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312Y1 -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312Y1
KR200223312Y1 KR2020000034216U KR20000034216U KR200223312Y1 KR 200223312 Y1 KR200223312 Y1 KR 200223312Y1 KR 2020000034216 U KR2020000034216 U KR 2020000034216U KR 20000034216 U KR20000034216 U KR 20000034216U KR 200223312 Y1 KR200223312 Y1 KR 200223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perating lever
electrical connector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게니어피터쯔바이글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결홈(connecting nut)(14)을 통해 활주하는 플러그 삽입판(fitting strip)(11)에 구성되어 있는 톱니부재(12)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톱니(9)를 자유 단부(free end)에 포함하고 있는 조작레버(4)가 회전중심점(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부분(2)과 소켓부분(3)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조작레버(4)의 톱니(9)가 조작레버(4)의 회전중심점(5)을 기준으로 타원형 궤도(10) 상에 배열되고 톱니부재(12)가 플러그 삽입판(11)의 본래의 이동 방향(화살표 16)에 대해 경사면으로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ELECTRICAL PLUG-TYPE CONNECTOR WITH OPERATING LEVER}
본 고안은 하우징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결홈(connecting nut)을 통해 동작하는 플러그 삽입판(fitting strip)에 구성되어 있는 톱니부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톱니를 자유 단부(free end)에 포함하고 있는 조작레버가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부분과 소켓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소켓부분은 대개의 경우 예를 들어 여러 줄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플러그 접점(plug contact)을 포함하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 형태는 예를 들어 차량용으로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 형태는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통해서는 접촉이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전체 플러그형 커넥터의 크기는 본래의 소켓부분의 크기보다 그리 크지 않을 정도로만 제한되는데, 이로 인해 소켓부분에 삽입되는 플러그부분은 커넥터를 분리할 때 쉽게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이외에도 플러그 결합시 접촉되는 다수의 접촉 부재(contact element)가 존재하므로 플러그형 커넥터를 분리할 경우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제한된 공간만을 차지해야 하지만 다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경우 정확한 삽입이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촉 부재가 손상될 수 있다.
유럽 특허(EP 제0273 999호)에서는 한 개의 소켓부분과 한 개의 플러그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데, 이 플러그부분에는 고정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조작레버가 포함된다. 조작레버의 반대편 끝부분에는 랙(rack)과 맞물리는 톱니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랙은 플러그부분에서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판에 구성되어 있다. 삽입과정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부분이 소켓부분 위에 놓여져야 하고 조작레버가 작동되어야 한다. 조작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 삽입판이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소켓부분에 배열된 캠 돌출부는 플러그부분에 배열된 연결홈에 맞물리게 되어 플러그부분이 플러그 삽입판과 함께 소켓부분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전기적 접촉 및 플러그형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플러그형 커넥터의 결정적인 단점은 소켓부분과 플러그부분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구축하기 위해 조작레버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더 많은 힘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플러그 접촉을 통해 다수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예를 들어 실링립(sealing lip)에 의해 야기되는 대항력이 극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는 좁은 공간에서 조작되어야 하므로 상기 커넥터는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본 고안의 과제는 종래 방식의 커넥터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원리는 전체 회전 과정, 즉 개방된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동작되는 과정 중에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조작레버의 톱니가 조작레버의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타원형상에 배열되도록 하고 톱니부재가 플러그 삽입판의 본래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면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고안의 가장 큰 장점은 조작레버 톱니의 배열로 인해 조작레버상의 톱니와 톱니부재 사이의 연동비()가 회전 동작 중에 변하게 되므로 플러그부분을 소켓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력이 조작레버의 전체 회전 운동 중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상기의 연동비의 변화는, 플러그부분을 소켓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력, 특히 닫힘 과정의 종료 직전에 필요한 조작력이 닫힘 과정의 개시 시점에서의 조작력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따라서 변화하는 연동비로 인해 닫힘 과정을 종료하는 방향에서는 레버의 거리가 단축된다.
하우징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된 플러그 삽입판의 안내는, 플러그부분의 동작 중에 연결홈에서 활주 운동을 하며 소켓부분의 측면에 배열되어 있는 캠 돌출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소켓부분에 플러그부분을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캠 돌출부가 플러그부분의 개구부인, 연결홈의 개구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자 형태로 배열된 조작레버의 다리 부분들이 양쪽에서 플러그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플러그부분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된 조작레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조작레버의 조작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장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와 도면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항을 통해 설명된다.
도 1은 제1의 위치에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2의 위치에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형 커넥터 2: 플러그부분
3: 소켓부분 4: 조작레버
5: 회전중심점 7: 조작구간
8: 기능구간 9: 톱니
10: 타원형 궤도 11: 플러그 삽입판
12: 톱니부재 13: 캠 돌출부
14: 연결홈
〈실시예>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플러그형 커넥터(1)는 한 개의 플러그부분(2)과 한 개의 소켓부분(3)으로 이루어진다. 이 플러그부분(2)에서 조작레버(4)가 회전중심점(5)을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6)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4)는 조작구간(operation area)(7)과 기능구간(function area)(8)으로 구분되는데, 조작구간(7)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이 기능구간(8)은 그 단부에 회전중심점(5)을 기준으로 하는 타원형 궤도(10) 상에 배열된 톱니(9)를 가지고 있다.
플러그부분(2)에는 플러그 삽입판(11)이 가동적인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플러그 삽입판(11)은 조작레버(4)쪽으로 향한 면상에 조작레버(4)의 톱니(9)와 맞물리는 톱니부재(12)를 갖는다.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부분(2)을 소켓부분(3) 상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 소켓부분(3)의 측면에 배열된 캠 돌출부(13)는 플러그부분의 측면에 배열된 연결홈(14)에 결합된다.
플러그부분(2)이 소켓부분(3) 위에 위치되고 캠 돌출부(13)가 연결홈(14)에 삽입된 후에 도 1에 따라 조작레버(4)가 화살표 방향(15)으로 이동하면 플러그부분(2)에 배열된 플러그 삽입판(11)은 조작레버(4)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도 1에 따라) 화살표 방향(16)으로 이동된다. 화살표 방향(15)으로 회전 운동이 진행되는 동안 조작레버(4)의 톱니(9)는 톱니부재(12)와 맞물리게 되며 이 톱니부재 상에서 활주한다. 조작레버(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톱니(9)와 톱니부재(12) 사이의 연동비가 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반경은 R1에 해당하며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반경은 R2에 해당하고 R1이 R2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중화살표 방향(6)에서의 전체 회전 운동과정에서 조작레버(4)의 톱니(9)를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톱니부재(12)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의 높이 차이는 d이며 이 값을 기준으로 반경 R2를 이용하여 두 개의 값 d와 R2를 가산함으로써 필요한 반경 R1을 계산할 수 있다.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따른 화살표 방향(17)으로 조작레버(4)를 동작시켜야 하며 이때 톱니(9)는 톱니부재(12) 상을 플러그부분(2)이 도 1에 따른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활주하게 되므로 플러그부분(2)은 소켓부분(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조작레버(4)의 회전 운동 중에 변화하는 연동비로 인해, 조작레버(4)를 제1의 위치에서 제2의 위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전체 회전 운동 중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매우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Claims (3)

  1. 하우징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결홈(connecting nut)(14)을 통해 활주하는 플러그 삽입판(fitting strip)(11)에 구성되어 있는 톱니부재(12)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톱니(9)를 자유 단부(free end)에 포함하고 있는 조작레버(4)가 회전중심점(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부분(2)과 소켓부분(3)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4)의 상기 톱니(9)가 조작레버(4)의 회전중심점(5)을 기준으로 타원형 궤도(10) 상에 배열되고, 상기 톱니부재(12)가 상기 플러그 삽입판(11)의 본래의 이동 방향(화살표 16)에 대해 경사면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분(3)은 상기 플러그부분(2)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홈(14)에 의해 감싸지는 캠 돌출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4)는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2020000034216U 1999-12-08 2000-12-06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KR2002233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921536U DE29921536U1 (de) 1999-12-08 1999-12-08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Betätigungshebel
DE29921536.9 1999-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312Y1 true KR200223312Y1 (ko) 2001-05-15

Family

ID=808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16U KR200223312Y1 (ko) 1999-12-08 2000-12-06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75481B2 (ko)
JP (1) JP3078133U (ko)
KR (1) KR200223312Y1 (ko)
DE (1) DE29921536U1 (ko)
IT (1) IT2501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88B1 (ko) * 2007-02-23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66087B1 (ko) * 2007-02-23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95893B1 (ko) * 2007-02-23 2009-05-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20701A1 (it) * 2002-08-06 2004-02-07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ttore elettrico.
US6960090B2 (en) * 2002-08-07 2005-11-01 Tyco Electronics Amp Gmbh Plug connector arrangement with latching actuation slide means
KR100516513B1 (ko) * 2004-02-19 2005-09-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및 그 조립방법
US7207523B2 (en) * 2004-09-08 2007-04-24 The Boeing Company Seat power bus with discrete connection ports
ATE390738T1 (de) * 2005-01-05 2008-04-15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4550671B2 (ja) * 2005-06-09 2010-09-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7241155B2 (en) * 2005-07-28 2007-07-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ist
US7744390B2 (en) * 2005-07-28 2010-06-2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ist
JP4655960B2 (ja) * 2006-02-24 2011-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259683A (ja) * 2008-04-18 2009-1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523987B1 (ja) * 2009-02-27 2010-08-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5146775B2 (ja) * 2009-03-04 2013-02-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320252B2 (ja) * 2009-10-22 2013-10-2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5370261B2 (ja) * 2010-05-14 2013-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38875B2 (ja) * 2010-08-23 2014-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ギア付きコネクタ
US9028163B2 (en) 2011-10-26 2015-05-12 Alexander J. Advey Lever-action connector assembly
US8882532B1 (en) * 2013-12-09 2014-11-11 Kenall Manufacturing Company Driver box for an improved lighting system
US9917402B1 (en) * 2017-06-02 2018-03-13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with variable axial assist
US10186807B2 (en) * 2017-06-02 2019-01-22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assembly with variable axial assist
JP6654685B2 (ja) * 2018-01-10 2020-02-26 デルファイ・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可変軸方向補助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6820293B2 (ja) * 2018-07-06 2021-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22351B2 (ja) * 2019-01-10 2022-02-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倍力機構付きコネクタ
EP4346021A1 (en) * 2022-09-29 2024-04-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0210U1 (ko) 1987-01-05 1987-07-02 Amp Deutschland Gmbh, 6070 Langen, De
US5110301A (en) * 1989-12-22 1992-05-05 Sumitomo Wiring System Ltd. Multi-way connector requiring less inserting force
EP0653812A1 (de) * 1993-10-01 1995-05-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R2717627B1 (fr) * 1994-03-21 1996-04-26 Cinch Connecteurs Sa Dispositif d'accouplement de deux éléments de boîtier d'un connecteur électrique.
DE9411509U1 (de) * 1994-07-15 1994-09-22 Siemens Ag Steckverbindergehäuse
JP3687874B2 (ja) * 1996-10-31 2005-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88B1 (ko) * 2007-02-23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66087B1 (ko) * 2007-02-23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95893B1 (ko) * 2007-02-23 2009-05-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9908A1 (en) 2001-09-06
ITMI20000679U1 (it) 2002-06-05
JP3078133U (ja) 2001-06-22
US6375481B2 (en) 2002-04-23
IT250147Y1 (it) 2003-07-24
DE29921536U1 (de) 200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312Y1 (ko)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US5681175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mming system
US7063547B2 (en) Connector having a movable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EP0938162B1 (en) Two-part electrical connector
EP1672747B1 (en) A connector
US5577922A (en) Card-edge connector with ejection mechanism
EP1093191A2 (en) Locking mechanism in connector
US6099330A (en) Connector with lever
US5192222A (en) Plug connection device for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electronic units
JP200633199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0790676B1 (en) Lever type connector
EP1211752A2 (en) Low insertion force type connector
JPH06302353A (ja) 低挿入力コネクタ
US6328582B1 (en) Latched electrical connector
US20050020114A1 (en) Plug connector arrangement with latching actuation slide means
JP393866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US6089891A (en) IC card connector device
EP1905134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270286A (ja) レバー駆動型コネクタ組立体
EP0991144A2 (en)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ransport device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WO2002073749A9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H0310621Y2 (ko)
KR100950350B1 (ko) 이중 작동 기계적 보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