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22A -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522A
KR20210059522A KR1020190147060A KR20190147060A KR20210059522A KR 20210059522 A KR20210059522 A KR 20210059522A KR 1020190147060 A KR1020190147060 A KR 1020190147060A KR 20190147060 A KR20190147060 A KR 20190147060A KR 20210059522 A KR20210059522 A KR 2021005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holder
rework
base
pai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522A/ko
Publication of KR2021005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22)와,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21)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측벽(23)과, 상기 측벽(23)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팔보 형상이고, 걸이홈(26b)이 형성되는 탄성암(26)과, 상기 탄성암(26)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23) 및 베이스(22)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벽(23) 및 베이스(22)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워크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리워크레버(30)가 상기 베이스(22)의 중심을 향해 당겨지면 상기 탄성암(26)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암이 탄성슬릿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리워크레버가 당겨지면 탄성암이 리워크레버에 연동되어 탄성변형됨으로써 하우징의 체결돌기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별도의 치구 없이도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분리작업이가능하므로 분리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REAR HOLDER AND CONNECTOR WITH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분리 가능한 리어홀더가 구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터미널을 설치하여 상대 커넥터와 결합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랜스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터미널에 작용하는 힘이 커지게 됨에 따라 밀림방지의 목적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랜스와 별도로 스페이서나 리어홀더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터미널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이 밀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이후에 터미널의 불량 또는 오조립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의 리어홀더는 분리작업을 위해서 별도의 치구를 필요로 하여 작업자는 항상 치구를 구비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치구를 이용해 리어홀더를 분리시키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홀더의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체결부를 들어서 결합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치구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가동반경이 필요한데 커넥터가 차량 내부 등에 이미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는 치구를 움직일 만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구를 움직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위해서 주변의 부품들을 먼저 탈거한 후 분리작업을 진행하는 등 리어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치구를 사용하여 리어홀더에 힘을 과도하게 주거나 반복적으로 분리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수지로 만들어진 리어홀더가 부분적으로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001)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0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구를 사용하지 않고 리어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작업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어홀더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와,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팔보 형상이고, 걸이홈이 형성되는 탄성암과,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워크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워크레버가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향해 당겨지면 상기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측벽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이홈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선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돌기는 상기 합류부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암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측벽으로 둘러싸여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측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암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워크레버가 형성된 리어홀더와, 길이방향을 따라서 터미널이 삽입되고, 상기 리어홀더가 걸어지는 체결돌기가 돌출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워크레버가 상기 리어홀더의 중심을 향해 당겨지면 상기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는 상기 리어홀더의 하우징으로의 결합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이홈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선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돌기는 상기 합류부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암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암이 탄성슬릿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리워크레버가 당겨지면 탄성암이 리워크레버에 연동되어 탄성변형됨으로써 하우징의 체결돌기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별도의 치구 없이도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분리작업이가능하므로 분리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워크레버는 파지돌기가 리어홀더의 베이스가 차지하는 면적 내에서 베이스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베이스가 차지하는 면적 내에서 이동하며 탄성암을 탄성변형 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우징과 리어홀더가 분리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분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워크레버는 리어홀더의 측벽과 베이스를 따라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리어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리어홀더 자체가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홀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홀더의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1) 및 리어홀더(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1)는 하우징(10)과 리어홀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터미널공(미도시)에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횡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된 단자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1)를 통해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고, 상기 단자부(11)를 감싸도록 리어홀더(20)가 결합된다.
상기 단자부(11)의 양측에는 체결돌기(12)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돌기(12)에는 상기 리어홀더(20)의 걸이홈(26b)이 걸려 상기 하우징(10)과 리어홀더(20)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돌기(12)는 상기 단자부(11)의 외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이상으로는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돌기(12)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기(12)가 너무 낮게 형성되면 상기 리어홀더(20)와의 결합이 너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2)가 너무 높게 형성되면 상기 리어홀더(20)의 탄성암(26)이 과도하게 변형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 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돌기(12)는 상기 리어홀더(20)가 결합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기(12)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서 상기 리어홀더(20)의 탄성암(26)이 부드럽게 탄성변형된다.
상기 리어홀더(20)는 상기 하우징(10)의 단자부(11)에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더(20)는 상기 단자부(11)를 통해서 삽입된 터미널(미도시)들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홀더(20)는 상기 단자부(11)에 형성된 터미널공(미도시)과 연통되게 관통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례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리어홀더(20)에 상기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리어홀더(20)는 상기 커넥터(1)의 차폐커버로써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홀더(20)는 일측이 개방되게 수용공간(21)을 가진다. 상기 수용공간(21)의 입구로 상기 단자부(11)가 진입하여 상기 수용공간(21) 내에 상기 단자부(11)가 수용된다.
상기 리어홀더(20)는 베이스(22)와 측벽(23)이 외관을 형성한다. 즉, 상기 수용공간(21)은 상기 베이스(22)와 측벽(23)에 둘러싸여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2)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다. 상기 베이스(22)는 직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22)가 육면체의 하우징(10) 형상과 대응되게 직사각형상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측벽(23)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23)은 상기 베이스(22)의 장변에 형성되는 장측벽(24)과, 상기 베이스(22)의 단변에 형성된 단측벽(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에 상기 한 쌍의 장측벽(24)과 한 쌍의 단측벽(25)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측벽(24)과 단측벽(25)은 서로 연장되는 길이에만 차이가 있을 뿐, 재질 및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측벽(25)에 형성되는 구성은 상기 장측벽(24)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측벽(25) 위치에 장측벽(24)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장측벽(24) 위치에 단측벽(2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측벽(25)에는 탄성암(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단측벽(25)에 탄성암(26)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암(26)은 상기 단측벽(25)의 일부가 탄성슬릿(26a)에 의해 절개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암(26)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암(26)에는 걸이홈(26b)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6b)에는 상기 단자부(11)에 형성된 체결돌기(12)가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걸이홈(26b)은 상기 체결돌기(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암(26)이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이홈(26b)은 상기 체결돌기(12)에 걸어지고, 상기 하우징(10)과 리어홀더(2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더(20)에는 리워크레버(30)가 구비된다. 작업자가 상기 리워크레버(3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탄성암(26)이 상기 수용공간(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체결돌기(12)와 걸이홈(26b)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리어홀더(2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리워크레버(30)는 상기 한 쌍의 탄성암(26)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30)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워크레버(30)는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 및 파지돌기(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 및 파지돌기(35)가 그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암(26)의 선단에는 들뜸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들뜸부(31)는 상기 탄성암(26)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리워크레버(30)와 탄성암(26) 사이의 소정거리의 틈(W)을 형성한다. 상기 틈(W)은 상기 리워크레버(30)가 작동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리워크레버(30)가 작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들뜸부(31)로부터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가 상기 리어홀더(20)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그 선단이 상기 들뜸부(31)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상기 들뜸부(31)에 의해 상기 탄성암(26)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작업자가 상기 리워크레버(3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탄성암(26)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탄성암(26)을 상기 수용공간(21)의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상기 탄성암(26)의 걸이홈(26b) 양쪽으로 연장되되 상기 단측벽(25)의 외면과 상기 틈(W)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리어홀더(20)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상기 탄성암(26)의 자유단에서부터 고정단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베이스(22)에서는 90도 꺽인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도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상기 베이스(22)의 외면과 상기 틈(W)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연장된다.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는 상기 베이스(2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22)의 중심쪽으로 연장된다. 즉, 한 쌍의 리워크레버(30)는 상기 베이스(22)의 외면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가 상기 베이스(22)의 외면에서 소정거리 연장되면 서로 합쳐져 합류부(34)가 형성된다. 상기 합류부(34)는 작업자가 하나의 힘점에만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에 동시에 힘이 전달되어 상기 탄성암(26)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합류부(3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가 서로 사선방향으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가 만나는 구조이면 된다.
상기 합류부(34)에는 파지돌기(35)가 돌출된다. 상기 파지돌기(35)는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0)과 리어홀더(20)의 분리작업을 할 때 실제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파지돌기(35)는 상기 합류부(34)로부터 상기 베이스(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파지돌기(35)는 상기 합류부(34)에 형성되는 것이지만, 상기 파지돌기(35) 자체가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의 합류부(34)가 될수도 있다.
상기 리워크레버(3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돌기(35)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워크레버(30)와 동일한 재질이 탄성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파지돌기(35)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파지돌기(35)를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탄성암(26)은 상기 탄성스프링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상기 체결돌기(12)와의 걸림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1)의 리어홀더(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커넥터(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0)과 리어홀더(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작업을 진행한다.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30)에 각각 형성된 파지돌기(35)를 손으로 잡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화살표 ①)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파지돌기(35)에 화살표 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합류부(34)를 통해서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에 동시에 힘이 전달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암(26)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②)으로 탄성변형 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돌기(35)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연장부(32) 및 제2연장부(33)는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걸쳐지면서 상기 틈(W)의 폭이 0이 되고, 상기 제1연장부(32)와 제2연장부(33)가 상기 탄성암(26)을 화살표 ② 방향으로 탄성변형 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연장부(32) 및 제2연장부(33)는 상기 베이스(22)의 가장자리가 받침점으로 작용하는 지렛대가 되어 상기 탄성암(26)을 탄성변형 시킨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파지돌기(35)는 상기 베이스(22)가 이루는 면적 내에 위치하고, 상기 파지돌기(35)의 작동범위도 상기 베이스(22) 내에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파지돌기(35)에 힘을 줄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 확보되면 상기 리워크레버(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22)의 면적 정도의 넓이를 가지는 공간이 확보되면 작업자는 상기 파지돌기(35)에 힘을 가하여 상기 리워크레버(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탄성암(26)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이홈(26b)에 걸려있던 체결돌기(12)가 상기 걸이홈(26b)으로부터 빠져나오고, 상기 하우징(10)과 리어홀더(20)가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커넥터 10 : 하우징
11 : 단자부 12 : 체결돌기
20 : 리어홀더 21 : 수용공간
22 : 베이스 23 : 측벽
24 : 장측벽 25 : 단측벽
26 : 탄성암 26a : 탄성슬릿
26b : 걸이홈 30 : 리워크레버
31 : 들뜸부 32 : 제1연장부
33 : 제2연장부 34 : 합류부
35 : 파지돌기

Claims (12)

  1.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와,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팔보 형상이고, 걸이홈이 형성되는 탄성암과,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워크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워크레버가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향해 당겨지면 상기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리어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측벽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돌기를 포함하는 리어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이홈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선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류부를 포함하는 리어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돌기는 상기 합류부에 형성되는 리어홀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리어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는 리어홀더.
  7. 측벽으로 둘러싸여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측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암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벽 및 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워크레버가 형성된 리어홀더와,
    길이방향을 따라서 터미널이 삽입되고, 상기 리어홀더가 걸어지는 체결돌기가 돌출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워크레버가 상기 리어홀더의 중심을 향해 당겨지면 상기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탄성암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어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는 상기 리어홀더의 하우징으로의 결합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이홈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선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류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돌기는 상기 합류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레버는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한 쌍의 탄성암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워크레버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는 커넥터.
KR1020190147060A 2019-11-15 2019-11-15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210059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060A KR20210059522A (ko) 2019-11-15 2019-11-15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060A KR20210059522A (ko) 2019-11-15 2019-11-15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22A true KR20210059522A (ko) 2021-05-25

Family

ID=7614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060A KR20210059522A (ko) 2019-11-15 2019-11-15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95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05Y1 (ko) 2005-12-19 2006-03-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리어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05Y1 (ko) 2005-12-19 2006-03-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리어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3484B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KR102012780B1 (ko) 전기 커넥터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JP4291345B2 (ja) 接続装置
JP4291341B2 (ja) 接続装置
JPH11273787A (ja) コネクタ
US20170117675A1 (en) Electric connector
KR20140032289A (ko) 커넥터 조립체
JP2012109039A (ja) 端子接続構造
US10622743B2 (en)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US9419357B2 (en) Connector assembly
JP2018116773A (ja) 接続機器
JP6352676B2 (ja) コネクタ
JP2016091970A (ja) ソケット端子構造
JP4475185B2 (ja) コネクタ
KR20210059522A (ko)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WO2014119262A1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210055523A (ko) 커넥터
JP6278863B2 (ja) コネクタ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JP2009151962A (ja) 電気コネクタ
KR20240070054A (ko)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