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6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65B1
KR101608365B1 KR1020140086752A KR20140086752A KR101608365B1 KR 101608365 B1 KR101608365 B1 KR 101608365B1 KR 1020140086752 A KR1020140086752 A KR 1020140086752A KR 20140086752 A KR20140086752 A KR 20140086752A KR 101608365 B1 KR101608365 B1 KR 101608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locking
slide
terminal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975A (ko
Inventor
장명훈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8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3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가 결합된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되도록, 상기 단자가 설치되도록 개방 가능한 단자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단자수용부가 밀폐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단자수용부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부피와 두께가 작아진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 설치되는 전선의 부피 및 두께 등을 줄이는 것이 이슈화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선의 부피 및 두께 등을 줄이게 되면, 전선의 단자가 커넥터의 단자장착부보다 작기 때문에 전선이 커넥터에서 분리될 수 있었다. 또한, 전선의 단자의 부피 및 두께도 작아지기 때문에 단자의 경도가 저하되어 단자가 휘거나 파손될 수 있었다.
따라서, 부피나 두께가 작아진 전선의 단자의 파손을 줄이고, 상기 전선을 커넥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두께나 부피가 작아진 전선은 작업자가 일일이 커넥터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에 자동으로 설치하는 자동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께와 부피가 작아진 와이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와 부피가 작아진 와이어의 단자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단자가 결합된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설치되도록 개방 가능한 단자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단자수용부가 밀폐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단자수용부가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커넥터를 제1 및 제2 커넥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커넥터가 슬라이드 조립 가능함에 따라 커넥터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고, 개방된 단자수용부에 복수의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커넥터 내에 단자를 설치하기 때문에 억지 끼움 없이 단자를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가 슬라이드 조립되도록 제1 및 제2 커넥터의 제1 슬라이드부와 제2 슬라이드부에 락킹부와 락킹홀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가 조립된 폐쇄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락킹부와 락킹홀에 의하여 단자수용부가 개방위치가 되어 단자가 커넥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커넥터에는 단자의 란스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제1 및 제2 커넥터가 조립되는 방향과 역 방향으로 단자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와, 복수의 단자가 제1 커넥터에 설치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단자끼리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자수용부에 설치되는 단자의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단자가 설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와 와이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55)가 결합된 복수의 와이어(50)가 설치된 커넥터(10)는 상기 단자(55)가 설치되도록 개방 가능한 단자수용부(150)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100) 및 상기 단자수용부(150)가 밀폐되는 폐쇄위치(도 1 참고)와 상기 단자수용부(150)가 개방되는 개방위치(도 2 참고)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넥터(100)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두께 및 부피가 작아진 와이어(50)의 단자(55)가 커넥터(10)에 설치되기 쉽고, 커넥터(10)에서 와이어(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자(55)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와이어의 두께 및 부피가 작아지면 와이어에 설치되는 단자의 두께 및 부피도 작아진다. 이와 같이 단자의 두께 및 부피가 작아지면 단자가 커넥터에서 분리되기 쉽기 때문에 와이어가 커넥터에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부피나 두께가 작아진 단자는 경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단자를 커넥터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이 커넥터(10)가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고, 특히 제1 커넥터(100)의 단자수용부(150)가 개방될 때, 단자(55)가 커넥터(10)에 설치되기 때문에 단자(55)를 커넥터(10)에 설치할 때, 육안으로 확인하며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단자(55)를 커넥터(10)에 억지 끼워 설치하여 단자(55)를 파손시키거나, 단자(55)가 커넥터(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의 설명에 앞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는 제1 커넥터(100)가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 하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단자수용부(150)를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발명의 조건에 따라 제1 커넥터(100)가 제2 커넥터(2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단자수용부(15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는 단자(55)의 좌, 우를 수용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커넥터(10)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단자수용부(150)가 개방되기 위해서, 상기 제1 커넥터(100)는, 제2 커넥터(200)와 맞물리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라이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200)는, 제1 슬라이드부(120)와 대향되며, 제1 슬라이드부(12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226)이 형성된 제2 슬라이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부(120)는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200)의 하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슬라이드부(120)는 제1 커넥터(100)의 양 측을 밀폐하여 제1 커넥터(100)에 설치된 단자(5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부(120)는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방위치에서 제1 커넥터(100)가 충분히 개방되도록 제1 커넥터(100)의 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0)는 제1 슬라이드부(120)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개방위치에서 제1 커넥터(100)가 제2 커넥터(20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80)은, 단자수용부(150)가 개방위치일 때, 제1 슬라이드부(120)의 끝 단(128)은 슬라이드홈(126)의 입구인 제2 슬라이드부(220)의 시작 단(222)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0)의 시작 단(222)에 걸림턱(280)을 형성하면, 제1 슬라이드부(120)의 끝 단(128)이 상기 걸림턱(280)에 걸려 제1 슬라이드부(120)가 제2 슬라이드부(22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를 상, 하에 배치하고, 배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조립, 개방되기 때문에 단자수용부(150)의 개방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단자수용부(150)에 단자(55)를 설치할 때 단자(55)를 억지 끼우거나, 단자(55)에 과도하게 힘을 주어 단자(5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슬라이드부(120)는 제2 슬라이드부(220)를 향해 돌출 형성된 락킹부(125)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부(220)는 락킹부(125)가 체결되는 락킹홀(225)을 포함한다.
즉, 단자수용부(150)가 밀폐된 폐쇄위치일 때, 상기 커넥터(10) 내에는 다수의 단자(5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수용부(150)가 개방위치로 역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단자수용부(150)가 폐쇄위치이면, 제1 슬라이드부(120)의 락킹부(125)는 락킹홀(225)에 체결되어 단자수용부(150)가 개방위치가 되도록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락킹부(125)는 제1 슬라이드부(120)의 끝 단(128)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폐쇄위치 시, 제1 슬라이드부(120)의 끝 단(128)를 고정하여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단자수용부(150)가 개방위치가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락킹홀(225)은 단자수용부(150)가 폐쇄위치일 때, 락킹부(125)가 체결되는 홀이다. 상기 락킹부(125)가 락킹홀(225)에 체결될 때, 락킹부(125)는 탄성적으로 락킹홀(225)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단자수용부(150)가 폐쇄위치가 되면, 락킹부(125)가 락킹홀(225)에 체결되고, 락킹부(125)와 제1 슬라이드부(120)의 바디 사이의 연결부(127)가 락킹부(125)를 락킹홀(225)로 밀어내며 락킹부(125)가 락킹홀(225)에 체결되게 한다.
한편, 제1 커넥터(100)는 단자(55)의 일 면에 형성된 란스(54)가 걸림되는 걸림부(140)와 상기 걸림부(14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제2 커넥터(200)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역 방향으로 단자(55)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단자(55)의 후단(52)을 지지하는 밀림방지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40)는 단자수용부(15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단자(55)가 단자수용부(150)에 설치되면, 단자(55)의 란스(54) 부분이 걸림된다. 상기 단자(55)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을 접어 성형되고, 상기 과정에서, 단자(55)의 하부에 돌출된 란스(5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란스(54)가 걸림부(140)에 걸리면서 단자수용부(150)에 단자(55)가 설치될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될 뿐 아니라, 설치된 단자(55)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단자수용부(150)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55)끼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160)는 상기 걸림부(140)와 일체로 형성되되, 걸림부(14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림방지부(160)는 단자(55)가 단자수용부(150)에 설치된 후, 제2 커넥터(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단자수용부(150)가 폐쇄위치로 변경될 때, 단자(55)가 제2 커넥터(200)의 슬라이드 방향의 역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200)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전(前) 방향이라고 하고, 반대의 방향을 후(後)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제2 커넥터(200)가 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단자수용부(150)에 설치된 단자(55)는 후방향으로 관성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밀림방지부(160)가 단자(55) 후단(52)을 지지함으로써, 단자(55)가 후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1 커넥터(100)는 단자(55)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180)는 단자수용부(150)의 하면을 구획한다. 즉, 단자수용부(150)에는 복수의 단자(55)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180)는 복수의 단자(55)가 접촉하지 않고, 단자수용부(150)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180)는 제2 커넥터(200)의 슬라이드 방향인 전, 후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단자(55)의 양 측에 설치되어 단자(55)의 좌, 우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커넥터(200)에는 상기 이탈방지부(180)와 대향되어 커넥터(10)에 설치되는 단자(55)의 접촉을 방지하는 복수의 구획부(29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10)와 결합되는 상대커넥터(20)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10)는 상대커넥터(20)와 락킹되는 락킹부재(24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상대커넥터(20)에 삽입되며 상대커넥터(20)와 결합된다. 이때, 락킹부재(240)는 커넥터(10)가 상대커넥터(20)에 삽입될 때, 상대커넥터(20)의 내측에 걸림되어 커넥터(10)와 상대커넥터(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락킹부재(240)는 제2 커넥터(20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커넥터(20)는 상기 락킹부재(240)가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대커넥터(20)에서 커넥터(10)를 분리할 때, 상대커넥터(20)에서 락킹부재(240)의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260)를 포함한다. 상기 해제레버(260)는 상, 하로 이동하며, 락킹부재(240)와 상대커넥터(20)와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제레버(260)를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락킹부재(240)와 상대커넥터(20)와의 락킹을 해제하는 예를 들지만, 상기 해제레버(260)는 상대커넥터(20)와 락킹부재(240)의 해제를 위한 어떠한 형태든 무방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를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로 분리하고, 분리된 커넥터(10)가 슬라이드 조립 가능함에 따라 커넥터(1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고, 개방된 커넥터(10) 내의 단자수용부(150)에는 복수의 단자(5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커넥터(10) 내에 단자(55)를 설치하기 때문에 억지 끼움 없이 단자(55)를 커넥터(10)에 장착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10)가 슬라이드 조립되도록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의 제1 슬라이드부(120)와 제2 슬라이드부(220)에 락킹부(125)와 락킹홀(225)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가 조립된 폐쇄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락킹부(125)와 락킹홀(225)에 의하여 단자수용부(150)가 개방위치가 되어 단자(55)가 커넥터(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00)에는 단자(55)의 란스(54)가 걸림되는 걸림부(140)와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가 조립되는 방향과 역 방향으로 단자(55)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160)와, 복수의 단자(55)가 제1 커넥터(100)에 설치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80)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단자(55)가 단자수용부(150)에 설치될 때, 단자(55)끼리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자수용부(150)에 설치되는 단자(55)의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단자(55)가 설치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커넥터 100: 제1 커넥터
120: 제1 슬라이드부 125: 락킹부
140: 걸림부 150: 단자수용부
160: 밀림방지부 180: 이탈방지부 200: 제2 커넥터 220: 제2 슬라이드부
225: 락킹홀

Claims (7)

  1. 단자가 결합된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설치되도록 개방 가능한 단자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단자수용부가 밀폐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단자수용부가 완전 개방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단자수용부의 개방위치 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에서 상기 단자수용부 상에 안착되어 상기 단자의 설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자의 일 면에 형성된 란스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단자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자의 후단을 지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와 맞물리며,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와 대향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락킹부가 체결되는 락킹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단자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대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대커넥터에 락킹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의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086752A 2014-07-10 2014-07-10 커넥터 KR101608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52A KR101608365B1 (ko) 2014-07-10 2014-07-10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52A KR101608365B1 (ko) 2014-07-10 2014-07-10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975A KR20160006975A (ko) 2016-01-20
KR101608365B1 true KR101608365B1 (ko) 2016-04-01

Family

ID=5530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752A KR101608365B1 (ko) 2014-07-10 2014-07-10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3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975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111B1 (ko) 커넥터 합치 보장
US103964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746518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KR101809330B1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MX2007015451A (es) Ensamble conector con dispositivo que asegura la posicion de terminal.
US10446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9640886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for connectors
CN107069299B (zh) 连接器
US20140256169A1 (en) Lever type connector
KR20150041064A (ko) 패널 고정형 커넥터 장치
US7172459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348022B2 (en) Connector able to suppress the jerking of the terminal housed in the terminal housing chamber
CN110770981A (zh) 连接器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08365B1 (ko) 커넥터
KR20180010934A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US6155851A (en) Connector locking structure
JP201407530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109031A (ja) コネクタ
JP2009283274A (ja) コネクタ
JP7423296B2 (ja) 支持機構およびコネクタデバイス
KR101553702B1 (ko) 차량용 블럭
KR10219838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H1050386A (ja) コネクタ
KR20100012414A (ko)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