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14B1 - 레버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14B1
KR102520914B1 KR1020180071791A KR20180071791A KR102520914B1 KR 102520914 B1 KR102520914 B1 KR 102520914B1 KR 1020180071791 A KR1020180071791 A KR 1020180071791A KR 20180071791 A KR20180071791 A KR 20180071791A KR 102520914 B1 KR102520914 B1 KR 10252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otrusion
cover
hous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032A (ko
Inventor
남기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00), 슬라이더(200), 커버(300) 및 레버(400)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400)는 상기 커버(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면 상기 슬라이더(200)와 결합한다. 상기 레버(300)의 회전력이 상기 슬라이더(200)의 직선운동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슬라이더(200)에 형성된 가이드채널(216)에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안내되면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400)에는 상기 하우징(100)에 있는 제1간섭돌기(118)를 탄성변형시키는 간섭제거돌기(420)가 있어서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에 대해 특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레버타입 커넥터의 동작특성이 좋아진다.

Description

레버타입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와 슬라이더가 기어부를 통해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함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슬라이더(2)가 입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2)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내부를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상기 하우징(1) 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슬라이더(2)에는 가이드채널(3)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2)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직선운동하면, 상대 커넥터의 가이드보스가 상기 가이드채널(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 전체가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에는 커넥터커버(5)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커버(5)에는 레버(7)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레버(7)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2)를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더(2)와 레버(7)에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부(4,8)가 구비되는데, 이들 기어부(4,8)는 각각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레버(7)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2)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게 된다.
상기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작동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레버(7)가 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레버(7)의 기어부(8)는 화살표②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레버(7)의 기어부(8)에 맞물린 상기 슬라이더(2)의 기어부(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는 화살표 ③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의 가이드채널(3)에 삽입되어 있던 상대 커넥터의 가이드보스는 상기 가이드채널(3)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대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슬라이더(2)의 기어부(4)와 레버(7)의 기어부(8)는 기어치의 위치가 맞으면 어느 위치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슬라이더(2)의 운동이 정확하게 일어나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완성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2)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와 완전하게 수납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레버(7)가 상기 커넥터커버(5)에 대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슬라이더(2)와의 기어부(4,8) 결합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7)는 상기 커넥터커버(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커버(5)가 상기 하우징(1)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7)와 결합된다. 이때, 도 1에서 상기 레버(7)가 도면의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에 결합되어야 만 슬라이더(7)의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상기 레버(7)가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커버(5)가 하우징(1)에 결합되어 레버(7)의 기어부(4)가 상기 슬라이더(2)의 기어부(8)에 결합된다면, 상기 레버(7)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가 하우징(1)의 외부로 이동되어 버려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67488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37114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37753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66962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 하우징에 커넥터커버가 장착될 때 레버가 특정한 위치에 있어야만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간섭돌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제거돌기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간섭제거돌기가 상기 제1간섭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와 하우징이 결합된다.
상기 제1간섭돌기는 연동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양단에 상기 돌출부가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에는 소정의 구간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부는 소정의 직선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소정의 원호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일측 양단에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타측 양단에는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걸이공에 걸어지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공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레버가 걸어져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해제공에 걸어진 체결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 제1간섭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상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간섭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간섭돌기와 간섭되어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것을 방해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커버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제거돌기가 상기 레버에 구비된다.
상기 제1간섭돌기는 연동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양단에 상기 돌출부가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일측 양단에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타측 양단에는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걸이공에 걸어지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공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레버가 걸어져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해제공에 걸어진 체결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레버가 하우징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것이 커버 상의 특정한 위치에 레버가 장착되었을 때에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레버에 있는 간섭제거돌기가 하우징의 제1간섭돌기의 돌출부를 탄성변형시켜서 커버의 제2간섭돌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레버가 슬라이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레버와 슬라이더의 결합이 다음 동작이 정확하게 일어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어 레버타입 커넥터의 동작특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개략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와 레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간섭돌기와 간섭제거돌기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간섭돌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간섭돌기가 간섭제거돌기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례의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버타입 커넥터는 크게 하우징(100), 슬라이더(200), 커버(300) 그리고 레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버(400)는 상기 커버(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요소들을 차례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몸체(1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이 위치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부 양측에는 제1걸이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공(112)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부 양측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공(1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0)의 제1걸이돌기(314)가 걸어진다.
상기 제1걸이공(112)에 인접한 위치에는 해제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해제공(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공간(120)과 연통된다. 상기 해제공(114)에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체결레버(220)가 걸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에서 상기 제1걸이공(112)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제2걸이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공(116)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공(116)에는 상기 커버(300)의 제2걸이돌기(316)가 걸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에는 제1간섭돌기(118)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간섭돌기(118)가 하우징몸체(110)의 후단 양측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간섭돌기(118)에는 돌출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9)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119)는 하우징몸체(110)의 후면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19)는 상기 커버(300)의 일측과 간섭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9)에는 연동경사(11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경사(119')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119')는 상기 레버(400)의 간섭제거돌기(420)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19)의 선단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돌출부(119)가 어느 정도만 탄성변형되더라도, 커버(200)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형상은 반드시 도시된 것과 같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레버(400)의 간섭제거돌기(420)에 의한 탄성변형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레버(400)가 정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와 잘 간섭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일측면으로 개방되게 이동공간(12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공간(12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내부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공간(120)은 상기 슬라이더(300)가 위치되고 이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이동공간(120)의 입구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일측면 양단으로 각각 개구된다. 상기 이동공간(12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으로도 개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120) 내에 있는 슬라이더(200)와 커버(300)에 있는 레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이동공간(120)에 위치되어 이동공간(120)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슬라이더몸체(2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몸체(210)는 상기 이동공간(120) 내에 위치되고 이동공간(120)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가이드부(212)가 양측에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12)의 단부는 연결부(21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가이드부(212)와 연결부(214)를 평면도로 보면 'ㄷ' 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슬라이더(200)의 가이드부(212)에는 제1기어부(215)가 소정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부(215)는 상기 레버(400)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기어부(215)는 각각의 가이드부(212)에 소정의 직선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1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가이드채널(21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216)은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채널(216)은 소정의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200)의 이동에 따라 상대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100)쪽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212)의 일측 끝부분에는 체결레버(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레버(220)는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체결레버(220)의 자유단부에는 걸림턱(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우징(100)의 해제공(114)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해제공(114)에 걸어져 있으면 상기 슬라이더(2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커버(3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하면서, 상기 커버(300)의 해제돌기(318)에 의해 걸림턱이 눌러지면 상기 체결레버(220)가 해제공(114)에서 빠지면서 슬라이더(200)가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슬라이더(200)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터미널에 연결된 전선이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0)의 골격을 커버몸체(310)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310)는 전선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최소한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몸체(110) 후단을 덮도록 만들어지고 전선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몸체(310)의 양단 외측에는 회전중심축(312)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312)은 상기 레버(40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커버몸체(310)의 일측 단부 양측에는 제1걸이돌기(3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걸이공(112)에 걸어져 커버몸체(310)가 하우징몸체(110)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몸체(310)에는 제2걸이돌기(316)가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316)는 상기 제1걸이돌기(314)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걸이돌기(314)가 형성된 반대쪽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돌기(316)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2걸이공(116)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와 인접한 위치에는 해제돌기(318)가 있다. 상기 해제돌기(318)는 상기 커버몸체(310)에서 상기 하우징몸체(11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해제돌기(318)는 상기 해제공(114)에 걸어진 상기 체결레버(220)를 밀어 걸림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몸체(310)에는 제2간섭돌기(320)가 있다. 상기 제2간섭돌기(3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걸이돌기(316)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2간섭돌기(3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간섭돌기(1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간섭돌기(320)와 제1간섭돌기(118)는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에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장착되어 있더라도 특정한 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로 간섭되어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기어부(416,215)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만약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에 장착되어 있게 되면 상기 레버(400)의 아래에서 설명될 간섭제거돌기(420)에 의해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가 밀리게 되어 상기 제2간섭돌기(320)와 제1간섭돌기(118)가 간섭되지 않으므로 커버(3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400)의 골격을 레버몸체(410)가 형성한다. 상기 레버몸체(410)는 2개의 회전플레이트(412)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1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41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12)에는 회전중심공(4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중심공(415)에는 상기 회전중심축(312)가 위치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12)에서 상기 회전중심공(415)을 중심으로 소정 구간의 원호상에는 제2기어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부(416)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제1기어부(215)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레버몸체(410)의 회전플레이트(412)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간섭돌기(118)와 대응되는 위치에 간섭제거돌기(420)가 있다. 상기 간섭제거돌기(420)는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있다. 상기 간섭제거돌기(420)에는 안내경사면(4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422)은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연동경사면(119')에 안내되면서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가 탄성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119)와 커버몸체(31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20)에는 상기 슬라이더(200)가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체결레버(220)가 상기 해제공(114)에 걸어져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레버(4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커버(300)의 회전중심축(312)이 상기 레버(400)의 회전중심공(415)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40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14)가 상기 커버(300)의 제1걸이돌기(314) 반대쪽으로 가도록 된다. 즉, 상기 간섭제거돌기(420)가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에 인접하여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레버(400)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300)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커버(300)의 일측에 상기 레버(400)의 대응되는 위치가 걸어지고, 이 걸어진 상태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짐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특정 위치에 있도록 장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3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한다. 먼저, 상기 제1걸이돌기(314)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걸이공(112)에 걸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300) 전체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을 향해 가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300)의 제2걸이돌기(316)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2걸이공(116)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걸이돌기(316)가 상기 제2걸이공(116)에 걸어진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와 제2걸이돌기(316)가 각각 하우징몸체(110)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커버(300)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제돌기(318)는 상기 해제공(114)에서 상기 체결레버(220)가 빠지도록 눌러준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이동공간(12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00)의 제2기어부(416)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제1기어부(215)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0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0)가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도 1에 도시된)에 장착되어 있다면, 상기 레버(400)의 간섭제거돌기(42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가 탄성변형되어 밀어지면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와 제1간섭돌기(118)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부(119)의 연동경사면(119')과 상기 레버(400)에 있는 간섭제거돌기(420)의 안내경사면(422)은 서로 안내되어 상기 돌출부(119)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혹시라도,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지 않게 된다. 이는 커버(300)가 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상기 제1간섭돌기(118)가 탄성변형되지 않아 상기 돌출부(119) 선단에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가 간섭되어 하우징(100)의 제2걸이공(116)에 상기 커버(300)의 제2걸이돌기(316)가 걸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커버(300)가 장착되지 않게 되면, 상기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결합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에 있어서, 커버(300)와 하우징(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결합도 이루어지면서, 상기 레버(400)가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더(200)의 직선운동이 일어난다.상기 하우징(100)에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삽입되고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상기 슬라이더(200)의 가이드채널(216)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0)의 직선운동이 일어나면 상기 연동돌기가 가이드채널(2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가 하우징(100)으로 이동하게 하여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과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은 상기 레버(400)를 위에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하우징몸체
112: 제1걸이공 114: 해제공
116: 제2걸이공 118: 제1간섭돌기
119: 돌출부 119': 연동경사
120: 이동공간 200: 슬라이더
210: 슬라이더몸체 212: 가이드부
214: 연결부 215: 제1기어부
216: 가이드채널 220: 체결레버
300: 커버 310: 커버몸체
312: 회전중심축 314: 제1걸이돌기
316: 제2걸이돌기 318: 해제돌기
320: 제2간섭돌기 400: 레버
410: 레버몸체 412: 회전플레이트
414: 연결플레이트 415: 회전중심공
416: 제2기어부 420: 간섭제거돌기
422: 안내경사면

Claims (14)

  1.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간섭돌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제거돌기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간섭제거돌기가 상기 제1간섭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와 하우징이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연동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양단에 상기 돌출부가 마주보게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에는 소정의 구간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소정의 직선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소정의 원호구간에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일측 양단에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타측 양단에는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걸이공에 걸어지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공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레버가 걸어져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해제공에 걸어진 체결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9.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 제1간섭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상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간섭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간섭돌기와 간섭되어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것을 방해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커버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제거돌기가 상기 레버에 구비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연동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양단에 상기 돌출부가 마주보게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일측 양단에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타측 양단에는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걸이공에 걸어지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공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레버가 걸어져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해제공에 걸어진 체결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KR1020180071791A 2018-06-22 2018-06-22 레버타입 커넥터 KR10252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91A KR102520914B1 (ko) 2018-06-22 2018-06-22 레버타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91A KR102520914B1 (ko) 2018-06-22 2018-06-22 레버타입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2A KR20200000032A (ko) 2020-01-02
KR102520914B1 true KR102520914B1 (ko) 2023-04-13

Family

ID=6915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791A KR102520914B1 (ko) 2018-06-22 2018-06-22 레버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322A (ja) 2010-05-14 2011-12-0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4099267A (ja) 2012-11-13 2014-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122182A (ja) 2013-12-24 2015-07-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35994A1 (en) 2006-03-17 2007-10-29 J S T Mfg Co Ltd Electric connector
KR200466962Y1 (ko) 2008-11-24 2013-05-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70844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200467488Y1 (ko)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20130037753A (ko) 2011-10-07 2013-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버 타입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322A (ja) 2010-05-14 2011-12-0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4099267A (ja) 2012-11-13 2014-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122182A (ja) 2013-12-24 2015-07-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2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10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31874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ull tab
EP2369691B1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EP2278667A1 (en) Lever type connector
US9033719B2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KR101342165B1 (ko) 커넥터 조립체
US20160285200A1 (en) Dual-Motion Mating Assisted Connector
JP5781846B2 (ja) コネクタ装置
DE102018216917A1 (de) Stecker
KR20140032289A (ko) 커넥터 조립체
CN108808373B (zh) 杆嵌合式连接器
US9048578B2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KR20130077047A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2520914B1 (ko) 레버타입 커넥터
US9033720B2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CN110546821B (zh) 连接器
KR101839388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20100070174A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200467488Y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88793B1 (ko) 레버타입커넥터
KR100995282B1 (ko) 레버타입커넥터
KR100995271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0472716Y1 (ko) 레버 타입 커넥터조립체
JP71459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