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742A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742A
KR20180043742A KR1020170135114A KR20170135114A KR20180043742A KR 20180043742 A KR20180043742 A KR 20180043742A KR 1020170135114 A KR1020170135114 A KR 1020170135114A KR 20170135114 A KR20170135114 A KR 20170135114A KR 20180043742 A KR20180043742 A KR 2018004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contact portion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히사시 하마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구비한다. 암 커넥터는 FPC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통형상으로 배치된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231)와, FPC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연재된 일 단부(2322a) 및 일 단부(2322a)에 연접되며, 일 단부(2322a)에 의해 상기 벽면을 향하여 부세된 타 단부(2322b)를 갖는, 통형상부(231)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2322)를 구비한다. 암 커넥터의 접점부(231a)는 통형상부(231)의 상기 벽면에 마련되며, 접점부(232a)는, 스프링부(2322) 타 단부(2322b)에, 접점부(231a)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에 끼워맞춘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부(2322)의 복원력으로 접점부(231a)와 함께 돌출 단자를 협지한다.

Description

기판 대 기판 커넥터{BOARD-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 1 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실장되며, 제 1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제 2 커넥터로 구성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제 1 커넥터는 제 1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단자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일부가 돌출 단자의 측방(수 단자의 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돌출 단자에 탄성접촉하는 수용 단자를 갖는다. 수용 단자는, 돌출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납 개구를 형성하는 도체와, 도체에 있어서의 단자 수납 개구의 주연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와, 도체에 있어서의 단자 수납 개구의 주연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도체와 2개의 아암부와 돌출부는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아암부는, 기단부가 단자 수납 개구의 주연부에 접속되며, 선단부가 돌출 단자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형태로 휜다.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 우선, 수용 단자의 단자 수납 개구에 있어서의 한쪽의 아암부의 기단부 근방에 돌출 단자를 삽입하는 형태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중첩시킨다. 그 후, 돌출 단자를 단자 수납 개구에 있어서의 한쪽의 아암부의 선단부까지 이동시키도록 제 2 기판을 제 1 기판에 대하여 미끄럼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돌출 단자에 탄성접촉하는 2개의 아암부의 선단부와 돌출부에 의해 돌출 단자가 협지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가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춰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26977 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서는,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중첩시키는 공정과, 제 2 기판을 제 1 기판에 대하여 미끄럼운동시키는 공정인 2개의 공정이 필요하다. 그렇게 하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는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커넥터끼리를 접속하는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제 1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 1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접점부 및 제 2 접점부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추면,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 단자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통형상으로 배치된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와,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재된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연접되며, 상기 제 1 단부에 의해 상기 벽면을 향하여 부세된 제 2 단부를 갖는, 상기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점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접점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상기 제 2 단부에, 상기 제 1 접점부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상기 제 1 접점부와 함께 상기 돌출 단자를 협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통형상으로 배치된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와,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연재된 제 1 단부 및 제 1 단부에 연접되며, 제 1 단부에 의해 벽면을 향하여 부세된 제 2 단부를 갖는,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접점부는 통형상부의 벽면에 마련되며, 제 2 접점부는, 스프링부의 제 2 단부에, 제 1 접점부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출 단자가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는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고,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고,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실시형태에 따른 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실시형태에 따른 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를 일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를 다른 일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의 통형상부의 통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커넥터를 수 커넥터에 접속하는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 단자가 암 단자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 단자가 암 단자에 협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변형예에 따른 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변형예에 따른 암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암 단자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이하 "FPC"라 칭함)과 다른 회로 기판의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제 1 기판)(30)에 실장된 수 커넥터(제 1 커넥터)(10)와, FPC(제 2 기판)(40)에 접속된 암 커넥터(제 2 커넥터)(20)를 구비한다. 수 커넥터(10)는 수 커넥터 하우징(11)과, 2개의 고정 금구(metal fitting)(13)와, 복수(도 1a에서는 4개)의 수 단자(12)를 구비한다.
수 커넥터 하우징(11)은 암 커넥터(20)가 삽입되는 개구(11k)를 갖는다. 수 커넥터 하우징(11)은 수지 재료에서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바닥벽(11a)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20)를 안내하는 3개의 안내 리브(112)가 마련되어 있다.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단측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11b)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13)의 중앙부에는, 후술의 고정부(211)의 돌기(211a)가 끼워지는 끼워맞춤 구멍(1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장측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벽(11c) 각각에는, 고정 금구(13)를 측벽(11c)에 고정하기 위한 금구 고정부(11t)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금구(13)는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양 측벽(11c)을 회로 기판(30)에 고정하기 위한 금구이다. 고정 금구(13)는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양 측벽(11c)에 마련된 금구 고정부(11t)에 고정되는 형태로 양 측벽(11c)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 금구(13)는, 예를 들면 금속판에 블랭킹(blanking)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금구(13)는, 회로 기판(30)에 형성된 납땜부에 납땜되는 것에 의해, 수 커넥터(10)가 회로 기판(30)에 장착된다.
수 단자(12)는 회로 기판(3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형상의 돌출 단자(121)와, 돌출 단자(121)의 기단부로부터 돌출 단자(121)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는 접속 단자(122)를 갖는 L자 형상의 단자이다. 수 단자(12)는 금속 등의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자(121)는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내측에 있어서 바닥벽(11a)으로부터 회로 기판(3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122)는, 일부가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바닥벽(11a)에 매립되는 형태로 수 커넥터 하우징(11)에 고정되며 선단부가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 단자(122)는, 회로 기판(30)에 형성된 도체 패턴(31)에는 납땜되는 것에 의해, 도체 패턴(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암 커넥터(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21)과, 복수(도 3에서는 4개)의 암 단자(23)와, 2개의 고정 금구(24)와, FPC 보강판(25)을 구비한다.
암 커넥터 하우징(21)은 직사각형의 상자형상이며, 상면(21a)에는, 수 커넥터(10)의 돌출 단자(121)가 관통삽입되는 복수(도 3에서는 4개)의 단자 관통삽입 구멍(212)과, 3개의 안내 리브(112) 각각이 관통삽입되는 리브 관통삽입 구멍(213)이 마련되어 있다. 암 커넥터 하우징(21)은 수지 재료로부터,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평면에서 본 경우의 외형 치수는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개구(11k)의 치수보다 작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21)이 수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암 커넥터(20)가 수 커넥터(10)에 접속된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단측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21b)에는,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211)의 일부에는 돌기(2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211a)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20)가 수 커넥터(10)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끼워맞춤 구멍(113a)에 끼워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장측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21c) 각각에는, 고정 금구(24)를 측벽(21c)에 고정하기 위한 금구 고정부(21t)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금구(24)는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측벽(21c)을 FPC(40)에 고정하기 위한 금구이다. 고정 금구(2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측벽(21c)에 마련된 금구 고정부(21t)에 고정되는 형태로 측벽(21c)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 금구(24)는, 예를 들면 금속판에 블랭킹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금구(24)는, FPC(40)에 형성된 납땜부에 납땜되는 것에 의해, 암 커넥터(20)가 FPC(40)에 장착된다.
FPC 보강판(25)은 FPC(40)의 암 커넥터 하우징(21)으로의 장착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FPC 보강판(25)은 FPC(40)에 있어서의 암 커넥터 하우징(21)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며, 암 커넥터 하우징(21)과 함께 FPC(40)를 협지한다. FPC 보강판(25)은, 예를 들면 금속판에 블랭킹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암 단자(23)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231)와, 스프링부(2322)와, 보조 스프링부(2323)와, 완충부(235)와, 고정부(236, 238)와, 접속 단자(237)를 구비한다. 암 단자(23)는 금속 등의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231)는 바닥부를 갖는 사각통형상이며,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통축(J1)이 FPC(40)의 두께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통형상부(231)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322) 및 보조 스프링부(2323)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지지편(2321)을 구비한다. 지지편(2321)의 중앙 부분에는, 스프링부(2322) 및 보조 스프링부(2323)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보조 스프링부(2323)의 단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2322) 및 보조 스프링부(2323)가 과대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232c)가 마련되어 있다.
통형상부(231)의 측벽(231c)에는, 후술의 스프링부(2322)의 접점부(제 2 접점부)(232a)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접점부(제 1 접점부)(23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점부(231a)는, 통형상부(231)의 측벽(231c)의 스프링부(2322)의 접점부(제 2 접점부)(232a)에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즉, 2개의 접점부(231a, 232a)는 FPC(4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스프링부(2322)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231) 내에 배치되고, 통형상부(231)의 지지편(2321)과 일체로 형성되며, 통형상부(231)의 통축(J1)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스프링부(2322)는, 장측 방향에 있어서의 일 단부(제 1 단부)(2322a)가 지지편(2321)과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지지편(2321)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부(2322)는, 그 장측 방향에 있어서의 타 단부(제 2 단부)(2322b)를 통형상부(231)의 측벽(231c)을 향하여 부세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322)의 타 단부(2322b)에는, 접점부(232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점부(232a)는 통형상부(231)의 접점부(231a)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접점부(232a)에는,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10)에 끼워맞출 때에, 수 커넥터(10)의 돌출 단자(121)를 2개의 접점부(231a, 232a)의 사이로 안내하는 설편부(안내부)(23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설편부(232b)는 접점부(232a)로부터 FPC(40)측과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연재되며, FPC(4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보조 스프링부(2323)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프링부(2322)의 접점부(232a)를 통형상부(231)의 접점부(231a)를 향하여 부세한다. 보조 스프링부(2323)는, 장측 방향에 있어서의 일 단부(제 3 단부)(2323a)가 지지편(2321)과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지지편(2321)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 스프링부(2323)는 장측 방향에 있어서의 타 단부(제 4 단부)(2323b)가, 스프링부(2322)의 타 단부(2322b)에 있어서의 접점부(232a)측과는 반대측에 탄성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고정부(236, 238)는 암 커넥터 하우징(21)에 암 단자(23)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236)는 완충부(23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238)는 통형상부(2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36)는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내벽에 형성된 고정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압입되고, 고정부(238)는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내측에 마련된 결합편(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된다. 고정부(238)는 결합편을 따라서 통형상부(231)의 단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에서 결합편에 결합된다.
접속 단자(237)는 완충부(235)를 거쳐서 통형상부(231)에 접속되어 있다. 완충부(235)는 U자형상으로 굴곡된 판형상이며, 접속 단자(237)에 접속된 굴곡부(2351)와, 굴곡부(2351)와 통형상부(231)를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부(2352)를 구비한다. 여기서, 통형상부(231)는, 완충부(235)의 굴곡부(2351)가 휘는 것에 의해, FPC(40)에 고정된 접속 단자(237)에 대하여 통형상부(231)의 단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 단자(237)는, 그 선단부가 FPC(40)에 형성된 도체 패턴(41)(도 3 참조)에 납땜되는 것에 의해 도체 패턴(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10)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6a의 화살표(A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개구(11k)를 향하여 수 커넥터(10)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10)의 안내 리브(112)의 선단부를 암 커넥터 하우징(21)의 리브 관통삽입 구멍(213)에 관통삽입시키고 나서 암 커넥터(20)를 회로 기판(30)을 향하여 이동시킨다(도 6b의 화살표(AR1) 참조). 이에 따라서, 암 커넥터(20)가 안내 리브(112)에 의해 안내되는 형태로, 돌출 단자(121)의 선단부가 암 단자(23)에 접근해 간다. 이 때, 돌출 단자(121)의 선단부는, 도 7a의 화살표(A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단자(23)의 2개의 접점부(231a, 232a)의 사이로 접근해 간다. 그리고, 암 커넥터(20)를 회로 기판(30)을 향하여 압입하면,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20)가 수 커넥터(10)에 끼워맞추어져, 돌출 단자(121)가 암 단자(23)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 단자(121)가 암 단자(23)의 2개의 접점부(231a, 232a)의 사이에 삽입되고, 이 2개의 접점부(231a, 232a)가 스프링부(2322)의 복원력으로 돌출 단자(121)를 협지한다. 또한, 이 때,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20)의 고정부(211)는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돌출부(113)의 내측에 삽입되고, 고정부(211)의 돌기(211a)가 수 커넥터 하우징(11)의 끼워맞춤 구멍(113a)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암 커넥터(20)에 대하여 수 커넥터(1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 암 커넥터(20)의 수 커넥터(10)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의하면, 암 커넥터(20)가 통형상부(231)와 스프링부(2322)를 구비한다. 여기서, 통형상부(231)는 통축(J1)이 FPC(40)의 두께 방향에 평행이다. 또한, 스프링부(2322)는, FPC(4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연재되며 일 단부(2322a)가 지지편(2321)과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지지편(2321)에 고정되고 타 단부(2322b)를 통형상부(231)의 측벽(231c)을 향하여 부세한다. 그리고, 접점부(232a)가 스프링부(2322)의 타 단부(2322b)에 마련되며, 접점부(231a)가 통형상부(231)의 접점부(232a)에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출 단자(121)가 통형상부(231)의 통축(J1) 방향을 따라서 접점부(231a)와 접점부(232a)의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10)에 끼워맞추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가 접속된다. 따라서,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를 접속하는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23)에서는, 통형상부(231)의 통축(J1)이 FPC(40)의 두께 방향에 평행이며, 스프링부(2322)가 FPC(4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즉, 스프링부(2322)가 통형상부(231)의 통축(J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형상부(231)의 통축(J1) 방향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고 통형상부(231)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2322)의 길이를 길게 하여 스프링부(2322)의 탄성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암 커넥터(20)의 접점부(231a, 232a) 사이에 삽입하는 돌출 단자(121)의 두께의 허용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암 커넥터(2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23)에서는, 스프링부(2322)가 통형상부(23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부(2322)를 지지하는 지지편(2321)과, 측벽(231c)의 간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접점부(231a, 232a) 간의 접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23)는 접점부(232a)를 접점부(231a)를 향하여 부세되는 보조 스프링부(2323)를 갖는다. 이에 의해, 접점부(231a, 232a) 사이에 수 커넥터(10)의 돌출 단자(121)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접점부(231a, 232a)의 돌출 단자(121)로의 접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접점부(231a, 232a)와 돌출 단자(121)의 사이에서의 접촉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23)의 접점부(232a)에는,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10)에 끼워맞출 때에, 돌출 단자(121)를 2개의 접점부(231a, 232a)의 사이로 안내하는 설편부(232b)를 갖는다. 이에 의해, 암 커넥터(20)를 수 커넥터(10)에 끼워맞출 때, 돌출 단자(121)가 2개의 접점부(231a, 232a)의 사이로 부드럽게 삽입된다. 따라서, 암 커넥터(20)와 수 커넥터(10)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형상부(231)는 바닥부를 갖는 통형상이다. 이에 의해, 통형상부(231)의 바닥벽(233)에 의해 통형상부(231)의 측벽(예를 들면, 측벽(231b, 231c))의 단부끼리가 바닥벽(233)에 의해 연결되므로, 통형상부(231)의 강도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프링부(2322) 또는 보조 스프링부(2323)에 의도치 않게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점부(231a, 232a)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스프링부(2326)가, 통형상부(2231)의 통축(J1)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면 내에 있어서 V자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있어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a, 도 4b 및 도 5b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스프링부(2325)는, 장측 방향의 일 단부(2325a)가 지지편(2324)과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지지편(232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스프링부(2326)는, 장측 방향의 일 단부(2326a)가 스프링부(2325)의 장측 방향의 타 단부(제 1 단부)(2325b)에 접속되며, 장측 방향의 타 단부(2326b)가 지지편(2324)에 탄성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돌출 단자(121)가 통형상부(231)의 통축(J1) 방향을 따라서 접점부(231a)와 접점부(232a)의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암 커넥터를 수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접속된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도,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접속하는 공정에서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322)의 지지편(2321)에 연속하는 일 단부(2322a) 및 보조 스프링부(2323)의 지지편(2321)에 연속하는 일 단부(2323a)가 각각 C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단, 스프링부(2322), 보조 스프링부(2323)의 일 단부(2322a, 2323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328)는, 지지편(2327)에 연속하는 일 단부(2328a)가 지지편(2327)의 단부(2327a)에 중첩되는 형태로 뒤집힌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보조 스프링부(2329)는, 지지편(2327)에 연속하는 일 단부(2329a)가, 지지편(2327)의 단부(2327b)와 중첩되는 형태로 뒤집힌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b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스프링부(2328) 및 보조 스프링부(2329) 각각의 가요 부분의 길이는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링부(2322) 및 보조 스프링부(2323)에 비하여 짧게 되어 있으며, 그만큼, 스프링부(2328)의 타 단부(2328b) 및 보조 스프링부(2329)의 타 단부(2329b)와 변형 방지부(232c)의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암 단자(323)는 접점부(231a, 232a) 사이에 삽입 가능한 돌출 단자의 치수가 실시형태에 따른 암 단자(23)에 비하여 한정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암 단자(323)는, 접점부(231a, 232a) 사이에 삽입 가능한 돌출 단자의 치수가 한정되는 것에 의해, 접속 가능한 수 단자의 종류가 한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암 단자(323)가 본래의 사양과 상이한 수 단자(예를 들면 암 단자(23)에 대응하는 수 단자)에 접속되는 것에 기인한 기기의 고장이나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부(2328)의 일 단부(2328a)가 지지편(2327)의 단부(2327a)와 중첩되는 형태로 뒤집히고, 보조 스프링부(2329)의 일 단부(2329a)가 지지편(2327)의 단부(2327b)에 중첩되는 형태로 뒤집혀 있다. 이에 의해, 지지편(2327)과 통형상부(231)의 측벽(231c)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암 단자(323)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2322)와 보조 스프링부(2323)가 통형상부(231)의 지지편(2321)과 일체로 형성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부(2322)와 보조 스프링부(2323)가 지지편(2321)과 별체라도 좋다.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스프링부(2323)가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보조 스프링부(2323)의 종류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보조 스프링부(2323)가 수지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보충하여 기재한 것도 포함함, 이하 동일함)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 및 변형예가 적절히 조합된 것, 그것에 적절한 변경이 가해진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전기 전자기기 산업 분야나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10: 수 커넥터(제 1 커넥터) 11: 수 커넥터 하우징
11a, 233: 바닥벽 11b, 11c, 21b, 21c, 231b, 231c: 측벽
11k: 개구 11t, 21t: 금구 고정부
12: 수 단자 13, 24: 고정 금구
20: 암 커넥터(제 2 커넥터) 21: 암 커넥터 하우징
21a: 상면 23, 223, 323: 암 단자
25: FPC 보강판 30: 회로 기판(제 1 기판)
31, 41: 도체 패턴 40: FPC(제 2 기판)
112: 안내 리브 113: 돌출부
113a: 끼워맞춤 구멍 121: 돌출 단자
122, 237: 접속 단자 211, 236, 238: 고정부
211a: 돌기 212: 단자 관통삽입 구멍
213: 리브 관통삽입 구멍 231, 2231: 통형상부
231a, 232a: 접점부 232b: 설편부
232c: 변형 방지부 235: 완충부
2321, 2324, 2327: 지지편 2322, 2325, 2328: 스프링부
2322a, 2322b, 2323a, 2323b, 2325a, 2325b, 2326a, 2326b, 2327a, 2327b, 2328a, 2328b, 2329a, 2329b: 단부
2323, 2326, 2329: 보조 스프링부
2351: 굴곡부 2352: 연결부
J1: 통축

Claims (8)

  1. 제 1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 1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접점부 및 제 2 접점부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추면,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 단자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통형상으로 배치된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부와,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재된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연접되며, 상기 제 1 단부에 의해 상기 벽면을 향하여 부세된 제 2 단부를 갖는, 상기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접점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접점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상기 제 2 단부에, 상기 제 1 접점부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상기 제 1 접점부와 함께 상기 돌출 단자를 협지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점부를 상기 제 1 접점부를 향하여 부세하는 보조 스프링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부는,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재되고, 상기 제 1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3 단부 및 상기 제 3 단부에 연접되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연재되고, 상기 제 2 접점부를 상기 제 1 접점부를 향하여 부세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부는 상기 직교 방향의 면 내에 있어서 V자로 굴곡된 형상을 갖고, 한쪽 단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상기 제 2 단부에 접속되며, 다른쪽 단부가 상기 제 1 접점부가 마련된 상기 벽면에 대향하는 벽면을 향하여 연재되어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기 제 2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에, 상기 돌출 단자를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의 사이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상기 제 2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연재되며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설편부로 구성되어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바닥부를 갖는 통형상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는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20170135114A 2016-10-20 2017-10-1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180043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6007 2016-10-20
JP2016206007A JP6477660B2 (ja) 2016-10-20 2016-10-20 基板対基板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742A true KR20180043742A (ko) 2018-04-30

Family

ID=6013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114A KR20180043742A (ko) 2016-10-20 2017-10-1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15099A1 (ko)
EP (1) EP3312938A1 (ko)
JP (1) JP6477660B2 (ko)
KR (1) KR20180043742A (ko)
CN (1) CN1079682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9972B1 (en) * 2017-09-22 2019-04-02 Google Llc Vertically stacking circuit board connectors
CN109802258B (zh) * 2017-11-15 2022-01-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FR3084970B1 (fr) * 2018-08-13 2021-12-10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as Equipement electrique
CN113169483B (zh) * 2018-12-27 2023-07-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464Y2 (ko) * 1973-11-10 1980-02-14
JPS59134289U (ja) * 1983-02-25 1984-09-07 株式会社フジクラ ジヨイントコネクタ
JPS60109187A (ja) * 1983-11-11 1985-06-14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137462A (en) * 1991-08-13 1992-08-11 Amp Incorporated Adapter for stacking connector assembly
JP3051313B2 (ja) * 1994-12-09 2000-06-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478970B2 (ja) * 1998-03-27 2003-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2002369339A (ja) * 2001-06-11 2002-12-20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3331962A (ja) * 2002-05-17 2003-11-21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接続端子
US6926563B2 (en) * 2003-07-22 2005-08-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contact assembly
US6898087B1 (en) * 2003-12-29 2005-05-24 Wei-Chen Chen Resilient element
KR100662339B1 (ko) * 2004-07-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
JP2008027713A (ja) * 2006-07-20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基板間接続コネクタ
JP5553502B2 (ja) * 2008-12-19 2014-07-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7802994B1 (en) * 2009-04-06 2010-09-2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mbination of connector assembly and two printed circuit boards
JP4972174B2 (ja) * 2009-04-16 201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728279B2 (ja) 2011-04-20 2015-06-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017129B2 (ja) * 2011-10-14 2016-10-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接続端子
JP5803798B2 (ja) * 2012-04-26 2015-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964673B2 (ja) * 2012-06-28 2016-08-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メス型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2938A1 (en) 2018-04-25
JP6477660B2 (ja) 2019-03-06
JP2018067479A (ja) 2018-04-26
CN107968273A (zh) 2018-04-27
US20180115099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75B1 (ko) 커넥터 조립체
TWI540801B (zh) Connector
US935009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75802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80043742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N111934110B (zh) 连接器
JP201613653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201517394A (zh) 基板對基板連接器
JP2020119692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US9160087B2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US20220052468A1 (en) Receptacle connector
US10230185B2 (en) Connector device
KR101652383B1 (ko) 커넥터
KR101766198B1 (ko)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15220005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US20200328540A1 (en) Connector, header, and socket
CN110474182B (zh) 基板连接器装置
US10476222B2 (en) Plug-integrated adaptor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KR20160142520A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KR20160042549A (ko)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080004360U (ko) 커넥터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