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479B1 -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479B1
KR101150479B1 KR1020070069975A KR20070069975A KR101150479B1 KR 101150479 B1 KR101150479 B1 KR 101150479B1 KR 1020070069975 A KR1020070069975 A KR 1020070069975A KR 20070069975 A KR20070069975 A KR 20070069975A KR 101150479 B1 KR101150479 B1 KR 10115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in member
slide
groov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126A (ko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박윤식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ublication of KR2008008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드의 인입시 슬라이드를 자동으로 완전 인입상태로 만드는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는 고정부재 동체 양 측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결착부, 직선운동부재가 결착하여 왕복운동하도록 동체 양 측부에 형성되는 직선운동부재 활주부, 핀 부재가 안착하여 왕복운동하도록 동체 중앙부에 형성되는 핀 부재 활주부로 구성된다.
고정부재의 핀 부재 활주부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이 홈 형태의 활주부로 핀 부재가 안착한다. 따라서 핀 부재는 고정부재 동체 내부로 수용되는 형태로 됨으로써 자동폐쇄장치 자체의 두께가 작아지게 된다.
자동폐쇄장치, 고정부재, 슬라이드

Description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Self-closing means for slide}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로서 스프링이 신장 및 수축된 상태의 사시도.
도3과 도4는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정면과 후면 사시도.
도5와 도6은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핀 부재의 정면과 후면 사시도.
도7과 도8은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직선운동부재의 정면과 후면 사시도.
도9 ~ 도11은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12는 고정부재에 핀부재가 부착되어 고정부재를 따라 왕복운동 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본 발명은 슬라이드의 인입시 슬라이드를 자동으로 완전인입 상태로 만드는 자동폐쇄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화된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이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5-0047588호로 슬라이드의 인입시 슬라이드를 자동으로 완전 인입시키는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발명을 출원하였다. 이 자동폐쇄장치는 핀 부재, 고정부재, 핀 가이드 부재, 직선운동부재 그리고 테이퍼 형의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는 동체 양 측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결착부, 동체 양 측부에 형성되는 직선운동부재 활주부 및 핀 부재가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도록 동체 중앙부에 동체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핀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고정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다. 핀 가이드 부재는 핀부재 안내홈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다. 직선운동부재는 동체 양 측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 결착부, 동체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홈 및 고정부재의 직선운동부재 활주부와 맞물리는 삽입홈부를 포함한다.
각 부재 간의 결합관계는 탄성 스프링은 그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결착부에 결착되고, 핀부재는 직선운동부재의 중앙홈에 삽입된 채로 직선운동부재와 함께 고정부재 동체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된다.
핀부재는 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인출시 핀 가이드 부재의 핀부재 안내홈과 분리상태로 있으며,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인입시 핀 가이드부재의 핀부재 안내홈과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인입시 이동레일을 자동으로 완전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자동폐쇄장치의 경우, 핀 부재가 그 높이 방향으로 비교적 길어서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 자동폐쇄장치가 요구하는 공간, 특히 높이 방향의 공간(이하 동일)이 커지게 된다. 자동폐쇄장치 자체의 크기가 커야만 되는 사용환경에서는 자동폐쇄장치의 두께도 커지게 되고 그 요구공간도 커지므로 핀 부재가 길어도 문제가 생기지 않았다. 그러나 자동폐쇄장치 자체의 크기가 크면 사용할 수 없는 사용환경에서는 자동폐쇄장치의 요구공간도 작아져야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종래의 자동폐쇄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생겼다.
본 발명은 자동폐쇄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폐쇄장치의 구성 부재의 일부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 부재는 판상부, 이 판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핀,그리고 판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와 제2 돌기로 구성된다.
핀 부재의 판상부는 다각형 형상을 하되, 2개의 평행면과 2개의 평행면 중 하나에 인접하며 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 부재의 제1 돌기가 핀 부재의 판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핀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는 동체 양 측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결착부, 동체 양 측부에 형성되는 직선운동부재 활주부 및 핀 부재가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도록 동체 중앙부에 동체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핀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재 동체 중앙부에는 핀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부재 동체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핀부재 활주부가 형성되되, 이 핀부재 활주부에는 핀부재 가이드부가 위치 된다. 핀부재 활주부는 핀부재 가이드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 홈 형태의 핀부재 활주부로 핀 부재가 삽입되어 안착한다. 따라서 핀 부재는 고정부재 동체 내부로 수용되는 형태로 됨으로써 자동폐쇄장치 자체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그 원활한 작동을 위한 요구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핀부재 활주부의 홈 깊이는 핀부재의 판상부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 동체의 핀 부재 활주부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동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핀 부재가 왕복운동시 핀 부재의 제1 및 제2 돌기가 슬라이드 부재와 닿지 않게 됨으로써 핀 부재가 원활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1)는 고정부재(100), 직선운동부재(200), 핀 부재(300), 탄성 스프링(500) 및 핀 가이드 부재(400)로 구성된다.
탄성 스프링(500)은 양단부(520) 근방에 스프링 동체부(510)보다 작은 직경의 목부(530)를 갖는 테이퍼형 스프링이다.
각 부재 간의 결합관계는 공지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탄성 스프링(500)의 일측은 고정부재에 다른 일측은 직선운동부재에 결착하며, 직선운동부재(200)는 고정부재의 측부에 결착하며, 핀 부재(300)는 고정부재의 동체 중앙부에 위치하여서 고정부재와 직선운동부재에 동시에 결착하게 된다.
이렇게 결착된 자동폐쇄장치(1)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고정부재(100)가 슬라이드(1000)의 고정레일(1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핀 가이드 부재(400)가 이동레일(13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에 부착되게 된다. 도9에는 핀 가이드 부재(400)가 별도로 제조되어 이동레일(13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것을 도시되었으나, 핀 부재 안내홈(410)이 이동레일(1300) 단부 자체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1)에 사용되는 핀 부재(3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310), 이 판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핀(320),그리고 판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340)로 구성된다.
핀 부재의 판상부(310)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2개의 평행면(350,350')과 평행면(350')에 인접하며 핀(320)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사면(313)을 갖는다. 판상부(310)의 각 모서리는 부드럽게 모따기 되어 있다.
핀 부재의 핀(320)은 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340)에 비해 길게 형성되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340)의 길이는 같도록 형성된다. 제1 돌기(330)는 상기 핀(320)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다.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직선운동부재(200)는 판상 동체의 일측 단부에 결착홈(240)(이 홈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됨)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직선운동부재(전술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5-0047588 호 참조)와 그 형태가 거의 동일하다. 직선운동부재(20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직선운동부재(200)는 판상의 동체 양 측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 결착부(210), 판상 동체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삽입 홈부(220) 및 판상 동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홈(230)으로 구성된다. 제2 스프링 결착부(210)에는 탄성 스프링(500)의 일측이 결착된다. 제2 스프링 결착부(210)는 스프링의 단부 부분이 수용되어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1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동체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결착부(110),직선운동부재 활주부(120) 및 핀 부재 활주부(130)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결착부(110)는 고정부재(100) 동체의 양 측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탄성 스프링(500)의 일측이 결착된다. 제1 스프링 결착부(110) 역시 제2 스프링 결착부(210)와 마찬가지로 탄성 스프링의 단부 부분이 수용되어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직선운동부재 활주부(120)는 동체 양 측부에 형성되며, 직선운동부재(200)의 삽입 홈부(220)가 결착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직선운동부재 활주부는 상기 삽입 홈부(220)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동체의 양 측부로 돌출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핀 부재 활주부(130)는 고정부재의 동체 중앙부에 형성된다. 핀 부재 활주부(130)는 핀 부재(300)가 안착하여 동체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부분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는 다각형 형상의 홈(133)으로 형성된다. 이 홈(133)의 깊이는 상 기 핀 부재의 판상부(310) 두께와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핀 부재(300), 보다 상세하게는 핀 부재의 판상부(310)는 홈 형태의 활주부(130) 내로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 부재 활주부(130)를 홈(133)을 파서 형성시키는 것은 핀 부재(300)가 고정부재(100) 동체 내부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공지의 경우에 비해 이 홈(133)의 깊이만큼 자동폐쇄장치(1) 자체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핀 부재 활주부(130) 내에는 직선 운동부(143)와 곡선 운동부(145)로 구성되는 핀 부재 가이드부(140)가 위치된다. 핀 부재 가이드부(140)는 고정부재 동체 자체를 관통하는 홈으로, 핀 부재 가이드부로 핀 부재(300)의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핀 부재가 위치된다. 상기 직선 운동부(143)의 일측에는 이 직선 운동부(143)와 연통하는 홈 형태의 탄성 수축홈(147)이 형성된다. 이 탄성 수축홈(147)은 핀 부재 가이드부(140)와 동일하게 고정부재 동체 자체를 관통하는 홈이며, 그 작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특허출원 제 2005-0047588호에 잘 기술되어 있다.
고정부재 동체의 상기 핀 부재 활주부(130)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는 동체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홈부(150)가 형성된다. 이 홈부(150)의 깊이는 활주부(130)의 홈(133)에 비해 얕게 형성된다. 홈부(150)는 핀 부재가 왕복운동시 핀 부재의 제1 및 제2 돌기가 슬라이드 부재와 닿지 않게 됨으로써 핀 부재가 원활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핀부재의 제1 및 제2 돌기의 길이는, 핀부재가 고정부재의 핀부재 활주부에 안착하여 위치된 경우, 두 돌기 가 이 홈부(150)를 지나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치수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고정부재(100) 동체에는 고정부재를 슬라이드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16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1)는 두께 자체가 작아지므로 나사 또는 리벳 등을 사용하여 고정홈(160)을 통해 고정부재(100)를 고정할 때, 고정홈(160)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60) 둘레에 돌출부 형태의 보강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00)의 고정홈(160) 둘레에 보강부(163)가 형성되는 경우,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직선운동부재(2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강부와 맞물리도록 그에 상응하는 형태의 결착홈(240)이 형성된다. 만일 고정부재(100)에 보강부(163)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선운동부재(200)에 결착홈(240)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공(160)의 하나와 일렬로 위치되는 위치정렬돌기(170)가 형성된다.이 정렬돌기(170)는 고정부재가 고정될 슬라이드 고정레일의 적당한 위치에 이 정렬돌기가 삽입될 홈을 사전에 형성시키고,이 홈으로 정렬돌기를 삽입하여 위치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단 고정부재가 위치정렬되면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부재를 고정레일에 고정시키는 것이 정확,용이하게 된다.
자동폐쇄장치(1)의 각 구성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고정부재(100)의 상기 핀 부재 활주부(130)에 핀 부재(300)가 위치되되, 핀 부재 가이드부(140)로 핀 부재의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340)가 삽입되며, 제2 돌기(340)와 핀(320)이 보강부(163)를 향하도록 위치된다(도12 참조). 다음에는 직선운동부재
(200)의 중앙홈(230)으로 핀 부재의 핀(320)이 삽입되면서 동시에 삽입 홈부(220) 내로 고정부재의 직선운동부재 활주부(120)가 삽입되도록 직선운동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결착한다. 마지막으로 탄성 스프링(500)의 각 단부를 제1 및 제2 스프링 결착부(110,210)에 결착시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형태로 완성된다.
완성된 형태의 자동폐쇄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고정레일
(1100)의 일측에 고정되며, 이동레일(1300)의 대응하는 단부에는 핀 가이드 부재
(400)가 고정되거나 핀 부재 안내홈이 형성된다.
도9 ~ 도11을 이용하여 자동폐쇄장치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며, 보다 자세한 작동관계는 전술한 특허출원에 잘 기술되어 있다. 도9 ~ 도11에서 슬라이드
(1000)는 고정레일(1100), 중간 이동레일(미도시) 및 (외측)이동레일(1300)로 구성된 3단 접철형이며, 핀 가이드 부재(400)는 이동레일(1300) 안쪽(고정레일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되어서 보이지 않으나 편의상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도9는 이동레일(1300)이 인출상태에서 인입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며, 이때 자동폐쇄장치(1)는 탄성 스프링이 인장상태에 있으며, 핀부재의 핀(320)은 직선운동부재(20)의 중앙홈(230)에 삽입된 상태이고 핀 부재의 제2 돌기(340)는 고정부재의 핀 부재 가이드부(140)의 곡선 운동부(145)에 걸려 있는 상태에 있다.
고정부재(100)에 핀부재(300)만이 결착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12를 참조하면, 핀부재(300)의 제2 돌기(340)는 핀 부재 가이드부(140)의 곡선 운동부
(145)에 걸려있으며(C 상태), 이때 핀부재의 경사면(313)은 고정부재의 핀부재 활주부(130)에 형성되는 경사면(137)과 맞물려 있게 된다.
도10은 이동레일(1300)이 보다 인입된 상태로서, 핀 가이드 부재(400)의 핀 부재 안내홈(410)이 핀 부재의 핀(320)과 결합하면서 핀 부재(300), 보다 정확하게는 핀부재의 제2 돌기(340)를 핀 부재 가이드부(140)의 곡선 운동부(145)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를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핀(320)이 핀부재 안내홈(410)에 의해 제1 돌기(330)를 중심으로 축회전함으로써 제2 돌기(340) - 도12에서 제2 돌기(340)는 핀(320) 직하에 위치됨 - 는 핀부재 가이드부의 곡선 운동부(145)로부터 이탈하여 핀부재(300)는 핀부재 가이드부의 직선 운동부(143)와 평행한 상태(B 상태)로 된다.
도11은 핀 가이드 부재(400)가 핀 부재(300)를 고정부재의 곡선 운동부(145)로부터 이탈시키자마자 탄성 스프링(500)의 힘에 의하여 핀 부재(300)가 직선 운동부(143)를 따라 이동하며, 이에 의해 핀 부재(300)와 결착되어 있는 핀 가이드 부재(400)(즉 이동레일)가 자동으로 완전 인입위치로 이동한 것을 보여준다. 이 상태는 도12에서 핀부재(300)가 A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
이동레일(1300)의 인출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자동폐쇄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Claims (8)

  1. 핀부재;
    몸체 일단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스프링 결착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직선운동부재 활주부 및 핀부재가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핀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고정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핀부재 안내홈을 가지며 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핀 가이드부재;
    동체 일단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스프링 결착부, 동체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홈 및 고정부재의 직선운동부재 활주부와 맞물리는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직선운동부재; 및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결착부에 결착되는 테이퍼 형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핀부재는 직선운동부재의 중앙홈에 삽입된 채로 직선운동부재와 함께 고정부재의 몸체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되어서, 핀부재와 핀 가이드부재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인입시 이동레일을 자동으로 완전 인입시키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핀부재는 판상부, 이 판상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핀,그리고 판상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돌기와 제2 돌기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의 몸체 중앙부에 핀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부재의 몸체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핀부재 활주부가 형성되되, 이 핀부재 활주부에는 핀부재 가이드부가 위치되며,
    상기 핀부재 가이드부로 핀부재의 제1 돌기와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핀부재가 고정부재의 핀부재 활주부에 안착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 활주부가 핀부재 가이드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가 핀부재의 판상부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 몸체의 핀부재 활주부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핀부재의 제1 돌기와 제2 돌기가 이 홈부를 지나 돌출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핀부재의 판상부가 다각형 형상을 하되, 2개의 평행면과 2개의 평행면 중 하나에 인접하며 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핀부재의 제1 돌기가 핀부재의 판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핀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그 둘레에 돌출 보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맞물리도록 그에 상응하는 형태의 홈이 직선운동부재의 동체 일측 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자동폐쇄장치.
KR1020070069975A 2007-03-30 2007-07-12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 KR101150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1218 2007-03-30
KR1020070031218 200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126A KR20080089126A (ko) 2008-10-06
KR101150479B1 true KR101150479B1 (ko) 2012-06-01

Family

ID=4015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75A KR101150479B1 (ko) 2007-03-30 2007-07-12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84A1 (ko) 2012-04-18 2013-10-24 (주)세고스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304B2 (en) * 2007-07-18 2011-12-27 Accuride International, Inc. Self closing mechanism for drawer slides
KR200452704Y1 (ko) * 2009-05-04 2011-03-21 치아-유 리우 개량된 슬라이드 이동장치의 탄성유닛 위치고정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2527A1 (en) 2002-05-17 2003-11-19 Harn Lian Lam Closing device for drawers
KR100729201B1 (ko) 2006-05-24 2007-06-19 주식회사 동양슬라이드 댐핑기능을 갖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2527A1 (en) 2002-05-17 2003-11-19 Harn Lian Lam Closing device for drawers
KR100729201B1 (ko) 2006-05-24 2007-06-19 주식회사 동양슬라이드 댐핑기능을 갖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84A1 (ko) 2012-04-18 2013-10-24 (주)세고스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126A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873B2 (en) Rail assembly
KR101129567B1 (ko) 자동폐쇄장치
US9357818B2 (en) Removable connecting device of a wrist band
US8556305B2 (en) Automatic locking/unlocking apparatus for a drawer
KR101067150B1 (ko)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KR101150479B1 (ko)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
TW200534811A (en) Stopper apparatus for slide rail
US9669530B2 (en) Staple gun automatically applicable to staples of multiple sorts
US20150270665A1 (en) Slide rail assembly
KR20100006176A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EP3799767B1 (en) Slide rail assembly and slide rail kit thereof
KR20130054245A (ko) 의료용 스테이플러
EP2546445A1 (en) Door closing sequence controller
KR101129565B1 (ko)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CN112334321A (zh) 装订夹
EP2587963A1 (de) Rastmechanismus
CN111270909B (zh) 感应式锁具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CN209780454U (zh) 感应式锁具
KR101106844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랙과 피니온 조립체의피니온을 부착시키는 결착구
JP5576255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101056917B1 (ko) 긴 행정거리를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KR20210004644A (ko) 슬라이드 장치
KR101056919B1 (ko) 하부장착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