2_2)이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게 상방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FPC(2)는 이 전기커넥터(1)로부터 이격되어 대각선 상방으로 연재한 상태인 채 고정된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듯이 전기커넥터(1)의 FPC(2)가 삽입되는 개구(10_1)의 근방에 전자 부품(4)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1)의 저배화를 유지하면서 회로 기판(3)의 중앙부에 대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회로 기판의 설계(부품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커넥터(1)에서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볼록부(10b)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FPC(2)의 배향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 부품(4)에 FPC(2)가 접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1 전기커넥터
2 FPC
2_1 선단부
2_1a 접속용 도체
2_1b 수지 부재
2_2 선단부에 연결되는 부분
3 회로 기판
4 전자 부품
10 하우징
10_1 개구
10a 하우징 본체
10b 볼록부
21 프런트 콘택트
21a 22a 기판부
21b 하측아암
21b1 22a1 납땜 접속부
21b2 22b2 접점부
21c 22c 상측탄성아암
22 리어 콘택트
22b 하측탄성아암
31 32 판
40 액츄에이터
40a 회동축

Claims (3)

  1. 선단부에 접속용 도체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부가 해당 접속용 도체를 하향으로 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전단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납땜 접속부와;
    상기 개구 내의 하부에 위치하고 해당 개구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선단부의 상기 접속용 도체에 접촉하여 도통하는 접점부를 갖고, 해당 하우징에 지지된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에 대한 상기 플렉시블 기판 선단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해당 개구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기판 선단부의 상기 접속용 도체를 상기 접점부에 눌러 대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선단부가 해당 개구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해당 선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해당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방으로 배향시키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개구 입구로부터 해당 개구 내측으로 향하는 내리막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수평 방향이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회동축을 갖고,
    상기 회동축의 주위에 상기 회동축을 아래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연재한 자세에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에 회동시켜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재한 자세에 있는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107023395A 2008-04-25 2009-03-24 전기커넥터 KR20110008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5803 2008-04-25
JP2008115803A JP5073572B2 (ja) 2008-04-25 2008-04-25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185A true KR20110008185A (ko) 2011-01-26

Family

ID=4121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395A KR20110008185A (ko) 2008-04-25 2009-03-24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34056A1 (ko)
EP (1) EP2273620A1 (ko)
JP (1) JP5073572B2 (ko)
KR (1) KR20110008185A (ko)
CN (1) CN102017314B (ko)
TW (1) TWM362546U (ko)
WO (1) WO2009130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21150A (en) * 2009-12-08 2011-06-16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Flexible cable plug connector for vertical plugging.
JP2011130347A (ja) * 2009-12-21 2011-06-30 Canon Inc 電子機器
CN102468548B (zh) * 2010-11-11 2015-01-07 易鼎股份有限公司 线材插接结构
CN102468549B (zh) * 2010-11-12 2014-06-25 易鼎股份有限公司 垂直插置的软性排线插接连接器
JP5828727B2 (ja) * 2011-09-28 2015-12-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13105794A (ja) * 2011-11-10 2013-05-30 Sharp Corp 基板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TWI482374B (zh) * 2012-11-12 2015-04-21 Alltop Technology Co Ltd 電連接器
JP6703291B1 (ja) * 2019-02-18 2020-06-03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790B2 (ja) 1991-08-07 2001-10-15 雅義 久保 船載型流出油拡散防止装置
JP3104600B2 (ja) * 1995-12-19 2000-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666445B2 (ja)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908076B2 (ja) * 2002-04-16 2007-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直流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JP2004192825A (ja) * 2002-12-06 2004-07-08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US6947287B1 (en) * 2002-12-16 2005-09-20 Network Appliance, Inc. Universal modular power supply carrier
US7202631B2 (en) * 2003-06-24 2007-04-10 Dell Products L.P. Battery and system power selector integration scheme
US7259477B2 (en) * 2003-08-15 2007-08-21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7313714B1 (en) * 2003-09-24 2007-12-25 Foundry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oups of modular power supplies for powering subcomponents of a computer system
US7236896B2 (en) * 2003-09-30 2007-06-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ad management in a power system
JP4442195B2 (ja) * 2003-11-06 2010-03-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ト構造
US7446433B2 (en) * 2004-01-23 2008-11-0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JP4121465B2 (ja) * 2004-01-30 2008-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US7123485B1 (en) * 2004-12-10 2006-10-17 Emc Corporation Techniques for moving a power supply within an electronic cabinet
JP4859401B2 (ja) * 2005-06-29 2012-01-2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TW200721635A (en) * 2005-11-18 2007-06-01 Delta Electronics Inc Parallel-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KR101068536B1 (ko) * 2008-08-18 2011-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US8415831B1 (en) * 2008-12-11 2013-04-09 Sequestered Solutions Alaska, LLC High density power supply cabinets
US8384244B2 (en) * 2010-06-09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Rack-bas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362546U (en) 2009-08-01
CN102017314B (zh) 2014-01-29
EP2273620A1 (en) 2011-01-12
CN102017314A (zh) 2011-04-13
WO2009130963A1 (ja) 2009-10-29
JP5073572B2 (ja) 2012-11-14
JP2009266674A (ja) 2009-11-12
US20110034056A1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218B2 (ja) コネクタ
KR20110008185A (ko) 전기커넥터
CN101345361B (zh) 连接器
CN100448109C (zh) 连接器
JP4484219B2 (ja) コネクタ
US8241057B2 (en) FPC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FPC to PCB and FPC-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4359568B2 (ja) コネクタ
KR102076174B1 (ko) 커넥터
CN100533863C (zh) 凸轮结构及使用该凸轮结构的连接器
JP2007173043A (ja) コネクタ
JP5501788B2 (ja) コネクタ
JP200633895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1171034A (ja) コネクタ
JP2013109995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用いるコンタクトの挿入方法
JP5185543B2 (ja) コネクタ
JP4972572B2 (ja) Fpc用コネクタ
JP4907436B2 (ja) コネクタ
JP4829808B2 (ja) コネクタ
US20110143601A1 (en) Connector
JP4880538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3590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6120481A (ja) コネクタ
JP2007123057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008147064A (ja) コネクタ
JP464471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