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78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788B1
KR102303788B1 KR1020190178281A KR20190178281A KR102303788B1 KR 102303788 B1 KR102303788 B1 KR 102303788B1 KR 1020190178281 A KR1020190178281 A KR 1020190178281A KR 20190178281 A KR20190178281 A KR 20190178281A KR 102303788 B1 KR102303788 B1 KR 10230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ing
lever
locking protru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340A (ko
Inventor
장명훈
박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7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커넥터는 차체에 형성된 플로워커넥터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해제를 방지하는 레버바디와,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바디를 착탈시키는 탈거부로 형성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버부의 강제 이탈을 강제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 도난을 방지하고 보다 향상된 작업성을 제공하여 생산성 향상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도어에는 각종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전장부품들에 전기 공급 및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도어의 힌지쪽 측면을 통해 차체에 형성된 플로워커넥터 및 와이어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도어 커넥터가 구비된다. 이때 와이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와이어부의 외측으로 그로멧이 형성된다.
다만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위해 힌지쪽 측면에 유격이 발생되면서 범죄자가 유격으로 도구를 삽입하여 레버부를 이동시켜 커넥터부와 플로워커넥터를 강제적으로 이탈시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차량은 도난하는 방법이 성행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임시 대책으로 커넥터부에 스크류 나사를 별도로 체결하여 레버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에 따라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용 도어 커넥터는 플로워커넥터에 체결되기 전 케넥터부와 레버부가 완전결합되어 플로워커넥터에 체결 시 레버부를 커넥터부에서 이탈시키는 고정이 추가로 필요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 커넥터의 강제 탈거를 방지하여 차량 도난 문제를 해결하고, 레버가 가체결되도록 하여 작업성의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커넥터는 차체에 형성된 플로워커넥터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해제를 방지하는 레버바디와,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바디를 착탈시키는 탈거부로 형성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버부의 강제 이탈을 강제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리브는 상기 탈거부의 저면에서 연장되되, 단면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거부는 상기 플로워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부가 완전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돌기와, 상기 제1 락킹돌기에서 연장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락킹돌기를 해제시키는 리버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락킹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버스부는 상기 레버부에 고정되고, 가압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에서 상기 제1 락킹돌기를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커넥터는 차체에 형성된 플로워커넥터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해제를 방지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의 가결합 위치와 완전결합 위치 사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레버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워커넥터에 상기 커넥터부가 완전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에 안착되는 제2 락킹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가결합 위치에서 상기 제2 락킹부가 걸림 고정되어 상기 레버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락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레버부에 연결되고, 말단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락킹돌기가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락킹돌기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부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플로워커넥터의 일 측에 맞닿아 상기 제2 락킹돌기를 상기 락킹홈에서 상기 가이드라인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해제를 방지하는 레버바디와,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바디를 착탈시키는 탈거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거부는 저면에서 연장되되, 단면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의 강제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거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돌기와, 상기 제1락킹돌기에서 연장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락킹돌기를 해제시키는 리버스부로 형성되는 제1 락킹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탈거부에 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차량 도난 시 사용되는 도구의 진입을 방지하고, 제1 락킹부를 형성하여 레버부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여 차량의 도어가 강제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차량 도난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락킹부가 커넥터부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레버부의 완전 결합을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 및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커넥터부가 플로워커넥터에 완전체결되는 경우에만 레버부가 커넥터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작업 시 작어자의 공수 및 피로도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체결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커넥터부의 사시도 및 가이드라인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레버부의 사시도 및 제1 락킹부와 제2 락킹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1의 Ⅶ-Ⅶ방향 단면도에 제1 락킹부의 해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Ⅷ-Ⅷ 방향 단면에 플로워커넥터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가이드라인에 제2 락킹부가 안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의 커넥터와 플로워커넥터가 체결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커넥터는 커넥터부에서 강제 이탈이 방지되는 레버부 및 레버부를 가결합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커넥터는 커넥터부에서 강제 이탈이 방지되는 레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며, 발명의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기술적 특징으로 가지므로, 발명의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체결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넥터부의 사시도 및 가이드라인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레버부의 사시도 및 제1 락킹부와 제2 락킹부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Ⅶ-Ⅶ방향 단면도에 제1 락킹부의 해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2의 Ⅷ-Ⅷ 방향 단면에 플로워커넥터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가이드라인에 제2 락킹부가 안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커넥터와 플로워커넥터가 체결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커넥터(10)는 차체에 형성된 상기 플로워커넥터(20)에 체결되어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100), 상기 커넥터부(100)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100)의 해제를 방지하는 레버부(200) 및 상기 레버부(200)의 가결합 위치와 완전결합 위치 사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커넥터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310)과 상기 레버부(200)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워커넥터(20)에 상기 커넥터부(100)가 완전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310)에 안착되는 제2 락킹부(3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차량의 도어에 사용되는 것으로, 차체에 형성된 플로워커넥터(20)와 와이어부를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커넥터로 도어에 전원 또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한다.
커넥터부(100)는 일 측에서 레버부(20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10)이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일 측면으로 플로워커넥터(20)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120)와, 타 측면으로 와이어부가 결합되는 와이어결합부(130)가 형성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와이어부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한다. 또한 탈거부(220)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1 락킹돌기(2211)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홀(140)이 형성되어 탈거부(220)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공간(110)은 상측으로 개방되고,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레버부(200)가 커넥터부(100)에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측으로는 탈거부(220)가 안착되고, 결합리브(211)가 양 측 면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공간(110)에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걸림홈은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레버부(200)가 완전 결합됨과 동시에 제1 락킹돌기(2211)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락킹돌기(2211)는 걸림홈의 상측면과 맞닿아 탄성 변형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홈에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걸림홈의 상측면에는 제1 락킹돌기(2211)의 저면과 맞닿아 제1 락킹돌기(2211)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레버부(200)는 커넥터부(10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레버바디(210)와, 레버바디(2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레버부(200)를 탈착시키는 탈거부(220)로 형성되어 커넥터부(100)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의 체결이 임의로 해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레버바디(210)는 커넥터부(100)의 양 측 내부로 연장 형성된 결합공간(110)에 결합되는 결합리브(211)과, 플로원커넥터의 외측에 형성된 탈거라인(21)에 안착되는 탈거돌기(212)와, 가이드부(300)가 위치하는 변형공간(213)으로 형성된다.
결합리브(211)는 양 측으로 대칭 형성되고, 커넥터부(100)와의 결합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결합공간(110)에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리브(211)가 대향하는 면에는 대칭하여 탈거돌기(21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30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변형공간(213)이 형성된다.
탈거돌기(212)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가 체결됨에 따라 플로워커넥터(20)의 외측에 형성된 탈거라인(21)을 따라 이동되며 결합공간(110)의 내측에서 탈거라인(21)에 안착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탈거돌기(212)는 커넥터부(100)가 플로워커넥터(20)에 체결됨에 따라 탈거라인(21)에 안착되는 동시에 탈거라인(21)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탈거라인(21)은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탈거돌기(212)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레버부(200) 또한 커넥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 위치로 이동된다.
동시에 경사져 형성되는 탈거라인(21)을 따라 이동되면서 레버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커넥터부(10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변형공간(213)은 결합리브(21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2 락킹돌기(3211)가 가결합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부(321)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탄성변형부(321)는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가 체결되는 경우에만 레버부(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탈거부(220)는 한 쌍의 결합리브(211)와 각각 연결되고, 결합공간(110)의 개방된 상측에 안착되며, 커넥터부(100)와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부(221)와, 차량 도난시 사용되는 도구의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리브(222)가 형성된다.
제1 락킹부(221)는 걸림홀(140)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돌기(2211)와, 제1 락킹돌기(2211)의 일 측에 형성되는 리버스부(2212)와, 리버스부(2212)의 저면에서 탈거부(220)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제1 락킹부(221)를 고정하는 동시에 탄성 변형의 중심축이 되는 연결부(2213)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락킹부(221)의 고정 방법을 살펴보면, 레버바디(210)가 커넥터부(100)의 결합공간(110)을 따라 이동되고, 커넥터부(100)와 레버부(200)가 완전 결합되면 제1 락킹돌기(2211)의 저면이 걸림홈의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하고, 이에 따라 제1 락킹돌기(2211)가 경사면을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벌어지다 걸림홈의 상측면과 접촉이 떨어지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며 걸림홀(140)의 내부에 걸려 걸림 고정된다.
이때 제1 락킹돌기(2211)가 걸림홈의 내부면에 접하면서 '딸칵'하는 소리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1 락킹부(221)와 걸림홈의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 소리로만 인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락킹부(221)의 해지 방법을 살펴보면, 제1 락킹돌기(2211)의 걸림홀(140)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리버스부(2212)를 가압하면 연결부(2213)를 중심으로 제1 락킹돌기(2211)가 회전하면서 걸림홀(140)에서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탈거부(220)를 상측으로 당기면 레버부(200)와 커넥터부(100)의 결합이 해지되는 동시에 탈거돌기(212)가 탈거라인(21)을 따라 이동되면서 플로워커넥터(20) 또한 커넥터부(100)에서 이탈된다.
방지리브(222)는 탈거부(220)의 일 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레버부(200)와 커넥터부(100)가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결합부(130)와 탈거부(220)의 사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와이어결합부(130)에 와이어부가 결합되는 경우 와이어부의 보호를 위해 그로멧이 외측에 형성되는데 방지리브(222)는 탈거부(220)와 그로멧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차량의 도난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삽입을 방지한다.
이때 방지리브(222)를 탈거부(220)의 저면에서 연장되되 단면적의 크리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차량 도난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삽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구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도난 시 차량의 도어를 강제로 열기 위하여 틈새로 얇은 막대를 삽입하여 레버부(200)를 커넥터부(100)에서 강제적으로 해지시켜 플로워커넥터(20)와 와이어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차량을 도어의 잠금을 해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거부(220)는 커넥터부(100)에 탈거부(220)가 완전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부(100)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부(221)가 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탈거부(220)가 해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일차적인 강제 해지를 방지하는 동시에 탈거부(220)와 와이어부를 보호하는 그로멧 사이에 형성되는 방지리브(222)를 형성하여 도난을 위한 도구 자체가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중으로 강제 해지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차량의 도난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
가이드부(300)는 커넥터부(100)에 형성되어 레버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310)과, 레버부(200)에 형성되어 커넥터부(100)가 플로워커넥터(20)에 체결됨에 따라 가이드라인(310)에 안착되는 제2 락킹부(320)로 형성되어, 플로워커넥어와 커넥터부(10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부(200)를 가결합 위치에 고정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가이드라인(310)은 결합공간(110)의 일 측에 결합리브(211)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커넥터부(100)와 레버부(200)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이때 가이드라인(310)의 일 측에는 요입되어 제2 락킹부(320)가 걸립 고정되어 레버부(200)를 가결합위치에 고정시키는 락킹홈(31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버부(200)는 결합공간(110)의 상측 개방부로 삽입되어 결합리브(211)가 결합공간(110)을 따라 이동되고, 결합리브(211)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락킹돌기(3211)는 탄성변형부(321)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이드라인(310)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2 락킹돌기(3211)는 가이드라인(310)의 일 측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레버부(200)가 가결합위치까지 이동되면 제2 락킹돌기(3211)는 락킹홈(311)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되며 가압력이 해지된다. 이에 따라 탄성변형부(321)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2 락킹돌기(3211)는 락킹홈(311)에 안착되며 레버부(200)가 가결합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2 락킹부(320)는 결합리브(211)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변형공간(213)에 형성되어 레버부(200)의 이동 및 고정에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제2 락킹부(320)는 결합리브(211)의 일 측에서 연결되어 결합리브(211)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변형부(321)와, 플로워커넥터(20)의 일 측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부(321)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돌기(322)로 형성된다.
탄성변형부(321)는 일 말단이 결합리브(211)의 일 측과 연결되며 변형공간(213)의 일 측에 형성되고, 타 말단에는 돌출되어 제2 락킹돌기(3211)가 형성되어 레버부(200)의 이동 및 고정에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변형부(321)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형공간(213)의 일 측에 형성되고, 이때 제2 락킹돌기(3211)는 결합리브(21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결합리브(211)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가결합위치에서 락킹홈(311)에 걸림 고정된다.
또한 탄성변형부(321)는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결합리브(211)와 연결된 일 말단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변형공간(213)이 타 측에 형성되고, 이때 제2 락킹돌기(3211)는 탄성변형부(321)를 따가 변형공간(213)의 타 측으로 이동되며 가이드라인(310)에 안착된다.
다시 말해 탄성변형부(321)는 일 측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타 말단에 형성된 제2 락킹돌기(3211)가 가이드라인(3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레버부(200)와 커넥터부(100)의 걸림 고정을 해지하고, 이에 따라 레버부(200)는 가결합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되며 커넥터부(100)와 완전결합된다.
가이드돌기(322)는 탄성변형부(321)의 타 말단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 체결 시 플로워커넥터(20)의 일 측에 접하며 탄성변형부(321)에 변형을 가이드한다.다시 말해 가이드돌기(322)는 레버부(200)의 가결합위치에서 커넥터결합부(120) 측으로 돌출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의 체결에 연동하여 탄성변형부(321)가 변형 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가 체결이 시작되는 경우에만 제2 락킹돌기(3211)는 락킹홈(311)에서 해지된다.
이때 가이드돌기(322)는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의 체결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탄성변형부(321)의 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플로워커넥터(20)에 접촉되는 면이 커넥터부(100)가 플로워커넥터(20)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의 넓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레버부(200)가 커넥터부(100)의 결합공간(110)을 따라 결합되어 이동되고, 가결합위치에서 제2 락킹돌기(3211)가 락킹홈(311)에 걸림 고정되며 레버부(200)와 커넥터부(100)는 가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플로워커넥터(2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레버부(200)를 커넥터부(100)로부터 해지하는 과정을 제외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 및 체결 과정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플로워커넥터(20)에 커넥터부(100)가 체결되는 것에 연동하여 제2 락킹돌기(3211)가 락킹홈(311)에서 이탈하여 가이드라인(310)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탈거돌기(212)가 플로원커넥터의 외측에 형성된 탈거라인(21)에 안착되어 플로워커넥터(20)와 커넥터부(100)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하여 작업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넥터부(100)가 플로워커넥터(2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레버부(200)가 가결합위치에서 커넥터부(10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보수 등과 같은 작업 시에도 레버부(200)가 커넥터부(100)에 결합되어 분실 등의 위험을 방지하여 작업자 및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레버부(200)에 제1 락킹부(221) 및 방지리브(222)를 구비하여 차량의 도난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동시에, 레버부(200)가 커넥터부(100)의 가결합위치에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는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차량용 도어 커넥터
100 커넥터부 110 결합공간 120 커넥터결합부
130 와이어결합부 140 걸림홀
200 레버부 210 레버바디 211 결합리브
212 탈거돌기 213 변형공간
220 탈거부
221 제1 락킹부 2211 제1 락킹돌기 2212 리버스부
2213 연결부 222 방지리브
300 가이드부 310 가이드라인 311 락킹홈
320 제2 락킹부 321 탄성변형부 3211 제2 락킹돌기
322 가이드돌기
20 플로워커넥터 21 탈거라인

Claims (10)

  1. 차체에 형성된 플로워커넥터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해제를 방지하는 레버바디와,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바디를 착탈시키는 탈거부로 형성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상기 플로워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부가 완전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의 일 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락킹돌기와, 상기 제1 락킹돌기에서 연장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락킹돌기를 해제시키는 리버스부와, 상기 제1 락킹돌기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워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부가 완전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락킹돌기의 강제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리브는
    상기 탈거부의 저면에서 연장되되, 단면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락킹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버스부는
    상기 레버부에 고정되고, 가압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홀에서 상기 제1 락킹돌기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가결합 위치와 완전결합 위치 사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레버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워커넥터에 상기 커넥터부가 완전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에 안착되는 제2 락킹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상기 가결합 위치에서 상기 제2 락킹부가 걸림 고정되어 상기 레버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락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레버부에 연결되고, 말단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락킹돌기가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락킹돌기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부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플로워커넥터의 일 측에 맞닿아 상기 제2 락킹돌기를 락킹홈에서 상기 가이드라인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78281A 2019-12-30 2019-12-30 커넥터 KR10230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81A KR102303788B1 (ko) 2019-12-30 2019-12-30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81A KR102303788B1 (ko) 2019-12-30 2019-12-30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40A KR20210085340A (ko) 2021-07-08
KR102303788B1 true KR102303788B1 (ko) 2021-09-17

Family

ID=7689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81A KR102303788B1 (ko) 2019-12-30 2019-12-30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7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847B1 (ko) * 2011-04-13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KR101814008B1 (ko) * 2016-06-17 2018-01-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KR102355948B1 (ko) * 2016-08-24 2022-01-2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39076B1 (ko) * 2016-12-02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40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123A (en) Living hinge snap lock for wire harness protector
JP4716123B2 (ja) コネクタ用キャップの保持構造
CN103311731A (zh) 连接器、连接器组件及其组装/拆卸方法
JP4605136B2 (ja) 電気接続箱
JP5433313B2 (ja) 防水ボックス
EP1914843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124976B1 (ko)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JP2007335328A (ja) 嵌合部材
KR101529261B1 (ko) 커넥터
JP2017157501A (ja) コネクタ
US10819070B2 (en) Anti-theft bracket
WO2017217205A1 (ja) コネクタ
KR102303788B1 (ko) 커넥터
US5904584A (en) Slide assisted grommet assembly
US10505313B2 (en) Connector
KR20070112363A (ko) 자동차 트렁크에 적용되는 도난 방지 잠금장치
JP6475489B2 (ja) コネクタ
US5641300A (en) Locking connector with latch
WO2015118916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10508479B2 (en)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JP5151656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の破壊防止構造
JP4066400B2 (ja) ワイヤハーネス収容部品
JP6572061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110096719A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및 록버튼의 케이블 고정장치
JP725696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