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442A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442A
KR20190081442A KR1020170183987A KR20170183987A KR20190081442A KR 20190081442 A KR20190081442 A KR 20190081442A KR 1020170183987 A KR1020170183987 A KR 1020170183987A KR 20170183987 A KR20170183987 A KR 20170183987A KR 20190081442 A KR20190081442 A KR 2019008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l
fastening
fastened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377B1 (ko
Inventor
이호성
하미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를 구비한 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의 개구 형성된 일측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를 구비한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체결돌기에 상기 체결후크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후크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체결후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상기 메일 커넥터에 체결시에 자동으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락킹유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씨피에이 체결 동작없이 커넥터의 삽입 동작만으로도 씨피에이의 2차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커넥터의 씨피에이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는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체결돌기(12)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11)를 구비한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메일 커넥터(10)의 개구 형성된 일측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돌기(12)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후크(22)가 구비되며, 메일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1)를 구비한 피메일 커넥터(200)와,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체결후크(22)의 하부에 구비되는 씨피에이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일 커넥터(10)은 일측면이 피메일 커넥터(20)이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메일 단자(11)가 배치되어 있다.
메일 커넥터(10)의 상면 일측에는 체결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피메일 커넥터(20)에 구비된 체결후크(22)와 체결됨으로써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 사이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피메일 커넥터(20)는 메일 커넥터(10)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피메일 단자(21)가 구비되어 메일 커넥터(10)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메일 단자(11)와 피메일 단자(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피메일 커넥터(20)의 상면 일측에는 체결후크(22)가 구비되어 체결후크(22)가 체결돌기(12)와 체결됨으로써 피메일 커넥터(20)와 메일 커넥터(10) 사이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씨피에이부재(30)는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가 체결된 후에 장착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로서,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를 체결시킨 후에 씨피에이부재(30)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체결후크(22)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에 각각 구비된 체결돌기(12)와 체결후크(22)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의 체결을 완료시킨 후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씨피에이부재(30)를 내측으로 밀어넣어야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공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씨피에이부재(30)를 내측으로 밀어 넣지 않을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씨피에이 체결 동작없이 커넥터의 삽입 동작만으로도 씨피에이의 2차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공수를 줄이고, 커넥터의 사출 구조를 단순화하며 협소한 공간에서의 씨피에이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를 구비한 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의 개구 형성된 일측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를 구비한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체결돌기에 상기 체결후크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후크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체결후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상기 메일 커넥터에 체결시에 자동으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락킹유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유지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상기 체결후크의 하부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씨피에이부재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상기 메일 커넥터에 체결시에 상기 씨피에이부재가 상기 메일 커넥터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피에이부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씨피에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단부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씨피에이부재를 상기 체결후크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조작노브와, 상기 체결후크가 하측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후크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외측 판면에 구비된 마그넷부재와, 상기 마그넷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메일 커넥터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부재가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성체는 상기 메일 커넥터의 전면에 양면 접착시트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메일 커넥터의 전면에 복수의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별도의 씨피에이 체결 동작없이 커넥터의 삽입 동작만으로도 씨피에이의 2차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공수를 줄이고, 커넥터의 사출 구조를 단순화하며 협소한 공간에서의 씨피에이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커넥터의 씨피에이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전압 커넥터의 씨피에이부재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고전압 커넥터의 마그넷부재가 부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전압 커넥터의 씨피에이부재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고전압 커넥터의 마그넷부재가 부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체결돌기(120)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110)를 구비한 메일 커넥터(100)와, 상기 메일 커넥터(100)의 개구 형성된 일측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돌기(120)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후크(22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일 단자(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10)를 구비한 피메일 커넥터(200)와, 상기 체결돌기(120)에 상기 체결후크(22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후크(22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후크(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를 상기 메일 커넥터(100)에 체결시에 자동으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락킹유지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일 커넥터(100)는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피메일 커넥터(200)이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복수의 메일 단자(1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메일 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메일 커넥터(100)의 외면 상측에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체결후크(220)와 체결되어 피메일 커넥터(200)와 메일 커넥터(100)가 상호 고정 되도록 하는 체결돌기(1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일 커넥터(100)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메일 커넥터(100)를 피메일 커넥터(200)로 삽입하여 체결시에 메일 커넥터(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피메일 커넥터(200)는 메일 커넥터(100)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메일 단자(110)와 피메일 단자(2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피메일 커넥터(200)의 전면도 개구 형성되고,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피메일 단자(210)가 배치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전면을 통하여 메일 단자(110)가 내부로 삽입되어 피메일 단자(2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피메일 커넥터(200)의 양측면에는 메일 커넥터(100)에 피메일 커넥터(200)를 체결시에 메일 커넥터(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3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230)이 피메일 커넥터(200)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피메일 커넥터(200)와 메일 커넥터(100)를 체결시에 피메일 커넥터(200)이 이동해야 하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메일 커넥터(100)에 체결되는 피메일 커넥터(200)가 어긋남으로 인하여 메일 단자(110)와 피메일 단자(210)의 결합 위치가 상이하여 이들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락킹유지부(300)는 체결돌기(120)에 체결후크(22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후크(22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후크(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를 상기 메일 커넥터(100)에 체결시에 자동으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락킹유지부(300)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체결후크(220)의 하부에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씨피에이부재(310)와, 피메일 커넥터(200)를 메일 커넥터(100)에 체결시에 씨피에이부재(310)가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씨피에이부재(310)는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씨피에이부재(3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재(311)와, 레일부재(311)의 단부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312)와, 씨피에이부재(310)를 체결후크(220)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메일 커넥터(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조작노브(313)와, 체결후크(220)가 하측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도록 체결후크(220)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판(3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씨피에이부재(310)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상면에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체결후크(220)가 돌출부재(120)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후크(220)의 하면을 지지하여 체결후크(220)가 하측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부재(311)는 씨피에이부재(310)가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에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씨피에이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부재(312)는 레일부재(311)의 단부에 레일부재(31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그 전면에는 후술할 구동부(320)를 구비하는 마그넷부재(322)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씨피에이부재(310)가 자동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조작노브(313)는 플레이트부재(312)가 구비된 레일부재(311)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를 분리시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립하여 씨피에이부재(310)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조작노브(313)의 일부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314)은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시에 씨피에이부재(310)가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면 체결후크(220)의 하면과 접촉되어 체결후크(220)를 지지함으로써 체결후크(220)가 임의로 하측으로 이동함을 방지하여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320)는 플레이트부재(312)의 외측 판면에 구비된 마그넷부재(322)와, 마그넷부재(322)와 대향되는 위치의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마그넷부재(322)가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그넷부재(322)는 자성을 갖는 부재로서 판상으로 형성되어 메일 커넥터(100)의 전방에 구비된 자성체(321)와 대향되는 플레이트부재(312)의 판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마그넷부재(322)는 3 cm2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자력은 98g/cm2 를 갖도록 형성되어 메일 커넥터(100)를 피메일 커넥터(200)에 삽입시에 자력에 의하여 씨피에이부재(310)가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성체(321)는 자성을 갖는 마그넷부재(322)에 부착되는 금속재로 형성된 부재로서, 이러한 자성체(321)는 마그넷부재(322)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메일 커넥터(100) 리브(140)의 전면에 구비되어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에 양면 접착시트(323)에 의하여 부착될 수도 있고,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에 복수의 고정볼트(324)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성체(321)는 메일 커넥터(100) 리브(140)의 전면에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메일 커넥터(100)를 사출 방식에 의하여 제작시에 자성체(321)가 메일 커넥터(100)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일 커넥터(1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0)가 피메일 커넥터(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30)에 삽입되도록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 일부를 피메일 커넥터(200)의 둘레면 내부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를 이동시키면 메일 단자(110)와 피메일 단자(210)가 상호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피메일 커넥터(200) 측으로 메일 커넥터(100)를 삽입 완료하면 피메일 커넥터(200)의 상면에 구비된 체결후크(220)가 메일 커넥터(100)의 상면에 구비된 체결돌기(120)에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구동부(320)의 마그넷부재(322)와 자성체(321)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으로 인하여 씨피에이부재(310)가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체결후크(220)의 하면과 씨피에이부재(310)의 지지판(314)이 접촉되면서 체결후크(220)의 이동을 방지하여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상호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별도의 씨피에이 체결 동작없이 커넥터의 삽입 동작만으로도 씨피에이의 2차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공수를 줄이고, 커넥터의 사출 구조를 단순화하며 협소한 공간에서의 씨피에이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메일 커넥터 110 : 메일 단자
120 : 체결돌기 130 : 가이드돌기
200 : 피메일 커넥터 210 : 피메일 단자
220 : 체결후크 230 : 가이드홈
300 : 락킹유지부 310 : 씨피에이부재
311 : 가이드레일 312 : 플레이트부재
313 : 조작노브 314 : 지지판
320 : 구동부 321 : 자성체
322 : 마그넷부재

Claims (7)

  1.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체결돌기(120)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110)를 구비한 메일 커넥터(100)와;
    상기 메일 커넥터(100)의 개구 형성된 일측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체결돌기(120)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후크(22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일 단자(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10)를 구비한 피메일 커넥터(200)와;
    상기 체결돌기(120)에 상기 체결후크(22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후크(22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후크(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를 상기 메일 커넥터(100)에 체결시에 자동으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락킹유지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지부(300)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의 상기 체결후크(220)의 하부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씨피에이부재(3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를 상기 메일 커넥터(100)에 체결시에 상기 씨피에이부재(310)가 상기 메일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피에이부재(310)는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씨피에이부재(3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재(311)와, 상기 레일부재(311)의 단부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부재(312)와, 상기 씨피에이부재(310)를 상기 체결후크(220)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메일 커넥터(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조작노브(313)와, 상기 체결후크(220)가 하측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후크(220)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판(3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20)는 상기 플레이트부재(312)의 외측 판면에 구비된 마그넷부재(322)와, 상기 마그넷부재(322)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메일 커넥터(100) 리브(14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부재(322)가 부착되도록 하는 자성체(32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321)는 상기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에 양면 접착시트(323)에 의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321)는 상기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에 복수의 고정볼트(324)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321)는 상기 메일 커넥터(100)의 전면에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70183987A 2017-12-29 2017-12-29 고전압 커넥터 KR10202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87A KR102029377B1 (ko) 2017-12-29 2017-12-29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87A KR102029377B1 (ko) 2017-12-29 2017-12-29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42A true KR20190081442A (ko) 2019-07-09
KR102029377B1 KR102029377B1 (ko) 2019-10-07

Family

ID=6726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87A KR102029377B1 (ko) 2017-12-29 2017-12-29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0256A (zh) * 2019-08-05 2019-10-25 长春市博明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穿缸连接器
CN113437576A (zh) * 2020-03-05 2021-09-2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110380256B (zh) * 2019-08-05 2024-05-24 长春市博明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穿缸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94A (ja) * 1994-03-31 199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装置
KR20140059499A (ko) * 2012-11-08 2014-05-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94A (ja) * 1994-03-31 199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装置
KR20140059499A (ko) * 2012-11-08 2014-05-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0256A (zh) * 2019-08-05 2019-10-25 长春市博明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穿缸连接器
CN110380256B (zh) * 2019-08-05 2024-05-24 长春市博明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柴油发动机穿缸连接器
CN113437576A (zh) * 2020-03-05 2021-09-2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113437576B (zh) * 2020-03-05 2023-11-07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77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566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JP2002530822A (ja) ガイド部材および取外しリセスを有する噛み合い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103126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plate and secondary lock detection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KR20200131901A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US20170117675A1 (en) Electric connector
KR101530431B1 (ko) 커넥터 장치
US9419357B2 (en) Connector assembly
KR20180043742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190081442A (ko) 고전압 커넥터
KR101912622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US20200099158A1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US20180034217A1 (en) Connector
KR10158189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6080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559913B2 (en) Holding frame with guide element for plug connector modules
US9531110B2 (en) Collective connecting structure, guide frame, circuit body holding state guide frame, and collective connecting method
US11095064B2 (en) Connector structure
US10763615B2 (en) Connector structure having a longitudinal movement restricting protrusion
KR101444599B1 (ko)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TW201943154A (zh) 具有端子按壓構造的連接器裝置
JPWO2014199899A1 (ja) コネクタ
TWI672868B (zh) 電連接器
KR20240070054A (ko)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