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702B1 - 차량용 블럭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702B1
KR101553702B1 KR1020140189100A KR20140189100A KR101553702B1 KR 101553702 B1 KR101553702 B1 KR 101553702B1 KR 1020140189100 A KR1020140189100 A KR 1020140189100A KR 20140189100 A KR20140189100 A KR 20140189100A KR 101553702 B1 KR101553702 B1 KR 10155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housing
upper housing
support ba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702B1/ko
Priority to US14/978,368 priority patent/US9627869B2/en
Priority to EP15201955.0A priority patent/EP3037304B1/en
Priority to CA2916224A priority patent/CA2916224C/en
Priority to CN201510982932.5A priority patent/CN10574287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제1수납공간(11)이 형성되는 메인하우징(10)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부품이 실장되는 제2수납공간(31)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30)과, 상기 상부하우징(30)을 감싼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지지바(16)와, 상기 상부하우징(30)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지지바(16)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고정부(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고정부(35)가 상기 지지바(16)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상부하우징(30)이 가고정되고, 상기 지지바(16)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가고정부(35)가 상기 지지바(16)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벗어나 가고정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을 구성하는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이 가조립되면 메인하우징(10)의 지지바(16)가 상부하우징(30)을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2차조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바(16)를 메인하우징(10)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가조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터미널을 비롯한 다수의 전장부품이 실장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다양한 전기적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는 퓨즈, 릴레이 및 터미널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다수개씩 구비되어 차량용 블럭 내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차량용 블럭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블럭은 퓨즈들이 삽입되는 퓨즈플레이트, 터미널 및 커넥터가 조립되는 메인블럭,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와 같이 다수개의 하우징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차량용 블럭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블럭 내부에는 터미널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부품들이 다수개 실장되는데, 상기 터미널 등 소형 전장부품들은 차량용 블럭을 구성하는 퓨즈플레이트 및 메인블럭 등 하우징부품들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어 휘어지거나 손상될 염려가 있다.
특히, 자동차의 전자제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차량용 블럭에 실장되는 전장부품의 개수가 들어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블럭 내부에는 매우 좁은 피치를 가지고 다수개의 전장부품들이 실장되므로, 차량용 블럭의 조립과정에서 전장부품들이 손상될 가능성이 더욱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차량용 블럭의 하우징부품 사이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전장부품들이 삽입된 후에, 하우징부품 사이가 완전조립되어 전장부품들도 자연스럽게 완전히 조립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하우징부품 사이를 가조립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거나, 또는 가조립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임의로 완전조립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터미널과 같이 소형 전장부품들이 하우징부품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부품의 좁은 실장공간을 통과해야 하므로 부품의 조립성이 떨어지고, 만약 실장공간을 크게 하면 전장부품이 실장공간 내부에서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49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블럭을 구성하는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의 가조립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용 블럭 내부로 터미널이 쉽게 삽입됨과 동시에 차량용 블럭 내부에서 터미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제1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부품이 실장되는 제2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을 감싼 상기 메인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지지바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고정부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메인하우징에 상부하우징이 가고정되고, 상기 지지바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가고정부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벗어나 가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측으로 지지단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고정부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측으로 가고정단이 돌출되어, 상기 가고정단이 상기 지지단에 안착되면 상기 상부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가고정된다.
상기 지지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간섭방지부에 의해 둘러져 감싸진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체결편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체결부가 돌출되어, 상기 체결편에 상기 체결부가 걸어지면 상기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이 2차결합되고, 상기 체결편 및 상기 체결부가 걸어지는 위치는 상기 지지바 및 가고정부가 서로 걸어지는 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메인하우징의 저면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지지바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가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수납홀과 제2수납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바에 가고정부가 걸어진 상태에서 전장부품의 걸이부가 걸어져 가고정되는 가고정턱이 구비된다.
상기 제1수납홀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전장부품의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편에 상기 체결부가 걸어지면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전장부품의 몸체 일측을 지지하고 고정한다.
상기 제1수납홀의 상기 상부하우징을 향해 개구된 일측 가장자리에는 전장부품의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제1수납홀의 개구된 출구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수납홀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전장부품의 몸체보다 더 크거나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턱의 저면에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장부품이 상기 제1수납홀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는 버스바가 실장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버스바차폐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메인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조립방향을 따라 커넥터조립부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을 구성하는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이 가조립되면 메인하우징의 지지바가 상부하우징을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2차조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바를 메인하우징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가조립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부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는 메인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된 지지바를 더욱 외측으로 탄성변형시켜 가조립을 해제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지더라도 직감적으로 쉽게 알 수 있는 조작방법이므로, 차량용 블럭의 조립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의 조립이 가조립 및 2차조립으로 나뉘어 이루어지므로, 가조립 상태에서 차량용 블럭에 터미널과 같은 전장부품을 삽입한 후에 2차조립을 완료하면 하우징부품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전장부품이 간섭되어 손상될 염려가 줄어든다. 이와 동시에, 2차조립과정에서 전장부품들 역시 자연스럽게 메인하우징의 지지턱에 지지되어 완전조립되므로, 다수개의 전장부품에 일일이 작업자가 정확하고 강한 힘을 가해 조립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 내부에 형성되어 전장부품이 삽입되는 수납홀의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단순화되고 전장부품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장부품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수납홀의 출구 일측에 구비된 지지턱은 전장부품을 자연스럽게 일측으로 안내한 후 빠져 나온 전장부품의 일측을 지지하여 전장부품의 분리를 방지하므로, 전장부품의 조립성도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수납홀의 횡단면 형상이 단순해지므로 전장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턱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장부품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전장부품의 유동이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이 각각 가조립 및 2차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의 X-X'선에 대한 단면도 및 도 3(b)의 Y-Y'선에 대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의 제1수납홀 및 이에 실장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의 제1수납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구역에 해당하는 상부하우징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의 I-I'선 및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이 2차조립된 상태에서 제1수납홀 및 제2수납홀의 구조를 도 6의 II-II'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의 구성을 하방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부품이 조립되어 하나의 블럭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은 크게 메인하우징(10)을 중심으로 메인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0)과 메인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에는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장부품에는 버스바(B1,B2), 터미널(T), 커넥터(미도시), 퓨즈(F), 릴레이(R), 회로차단장치(C) 및 미니퓨즈(F)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퓨즈(F) 및 릴레이(R)는 상부하우징(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메인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입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 및 하부에는 제1수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공간(11)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수납공간(11)에는 다수개의 제1수납홀(11', 도 5(a) 및 도 7(a)를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홀(11')은 전장부품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항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거나 어느 일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납홀(11')과 여기에 구비되는 지지턱(12a)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턱(13)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조립턱(13)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면으로부터 다수개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하부하우징의 조립후크(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져 메인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지지바(1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16)는 메인하우징(10)의 가장자리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 1, 도 3(a) 및 도 4(a)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바(16)는 대략 외팔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30)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16)는 상기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지지바(16)는 상부하우징(30)을 감싼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면에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16)가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동작은 상부하우징(30)에 간섭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바(16)의 일단에는 지지단(16')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16')은 상기 지지바(16)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10)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하우징(30)의 가고정단(36)이 선택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지지바(16)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나,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바(16)에 가고정부(35)가 걸어진 상태를 가고정상태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바(16)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면에 구비된 간섭방지부(15)에 의해 둘러져 감싸진다. 상기 간섭방지부(15)는 상기 지지바(16)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바(16)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간섭방지부(15)는 상기 지지바(16)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외측으로 과도하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체결편(17)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17)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가장지리,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측면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하우징(30)의 체결부(37)를 걸어 상기 상부하우징(30)이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체결편(17)과 체결부(37)의 결합을 2차조립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편(17)에는 체결돌기(18)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중심부이자 상부하우징(30)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하우징(30)의 체결부(37)가 걸어짐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30)이 상측, 즉 상기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편(17)은 상기 지지바(16)와 마찬가지로 외팔보형상으로 탄성변형가능하므로, 메인하우징(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 상기 체결편(17)과 체결부(37)의 결합은 해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편(17)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상기 지지바(16)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된다. 이는 상기 지지바(16)에 의한 가고정과, 체결편(17)에 의한 2차조립이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편(17)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서로 반대편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구비된다.
도 5(a) 및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납공간(11) 중에는 다수개의 제1수납홀(11')이 포함된다. 상기 제1수납홀(11')은 전장부품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항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거나 어느 일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납홀(11')에는 지지턱(12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12a)은 상기 제1수납홀(11')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전장부품, 예를 들어 터미널의 몸체가 걸어져 제1수납홀(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5(a) 및 도 7(a)에는 지지턱(12a)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장부품 중에서 터미널(T)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도 5(a)에는 제1터미널(Ta)이, 도 6 내지 도 8에는 제2터미널(Tb)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편의를 위해 구별하였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터미널(Ta)은 터미널몸체(Ta1)와, 터미널몸체(Ta1)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대터미널 또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Ta3) 및 제2연결부(Ta4), 그리고 상기 몸체로부터 탄성변형가능하게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수납홀(31')의 가고정턱(32)에 걸어지는 걸이부(Ta2, 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터미널(Tb)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먼저 제1터미널(Ta)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지지턱(12a)은 상기 제1수납홀(11')의 상기 상부하우징(30)을 향해 개구된 일측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제1터미널(Ta)의 몸체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수납홀(11')을 통해 삽입되어 상부로 돌출된 제1터미널(Ta)의 몸체(Ta1) 일단이 지지턱(12a)에 안착됨으로써, 제1터미널(Ta)은 다시 제1수납홀(11') 내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a)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제1수납홀(11')의 횡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수납홀(11')의 횡단면은 상기 전장부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터미널(Ta)의 랜스(Ta2)가 통과하는 랜스채널 등이 생략되어 상기 전장부품은 제1수납홀(11')의 내벽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홀(11')의 상부하우징(30)을 향해 개구된 일측 가장자리에 지지턱(12a)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Ta)은 제1수납홀(11')을 거의 다 통과한 후에야 지지턱(12a)에 간섭되어 상기 제1수납홀(11')의 한쪽 방향으로 치우지도록 안내된다. 상기 제1터미널(Ta)이 상기 제1수납홀(11')을 통과한 후에는 제1터미널(Ta)의 몸체(Ta1)가 상기 지지턱(12a) 상에 안착되거나, 계속 이동하여 제2수납홀(31')에 진입하여 가고정턱(32)에 걸어져 가고정된다.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제1수납홀(11')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턱(12a)의 저면에는 가이드경사면(12a')이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Ta)이 상기 제1수납홀(1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도 5(a)서 보듯이, 상기 지지턱(12a)은 상기 제1터미널(Ta)의 몸체보다 더 크거나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터미널(Ta)이 상기 제1수납홀(11')을 통과하면 상기 제1터미널(Ta)의 몸체는 유동 없이 상기 지지턱(12a) 상에서 안정적으로 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납홀(11')에는 지지턱(12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12a)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이 2차조립되면 상기 지지턱(12a)이 상기 전장부품(터미널)을 지지하여 제1수납홀(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하부에는 버스바차폐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차폐부(20)는 상기 상부하우징(30)과 메인하우징(10) 사이에 구비되는 버스바(B1,B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버스바(B1,B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버스바(B1,B2)를 감싸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버스바(B1,B2)는 제1버스바(B1) 및 제2버스바(B2) 2개로 구성된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하우징(10)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조립방향을 따라 커넥터조립부(25)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조립부(25)에는 별도의 커넥터가 조립되는데, 상기 커넥터조립부(25)는 상부하우징(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된 메인하우징(10)에 구비됨으로써 휘어짐이나 벌어짐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상기 상부하우징(30)에는 서로 대응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하우징(30)이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메인하우징(10)에는 돌출된 구조가, 상부하우징(30)에는 이에 대응하는 요입된 구조가 각각 구비되어 하나의 이탈방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하우징(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상부하우징(30)은 대략 육면체 입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 및 하부에는 제2수납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납공간(31)에는 퓨즈(F), 릴레이(R)를 비롯한 다수의 전장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부하우징(30)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삽입되어 감싸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측면이 상기 메인하우징(10)에 감싸진다.
상기 제2수납공간(31)에는 다수개의 제2수납홀(31', 도 5(a) 및 도 5(b)를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납홀(31')은 전장부품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항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거나 어느 일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수납홀(31')은 앞서 설명한 메인하우징(10)의 제1수납홀(11')과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외면에는 가고정부(35)가 구비된다. 상기 가고정부(35)는 상기 상부하우징(30)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지지바(16)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 사이의 가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고정부(35)에는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외측으로 가고정단(36)이 돌출되어, 상기 가고정단(36)이 상기 지지단(16')에 안착되면 상기 상부하우징(30)이 상기 메인하우징(10)에 가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고정부(35)가 상기 지지바(16)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상부하우징(30)이 가고정되고, 상기 지지바(16)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가고정부(35)가 상기 지지바(16)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벗어나 가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외면에는 체결부(3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37)는 상기 체결편(17)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외면으로부터 리브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17)에 상기 체결부(37)가 걸어지면 상기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이 2차결합된다. 도면부호 38은 체결부(37)에 돌출된 체결리브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체결편(17) 및 상기 체결부(37)가 걸어지는 위치는 상기 지지바(16) 및 가고정부(35)가 서로 걸어지는 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하방, 즉 메인하우징(10)의 저면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고정상태에서 2차조립상태로 바뀌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 사이가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착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부(37)는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상기 가고정부(35)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바(16)에 의한 가고정과, 체결편(17)에 의한 2차조립이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부(37)는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서로 반대편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구비된다.
도 7(b)에서 보듯이, 상기 제2수납홀(31')의 일측에는 전장부품인 제1터미널(Ta)의 걸이부(Ta2, 랜스)가 걸어져 가고정되는 가고정턱(32)이 구비된다. 상기 가고정턱(32)은 상기 제2수납홀(31')의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지지바(16)에 가고정부(35)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Ta)의 걸이부(Ta2)를 걸어 제1터미널(Ta)을 제2수납홀(31')에 가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이 각각 가조립 및 2차조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의 X-X'선에 대한 단면도 및 도 3(b)의 Y-Y'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의 가조립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상기 상부하우징(30)을 메인하우징(10)에 삽입하면,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의해 감싸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하우징(30)의 가고정부(35)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지지바(16)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30)은 더 이상 메인하우징(10)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가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3(a) 및 도 4(a)에서 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에 구비된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30)이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조립되면 메인하우징(10)의 지지바(16)가 상부하우징(30)을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2차조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바(16)를 메인하우징(10)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가조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부하우징(30)의 외면을 감싸는 메인하우징(10)의 외측에 구비된 지지바(16)를 더욱 외측으로 탄성변형시켜 가조립을 해제하는 작업은, 직감적으로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지더라도 쉽게 작업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제1수납공간(11) 및 상부하우징(30)의 제2수납공간(31)에 전장부품들을 실장한다. 도 7 및 도 8의 제2터미널(Tb)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2터미널(Tb)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수납공간(11)의 제1수납홀(1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2터미널(Tb)의 터미널몸체(Tb2) 일부가 제1수납홀(11')을 빠져나가면 제2터미널(Tb)의 걸이부(Tb2)는 탄성변형되면서 상부하우징(30)의 제2수납홀(31')에 삽입되고,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가고정턱(32)에 걸어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터미널(Tb)은 다시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가고정턱(32)에 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지지바(16)를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상부하우징(30)의 가고정부(35)가 상기 지지바(16)에 걸어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상부하우징(30)은 메인하우징(10) 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하우징(30)이 메인하우징(10)에 더 가까워지면,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체결부(37)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체결편(17)에 걸어지면서 2차조립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체결부(37)가 체결편(17)에 걸어지면, 상기 상부하우징(30)은 메인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즉 도 4(b)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터미널(Tb)도 완전조립되는데, 그 모습은 도 7(a) 및 도 8에서 볼 수 있다. 도 7(a)는 가조립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하우징(10)에 구비된 지지턱(12a)이 상기 제2터미널(Tb)의 터미널몸체(Tb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이 2차조립되면, 상기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지지턱(12a)이 상기 터미널몸체(Tb1)를 향해 이동하여 터미널몸체(Tb1)의 하단에 접하여 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터미널(Tb)은 자연스럽게 완전조립되고, 이는 다시 말해 작업자가 일일이 전장부품(터미널)들을 완전조립할 필요없이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 이 2차조립되면 전장부품들도 완전조립됨을 의미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제1터미널(Ta)이 메인하우징(10)에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1터미널(Ta)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제1수납홀(11')을 따라 이동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수납홀(11')은 단순한 4각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별다른 간섭없이 제1터미널(Ta)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Ta)이 제1수납홀(11')의 출구에 가까워지면, 상기 제1수납홀(11')에 구비된 지지턱(12a)의 가이드경사면(12a')에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일측(도 5(b)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터미널(Ta)이 계속 상승하면 상기 제1터미널(Ta)의 터미널몸체(Ta1)는 상기 제1수납홀(11')을 빠져나와 제2수납홀(31')의 가고정턱(32) 측으로 이동되고, 제1터미널(Ta)의 걸이부(Ta2)가 상기 가고정턱(32)에 걸어지면 제1터미널(Ta)의 가고정상태가 완료된다.
이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10)과 상부하우징(30)이 2차조립되면, 상기 지지턱(12a)이 제1터미널(Ta)의 터미널몸체(Ta1) 하단측으로 이동하여 이를 지지하게 된다. 도 5(a)에서 보듯이, 상기 제1터미널(Ta)의 터미널몸체(Ta1)보다 상기 지지턱(12a)이 더 큰 폭을 가지므로, 상기 제1터미널(Ta)은 상기 메인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30) 사이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제2수납공간(31)에 퓨즈(F)나 릴레이(R)들을 실장시킨다. 이 과정에서 퓨즈(F)나 릴레이(R)의 일부가 상기 제1터미널(Ta) 및 제2터미널(Tb)의 제1연결부(Ta3,Tb3)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인하우징 11: 제1수납공간
11': 제1수납홀 13: 조립턱
16: 지지바 17: 체결편
20: 버스바차폐부 25: 커넥터조립부
30: 상부하우징 31: 제2수납공간
31': 제2수납홀 35: 가고정부
37: 체결부 T: 터미널
B1,B2: 버스바

Claims (12)

  1.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제1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부품이 실장되는 제2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을 감싼 상기 메인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지지바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고정부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메인하우징에 상부하우징이 가고정되고, 상기 지지바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가고정부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벗어나 가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수납홀과 제2수납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바에 가고정부가 걸어진 상태에서 전장부품의 걸이부가 걸어져 가고정되는 가고정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납홀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전장부품의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구비되어, 체결편에 체결부가 걸어지면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전장부품의 몸체 일측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차량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측으로 지지단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고정부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측으로 가고정단이 돌출되어, 상기 가고정단이 상기 지지단에 안착되면 상기 상부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에 가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간섭방지부에 의해 둘러져 감싸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체결편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체결부가 돌출되어, 상기 체결편에 상기 체결부가 걸어지면 상기 메인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이 2차결합되고, 상기 체결편 및 상기 체결부가 걸어지는 위치는 상기 지지바 및 가고정부가 서로 걸어지는 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메인하우징의 저면에 가깝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지지바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가고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홀의 상기 상부하우징을 향해 개구된 일측 가장자리에는 전장부품의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제1수납홀의 개구된 출구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수납홀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홀의 횡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납홀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턱은 상기 전장부품의 몸체보다 더 크거나 같은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턱의 저면에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장부품이 상기 제1수납홀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는 버스바가 실장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버스바차폐부가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메인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조립방향을 따라 커넥터조립부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KR1020140189100A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블럭 KR10155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00A KR101553702B1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블럭
US14/978,368 US9627869B2 (en) 2014-12-24 2015-12-22 Block for vehicle
EP15201955.0A EP3037304B1 (en) 2014-12-24 2015-12-22 Electrical junction box for vehicle
CA2916224A CA2916224C (en) 2014-12-24 2015-12-23 Block for vehicle
CN201510982932.5A CN105742873B (zh) 2014-12-24 2015-12-24 用于车辆的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00A KR101553702B1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702B1 true KR101553702B1 (ko) 2015-09-30

Family

ID=5424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100A KR101553702B1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블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7869B2 (ko)
EP (1) EP3037304B1 (ko)
KR (1) KR101553702B1 (ko)
CN (1) CN105742873B (ko)
CA (1) CA29162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6746B1 (en) 2017-02-21 2018-05-08 Cantex, Inc. Adjustable electric box and bracket combination
JP7017551B2 (ja) * 2019-12-25 2022-02-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電気接続箱の製造装置、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74Y1 (ko) 2007-07-02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박스
KR101212055B1 (ko) 2011-07-08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터미널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13537U1 (de) * 2000-08-07 2002-01-10 Leoni Bordnetz Sys Gmbh & Co Steuergerät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JP4298952B2 (ja) * 2002-02-15 2009-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100814929B1 (ko) 2006-09-06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JP5088812B2 (ja) * 2007-01-10 2012-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101787068B1 (ko) 2011-07-13 2017-10-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와 그 조립방법
EP2750492B1 (en) * 2011-09-26 2019-05-01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Electrical junction box
JP5954782B2 (ja) * 2012-08-10 2016-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N203611890U (zh) * 2013-10-30 2014-05-2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保险盒骨架、车辆保险盒及车辆
CN203942236U (zh) * 2014-07-03 2014-11-12 矢崎总业株式会社 电气接线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74Y1 (ko) 2007-07-02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박스
KR101212055B1 (ko) 2011-07-08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터미널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42873A (zh) 2016-07-06
US9627869B2 (en) 2017-04-18
CA2916224C (en) 2018-01-16
EP3037304B1 (en) 2018-10-31
EP3037304A1 (en) 2016-06-29
CN105742873B (zh) 2019-02-19
US20160190784A1 (en) 2016-06-30
CA2916224A1 (en)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US103964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146184A (en)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20140187085A1 (en)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25375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US9385480B2 (en) Connector
JP2009110963A (ja) ばね力接続装置
CN109616829B (zh) 连接器
EP2846417B1 (en)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 used therefor
KR20120110029A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KR20110013383A (ko) 전기 커넥터
KR101553702B1 (ko) 차량용 블럭
US9093770B2 (en) Connector element having second contact securing means
CN102201306B (zh) 部件整装支架安装结构
WO2019098653A1 (ko) 커넥터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0759123B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US20120270434A1 (en) Cable clamp for cable connector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40002764A (ko) 커넥터
JP2019067744A (ja) コネクタ
KR102429531B1 (ko) 메일 커넥터
KR101705076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69479B1 (ko) 피씨비 조립용 터미널 블록
KR101292571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