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088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088B1
KR100866088B1 KR1020070018482A KR20070018482A KR100866088B1 KR 100866088 B1 KR100866088 B1 KR 100866088B1 KR 1020070018482 A KR1020070018482 A KR 1020070018482A KR 20070018482 A KR20070018482 A KR 20070018482A KR 100866088 B1 KR100866088 B1 KR 10086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ooth
sliding cam
lever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400A (ko
Inventor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110)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130)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1 치부(111)와 상기 슬라이딩캠에 형성된 제2 치부(131)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132)와, 상기 유도부의 초입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200)는 상기 유도부에 유도될 수 있도록 돌출된 피유도부(20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은 후에만,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유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진다.
커넥터, 레버, 슬라이딩캠, 단자.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캠의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1 치부와 상기 슬라이딩캠에 형성된 제2 치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개의 단자들을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
다수개의 단자를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한 커넥터는 다극 커넥터라고도 하며, 이러한 다극 커넥터는 다수개의 단자들이 결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결합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단자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많은 힘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에게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레버와 슬라이딩캠을 사용하여 기구학적인 구조에 의해 과도한 결합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있다.
상기 레버와 슬라이딩캠을 사용하는 기술은 회전하는 레버에 연결된 슬라이더가 직선운동을 하며, 슬라이더에 형성된 캠에 의해 커넥터들을 이동시켜 단자들을 접속시킨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커넥터들을 초기에 결합시킬때 상기 캠에 결합을 시켜야 하는데, 조립작업시에 커넥터가 캠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넥터의 파손이나 단자의 파손이 문제가 있으며, 단자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슬라이딩캠에 확실히 결합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쉽게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단자의 접속불량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110)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130)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1 치부(111)와 상기 슬라이딩캠에 형성된 제2 치부(131)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130)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132)와, 상기 유도부의 초입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유도부에 유도될 수 있도록 돌출된 피유도부(20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은 후에만,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 여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유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레버에 의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캠에 의해 결합되어 단자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1 치부와 상기 슬라이딩캠에 형성된 제2 치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한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슬라이딩캠(13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치부에 맞물릴 수 있는 제2 치부(131)와, 상기 슬라이딩캠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부(132)과, 상기 유도부의 초입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레버(110)와 슬라이딩캠(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플레이트(140)와, 상기 단자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는 플레이트수용공간(102)과 상기 슬라이딩캠(130)이 수 용되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공간(103)을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와, 상기 커버(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캠(130)과 결합될 수 있는 레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플레이트(140)는 상기 제1 단자들이 수용되는 곳으로 다수개의 직사각기둥형의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다. 이는 본체(100)의 중심부에 상하측으로 개방된 직사각형 공간인 플레이트수용공간에 수용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후술할 슬라이딩캠(130)이 수용되어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공간을 구비하는데, 상기 슬라이딩공간은 전후방이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일방만이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공간은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110)와 슬라이딩캠(130)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고 있다. 이는 와이어에 연결된 단자의 결합을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커버(120)가 올려져 있을 때에는 상기 레버(110)가 상기 커버(120)에 딸려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레버(110)와 슬라이딩캠(1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00)와 접하여 닫힌 상태에서만 후술할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가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제2 치부(131)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110)는 상기 커버(12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캠(130)에 연결되어 운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레버(110)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 힌지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의 주변에 상기 커버(120)에 대한 회전축과 동축으로 요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열된 제1 치부(111)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치부(111)는 레버(110)의 회전에 대해 레버(11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딩캠(130)에 전달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와 맞물리는 제2 치부(131)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132)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유도부의 초입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33)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치부(131)는 도 1과 같이 슬라이딩캠(1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슬라이딩캠(13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치부(131)는 상기 제1 치부(111)와 맞물리는데, 상기 제1 치부(11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치부(131)는 직선상에 형성되어서, 레버(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유도부(132)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초입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피유도부(201)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피유도부가 형성된 상기 제2 커넥터(200)를 상기 제1 커넥터(100)와 결합시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속가능하게 한다.
상기 걸림턱(133)은 상기 유도부의 초입에 형성되며, 후술할 피유도부(201)가 상기 유도부(132)에 진입하기 전에 일차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하여 상기 유도부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걸림턱에 의해 작업자는 조립시에 제2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알 수 있어서, 커넥터를 슬라이딩캠에 확실히 결합되도록 하고, 쉽게 인지 가능하여,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단자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수용부(202)와, 외측면에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유도부에 유도될 수 있도록 돌출된 피유도부(2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우선적으로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측으로 밀착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과 같이 상기 피유도부(201)를 상기 유도부(132)측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피유도부(201)를 도 4와 같이 상기 돌출부(133)에 걸리도록 하여 작업자가 걸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은 후에만, 상기 레버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확실하게 상기 유도부측에 들어오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레버(110)를 당기게 된다. 다만, 이 때에도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00)와 접하여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는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제2 치부(131)와 맞물릴 수 있어서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110)의 회전에 의해 도 5와 같이 상기 레버(110)의 제1 치부(111) 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치부(111)와 맞물려 있는 제2 치부(131)는 운동을 전달받게 되어 슬라이딩캠(130)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캠(130)은 상기 제2 치부(1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슬라이딩공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캠(130)의 유도부는 초입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피유도부는 상기 유도부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커넥터도 상승하게 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접속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슬라이딩캠의 형상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슬라이딩캠의 유도부(132)는 중심선을 따라 함몰 형성된 유도홈(134)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피유도부는 단부에 상기 유도홈에 맞물려 이동될 수 있는 돌출피유도부(203)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피유도부(203)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시에 상기 걸림턱(133)을 타고 넘은 후에, 상기 유도홈(134)과 결합된다. 그 후 상기 유도홈을 따라 상기 돌출피유도부는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피유도부는 상기 유도부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 가능해진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캠을 사용함에 따라, 커넥터를 슬라이딩캠에 연결시에 작업자가 즉시 인지가능하게 되어, 작업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되었고, 작업불량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제1 치부와 맞물리는 제2 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치부와 제2 치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이동하여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키며, 상기 제2 커넥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몰된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의 초입부에 돌출 성형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유도부에 유도될 수 있도록 돌출된 피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은 후에만,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이동하여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유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에 상기 제2 커넥터가 접속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는 플레이트수용공간 및 상기 슬라이딩캠이 수용되어 이동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캠과 결합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치부는 상기 커버에 대한 회전축과 동축으로 요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단자가 수용되는 단자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유도부는 외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딩캠의 유도부에 유도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할 때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와 접하여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레버의 제1 치부는 상기 슬라이딩캠의 제2 치부와 맞물리며, 상기 레버가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제1 치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치부가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본체의 슬라이딩공간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캠의 유도부는 초입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유도부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시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속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캠의 유도부는 중심선을 따라 함몰 형성된 유도홈을 포함하고,
    상기 피유도부는 단부에 상기 유도홈에 맞물려 이동될 수 있는 돌출피유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피유도부는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시에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은 후에, 상기 유도홈을 따라 유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70018482A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6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82A KR100866088B1 (ko)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82A KR100866088B1 (ko)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00A KR20080078400A (ko) 2008-08-27
KR100866088B1 true KR100866088B1 (ko) 2008-10-30

Family

ID=3988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82A KR100866088B1 (ko) 2007-02-23 2007-02-23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898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448A (en) 1992-02-17 1994-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933836A2 (en) 1998-01-30 1999-08-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coupling assist mechanism
KR200223312Y1 (ko) * 1999-12-08 2001-05-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JP2003317857A (ja) * 2002-04-17 2003-11-07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448A (en) 1992-02-17 1994-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933836A2 (en) 1998-01-30 1999-08-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coupling assist mechanism
KR200223312Y1 (ko) * 1999-12-08 2001-05-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US6375481B2 (en) 1999-12-08 2002-04-23 Robert Bosch Gmbh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 having an actuating lever
JP2003317857A (ja) * 2002-04-17 2003-11-07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898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102342858B1 (ko) 2019-12-30 2021-12-24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00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480B2 (ja) コネクタ構造
EP1738439B1 (e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US7255581B2 (en) Lever-type connector
US6652306B2 (en) Power feeding connector apparatus
US6319050B1 (en) Locking mechanism in connector
US7407396B2 (en) Lever action mechanical assist connector
US6971894B2 (e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JP388769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70464B2 (ja) 接続保証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431748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with closure device
JP2001351731A (ja) レバータイプの電気コネクタ
US20110021047A1 (en) Lever-Type Connector
JPH0145745B2 (ko)
JPH06302353A (ja) 低挿入力コネクタ
US7070438B2 (en) Connector lever lock
DE102017215789B4 (de) Verbinder eines Hebeltyps
KR10086608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EP1875558B1 (e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US7525070B2 (en) Household appliance hinge with two hinged panels
EP169145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90022372A (ko) 커넥터 조립체
KR10089589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6608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8793B1 (ko) 레버타입커넥터
JP71459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