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150B1 -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 Google Patents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150B1
KR101067150B1 KR1020077001864A KR20077001864A KR101067150B1 KR 101067150 B1 KR101067150 B1 KR 101067150B1 KR 1020077001864 A KR1020077001864 A KR 1020077001864A KR 20077001864 A KR20077001864 A KR 20077001864A KR 101067150 B1 KR101067150 B1 KR 101067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in
retaining pin
retaining
inn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001A (ko
Inventor
가오루 호시데
아끼라 사또오
소오이찌 사사끼
Original Assignee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제2 레일(2)을 제1 레일(1)에 수납할 때에 종단부 위치에 자동적으로 인입되고, 그 상태를 유지 가능하며, 게다가 적은 부품 개수로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고, 제1 레일(1)에 대해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기립 설치된 보유 핀(30)과, 이 보유 핀(30)을 제2 레일(2)의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서 가압하는 탄성 부재(31)와, 제1 레일(1)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보유 핀(30)을 스트로크 종단부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에 계지하는 동시에,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한 보유 핀(30)을 상기 가압력에 수반하여 상기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안내하는 핀 유도 부재(32)와, 상기 제2 레일(2)에 설치되고, 상기 핀 유도 부재(32)와 겹쳐짐에 따라 상기 보유 핀(30)을 핀 유도 부재(32)의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켜 계지하는 캠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 보유 핀, 핀 유도 부재, 탄성 부재, 슬라이드 레일 유닛

Description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SLIDE RAIL UNIT WITH HOLDING FUNC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가구류에 있어서의 서랍이나 복사기에 있어서의 페이퍼 트레이 등, 소정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한 쌍의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부재의 상대적인 진퇴 운동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진퇴 운동의 스트로크의 종단부에 있어서 가동 부재를 상기 종단부 방향을 향해 가압하고, 종단부 위치에 보유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구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의 서랍 등의 가동 부재의 진퇴 운동을 지지하는 안내 부재로서, 외부 레일과 내부 레일을 구비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1158호 공보 등).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볼 구름 주행부를 구부려 세워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 레일과, 이 외부 레일보다도 한결 작게 형성되고, 역시 한 쌍의 볼 구름 주행부를 구부려 세워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 레일과, 이들 외부 레일 볼 구름 주행부의 내측과 내부 레일의 볼 구름 주행부의 외측을 구름 주행하는 다수의 볼과, 상기 외부 레일과 내부 레일과의 사이에서 볼을 소정의 간격으로 정렬시키는 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레일을 가구 본체에, 내부 레일을 서랍의 양측면에 고정하여 사용된다.
상기 내부 레일은 볼을 통해 외부 레일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의 내부로부터 자유롭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 레일의 인출에 수반하여 상기 볼이 리테이너와 함께 외부 레일 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출을 가구 본체로부터 자유롭게 인출하거나, 혹은 가구 본체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으로서는 폐쇄된 서랍의 절반 개방 상태를 해소하는 동시에, 지진 등에 의해 서랍이 제멋대로 개방되어 버리는 문제를 해소하므로,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에 어느 정도까지 수납하면 이러한 내부 레일에 대해 이것을 외부 레일 내로 인입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고, 이 가압력에 의해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로 인입하여, 그대로 유지하는 타입의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24583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648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4418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245830호 공보에 개시되는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내부 레일측에 설치된 롤러가 외부 레일 상을 구름 주행하고, 이에 의해 내부 레일이 외부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에 인입할 때 상기 롤러가 외부 레일측에 설치된 판 탄성체를 타고 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판 탄성체에 의해 롤러가 내부 레일의 인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롤러가 판 탄성체를 역방향으로 타고 넘지 않으면 내 부 레일을 외부 레일로 인출할 수는 없으며, 내측 레일을 외부 레일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에 관해서는 가벼운 계지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6489호 공보에 개시되는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외부 레일 내에 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규제체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소정의 자세로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편, 내부 레일에는 상기 규제체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축이 고정적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에 압입하면 상기 걸어 맞춤 축이 규제체를 압박하고, 처음에는 상기 규제체가 내부 레일을 눌러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휘하지만,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내부 레일을 압입하면 상기 규제체가 사점(死点)을 타고 넘어 회전하고, 다음에는 규제체가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상기 규제체가 다시 사점을 타고 넘어 회전해야만 한다. 이에 의해,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에 관해서는 가벼운 계지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44188호 공보에 개시되는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외부 레일에 대해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바퀴 부품의 안내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이 케이스 내를 슬라이드하는 바퀴 부품에 대해 내부 레일측에 기립 설치된 핀을 걸어 맞춤 혹은 이탈시킴으로써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에 대해 인입하고, 인입된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에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퀴 부품은 내부 레일측의 핀이 걸어 맞춤 또는 이탈하므로, 합성 수지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성을 부여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함으로써 상기 핀의 걸어 맞춤 및 이탈을 허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115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24583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6489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44188호 공보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24583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6489호 공보에 개시되는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 있어서는,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에 수납할 때에 판 탄성체의 가압력에 정면으로부터 대향하여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 내에 인입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가구 본체에 대해 서랍을 압입할 때에 큰 압박력이 필요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판 탄성체를 이용한 내부 레일의 가압에서는, 이러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거리를 길게 설정할 수 없고, 짧은 거리에서 급격하게 가압력이 작용해 버리므로 서랍을 개폐할 때의 사용감이 나빠져 버리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44188호 공보에 개시되는 슬라이드 유닛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제의 바퀴 부품이나 그것을 안내하기 위한 케이스 등이 필요해지고, 조립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것 외에, 생산 비용이 높아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바퀴 부품은 그 탄성 변형에 의해 내부 레일측의 핀의 걸어 맞춤 또는 이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재질의 선택이 한정되어 버리고, 이 점에 있어서도 생산 비용이 높아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에 수납할 때에, 큰 압박력을 부여하는 일 없이 상기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에 자동적으로 인입하고,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적은 부품 개수로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은 제1 레일과, 이 제1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로크 가능한 제2 레일과, 이 제2 레일의 스트로크 종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을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가압하는 종단부 가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단부 가압 수단은, 예를 들어 제2 레일을 제1 레일에 인입하였을 때에, 그 이동 스트로크의 종단부 부근에 있어서 제2 레일을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가압하고, 제2 레일의 인입을 보조하는 동시에, 종단부까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보유력을 발휘한다. 이에 의해,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이용하여 지지한 가구의 서랍 등에 있어서는, 이러한 서랍이 폐쇄시의 반동에 의해 절반 폐쇄 상태가 되어 버리거나, 지진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종단부 가압 수단은, 제1 레일에 대해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기립 설치된 보유 핀과, 이 보유 핀을 제2 레일의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항상 가압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보유 핀을 스트로크 종단부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에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한 보유 핀을 상기 가압력에 수반하여 상기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안내하는 핀 유도 부재와, 상기 제2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핀 유도 부재와 겹쳐짐에 따라 상기 보유 핀을 핀 유도 부재의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시에, 이탈 후의 보유 핀을 계지하는 캠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 핀은 제1 레일에 설치되는 동시에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핀 유도 부재의 대기 위치에 계지되어 있고, 항상 탄성 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레일의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레일에 설치된 캠 부재는 제1 레일측의 핀 유도 부재와 겹쳐짐에 따라, 상기 보유 핀을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이탈 후의 보유 핀을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레일에 대해 제2 레일이 스트로크하고, 상기 핀 유도 부재에 대해 캠 부재가 서서히 겹쳐져 가면, 보유 핀이 핀 유도 부재의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동시에 캠 부재에 걸려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레일이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인장되는 것이 된다. 이에 의해, 제2 레일을 제1 레일에 대해 자동적으로 인입하고,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대기 위치에 설정되어 있던 보유 핀은 캠 부재에 의해 그 설정 위치를 변경할 뿐이므로, 이러한 보유 핀을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에 대해서는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한 압박력을 부여할 필요는 없고, 제2 레일을 가볍게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2 레일을 제1 레일에 대해 자동적으로 인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캠 부재로서는, 보유 핀에 대해 작용하는 캠 홈을 제2 레일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적은 부품 개수로 간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서랍의 슬라이드 기구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4a는 보유 핀, 핀 유도 부재 및 캠 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b는 도4a의 B 화살표도이다.
도4c는 도4b의 C 화살표도이다.
도5는 보유 핀, 핀 유도 부재 및 탄성 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보유 핀이 내부 레일에 형성된 안내 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7은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에 인입할 때의 보유 핀의 움직임을, 순서를 따라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보유 핀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의 상기 보유 핀의 움직임을, 순서를 따라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9는 캠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한 캠 부재를 사용하여 보유 핀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의 상기 보유 핀의 움직임을, 순서를 따라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미닫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외부 레일
2 : 내부 레일
3 : 볼
30 : 보유 핀
31 : 탄성 부재
32 : 핀 유도 부재
33 : 캠 부재
60 : 유도 홈
64 : 안내 홈
이하,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실시 형태 중 하나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은, 제1 레일로서의 외부 레일(1)과, 이 외부 레일(1) 내에 수납되는 제2 레일로서의 내부 레일(2)과, 상기 외부 레일(1)과 내부 레일(2)과의 사이를 구름 주행하는 전동체로서의 볼(3)과, 외부 레일(1)과 내부 레일(2)과의 사이에서 다수의 볼(3)을 소정 간격으로 배열시키는 리테이너(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은,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 본체(50)에 대한 서랍(51)의 슬라이드 기구로서 이용되고, 외부 레일(1)이 가구 본체(50)에, 내부 레일(2)이 서랍(51)에 고정되어, 이러한 서랍(51)을 가구 본체(50)에 대해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 레일(1)은 강판을 롤 포밍(Roll forming) 가공에 의해 정밀 형성한 것이며, 설치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볼 구름 주행부(12, 12)를 구부려 세움으로써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 구름 주행부(12)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3)의 구면과 근사한 곡률의 볼 구름 주행면(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부 레일(2)도 마찬가지로 하여 강판으로 형성되고, 설치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볼 구름 주행부(22, 22)를 구부려 세움으로써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내부 레일(2)은 외부 레일(1)의 볼 구름 주행부(12, 12)의 사이에 수납되고, 상기 외부 레일(1)과의 사이에 볼(3)을 배열하므로 외부 레일(2)보다도 한결 작게 형성되는 동시에, 볼 구름 주행부(22)의 외측면에 볼 구름 주행면(2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레일(1, 2)의 설치부(11, 21)에는 설치 나사(5)가 관통하는 나사 구 멍(14, 24)이 각각 개설되어 있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외부 레일(1)은 설치 나사(5)를 이용하여 가구 본체(50)에, 내부 레일(2)은 설치 나사(5)를 이용하여 서랍(51)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4)는 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하거나, 혹은 합성 수지를 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한 것이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레일(1)과 내부 레일(2)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레일(1, 2)의 사이를 구름 주행하는 다수의 볼(3)을 동일한 간격으로 정렬시켜, 서로 인접하는 볼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 있어서는 외부 레일(1)과 내부 레일(2)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볼(3)을 통해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볼(3)의 구름 이동에 의해 상기 외부 레일(1) 내에 수납된 내부 레일(2)을 상기 외부 레일(1) 내로부터 원활하게 끌어낼 수 있다.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과 완전히 겹쳐진 상태, 즉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 내에 완전히 인입한 상태에 있어서 전체 길이가 가장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전술한 서랍(51)을 가구 본체(50) 내에 완전히 수납한 상태가 이 상태에 상당한다. 그러한 사용에 있어서, 서랍(51)을 가구 본체(50) 내에 확실하게 수납하고, 또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는 외부 레일(1)에 대한 내부 레일(2)의 인입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6)는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 내에 인입할 때에, 이러한 내부 레일(2)의 스트로크의 종단부 위치의 약간 전방측에서 작용하고, 탄성 부재로서의 인장 탄성체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 내에 인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보조 기구,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종단부 가압 수단(6)은 외부 레일(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유 핀(30)과, 이 보유 핀(30)을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는 탄성 부재(31)와, 외부 레일(1)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보유 핀(30)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핀 유도 부재(32)와, 상기 내부 레일(2)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내부 레일(2)의 움직임을 따라 상기 보유 핀(30)을 이동시키는 캠 부재(33)로 구성되어 있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레일 및 내부 레일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레일(1)에 대해 내부 레일(2)을 인입하면, 내부 레일(2)측에 설치된 캠 부재(33)가 외부 레일(1)측의 보유 핀(30)과 걸어 맞추어지고, 탄성 부재(31)의 인장력(가압력)이 보유 핀(30)을 통해 내부 레일(2)에 작용하므로, 이 가압력에 의해 내측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대해 완전히 인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4a, 도4b 및 도4c는 상기 보유 핀(30), 핀 유도 부재(32) 및 캠 부재(33)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4b는 도4a의 B 화살표도, 도4c는 도4b의 C 화살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핀 유도 부재(32)는 합성 수지제이며, 정면 플레이트부(32a)와, 이 정면 플레이트부(32a)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다리부(32b, 32b)와, 이들 다리부(32b)를 통해 상기 정면 플레이트부(32a)와 대향하는 배면 플레이트부(32c)를 갖고 있고, 배면 플레이트부가 외부 레일(1)에 고정되어 있다. 정면 플레이트부(32a)와 배면 플레이트부(32c)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이 상기 보유 핀(30)의 이동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정면 플레이트부(32a)에는 상기 보유 핀(30)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도 홈(60)이 형성되어 있고, 보유 핀(30)은 그 선단부가 유도 홈(60)에 삽입되어 캠 부재(33)를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보유 핀(30)은 원반 형상의 베이스부(30a)를 갖고 있고, 이 베이스부(30a)가 배면 플레이트부(32c)와 핀 유도 부재(32)의 정면 플레이트부(32a)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보유 핀(30)은 그 선단부를 상기 유도 홈(60)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외부 레일(1)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선단부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면 그 방향에 따라서 유도 홈(60) 내를 이동한다. 한편, 이 핀 유도 부재(3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배면 플레이트(32c)를 생략하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32b)를 직접 외부 레일(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유 핀(30)의 베이스부(30a)에는 탄성 부재로서의 인장 탄성체(31)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 인장 탄성체(31)의 타단부는 상기 핀 유도 부재(32)에 설치된 스터드(32c)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스터드(32c)는 유도 홈(60)에 대해 외부 레일(1)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유 핀(30)이 유도 홈(60)의 어느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도, 상기 인장 탄성체(31)는 신장된 상태에 있고, 보유 핀(30)에는 인장 탄성체(31)의 가압력이 외부 레일(1)의 단부 방향, 즉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을 향해 항상 작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유도 홈(60)은 인장 탄성체(3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보유 핀(30)을 계지하기 위한 계지 오목부(61)와, 이 계지 오목부(61)로부터 연속되는 동시에 외부 레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장 가이드부(62)를 갖고 있다. 상기 계지 오목부(61)는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 상기 보유 핀(30)이 설정되는 대기 위치이며, 보유 핀(30)이 계지 오목부(61)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 상기 인장 탄성체(31)는 가장 신장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캠 부재(33)의 작용에 의해 보유 핀(30)이 대기 위치인 계지 오목부(61)로부터 발출되면, 이러한 보유 핀(30)은 인장 탄성체(31)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인장 가이드부(62)를 한번에 이동하여, 이러한 인장 가이드부(62)의 종단부에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32c)에 근접한 인장 가이드부(62)의 단부에는, 내부 레일(2)측의 캠 부재(33)의 이동에 관계없이 대기 위치[결합 오목부(61)]로부터 이탈해 버린 보유 핀(30)을 상기 대기 위치에 재설정할 때에 이용하는 퇴피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퇴피 오목부(63)는 인장 가이드부(62)와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퇴피 오목부(63)의 상세한 이용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내부 레일(2)측에 설치된 상기 캠 부재(33)에 대해 설명한다. 이 캠 부재(33)는 금속판에 안내 홈(64)을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고, 외부 레일(1)측의 핀 유도 부재(32)와 대향하도록 내부 레일(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64)은 외부 레일(1)에 대한 내부 레일(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보유 핀(30)의 설정 위치를 변경하는 소위 캠 홈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대기 위치에 설정된 보유 핀(30)의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도입부(65)와, 받아들인 보유 핀(30)을 외부 레 일(1)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용부(66)와, 이 작용부(66)를 통과한 보유 핀(30)을 계지해 두는 핀 유치부(6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핀 유치부(67)는 핀 유도 부재(32)의 인장 가이드부(62)와 대향하고 있고, 보유 핀(30)은 핀 유치부(67)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장 가이드부(62)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유도 부재(32)와 상기 캠 부재(33)는 외부 레일(1)과 내부 레일(2)의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고, 핀 유도 부재(32)로부터 돌출된 보유 핀(30)의 선단부는 상기 캠 부재(33)의 안내 홈(64)에 삽입되어 있다. 단, 상기 캠 부재(33)는 보유 핀(3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안내 홈(64)을 구비한 것이면 되므로, 안내 홈(64)이 형성된 캠 부재(33)를 내부 레일(2)에 고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레일(2)의 설치부(21)에 대해 직접적으로 안내 홈(64)을 형성하고, 이러한 형성 부위를 캠 부재(33)로서 이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7의 (a) 내지 도7의 (f)는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인입할 때의 상기 보유 핀(30)의 동작을 시간 경과를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되고, 캠 부재(33)가 핀 유도 부재(32)의 유도 홈(60)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유 핀(30)은 대기 위치, 즉 상기 유도 홈(60)의 계지 오목부(61)에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유 핀(30)에는 탄성 부재(31)의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보유 핀(30)은 계지 오목부(61)에 인입하여 결합되어 있고, 대기 위치에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에 인입되어,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33)가 유도 홈(60)에 겹쳐져 오면, 보유 핀(30)은 도입부(65)로부터 안내 홈(64) 내에 인입되고, 그대로 내부 레일(1)의 인입이 진행하면 도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용부(66)에 충돌한다. 이 작용부(66)는 내부 레일의 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대로 내부 레일의 인입이 진행하면 도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핀(30)은 내부 레일의 이동 방향(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유도 홈(60)의 계지 오목부(대기 위치)(6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또한, 캠 부재(33)의 안내 홈(64)에서는 보유 핀(30)이 작용부(66)를 통과하여 핀 유치부(67)에 인입되고, 이러한 보유 핀(30)은 이 핀 유치부(67)에서 계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캠 부재(33)의 핀 유치부(67)는 유도 홈(60)의 인장 가이드부(62)와 대향하고 있으므로, 도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핀(30)이 캠 부재(33)의 핀 유치부(67)에 설정되면,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의해 보유 핀(30)은 인장 가이드부(62)의 내부를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으로 한번에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의 핀 유치부(67)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31)의 인장 가압력은 보유 핀(30)을 통해 캠 부재(33), 나아가서는 내부 레일(2)에 작용하여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 내에 자동적으로 인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레일(2)은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 위치에까지 인입되어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의해 그 위치에 보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인입할 때에 이러한 내부 레일(2)이 그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의 근방에 도달하면, 내부 레일(2)측의 캠 부재(33)의 작용에 의해 보유 핀(30)이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하고, 보유 핀(30)에 작용하고 있는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이 한번에 작용하여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 내에 자동적으로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인입한 상태에서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이 보유력으로서 작용하므로, 의도하지 않게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랍의 안내 기구에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서랍의 절반 개방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도7의 (a) 내지 도7의 (f)와 완전히 반대의 순서로 보유 핀(30)이 대기 위치에 설정된다. 즉, 보유 핀(30)이 캠 부재(33)의 핀 유치부(67)에 계지된 상태에서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로 인출되므로, 보유 핀(30)은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인장 가이드부(62)를 계지 오목부(61)를 향해 이동한다. 인장 가이드부(62)로부터 계지 오목부(61)에 걸친 유도 홈(60)은 내부 레일(2)의 인출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시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 인출하면 이러한 유도 홈(60)이 캠 홈으로서 보유 핀(30)에 작용하고, 보유 핀(30)은 내부 레일(2)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계지 오목부(61)에 설정된다. 또한, 이 때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의 핀 유치부(67)로부터 발출되고, 작용부(66)를 경유하여 도입부(65)에 도달한다[도7의 (c)의 상태]. 이에 의해, 보유 핀(30)을 캠 부재(33) 로부터 발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내부 레일(2)측의 캠 부재(33)를 외부 레일(1)측의 핀 유도 부재(32)로부터 분리하여,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유 핀(30)은 탄성 부재(31)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유도 홈(60)의 계지 오목부(대기 위치)(61)에 설정되고, 다음에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 내에 인입될 때에는 다시 도7의 (a) 내지 도7의 (f)에 도시한 순서로 내부 레일(2)의 인입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통상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는, 보유 핀(30)이 유도 홈(60)의 계지 오목부(61)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지만, 외부 레일(1)에 충격이 작용하는 등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보유 핀(30)이 계지 오목부(61)로부터 발출해 버리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에는 보유 핀이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가이드부(62)의 종단부 위치에까지 탈락해 버린다. 이러한 위치에 보유 핀(30)이 의도하지 않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보유 핀(30)을 계지 오목부(61)에 복귀시키지 않으면 이러한 보유 핀(30)이 장해가 되어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 내로 완전하게 인입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보유 핀(30)을 계지 오목부(대기 위치)(61)로 복귀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캠 부재(33)의 도입부(65)에 대해 테이퍼 형상의 퍼올림부(68)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퍼올림부(68)와 핀 유치부(67)와의 사이에 보유 핀(30)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임시 고정 오목부(69)를 형성하였다. 이 임시 고정 오목부(69)는 핀 유치부(67)와 마찬가지로 핀 유도 부재(32)의 인장 가이드부(62) 와 대향하고 있다. 즉, 이것들이 캠 부재(33)에 형성된 핀 회복부이다. 또한, 핀 유도 부재(32)의 유도 홈(6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가이드부(62)의 단부로부터 연속되는 퇴피 오목부(63)를 형성하였다. 이 퇴피 오목부(63)는 캠 부재(33)의 도입부(65)에 대응하고 있다.
도8의 (a) 내지 도8의 (f)는 의도하지 않게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해 버린 보유 핀(30)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의 상기 보유 핀(30)의 일련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레일(2)이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보유 핀(30)이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하여 인장 가이드부(62)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일단 인입하고, 다시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 인출함으로써 이러한 보유 핀(30)을 대기 위치에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8의 (a) 및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대해 인입하고 캠 부재(33)가 외부 레일(1)측의 유도 홈(60)에 겹쳐져 오면,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의 퍼올림부(68)에 의해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그대로 유도 홈(60)의 퇴피 오목부(63)에 인입된다[도8의 (c) 참조]. 퇴피 오목부(63)는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의 퍼올림부(68)에 의해 치우쳐 있을 때에도, 탄성 부재(31)의 인장력에 의해 유도 홈(60)의 인장 가이드부(62)로 복귀하려고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내부 레일(2)의 인입이 더욱 진행하여, 도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핀(30)이 상기 퍼올림부(68)를 통과하면, 이러한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에 설치된 임시 고정 오목 부(69)에 인입되고, 이 위치에서 캠 부재(33)에 계지되게 된다[도8의 (d) 참조].
그리고, 상기 임시 고정 오목부(69)는 유도 홈(60)의 인장 가이드부(62)와 대향하고 있으므로, 보유 핀(30)이 캠 부재(33)의 임시 고정 오목부(69)에 계지된 상태에서 다시 내부 레일(2)을 인출하면, 보유 핀(30)은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인장 가이드부(62)를 계지 오목부(61)를 향해 이동한다[도8의 (e) 참조]. 인장 가이드부(62)로부터 계지 오목부(61)에 걸친 유도 홈(60)은 내부 레일(2)의 인출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시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 인출하면 이러한 유도 홈(60)이 캠 홈으로서 보유 핀(30)에 작용하여, 보유 핀(30)은 내부 레일(2)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계지 오목부(61)에 설정된다. 또한, 이 때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의 임시 고정 오목부(69)로부터 발출하여 도입부(65)에 설정된다[도8의 (f)의 상태]. 이에 의해, 보유 핀(30)을 핀 유도 부재(32)의 계지 오목부(61)에 재설정하는 동시에, 이러한 보유 핀(30)을 캠 부재(33)로부터 발출하여 내부 레일을 외부 레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한 상태하에서, 보유 핀(30)이 의도하지 않게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하여,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의해 인장 가이드 홈(62)의 종단부 위치에까지 탈락해 버렸다고 해도,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 내에 일단 인입하고, 다시 외부 레일(1)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보유 핀(30)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편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9는 상기 캠 부재(33)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 본체(50)에 대한 서랍(51)의 슬라이드 기구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인입하였을 때의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가 가구 본체(50)에 대해 서랍(51)을 인입하였을 때의 종단부와 완전하게 합치하고 있었던 것으로는, 이러한 종단부에 있어서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이 내부 레일(2)에 대해 확실하게 작용하지 않아, 서랍(51)과 가구 본체(50)의 높은 밀폐성을 유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즉, 서랍을 가구 본체에 대해 확실하게 인입하기 위해서는 서랍의 종단부 위치에 있어서 내부 레일이 아직 종단부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4a에 도시한 캠 부재(33)의 안내 홈(64)에서는 임시 고정 오목부(69)가 내부 레일(2)의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에 대응하여 절결되어 있으므로, 내부 레일(2)이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가구 본체(50)에 대한 서랍(51)의 인입이 계지되어 버리면, 보유 핀(30)이 의도하지 않게 계지 오목부(61)로부터 발출하여 인장 가이드부(62)의 종단부 위치에까지 탈락해 버린 경우에, 도8에 도시한 순서에 의해 보유 핀(30)을 상기 임시 고정 오목부(69)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로부터, 도9에 도시한 캠 부재(33a)에서는 임시 고정 오목부(69a)의 폭(W)을 도4a에 도시한 임시 고정 오목부(69)보다도 확장하고, 내부 레일(2)이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에 도달하는 약간 전방에 있어서, 상기 보유 핀(30)을 임시 고정 오목부(69)에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10의 (a) 내지 도10의 (f)는 상기 캠 부재(33a)를 이용하여 보유 핀(30)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의 상기 보유 핀(30)의 일련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도8의 (a) 내지 도8의 (f)에 있어서의 보유 핀의 움직임과 대략 동일하다. 즉, 도10의 (a) 내지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에 대해 인입하고, 캠 부재(33a)가 외부 레일(1)측의 유도 홈(60)에 겹쳐져 오면 보유 핀(30)은 캠 부재(33a)의 퍼올림부(68)에 의해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그대로 유도 홈(60)의 퇴피 오목부(63)에 인입된다. 퇴피 오목부(63)는 내부 레일(2)의 인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유 핀(30)은 캠 부재(33a)의 퍼올림부(68)에 의해 치우쳐 있을 때에도, 탄성 부재(31)의 인장력에 의해 유도 홈(60)의 인장 가이드부(62)로 복귀하려고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내부 레일(2)의 인입이 더욱 진행하여,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핀(30)이 상기 퍼올림부(68)를 통과하면, 이러한 보유 핀(30)은 캠 부재(33)에 설치된 임시 고정 오목부(69a)에 인입되고, 이 위치에서 캠 부재(33)에 계지되게 된다[도8의 (d) 참조].
이 때, 도10의 (d)에 있어서 내부 레일(2)은 그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에는 도달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임시 고정 오목부(69a)의 형성 폭(W)을 확장하였으므로 상기 위치에 있어서 보유 핀(30)을 임시 고정 오목부(69a)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후의 보유 핀(30)의 움직임은 도8의 (e) 내지 도8의 (f)와 완전히 동일하며,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종단부 가압 수단(6)을 구성하는 보유 핀(30), 핀 유도 부재(32) 및 캠 부재(33)를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외부 레일(1) 및 내부 레일(2)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치하였지만, 도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보유 핀(30) 및 핀 유도 부재(32)를 가구 본체(50)에, 캠 부재(33)를 서랍(51)에 대해 설치하고, 외부 레일(1) 또는 내부 레일(2)로 분리하고 있다. 즉,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작용에 의해 서랍(51)이 가구 본체(50)에 인입되면, 서랍(51)에 설치된 캠 부재(33)가 가구 본체(50)에 설치된 보유 핀(30)과 걸어 맞추어지고, 보유 핀(30)에 작용하는 탄성 부재(31)의 인장력이 서랍에 대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유 핀(30)이나 캠 부재(33)를 외부 레일(1) 및 내부 레일(2)로 분리하여 설치한 경우, 예를 들어 서랍(51)에 대한 캠 부재(33)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이러한 서랍(51)에 탄성 부재(31)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타이밍을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캠 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각종 용도에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12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 유닛을 미닫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건물의 개구부(70)의 상단부 변을 따라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외부 레일(1)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개구부(70)를 폐색하는 미닫이(71)가 내부 레일(2)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외부 레일(1)에는 내부 레일(2)의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에 대응하여 핀 유도 부재(32)가 설치되고, 또한 내부 레일(2)에는 상기 핀 유도 부재(32)에 의해 안내되는 보유 핀(30)과 걸어 맞추어지는 캠 부재(33)가 설 치되어 있다. 즉, 이 도12에 도시한 예에 따르면, 미닫이(71)를 슬라이드 레일 유닛의 스트로크 범위의 종단부 근방까지 이동시키면 미닫이(71)가 종단부 위치를 향해 자동적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이러한 종단부 위치에 보유되어, 미닫이(71)를 개방 위치 또는 폐색 위치로 계지해 두고자 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한편, 도1에 도시한 슬라이드 레일 유닛에서는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 인입할 때에 보유 핀(30)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상기 핀 유도 부재(32) 및 캠 부재(33)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내부 레일(2)을 외부 레일(1)로부터 인출할 때에 보유 핀(30)이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예에서는, 핀 유도 부재(32)를 외부 레일(1)에, 캠 부재(33)를 내부 레일(2)에 각각 고정하였지만 외부 레일(1)에 캠 부재(33)를, 내부 레일(2)에 핀 유도 부재(32)를 고정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이동 가능하게 조립 부착된 한 쌍의 레일의 사이에 적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슬라이드 레일 유닛이 외부 레일, 중앙 레일 및 내부 레일의 3개로 구성되는 경우이면, 상호 이동 가능한 외부 레일과 중앙 레일과의 사이, 중앙 레일과 내부 레일과의 사이의 각각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레일과 내부 레일의 사이에 다수의 볼을 개재시키고 있었지만, 외부 레일에 대해 내부 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외부 레일을 주행하는 차륜을 내부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고, 외부 레일과 내부 레일의 각각에 대해 서 로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드면을 형성해도 좋다.

Claims (6)

  1. 제1 레일(1)과, 이 제1 레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로크 가능한 제2 레일(2)과, 이 제2 레일(2)의 스트로크 종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2)을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가압하는 종단부 가압 수단(6)으로 구성되고,
    상기 종단부 가압 수단(6)은 제1 레일(1)에 대해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기립 설치된 보유 핀(30)과, 이 보유 핀(30)을 제2 레일(2)의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항상 가압하는 탄성 부재(31)와, 상기 제1 레일(1)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3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보유 핀(30)을 스트로크 종단부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에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한 보유 핀(30)을 상기 가압력에 수반하여 상기 스트로크 종단부를 향해 안내하는 핀 유도 부재(32)와, 상기 제2 레일(2)에 설치되고, 상기 핀 유도 부재(32)와 겹쳐짐에 따라 상기 보유 핀(30)을 핀 유도 부재(32)의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시에, 이탈 후의 보유 핀(30)을 계지하는 캠 부재(33)로 구성되고,
    상기 캠 부재(33)는 상기 보유 핀(30)의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안내 홈(64)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레일(2)에 고정되고, 이러한 안내 홈(64)은 상기 대기 위치에 설정된 보유 핀(30)을 제2 레일(2)의 이동에 수반하여 받아들이는 도입부(65)와, 받아들인 보유 핀(30)을 제1 레일(1)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용부(66)와, 이 작용부(66)를 통과한 보유 핀(30)을 계지하는 핀 유치부(6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유도 부재(32)는 상기 보유 핀(30)의 선단부가 헐겁게 끼워지는 유도 홈(60)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레일(1)에 고정되고, 이러한 유도 홈(60)은 상기 대기 위치에 대응하는 계지 오목부(61)를 갖는 동시에, 이 계지 오목부(61)로부터 이탈한 보유 핀(30)을 제1 레일(1)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 는 인장 가이드부(62)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핀(30)은 핀 유도 부재(32)와 제1 레일(1)의 사이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유도 부재(32)에 있어서의 유도 홈(60)의 계지 오목부(61)와 반대측의 일단부에는, 상기 위치에 상기 보유 핀(30)을 설정한 상태로 상기 캠 부재(33)의 진입을 허용하는 퇴피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33)에 있어서의 안내 홈(64)의 도입부(65)와 작용부(66)의 사이에는, 상기 보유 핀(30)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핀 회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6. 삭제
KR1020077001864A 2005-04-28 2006-03-30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KR101067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3399 2005-04-28
JP2005133399 200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001A KR20070119001A (ko) 2007-12-18
KR101067150B1 true KR101067150B1 (ko) 2011-09-22

Family

ID=3708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864A KR101067150B1 (ko) 2005-04-28 2006-03-30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33684B2 (ko)
KR (1) KR101067150B1 (ko)
CN (1) CN1993068B (ko)
DE (1) DE112006000842B4 (ko)
WO (1) WO2006109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8087B2 (ja) * 2005-10-21 2011-07-20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引出装置
JP4950635B2 (ja) * 2006-11-24 2012-06-13 株式会社ニフコ 引込機構
CN101827990B (zh) * 2007-10-15 2014-10-15 Thk株式会社 抗震卡锁结构
GB2456015B (en) * 2007-12-31 2009-11-04 King Slide Works Co Ltd Slide assembly with a retractable guiding device
JP5091769B2 (ja) * 2008-05-30 2012-12-05 Thk株式会社 運動装置
JP5290086B2 (ja) * 2009-08-18 2013-09-18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KR101123945B1 (ko) * 2009-10-06 2012-03-23 (주)청호시스템 다단 인출식 레일 어셈블리
JP2013074909A (ja) * 2009-10-27 2013-04-25 Yoshimitsu Ito スライドレール
KR101257683B1 (ko) 2011-05-20 2013-04-24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슬라이딩 장치
KR101114486B1 (ko) * 2011-08-18 2012-02-24 박윤식 레일
DE102013107562B4 (de) * 2013-07-16 2024-01-18 Paul Hettich Gmbh & Co. Kg Führun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AT516677B1 (de) * 2015-01-02 2019-08-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KR102496370B1 (ko) 2016-03-07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일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6041542A (zh) * 2016-06-27 2016-10-26 滁州欧博特电子制造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节的伸缩式导轨
CN109138679B (zh) * 2017-04-05 2020-08-07 平高集团有限公司 一种伸缩活门及使用该伸缩活门的开关柜
DE102017130108A1 (de) * 2017-12-15 2019-06-19 Accuride International Gmbh Teleskopschiene
CN110079979B (zh) * 2019-04-30 2022-05-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轨道组件及衣物处理设备
CN114776156B (zh) * 2022-06-16 2022-10-18 云南昆船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车辆双开滑移门自动开门的装置
TWI800450B (zh) * 2022-08-25 2023-04-21 振躍精密滑軌股份有限公司 伺服器滑軌之同步暨鎖定機構
KR20240051596A (ko) 2022-10-13 2024-04-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조립 오차 보정 슬라이드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U (ja) * 1992-06-18 1994-01-1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ラックに於ける棚板スライド装置
JPH0610393A (ja) * 1992-06-26 1994-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ノズルおよび衛生洗浄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装置
JPH0624549U (ja) * 1992-07-20 1994-04-05 高橋金物株式会社 レール装置
JP2006167268A (ja) 2004-12-17 2006-06-29 Matsukinrii:Kk スライドレールの着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000673D1 (de) 1989-03-08 1993-02-11 Schock Metallwerk Einzugeinrichtung.
AT393948B (de) * 1989-04-03 1992-01-10 Blum Gmbh Julius Schliessvorrichtung fuer schubladen
JPH06245830A (ja) * 1993-02-26 1994-09-06 Nhk Spring Co Ltd 引出し用案内装置
JPH11201158A (ja) * 1998-01-13 1999-07-27 Nippon Slide Kogyo Kk 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JPH11206489A (ja) * 1998-01-20 1999-08-03 Isokawa Sangyo 引出し用レールの保持装置
AT410504B (de) * 2000-01-14 2003-05-26 Blum Gmbh Julius Schliess- und/oder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US7028370B2 (en) * 2003-03-31 2006-04-18 Thk Co., Ltd. Retracting apparatus, drawer apparatus and sliding door apparatus
JP4255782B2 (ja) * 2003-07-14 2009-04-15 Thk株式会社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TWM244806U (en) * 2003-05-15 2004-10-01 King Slide Works Co Ltd Automatic return device for sliding rail
JP4194417B2 (ja) * 2003-05-19 2008-12-10 共栄工業株式会社 自動引き込み装置を有する家具
TWM240139U (en) * 2003-08-18 2004-08-11 Jiun-Lung Yang Rail for drawer with automatic return device
US20050104492A1 (en) 2003-11-14 2005-05-19 Susan Chiu Track positioning device for a drawer
DE102004006092A1 (de) 2004-02-07 2005-08-25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JP4654628B2 (ja) * 2004-08-02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扉装置および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U (ja) * 1992-06-18 1994-01-1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ラックに於ける棚板スライド装置
JPH0610393A (ja) * 1992-06-26 1994-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ノズルおよび衛生洗浄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装置
JPH0624549U (ja) * 1992-07-20 1994-04-05 高橋金物株式会社 レール装置
JP2006167268A (ja) 2004-12-17 2006-06-29 Matsukinrii:Kk スライドレールの着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3068A (zh) 2007-07-04
WO2006109579A1 (ja) 2006-10-19
KR20070119001A (ko) 2007-12-18
JPWO2006109579A1 (ja) 2008-10-30
DE112006000842T5 (de) 2008-03-27
JP3933684B2 (ja) 2007-06-20
DE112006000842B4 (de) 2018-09-27
CN1993068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150B1 (ko)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US7967402B2 (en) Slide rail unit with retaining function
US7210198B2 (en) Retracting apparatus, drawer apparatus and sliding door apparatus
US7347515B1 (en) Sliding rail assembly auto opening mechanism for drawer
US9756940B2 (en) Driving mechanism and driving method for furniture
US5302016A (en) Automatic pull-in mechanism for drawer guides
KR101172134B1 (ko) 가동체의 왕동기구
EP3417740B1 (en) Telescopic rail with locking mechanism
US10610015B2 (en) Slide rail device with unlocking structure for middle slide rail
US20170135480A1 (en) Driving mechanism and guide fitting for slide rail assembly
EP3225132A1 (en) Driving mechanism and driving method for furniture parts
KR101116985B1 (ko) 래치장치
JP2020182821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7922270B2 (en) Pull-in and damping device for a displaceable element
JP2012239738A (ja) プッシュ式スライドレールの係止装置
JP7078827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JP3126799U (ja) 保持機能付き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JP2013019223A (ja) ラッチ装置
JP7078828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DE102011050020A1 (de) Ausstoß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JP2021053348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20210004644A (ko) 슬라이드 장치
WO2002099234A1 (en) Multiple drawer cabinet allowing one drawer opened at a time
JP2007268240A (ja) 保持機能付き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KR102415852B1 (ko) 서랍 메커니즘용 후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