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289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289A
KR20140032289A KR1020120099001A KR20120099001A KR20140032289A KR 20140032289 A KR20140032289 A KR 20140032289A KR 1020120099001 A KR1020120099001 A KR 1020120099001A KR 20120099001 A KR20120099001 A KR 20120099001A KR 20140032289 A KR20140032289 A KR 20140032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ate
hook
housing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303B1 (ko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 제2커넥터(20), 레버(25) 및 안전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분리와 결합은 레버(25)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서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플레이트몸체(32)의 양측단에 측벽(35)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측벽(35)이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몸체(32)의 가장자리에는 걸이후크(42)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35)에는 또한 스토퍼걸이판(37)이 탄성변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면에 돌출된 스토퍼(14)에 걸어져 안전플레이트(30)가 제1커넥터(10)에서 임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커넥터(10)의 제1하우징(12) 선단 양측에는 걸이절결부(15)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절결부(15)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 일부를 제거하여 만들어져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걸이후크(42)의 걸이턱(43)이 걸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플레이트(30)가 상대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에 따라 그 위치를 이동하므로 단자의 보호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고, 걸이후크(42)의 걸이턱(43)이 걸이절결부(15)에서 불의의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커넥터의 단자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판을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에 따라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 내부의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조립체에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자는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들 단자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넥터의 단자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안전판은 예를 들면 제1커넥터 내부의 임시결합위치에 설치되어 그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제2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1커넥터의 내부로 더 들어가 완전결합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가 분리될 때, 상기 안전플레이트도 임시결합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서 분리될 때,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이동하다가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구성에 의해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안전플레이트가 제1커넥터에 임시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제1커넥터와 상기 안전플레이트 모두에 구비되어야 하고, 동시에 상기 안전플레이트가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가 제2커넥터와 안전플레이트에 있어야 하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특정 위치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안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안전플레이트 및 제1 및 제2 커넥터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탄성변형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들이 많이 있어 안전플레이트의 전체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구조들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해 무리한 힘이 주어지는 경우에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에 안전플레이트가 임시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전플레이트가 제1커넥터에 걸어지는 구조에 외력이 쉽게 가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안전플레이트의 임시결합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안전플레이트가 제1커넥터 내에서 이동될 때 판형상의 안전플레이트의 좁은 측면만이 제1커넥터의 내면에 안내되므로 안전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0-09791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플레이트를 가지는 커넥터조립체에서 안전플레이트를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이 간소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플레이트가 제1커넥터에 임시결합되는 구조가 외력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플레이트의 강도를 높이고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이 제1하우징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단자의 선단이 위치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결합공간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플레이트몸체에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소정 거리 이동되는 안전플레이트와,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 내부로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에서 지렛대 역할을 하고 상기 안전플레이트를 상기 레버가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걸이후크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절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절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을 일부 제거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가 관통되는 단자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서로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버와의 연동을 위한 플레이트연동돌기가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플레이트몸체에서 상기 측벽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걸이절결부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는 걸이후크의 길이방향으로 분리가이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분리가이드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 구비되는 분리구의 분리편을 안내하여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되어 제1커넥터에서 결합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측벽에는 상기 걸이후크와 함께 상기 안전플레이트가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걸이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걸이판은 상기 측벽의 일부에 탄성슬릿을 형성하여 탄성변형되게 만들어지며, 상기 제1하우징의 결합공간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어져 안전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규제한다.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플레이트몸체에는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해 안전플레이트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제1하우징에 형성된 안내돌출판이 위치되는 안내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 내면에 형성되는 커넥터연동돌기가 위치되는 돌기가이드슬릿이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버는 서로 마주보는 연동판을 손잡이로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연동판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에 형성된 커넥터연동돌기를 안내하는 커넥터연동채널과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측벽에 형성된 플레이트연동돌기를 안내하는 플레이트연동채널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안전플레이트에 연동핀만을 설치하여 레버와 연동되도록 하여 안전플레이트가 완전결합위치와 임시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안전플레이트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안전플레이트가 제1커넥터에 임시결합되는 위치가 제1하우징에서 절결된 부분에 있어 외력에 의해 안전플레이트의 결합상태가 훼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안전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안전플레이트의 강도가 높아지고, 상기 측벽이 제1커넥터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므로 안전플레이트의 이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전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전플레이트가 제1커넥터에 임시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면서 안전플레이트가 완전결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면서 안전플레이트가 임시결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는 제1하우징(1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의 전부 또는 선단쪽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결합공간(12') 내에는 제1커넥터(10)를 구성하는 단자(13')(도 5 참고)의 선단이 돌출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간(12')은 본 실시예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커넥터연동돌기(13)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25)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제1커넥터(10)의 단자(13')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후단과 상기 결합공간(12')의 바닥면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단자안착부(도시되지 않음)에 일부가 위치되고, 선단은 상기 결합공간(12')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의 내면에는 스토퍼(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플레이트(30)가 제1하우징(12)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안전플레이트(30)를 임시결합위치에서 제1하우징(12)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14)는 서로 마주보는 결합공간(12')의 내면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토퍼(14)는 상기 결합공간(12')의 입구에 해당되는 제1하우징(12)의 내면 선단에 형성된다. 이는 제1하우징(12)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 선단에는 각각 걸이절결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절결부(15)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플레이트(30)의 걸이후크(42)의 걸이턱(43)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절결부(15)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측벽의 일부를 제거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 걸이절결부(15)에 걸어진 걸이턱(43)이 걸이절결부(15)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걸이절결부(15)의 크기가 작으면 그 내측에 걸어진 걸이턱(43)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즉, 상기 걸이절결부(15)의 입구에 해당되는 측벽에 외력을 작용하는 물체가 걸려 걸이턱(4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의 바닥면에는 안내돌출판(16)이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출판(16)은 상기 결합공간(12')의 입구를 향해 돌출되는데,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상이다. 상기 안내돌출판(16)은 상기 결합공간(12')에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플레이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2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2)도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22)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을 전후로 관통하여 단자안착부(22')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제2커넥터(20)를 구성하는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양측 외면에는 분리구(23)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구(23)는 그 횡단면이 'T'자 형상으로 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플레이트(30)가 제1커넥터(10)에 임시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리구(23)는 선단 양측으로 분리편(23')이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플레이트(30)의 걸이후크(42)를 탄성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하우징(22)에서 상기 분리구(23)가 형성되지 않은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는 회전중심축(2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축(24)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25)를 제2커넥터(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커넥터(20)에는 레버(25)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25)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시에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버(25)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에 안착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연동판(26)을 손잡이(27)가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판(26)의 대략 중앙에는 회전중심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공(26')에는 상기 회전중심축(24)이 삽입된다.
상기 양측의 연동판(26)에서 각각 서로 반대되는 면, 즉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과 마주보지 않는 면에 커넥터연동채널(28)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에는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가 위치되어 안내된다.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을 따라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가 안내됨에 의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동판(26)에는 또한 플레이트연동채널(28')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연동채널(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안착되어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연동채널(28')은 하나의 연동판(26)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을 중심으로 연동판(26)의 양측에 상기 플레이트연동채널(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레버(25)에 의한 안전플레이트(3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13')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외력에 의한 단자(13')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서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를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시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임시결합위치는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플레이트몸체(32)가 상기 단자(13')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이다. 완전결합위치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완전히 결합되어 플레이트몸체(32)가 결합공간(12')의 바닥면에 접촉되거나 바닥면쪽으로 가장 많이 이동된 상태이다.
상기 안전플레이트(30)에는 플레이트몸체(32)가 구비되는데, 상기 플레이트몸체(32)는 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에는 다수개의 단자공(3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단자공(33)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단자(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에는 또한 안내슬릿(3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슬릿(34)은 상기 안내돌출판(16)과의 간섭을 피하고 안내돌출판(16)에 의해 플레이트몸체(32)가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측벽(3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벽(35)은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돌출된 판형상이다. 상기 측벽(35)은 양측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우징(12)의 결합공간(12') 내면중에서 커넥터연동돌기(13)가 형성되어 있는 내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벽(35)의 내면에는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연동돌기(36)는 상기 레버(25)의 플레이트연동채널(28')을 따라 안내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측벽(35)에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하나의 측벽(35)에 하나의 플레이트연결돌기(36)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35)에는 스토퍼걸이판(37)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스토퍼(1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은 상기 측벽(35)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이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벽(35)에는 탄성슬릿(37')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슬릿(37')이 하나의 측벽(35)에 두 개가 나란히 측벽(35)의 끝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슬릿(37')은 반드시 측벽(35)의 끝부분까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의 선단 중간에는 핸들부(3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핸들부(38)는 작업자가 스토퍼걸이판(37)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플레이트연동돌기(36)는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을 벗어난 위치의 측벽(35)에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38)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돌기가이드슬릿(39)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가이드슬릿(39)은 상기 제1하우징(12)의 커넥터연동돌기(13)와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연동돌기(13)에 의해 안전플레이트(30)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측벽(35)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몸체(32)에서 상기 측벽(35)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측벽(35)의 양단에 직교하게 연결되는 모서리판(40)이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판(40)은 상기 측벽(35)의 양단을 측벽(35)이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몸체(32)의 가장자리에 지지시켜 측벽(35)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서리판(40)은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측벽(35)의 양단부에 일체로 된다.
상기 측벽(35)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플레이트몸체(32)의 가장자리에는 걸이후크(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가장자리에 2개씩 총 4개의 걸이후크(4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4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선단에 걸이턱(43)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서로 다른 가장자리에 있는 걸이후크(42)의 걸이턱(4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후크(42)의 자유단부에서 시작해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분리가이드부(45)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가이드부(45)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분리구(23)를 안내하는 부분으로, 상기 분리구(2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걸이후크(42)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가이드부(45)의 선단에는 진입경사면(47)이 있어 상기 분리구(23)가 보다 쉽게 분리가이드부(45)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가이드부(45)는 상기 걸이후크(42) 각각에 형성되는데, 플레이트몸체(32)의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걸이후크(42)가 형성되므로, 이들 각각의 걸이후크(42)의 분리가이드부(45)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도록 되어 하나의 분리구(23)에 의해 한쌍의 걸이후크(42)의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후크(42)가 상기 플레이트몸체(32)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플레이트몸체(32)에서 돌출된 판의 상단에서 한쌍의 걸이후크(42)가 나란히 돌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에 장착된다. 도 3의 상태는 임시결합위치에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몸체(32)는 상기 결합공간(12')의 바닥면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걸이판(37)은 상기 스토퍼(14)에 걸어져 안전플레이트(30)가 상기 결합공간(12')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이후크(42)는 그 걸이턱(43)이 상기 제1하우징(12)의 걸이절결부(12)에 걸어져 있어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임의로 결합공간(12')의 내부로 더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20)를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레버(25)의 커넥터연동채널(28) 및 플레이트연동채널(28')의 입구가 각각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와 플레이트연동돌기(36)를 향하도록 되어야 한다. 도 5의 (a)에 이와 같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20)를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 내부로 더 밀어넣게 되면, 상기 분리구(23)가 상기 걸이후크(42)의 진입경사면(47)을 따라 분리가이드부(45)로 안내되어 상기 걸이후크(42)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이턱(43)이 상기 제1하우징(12)에서 분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25)의 커넥터연동채널(28) 및 플레이트연동채널(28')로 각각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와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버(25)를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과 플레이트연동채널(28')로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와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을 따라 상기 커넥터연동돌기(36)가 안내되면서 상기 레버(25)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연동채널(28')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안내되면서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완전결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의 (c)에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완전결합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상기 레버(25)에 의해 이동될 때는, 상기 돌기가이드슬릿(39)에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가 위치되어,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안내돌출판(16)들도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분리하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를 도 3에 도시된 임시결합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 상태는 도 5의 (c) 상태와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25)를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을 따라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가 안내되면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연동채널(28')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안내된다. 상기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상기 플레이트연동채널(28')을 따라 안내됨에 의해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상기 결합공간(12')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의 상태에서 상기 레버(25)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커넥터연동돌기(13)와 플레이트연동돌기(36)가 각각 상기 커넥터연동채널(28) 및 플레이트연동채널(28')의 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레버(25)를 상기 제1커넥터(10) 및 안전플레이트(3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걸이후크(42)의 걸이턱(43)이 상기 걸이절결부(15)에 걸어지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스토퍼걸이판(37)이 스토퍼(14)에 걸어진 상태, 즉 임시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c)에 도시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14)와 스토퍼걸이판(37)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걸이후크(42)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공간(12')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걸어지는 형태로 되면 걸이후크(42)에 의해 안전플레이트(30)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절결부(15)가 사각형 형태로 제1하우징(12)의 선단에서 일부를 제거하여 만들어져 있으나, 반드시 사각형 형태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걸이턱(43)이 걸어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2': 결합공간 13: 커넥터연동돌기
14: 스토퍼 15: 걸이절결부
16: 안내돌출판 20: 제2커넥터
22: 제2하우징 23: 분리구
23': 분리편 24: 회전중심축
25: 레버 26: 연동판
28: 커넥터연동채널 28': 플레이트연동채널
30: 안전플레이트 32: 플레이트몸체
33: 단자공 34: 안내슬릿
35: 측벽 36: 플레이트연동돌기
37: 스토퍼걸이판 37': 탄성슬릿
38: 핸들부 39: 돌기가이드슬릿
40: 모서리판 42: 걸이후크
43: 걸이턱 45: 분리가이드부
47: 진입경사면

Claims (7)

  1.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간이 제1하우징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단자의 선단이 위치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결합공간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플레이트몸체에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소정 거리 이동되는 안전플레이트와,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 내부로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에서 지렛대 역할을 하고 상기 안전플레이트를 상기 레버가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이동시키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걸이후크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절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절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을 일부 제거하여 만들어지는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가 관통되는 단자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서로 대향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버와의 연동을 위한 플레이트연동돌기가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플레이트몸체에서 상기 측벽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걸이절결부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는 걸이후크의 길이방향으로 분리가이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분리가이드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 구비되는 분리구의 분리편을 안내하여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되어 제1커넥터에서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커넥터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걸이후크와 함께 상기 안전플레이트가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걸이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걸이판은 상기 측벽의 일부에 탄성슬릿을 형성하여 탄성변형되게 만들어지며, 상기 제1하우징의 결합공간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어져 안전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규제하는 커넥터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플레이트몸체에는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해 안전플레이트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제1하우징에 형성된 안내돌출판이 위치되는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 내면에 형성되는 커넥터연동돌기가 위치되는 돌기가이드슬릿이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서로 마주보는 연동판을 손잡이로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연동판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간에 형성된 커넥터연동돌기를 안내하는 커넥터연동채널과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측벽에 형성된 플레이트연동돌기를 안내하는 플레이트연동채널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120099001A 2012-09-06 2012-09-06 커넥터 조립체 KR10139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01A KR101396303B1 (ko) 2012-09-06 2012-09-06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01A KR101396303B1 (ko) 2012-09-06 2012-09-06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89A true KR20140032289A (ko) 2014-03-14
KR101396303B1 KR101396303B1 (ko) 2014-05-16

Family

ID=5064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01A KR101396303B1 (ko) 2012-09-06 2012-09-06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3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901A (ko) * 2015-11-03 2017-05-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180001413A (ko) * 2016-06-24 2018-01-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180103204A (ko) * 2017-03-08 201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KR20190061176A (ko) * 2017-11-27 201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564B1 (ko) * 2014-11-17 2015-12-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US9455521B2 (en) 2014-12-03 2016-09-27 Hyundai Motor Company Lever type connector
KR20220094835A (ko) 2020-12-29 2022-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20230065065A (ko) 2021-11-04 2023-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7580B2 (ja) * 1997-08-18 2001-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601474B2 (ja) * 2001-05-29 2004-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86970B2 (ja) * 2008-10-20 2012-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901A (ko) * 2015-11-03 2017-05-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180001413A (ko) * 2016-06-24 2018-01-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180103204A (ko) * 2017-03-08 201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KR20190061176A (ko) * 2017-11-27 201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303B1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303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342165B1 (ko) 커넥터 조립체
US9048579B2 (en) Lever-type connector
JP4638557B2 (ja) コネクタ位置決め素子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組立装置
US10135181B2 (en) Cable connector
CN105284016B (zh) 连接器组件
KR20170051901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941072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0447848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0952433B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H11250985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6605296B2 (ja) バックル
KR20140006558A (ko) 커넥터
JP6256276B2 (ja) コネクタ
KR20130046127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88793B1 (ko) 레버타입커넥터
JP6278863B2 (ja) コネクタ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102589863B1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
KR20240047084A (ko) 커넥터
KR20180028693A (ko) 커넥터 및 그 커넥터조립체
KR20210059522A (ko)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