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054A -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054A
KR20240070054A KR1020220151404A KR20220151404A KR20240070054A KR 20240070054 A KR20240070054 A KR 20240070054A KR 1020220151404 A KR1020220151404 A KR 1020220151404A KR 20220151404 A KR20220151404 A KR 20220151404A KR 20240070054 A KR20240070054 A KR 2024007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terlocking
protrusion
termin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대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0054A/ko
Publication of KR2024007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제1커넥터(10)에는 무빙홀더(40)가 위치되어 제2커넥터(60)와의 결합과 분리 시에 제2커넥터(60)와 함께 무빙홀더(4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40)에는 조인트절환레버(48)가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0)에 있는 조인트터미널(20)을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Moving hold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에, 이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은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터미널 들이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의 숫자가 많고 가늘게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터미널들의 정렬이 일정하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측 커넥터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무빙홀더를 사용하여 터미널 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빙홀더는 예를 들어 제1커넥터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동작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아직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무빙홀더가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입구쪽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 최 내측에 상기 무빙홀더가 위치된다.
한편, 일반적인 커넥터조립체에서는, 예를 들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어야만 해당 커넥터조립체가 수행하는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들 커넥터조립체와 연결된 부품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서, 일단 커넥터조립체의 결합을 수행한 이후에 동작상태를 테스트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어야만 회로가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로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624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918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내부에 있는 조인트터미널을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동작과 연동되어 동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내부에 조인트터미널을 두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회로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빙홀더는 터미널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제1커넥터에 있는 조인트터미널을 조작하는 조인트절환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제1터미널을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랜스지지바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무빙홀더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에서 상기 걸이레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커넥터에 연결되어 제2커넥터와 일체로 이동하게 하는 연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홀더측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와 연동레버는 상기 홀더베이스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는 2개가 쌍을 이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동레버도 2개가 쌍을 이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연동레버 쌍 선단의 연동턱이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에 인접한 위치에는 무빙홀더의 1차위치를 규제하는 1차유지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는 제1하우징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에 제1터미널설치부가 형성되어 제1터미널과 조인트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와 마주보게 제1연동돌기가 있는 탄성연동레버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무빙홀더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무빙홀더와의 연동을 위해 제2연동돌기와 연동턱안내돌기가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빙홀더에는 상기 조인트터미널의 조작을 위한 조인트절환레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2커넥터와 일체로 상기 제1내부공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에 있는 상기 제1연동돌기는 상기 제2커넥터의 제2연동돌기와 연동되어 탄성연동레버의 탄성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탄성연동레버에는 제1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무빙홀더의 1차유지단이 상기 제1연동돌기와 제2연동돌기의 연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의 제2연동돌기와 연동턱안내돌기는 상기 제2내부공간에 있는 제2터미널설치부의 선단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연동돌기의 양측면에 상기 연동턱안내돌기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동턱안내돌기에는 각각 소정의 경사가 있는 걸이면과 안내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돌기는 아치형 또는 반원판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연동돌기에는 상기 제1연동돌기에 안내되는 탄성변형안내면이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통공이 형성되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조인트터미널을 조작하는 상기 조인트절환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제1터미널을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랜스지지바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무빙홀더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에서 상기 걸이레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연동턱안내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무빙홀더가 제2커넥터와 일체로 이동하게 하는 연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댜.
상기 걸이레버와 연동레버는 상기 홀더베이스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레버에 있는 연동턱과 상기 제2커넥터의 연동턱안내돌기가 서로 걸어져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는 2개가 쌍을 이뤄 나란히 구비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설치부에 구비된 임시위치돌기와 제1위치돌기에 선택적으로 걸어져서 상기 무빙홀더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 쌍은 상기 무빙홀더의 일측면에 2쌍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무빙홀더의 타측면에도 2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시위치돌기와 제1위치돌기에는 각각 상기 제1내부공간의 입구를 향해 경사가 있을 수 있고, 반대쪽에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의 외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시위치돌기와 제1위치돌기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의 외면에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빙홀더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빙홀더가 제1커넥터에 구비되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동작에 따라 무빙홀더가 이동되면서 제1커넥터 내부에 있는 조인트터미널을 조작하여 내부의 터미널이 연결되고 분리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조인트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제1커넥터가 조인트커넥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조인트터미널은 제1커넥터에 있는 다수의 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였다. 상기 조인트터미널의 역할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커넥터 측의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커넥터와 관련된 부품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무빙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무빙홀더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인트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제2연동돌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무빙홀더가 제1하우징에 설치되고 터미널을 삽입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하우징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무빙홀더가 제2커넥터와의 결합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무빙홀더가 조인트터미널을 조작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무빙홀더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는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무빙홀더와 탄성연동레버 사이의 관계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에 의해 무빙홀더가 이동되기 위한 결합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무빙홀더(4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1커넥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60)와 제1커넥터(10)의 결합과 분리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6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제1하우징(12)의 선단으로 개방된 제1내부공간(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공간(14)에는 상기 제2커넥터(60)의 제2하우징(6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제1터미널설치부(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를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공간(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8)은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를 관통하여 상기 제1내부공간(14)과 제1하우징(12)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8)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제1터미널(19)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8) 내에는 랜스(18")(도 10 참고)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랜스(18")는 제1터미널(19)가 제1터미널안착공간(18) 내에서 뒤로 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에는 조인트터미널공간(18')도 있다. 상기 조인트터미널공간(18')에는 조인트터미널(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은 다수개의 상기 제1터미널(19)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은 상기 제1커넥터(10)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6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개의 제1터미널(19)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제1터미널(19)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은 도 7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의 골격을 터미널몸체(2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몸체(22)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몸체(22)는 그 일부가 판모양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몸체(22)의 폭방향 양측에는 고정돌기(23)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23)는 조인트터미널(20)을 상기 제1하우징(12)의 조인트터미널공간(18')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몸체(22)의 일측에서 분리되어 연장되어서 제1절곡부(24)와 제2절곡부(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이 3개의 제1터미널(19)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면, 제3절곡부가 더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24)와 제2절곡부(24')는 각각 상기 터미널몸체(22)에서 거의 180도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24)에서 연장되어서 제1접속부(26)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절곡부(24')에서 연장되어 제2접속부(2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26)와 제2접속부(26')는 각각 별도의 제1터미널(19)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26)와 제2접속부(26')는 상기 제1절곡부(24)와 제2절곡부(24')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24)와 제2절곡부(24')는 상기 터미널몸체(22)와 마주보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26)와 제2접속부(26')는 아래에서 설명될 무빙홀더(40)의 조인트절환레버(48)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26)와 제2접속부(26')는 조인트절환레버(48)에 의해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터미널(19)에 접촉되어 있다. 만약 조인트절환레버(48)가 상기 제1접속부(26)와 제2접속부(26')를 눌러서 상기 터미널몸체(22) 쪽으로 이동되게 하면 상기 제1접속부(26) 및 제2접속부(26')는 제1터미널(19)과의 접촉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에는 탄성연동레버(3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는 외팔보 형상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는 상기 터미널설치부(16)의 외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는 제1하우징(12)의 내부공간(14)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는 상기 제2커넥터(60)의 일측에 의해 밀려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에는 제1연동돌기(32)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연동돌기(32)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외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돌기(32)는 양측의 탄성연동레버(30)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돌기(32)는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그 방향으로 아치형상 또는 반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돌기(32)는 제2커넥터(60)의 제2연동돌기(70)에 있는 탄성변형안내면(72)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에는 제1지지단(3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단(34)은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단(34)은 상기 연동돌기(3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단(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무빙홀더(40)의 1차유지단(54)이 안착되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면에는 외부삽입가이드(3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부삽입가이드(35)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삽입가이드(35)는 상기 제2커넥터(60)와의 결합과 분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면에는 내부삽입가이드(35')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삽입가이드(35')도 상기 외부삽입가이드(35)와 같이 상기 결합과 분리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는 임시위치돌기(3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임시위치돌기(36)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측면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임시위치돌기(36)에는 경사면(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6')은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입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6')의 반대쪽이 되는 상기 임시위치돌기(36)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외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된다. 이 평면은 제2커넥터(60)와의 일체 이동 말기에 무빙홀더(40)가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임시위치돌기(36)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1위치돌기(3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위치돌기(37)에도 경사면(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7')은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입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7')의 반대쪽이 되는 상기 제1위치돌기(37)에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외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된다. 이 평면은 제2커넥터(60)와의 일체 이동 말기에 무빙홀더(40)가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는 쌍을 이뤄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의 쌍은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일측 외면에 2쌍이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는 없지만,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의 쌍이 형성된 반대면에도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의 쌍이 2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의 선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에서 다르게 된다.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내부공간(14)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먼저, 무빙홀더(40)가 상기 제1내부공간(14)에 있지만, 상기 제1터미널(19)을 터미널안착공간(18)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위치에 상기 무빙홀더(40)가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하네스의 터미널을 삽입하는 공정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결합을 시작할 수 있는 위치인 제1위치에 상기 무빙홀더(40)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2커넥터(60)가 제1커넥터(10)에 완전히 결합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최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를 제2위치라 명한다. 따라서, 커넥터조립체의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위치에 무빙홀더(40)가 있고,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위치에 상기 무빙홀더(40)가 있다.
상기 무빙홀더(40)는 홀더베이스(42)와 홀더측벽(4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베이스(42)는 판형상으로 되고, 상기 홀더측벽(43)은 상기 홀더베이스(4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베이스(42)에는 다수개의 터미널통공(4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통공(42')에는 상기 제1터미널(19)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홀더베이스(42)에는 제1가이드리브(45)가 직립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45)는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45)는 상기 홀더베이스(42)에 직립하여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홀더측벽(43)에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리브(4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리브(45')는 상기 무빙홀더(40)가 이동하는 방향, 즉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결합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베이스(42)에는 랜스지지바아(4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랜스지지바아(47)는 상기 랜스(18")를 지지하여 랜스(18")가 제1터미널(19)을 지지하는 것이 훼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랜스지지바아(47)는 상기 랜스(18")가 탄성변형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랜스지지바아(47)는 상기 홀더베이스(42)의 배면, 즉 상기 제1가이드리브(45)가 형성된 반대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랜스지지바아(47)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무빙홀더(40)가 있을 때, 상기 랜스(18")를 지지한 상태이다.(도 11과 도 12참고) 하지만, 와이어하네스와의 결합을 위한 시점에서는 상기 랜스지지바아(47)는 상기 랜스(18")를 지지하지 않게 된다.(도 10 참고)
상기 랜스지지바아(47)가 형성된 상기 홀더베이스(42)의 배면에는 조인트절환레버(4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인트절환레버(48)는 상기 조인트터미널공간(18')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절환레버(48)에는 경사면(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48')은 상기 조인트절환레버(48)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절환레버(48)는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의 접속부(26,26') 일측을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40)에는 걸이레버(5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50)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이레버(50)가 상기 임시위치돌기(36)와 제1위치돌기(37)에 상기 무빙홀더(40)의 위치에 따라서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레버(50)는 2개가 한 쌍으로 2쌍이 상기 무빙홀더(4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타측면에도 2개가 한 쌍으로 2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50)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턱(5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52)은 상기 임시위치돌기(36)나 제1위치돌기(37)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0) 내에서 상기 무빙홀더(40)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걸어지는 위치가 달리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50)가 형성된 홀더측벽(43) 근처에는 1차유지단(5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차유지단(54)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유지단(54)은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제1지지단(34)에 일측이 안착되어 무빙홀더(40)가 임의로 1차위치에서 2차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2커넥터(60)가 제1커넥터(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연동레버(30)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1차유지단(54)이 상기 제1지지단(34)에서 빠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연동레버(30)가 탄성변형되지 않고 있으면, 상기 무빙홀더(4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차유지단(54)이 있는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서는 연동레버(5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56)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56)의 쌍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동레버(56)에는 연동턱(5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턱(58)은 인접한 연동레버(56)의 것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56)는 상기 무빙홀더(40)가 제2커넥터(6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2커넥터(60)가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무빙홀더(40)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레버(56)는 상기 제2커넥터(60)의 연동턱안내돌기(74)에 상기 연동턱(58)이 걸어진 상태로 제2커넥터(60)와 함께 무빙홀더(4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56)의 쌍은 2곳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레버(50) 쌍이 있는 외면에 상기 연동레버(5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56)의 연장방향은 상기 걸이레버(50)의 연장방향과는 반대로 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뒤부분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매트시일(59')과 리어홀더(5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6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제2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6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의 내부에는 제2내부공간(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공간(64)에는 제2터미널설치부(6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설치부(66)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설치부(66)를 관통하여서 제2터미널안착공간(6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68)은 상기 제2하우징(62)을 관통하여 상기 제2내부공간(64)과 제2하우징(62)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68) 내에서는 제2터미널(69)(도 12 참고)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제2연동돌기(7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연동돌기(70)는 상기 제2터미널설치부(6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돌기(70)는 2개가 상기 제2터미널설치부(66)의 양측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돌기(70)는 상기 제1연동돌기(32)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돌기(70)에 의해 상기 제1연동돌기(32)가 밀리면서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탄성변형이 발생한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탄성변형이 발생하면 상기 무빙홀더(40)의 1차유지단(54)이 상기 탄성연동레버(30)에 더 이상 걸어져 있지 않아,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연동돌기(32)와의 연동을 위해서 상기 제2연동돌기(70)에는 탄성변형안내면(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안내면(72)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제1연동돌기(32)에 안내되면서 상기 탄성연동레버(30)를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제2연동돌기(70)에는 연동턱안내돌기(7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턱안내돌기(74)는 상기 제2연동돌기(70)의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턱안내돌기(74)에는 걸이면(76)과 안내경사면(7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면(76)은 선단가장자리를 향해 약간의 경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77)은 상기 걸이면(76)의 경사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걸이면(76)에는 상기 무빙홀더(40)의 연동레버(56)의 연동턱(58)이 걸어질 수 있다. 이 상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면(76)이 상기 연동턱(58)에 걸어진 상태로 상기 무빙홀더(40)가 상기 제2커넥터(6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의 내면에는 가이드채널(7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79)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부삽입가이드(3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79)과 상기 외부삽입가이드(35)의 상대 안내에 의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빙홀더(40)가 동작되는 것은 도 10에서 도 1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빙홀더(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공간(14) 내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걸이레버(50)의 걸이턱(52)이 상기 임시위치돌기(36)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걸이턱(52)이 임시위치돌기(36)에 걸어져 있어서, 제1하우징(12)의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1내부공간(14)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수는 잇다. 이때,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1내부공간(14) 내에 있어서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무빙홀더(40)는 상기 걸이레버(50)가 상기 임시위치돌기(36)에 걸어진 상태를 계속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8)에 상기 제1터미널(19)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랜스(18")가 탄성변형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랜스지지바아(47)가 아직 상기 랜스(18")를 지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터미널(19)을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8)에 장착하는 작업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무빙홀더(40)를 도 11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내측으로, 즉 제1위치로 상기 무빙홀더(4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랜스지지바아(47)가 상기 랜스(18")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조인트절환레버(48)는 상기 조인트터미널(20)에 닿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19)은 상기 홀더베이스(42)의 터미널통공(42')을 관통해서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터미널(19) 들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1터미널(19)이 외력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스(18")가 상기 랜스지지바아(47)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제1터미널(19)이 제1터미널안착공간(18) 내에서 임의로 이동될 수 없다.
한편, 상기 무빙홀더(40)는 도 11의 상태, 즉 제1위치에서는 상기 1차유지단(54)이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제1지지단(34)에 안착되어 있어서,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내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걸이레버(50)가 제1위치돌기(37)에 걸어져 있어서,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외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무빙홀더(40)는 제1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는 제2커넥터(60)가 제1커넥터(10)와 결합되기 시작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도 13에는 도 11의 상태에 대응되는 탄성연동레버(30)와 1차유지단(54) 그리고 제1연동돌기(32)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3의 상태에서 도 12와 도 14의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제2커넥터(60)가 제1커넥터(10)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2커넥터(60)의 일부가 제1내부공간(14)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런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60)의 제2연동돌기(70)가 상기 제1내부공간(14) 내에 있는 상기 탄성연동레버(30)를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가 상기 제2연동돌기(70)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것은, 상기 제2연동돌기(70)가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제1연동돌기(32)를 밀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연동레버(30)가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1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탄성연동레버(30)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제1지지단(34)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단(34)에 걸려 있던 상기 1차유지단(54)이 제1지지단(34)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커넥터(60)가 상기 제1내부공간(14)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무빙홀더(40)가 밀리면서 이동하게 되고,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이 완성되면, 도 12에 있는 상태, 즉 제2위치에 무빙홀더(40)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홀더(40)에 있는 조인트절환레버(48)가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의 접속부(26,26')를 눌러주게 되어 상기 조인트터미널(20)의 접속부(26,26')와 제1터미널(19)의 접촉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랜스지지바아(47)는 계속하여 상기 랜스(18")를 지지하여 랜스(18")가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12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보면, 상기 탄성연동레버(30)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무빙홀더(40)가 이동되었으므로, 상기 1차유지단(54)은 상기 제1지지단(34)보다 도면 상 아래 쪽에 있고, 상기 걸이레버(50)의 걸이턱(52)은 상기 제1위치돌기(37)보다 아래쪽에 있다.
도 12의 상태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조인트터미널(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2개의 제1터미널(19)은 제2커넥터(60)에 있는 제2터미널(69)에 의해 또는 또 다른 부품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2의 상태는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분리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분리될 때, 상기 무빙홀더(40)가 상기 제2커넥터(60)와 함께 이동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내부공간(14) 내에서 이동하여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무빙홀더(40)가 이동된다.
상기 무빙홀더(40)의 이동은 상기 제2커넥터(60)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60)의 제2연동돌기(70) 양측면에 형성된 연동안내돌기(74)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동안내돌기(74)의 걸이면(76)은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레버(56)의 연동턱(58)에 걸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60)가 이동하면 상기 무빙홀더(40)도 같이 이동한다.
상기 제2커넥터(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연동돌기(70)도 같이 이동하고, 상기 제2연동돌기(70)에 의해 상기 탄성연동레버(30)의 제1연동돌기(32)가 밀리면서 상기 무빙홀더(40)의 1차유지단(54)이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빙홀더(40)의 이동은 상기 걸이레버(50)의 걸이돌기(52)가 상기 1차위치돌기(37)에 걸어질 때까지 될 수 있다. 상기 1차위치돌기(37)에 상기 걸이턱(52)이 걸어지는데, 이들 사이에는 경사면이 없기 때문에, 상기 걸이턱(52)이 상기 1차위치돌기(37)에 걸어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상기 무빙홀더(40)와 제2커넥터(60)가 결합된 부분에서는 슬립에 의한 분리가 발생한다. 즉, 상기 연동턱안내돌기(74)의 걸이면(76)에 경사가 있고, 상기 연동레버(56)의 연동턱(58)에도 경사가 있어서, 이들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상기 무빙홀더(40)와 제2커넥터(60) 사이에서는 분리가 일어난다. 결국 상기 무빙홀더(40)는 상기 제1내부공간(14) 내의 1차위치에 남아 있고, 상기 제2커넥터(60)는 제1커넥터(10)의 제1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제1내부공간 16: 제1터미널설치부
18: 제1터미널안착공간 18': 조인트터미널설치공간
18" : 랜스 19: 제1터미널
20: 조인트터미널 22: 터미널몸체
23: 고정돌기 24: 제1절곡부
24': 제2절곡부 26: 제1접속부
26': 제2접속부 30: 탄성연동레버
32: 제1연동돌기 34: 제1지지단
36: 임시위치돌기 36': 경사면
37: 제1위치돌기 37: 경사면
40: 무빙홀더 42: 홀더베이스
42': 터미널통공 43: 홀더측벽
45: 제1가이드리브 45': 제2가이드리브
47: 랜스지지바아 48: 조인트절환레버
48': 경사면 50: 걸이레버
52: 걸이턱 54: 1차유지단
56: 연동레버 58: 연동턱
59: 리어홀더 59': 매트시일
60: 제2커넥터 62: 제2하우징
64: 제2내부공간 66: 제2터미널설치부
68: 제2터미널안착공간 69: 제2터미널
70: 제2연동돌기 72: 탄성변형안내면
74: 연동턱안내돌기 76: 걸이면
77: 안내경사면 79: 가이드채널

Claims (15)

  1. 터미널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제1커넥터에 있는 조인트터미널을 조작하는 조인트절환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제1터미널을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랜스지지바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무빙홀더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에서 상기 걸이레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커넥터에 연결되어 제2커넥터와 일체로 이동하게 하는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무빙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홀더측벽이 구비되는 무빙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와 연동레버는 상기 홀더베이스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무빙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는 2개가 쌍을 이뤄 구비되고, 상기 연동레버도 2개가 쌍을 이뤄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레버 쌍 선단의 연동턱이 마주보게 되는 무빙홀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에 인접한 위치에는 무빙홀더의 1차위치를 규제하는 1차유지단이 구비되는 무빙홀더.
  6. 제1하우징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에 제1터미널설치부가 형성되어 제1터미널과 조인트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와 마주보게 제1연동돌기가 있는 탄성연동레버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무빙홀더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무빙홀더와의 연동을 위해 제2연동돌기와 연동턱안내돌기가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홀더에는 상기 조인트터미널의 조작을 위한 조인트절환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2커넥터와 일체로 상기 제1내부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동레버에 있는 상기 제1연동돌기는 상기 제2커넥터의 제2연동돌기와 연동되어 탄성연동레버의 탄성변형을 발생시키고, 상기 탄성연동레버에는 제1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무빙홀더의 1차유지단이 상기 제1연동돌기와 제2연동돌기의 연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제2연동돌기와 연동턱안내돌기는 상기 제2내부공간에 있는 제2터미널설치부의 선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제2연동돌기의 양측면에 상기 연동턱안내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동턱안내돌기에는 각각 소정의 경사가 있는 걸이면과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돌기는 아치형 또는 반원판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연동돌기에는 상기 제1연동돌기에 안내되는 탄성변형안내면이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통공이 형성되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조인트터미널을 조작하는 상기 조인트절환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 있는 제1터미널을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랜스지지바아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무빙홀더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레버와,
    상기 홀더베이스에서 상기 걸이레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연동턱안내돌기에 연결되어 상기 무빙홀더가 제2커넥터와 일체로 이동하게 하는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와 연동레버는 상기 홀더베이스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레버에 있는 연동턱과 상기 제2커넥터의 연동턱안내돌기가 서로 걸어져 동작되는 커넥터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는 2개가 쌍을 이뤄 나란히 구비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설치부에 구비된 임시위치돌기와 제1위치돌기에 선택적으로 걸어져서 상기 무빙홀더의 위치를 규제하는 커넥터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 쌍은 상기 무빙홀더의 일측면에 2쌍이 있고, 상기 무빙홀더의 타측면에도 2쌍이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위치돌기와 제1위치돌기에는 각각 상기 제1내부공간의 입구를 향해 경사가 있고, 반대쪽에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의 외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위치돌기와 제1위치돌기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의 외면에 상기 제1터미널설치부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220151404A 2022-11-14 2022-11-14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20240070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04A KR20240070054A (ko) 2022-11-14 2022-11-14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04A KR20240070054A (ko) 2022-11-14 2022-11-14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054A true KR20240070054A (ko) 2024-05-21

Family

ID=9132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404A KR20240070054A (ko) 2022-11-14 2022-11-14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00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476A (ko)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20220091862A (ko) 2020-12-24 2022-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476A (ko)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20220091862A (ko) 2020-12-24 2022-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1889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90096446A (ko)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 및 이를 합체한 커넥터 조립체
KR20200077919A (ko)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JP2002530822A (ja) ガイド部材および取外しリセスを有する噛み合い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1987521B (zh) 用于插头的包括显示单元的壳体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240070054A (ko)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20210055523A (ko) 커넥터
US10193263B2 (en) Connector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KR20190081442A (ko) 고전압 커넥터
KR20240084978A (ko)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JP2019067744A (ja) コネクタ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JP2007506235A (ja) 電気コネクタ
KR102429531B1 (ko) 메일 커넥터
KR20200143876A (ko) 커넥터
JP2002267885A (ja) コネクタ組立体
JP5107004B2 (ja) 合体コネクタ
US5624284A (en) Electrical plug-type connector having an interlock mechanism
KR20190142497A (ko)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KR102316225B1 (ko)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KR20230172299A (ko) 무빙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101215637B1 (ko) 매립형 콘센트의 증설 터미널
US20240145962A1 (en) Flat conductor electric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