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6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64B1
KR101580564B1 KR1020140160034A KR20140160034A KR101580564B1 KR 101580564 B1 KR101580564 B1 KR 101580564B1 KR 1020140160034 A KR1020140160034 A KR 1020140160034A KR 20140160034 A KR20140160034 A KR 20140160034A KR 101580564 B1 KR101580564 B1 KR 10158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housing
plate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김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6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된 일 측으로 상대커넥터가 장착되고, 선단이 상기 일 측을 향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을 포함하며, 상기 일 측과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위치와, 상기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단자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가 분리된 분리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 회동 시,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보호위치 및 상기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보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 단자 휘어짐을 방지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서로 다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가 제2 커넥터의 단자장착부에 결합되면서 제1 및 제2 커넥터가 연결된다.
이때,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일 측을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가 조립되기 전에 복수의 단자와 단자가 결합되는 단자장착부는 커넥터의 개구된 일 측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단자와 단자장착부가 외부에 노출되면 운송 시,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단자의 휨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자와 단자장착부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일 측에 커버를 설치하여 단자에 물리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 커버는 커넥터와 별개로 제조되어야 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되기 직전에 제거해야 하는 장치 조립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커넥터는 개구된 일 측으로 상대커넥터가 장착되고, 선단이 상기 일 측을 향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을 포함하며, 상기 일 측과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위치와, 상기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단자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가 분리된 분리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 회동 시,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보호위치 및 상기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보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된 일 측에 보호플레이트를 설치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와 상대커넥터가 장착되기 전에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개구된 일 측에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사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플레이트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단자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와 보호플레이트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된 일 측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가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대커넥터의 장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됨에 따라 보호플레이트가 커넥터 하우징에서 분리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다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레버와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과정의 레버회전방지의 구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과정의 체결부와 레버이동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다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레버와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과정의 레버회전방지의 구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과정의 체결부와 레버이동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개구된 일 측으로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고, 선단이 상기 일 측(150)을 향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100)과,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340)을 포함하며, 상기 일 측(150)과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위치(도 5 (a))와, 상기 상대커넥터(5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50)의 단자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위치(도 5의 (c))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30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에 상기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는 장착위치(도 5의 (c))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에서 상기 상대커넥터(50)가 분리된 분리위치(도 5 (a)) 사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200) 및 상기 레버(200) 회동 시, 상기 보호플레이트(300)가 상기 보호위치 및 상기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레버(200)와 상기 보호플레이트(300)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420)를 포함한다.
도면 설명에 앞서,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보호위치는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에 인접한 상태이며, 보호플레이트(300)의 단자공(340)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100)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결합위치는 커넥터 하우징(100) 내로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어 상대커넥터(50)와 보호플레이트(300)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 개구된 일 측(150)과 대향된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결합위치로 보호플레이트(300)가 이동하는 동안 보호플레이트(300)의 단자공(340)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100)의 단자가 관통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100)의 단자는 상대커넥터(50)의 단자장착부와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분리위치는 커넥터 하우징(100)에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기 전 상태로, 레버(200)의 후방이 상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장착위치는 상대커넥터(5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장착되면 레버(200)의 후방을 하측으로 내려 커넥터(10)가 조립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기 구성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보호플레이트(300)의 보호위치는 레버(200)의 분리위치와 대응되고, 보호플레이트(300)의 결합위치는 레버(200)는 장착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은 상대커넥터(50)와 결합하여 커넥터(10)에 설치된 와이어 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연결한다. 이때, 상대커넥터(50)는 커넥터 하우징(100)에 끼워져 장착되는 구성으로 조립되는 예를 들지만, 커넥터 하우징(100)이 상대커넥터(50)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레버(200)의 레버 캠 돌기(220)가 관통하여 장착되는 간섭방지공(120)과, 상기 분리위치와 상기 장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레버(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100)가 장착되는 하우징 힌지부(140)와, 상대커넥터(50)의 커넥터체결부(55)가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상대커넥터(50)의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160)과, 보호플레이트(300)이 보호위치 시,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가 장착되는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간섭방지공(120)은 레버(200)의 레버 캠 돌기(220)와 보호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캠 슬릿(320)이 간섭 없이 결합되게 한다. 즉, 간섭방지공(120)은 레버(200)의 레버 캠 돌기(220)가 보호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캠 슬릿(320)에 장착될 때, 레버(200)와 보호플레이트(300) 사이의 공간이다. 이로 인하여, 레버 캠 돌기(220)와 플레이트 캠 슬릿(320)이 커넥터 하우징(100)의 일 면에 걸려 결합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방지공(120)은 홀, 슬릿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레버(200)의 회동 반경에 대응하는 슬릿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 힌지부(140)는, 하우징 힌지부(140)의 일 면에서 커넥터 하우징(100)과 상대 커넥터(50)의 결합 방향(도 6 참고)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형성된 하우징 힌지부(140)에는 레버(200)의 레버힌지부(240)가 끼워지면서, 레버(20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즉, 레버(200)가 분리위치 시, 회전방지턱(142)이 턱삽입공(242)에 장착되어 하우징 힌지부(140)의 공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힌지부(140)는 원형의 기둥으로 형성되고, 레버힌지부(240)는 상기 하우징 힌지부(14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레버(200)가 분리위치와 장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하우징 힌지부(140)와 레버힌지부(240)가 접하며 회동하는데, 상기 과정에서 하우징 힌지부(140)와 레버힌지부(240)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 힌지부(140)는 원형의 일 단에서 연장 형성된 회전방지턱(142)은, 레버(200)가 분리위치일 때, 레버(20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레버(200)가 분리위치일 때, 회전방지턱(142)이 턱삽입공(242)에 끼워지며 장착되어 레버(200)의 위치를 가(假)고정하도록 하여 레버(200)가 분리위치 시, 하우징 힌지부(140)가 레버힌지부(240) 내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200)가 회전해야 하는 방향(도 6의 (a), (b), (c) 순의 레버(200)의 위치변화)을 따라 레버(200)가 회전하거나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는 보호플레이트(300)가 보호위치일 때, 보호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즉, 보호플레이트(300)의 일 면에서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가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걸린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을 폐쇄하는 보호위치 상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는 보호플레이트(300)의 일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홀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방지공(120)는 레버(200)의 레버 캠 돌기(220)가 장착되어 레버(200)가 분리위치와 장착위치 사이에서의 회동 범위를 안내한다. 상기 간섭방지공(120)는 레버(200)의 레버 캠 돌기(22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곡선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간섭방지공(12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간섭방지공(120)가 곡선의 슬릿으로 형성됨에 따라 레버(200)가 곡선을 그리며 회동하기 때문에 레버(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160)은 커넥터(10)가 조립되면, 커넥터 하우징(100)과 결합하는 상대커넥터(50)의 커넥터장착부(55)가 끼워지는 슬릿이다. 상기 가이드 슬릿(160)은 상대커넥터(50)의 장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커넥터(50)가 커넥터 하우징(100)과 수직으로 이루며 장착되며, 가이드 슬릿(160)은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에서 폐쇄된 타 측을 향해 직선 슬릿으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가이드 슬릿(160)의 형상 등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42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일 면에 형성된 간섭방지공(120)을 관통하며, 보호플레이트(300)의 일 면에 체결되는 레버 캠 돌기(220)와, 레버 캠 돌기(220)가 체결되며, 레버(200)의 회동에 따라 보호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보호플레이트(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레이트 캠 슬릿(320)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캠 돌기(22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간섭방지공(120)과 보호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캠 슬릿(320)에 모두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때, 보호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캠 슬릿(320)을 관통하는 레버 캠 돌기(220)의 단부는 플레이트 캠 슬릿(32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레버 캠 돌기(220)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을 관통한 뒤, 레버 캠 돌기(220)의 단부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에 걸려 레버 캠 돌기(220)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레버 캠 돌기(220)는 플레이트 캠 슬릿(320)과 간섭방지공(120)를 관통하는 바디(222)와 상기 바디(222)의 끝 단에 형성되며, 바디(222)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에 삽입, 장착되면 플레이트 캠 슬릿(320) 주변의 보호플레이트(300) 내면에 걸림되는 돌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224)에 의해 레버 캠 돌기(220)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과 간섭방지공(1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222)와 돌부(224)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222)와 돌부(224)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바디(222)와 돌부(224)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형성되면 바디(222)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과 간섭방지공(120)에 삽입한 뒤, 돌부(224)를 바디(222)의 단부에 설치한다. 이로 인하여 레버 캠 돌기(220)를 플레이트 캠 슬릿(320)과 간섭방지공(120)에 억지 끼우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캠 슬릿(320)은 보호플레이트(300)의 측면플레이트(310)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캠 돌기(220)가 관통된다. 이로 인하여 보호플레이트(300)가 레버(200)가 장착되고, 커넥터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200)의 레버 캠 돌기(220)가 플레이트 캠 슬릿(320)에 관통되며 설치되기 때문에 레버(200)가 회동함과 동시에 보호플레이트(300)가 보호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해진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레버(200)는 커넥터 하우징(100)과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300)를 보호위치(도 6의 (a))와 결합위치(도 6의 (c))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레버(20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하우징 힌지부(140)가 장착되는 레버힌지부(240)와, 상대커넥터(5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장착되면, 상대커넥터(50)의 커넥터 레버 캠 돌기(220)가 장착되어 분리위치에서 장착위치로 레버(200)가 회동하도록 하는 커넥터 슬릿(260)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힌지부(240)는 하우징 힌지부(140)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 힌지부(140)의 회전방지턱(142)이 장착되는 턱삽입공(242)을 포함한다.
상기 턱삽입공(242)은 레버(200)가 분리위치일 때, 하우징 힌지부(140)의 회전방지턱(142)이 턱삽입공(242)에 끼워져 레버(200)가 가(假) 고정되게 하여 하우징 힌지부(140)가 레버힌지부(240) 내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200)가 레버(200)기 회전해야 하는 방햐 또는 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넥터 슬릿(260)은 상대커넥터(50)의 커넥터체결부(55)가 삽입되며, 레버(200)가 회동하여도 커넥터체결부(55)가 레버(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넥터 슬릿(260)은 레버(200)의 회동 거리에 따라 형상, 길이 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버(200)는 분리위치 시,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 상에 안착되어 결합위치로 회동을 방지하는 걸림턱(280)을 더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00)가 분리위치일 때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는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이때, 레버(200)의 걸림턱(280)이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 상에 안착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00)에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기 전에 레버(200)가 장착위치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턱(280)이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걸림턱(280)의 단면은 직선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300)는 커넥터 하우징(100)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커넥터 하우징(100)에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기 전에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을 통해 상기 단자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 측(150)에 보호플레이트(300)를 설치함으로써,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플레이트(300)가 보호위치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플레이트(30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과 대향하며, 상기 일 측(150)에 상대커넥터(50)가 설치될 때, 커넥터 하우징(100)의 단자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단자공(340)이 형성된 정면플레이트(330)와, 상기 정면플레이트(330)의 단부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100) 내측으로 굽어진 측면플레이트(310)를 포함한다.
또한, 보호플레이트(300)는 분리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레버 캠 돌기(22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캠 슬릿(320)과, 보호플레이트(30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며, 일 단은 보호플레이트(300)의 일 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보호플레이트(300)의 일 측에서 분리되는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는 상기 플레이트 캠 슬릿(320)과 인접한 측면플레이트(31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는 상대커넥터(5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장착되면,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200)가 분리위치일 때, 레버(200)의 걸림턱(280)은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가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에 관통되어 장착됨에 따라 레버(200)의 걸림턱(280)이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는 보호위치 시,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에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382)와 보호플레이트(300) 내면과 접하면,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를 보호플레이트(300)에 고정하는 고정부(384)와, 커넥터 하우징(100)에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될 때, 상대커넥터(50)의 일 면과 접하며, 관통부(382)를 상대커넥터(50)의 장착 방향으로 밀어내며, 관통부(382)를 하우징 위치 고정부(180)에서 분리시키는 회동부(386)를 포함한다.
즉, 상대커넥터(50)가 커넥터 하우징(100)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면, 상대커넥터(50)의 상면은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의 회동부(386)에 걸림된다. 이때, 상대커넥터(5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삽입력에 의해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의 회동부(386)이 상대커넥터(50)의 삽입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에 고정되지 않은 관통부(382)이 장착홀(360)에서 분리된다. 이로 인하여 보호플레이트(300)는 상대커넥터(50)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어 결합위치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84)은 상기 관통부(382)이 장착홀(360)에서 분리될 때,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38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적으로 관통부(382)를 장착홀(36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에 보호플레이트(300)를 설치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100)와 상대커넥터(50)가 장착되기 전에 상기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을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개구된 일 측(150)에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 하우징(100)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100)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플레이트(30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단자공(340)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와 보호플레이트(30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100)의 개구된 일 측(150)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상대커넥터(50)의 장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커넥터 하우징(100)에 설치됨에 따라 보호플레이트(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서 분리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커넥터 50: 상대커넥터
100: 커넥터 하우징 120: 간섭방지공
140: 하우징 힌지부 160: 가이드 슬릿
180: 하우징 위치 고정부 200: 레버
220: 레버 캠 돌기 240: 레버힌지부
260: 커넥터 슬릿 280: 걸림턱
300: 보호플레이트 320: 플레이트 캠 슬릿
340: 단자공 360: 장착홀
380: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 420: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

Claims (9)

  1. 개구된 일 측으로 상대커넥터가 장착되고, 선단이 상기 일 측을 향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단자가 관통하는 단자공을 포함하며, 상기 일 측과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위치와, 상기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단자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가 분리된 분리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및
    상기 레버 회동 시,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보호위치 및 상기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보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상기 보호위치 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보호위치 시,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가 장착되는 하우징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위치 고정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보호위치 시, 상기 하우징 위치 고정부에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통부와,
    상기 보호플레이트 내면과 접하며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를 상기 보호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상대커넥터 장착 시,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 면과 접하며 상기 관통부을 상기 상대커넥터의 장착 방향으로 밀어내며 상기 관통부을 상기 하우징 위치 고정부에서 분리시키는 회동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분리위치 시, 상기 플레이트 위치 고정부 상에 안착되어 상기 결합위치로의 회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승강 캠장치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간섭방지공을 관통하며,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일 면에 체결되는 레버 캠 돌기와,
    상기 레버 캠 돌기가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보호위치와 상기 결합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레이트 캠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분리위치와 상기 장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레버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가 장착되는 하우징 힌지부와,
    상기 상대커넥터의 커넥터체결부가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상대커넥터의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하우징 힌지부가 장착되는 레버 힌지부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삽입, 장착되는 커넥터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부는, 상기 하우징 힌지부의 일 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와 상기 상대커넥터의 결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위치일 때, 상기 레버가 상기 장착위치의 회동 방향의 역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힌지부는 상기 회전방지턱가이 장착되는 턱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가 분리위치 시, 상기 회전방지턱이 상기 턱삽입공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힌지부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60034A 2014-11-17 2014-11-17 커넥터 KR10158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34A KR101580564B1 (ko) 2014-11-17 2014-11-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34A KR101580564B1 (ko) 2014-11-17 2014-11-17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564B1 true KR101580564B1 (ko) 2015-12-28

Family

ID=5508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034A KR101580564B1 (ko) 2014-11-17 2014-11-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32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101396303B1 (ko) * 2012-09-06 2014-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32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101396303B1 (ko) * 2012-09-06 2014-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8026B (zh) 快速连接电力连接器
EP338109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cordable position assurance
CN107112647B (zh) 具有用于端接电线的枢转块的电连接器
US8979568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having locking clips
KR101124103B1 (ko) 커넥터 장치
NL2015465B1 (en) Plug connector.
JP2007005012A (ja) コネクタ
US8888521B2 (en)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connector apparatus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DK2769441T3 (en) Connector
KR100887791B1 (ko)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JP4556134B2 (ja) コネクタ
US20180248288A1 (en) Connector
KR101580564B1 (ko) 커넥터
US20160336699A1 (en) Plug connector device
GB2525482A (en) Electrical connector
JP4513677B2 (ja) 防水コネクタ
CN100511894C (zh) 盒子的闭合装置
KR101513281B1 (ko)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CN115275695A (zh) 免扎线网络模块、压线盖
KR20180011034A (ko) 커넥터
JP5888507B2 (ja) コンセント
CN108899713B (zh) 线束插件
JP7196065B2 (ja) 電圧インジケータ表示モジュール
KR20150039919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08365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