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247A - 접속용 소켓 - Google Patents

접속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247A
KR20090090247A KR1020080066986A KR20080066986A KR20090090247A KR 20090090247 A KR20090090247 A KR 20090090247A KR 1020080066986 A KR1020080066986 A KR 1020080066986A KR 20080066986 A KR20080066986 A KR 20080066986A KR 20090090247 A KR20090090247 A KR 20090090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ocket
plug
connection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아사이
후미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은, 한층 더 저배화를 가능하게 한 기판 대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켓 콘택트(5)는, 플러그 접속부(54)의 선단이 삽입방향 안쪽에 위치하여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를 형성하고, 플러그 접속부(54) 삽입구 측에 플러그 접점부(55)가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중간부(52)는 스프링부(53)를 형성하고, 소켓 하우징(33)에는 결합 오목부(31)를 형성하고, 고정부(34)는 스프링부(53)가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3b)이 형성되고, 고정부(34)의 내측면 삽입방향 안쪽에는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가 진퇴 가능한 절단부(3d)가 형성되고, 플러그(2)는 플러그 하우징(21)과 플러그 콘택트(4)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콘택트(4)는 일단이 플러그 하우징(21)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소켓 콘택트와 대향하도록 플러그 하우징(21) 측면에 위치하여 소켓 접촉부(42)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4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접속용 소켓{A SOCKET FOR CONNECTION}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기판(print 配線基板)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프린트 배선기판에 전자 모듈(電子 module)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접속 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속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 등의 전자기기는, 전자부품을 실장한 프린트 배선기판을 내부에 설치하여 기기를 구성하지만, 1장의 프린트 배선기판에만 전자부품을 실장하면 기판의 면적이 커져버리므로, 복수의 작은 기판을 포개서 배치하여 기기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포개지는 프린트 배선기판 상호간을 복수의 접속단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고, 프린트 배선기판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판 대 기판 접속용에 다극(多極)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접속용 커넥터는, 복수의 접속단자에 의하 여 접속될 것이 요구되고 또한 적층되는 기판간의 틈을 좁게 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중에, 높이방향의 공간도 필연적으로 작아져, 이 한정된 공간에서 전자부품을 접속할 것이 요구된다.
이하, 접속용 소켓의 예로서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종래예1로서 설명한다.
종래예1인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접속용 커넥터(이하, 간단하게 커넥터라고 한다)(100)는, 도9(a)에 나타내는 소켓(101)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간(101a)에 도9(b)에 나타내는 플러그(102)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있다.
도9는 종래예1의 커넥터(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소켓(101)의 평면 설명도이며, (b)는 플러그(102)의 평면 설명도이며, (c)는 (a)의 중앙 종단면 설명도이며, (d)는 (b)의 중앙 종단면 설명도이다.
종래예1의 소켓(101)은 가늘고 긴 편평한 직육면체의 판자 모양으로서,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2열의 결합공간(101a)이 있다. 소켓(101)은, 수지로 성형된 소켓 하우징(101b)에 복수의 콘택트(103)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소켓 하우징(101b)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중앙 돌출부(101c)를 형성하고, 중앙 돌출부(101c)의 양측에 소켓 콘택트(103)의 고정 돌출부(101d)를 형성하고, 중앙 돌출부(101c)와 고정 돌출부(101d)의 사이가 결합공간(101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101b)은 중앙 돌출부(101c) 및 고정 돌출부(101d)의 양단(兩端)이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 진다.
소켓(101)의 소켓 콘택트(103)는 도체(導體)인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고정 돌출부(101d)로부터 중앙 돌출부(101c)에 걸쳐서 설치 고정된다. 이렇게 설치 고정되는 소켓 콘택트(103)는, 소켓(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하게 설치 고정된다.
소켓 콘택트(103)의 일단은 고정 돌출부(101d)에 있어서 중앙 돌출부(101c)와는 반대측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기판 접속부(103a)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판 접속부(103a)는, 소켓(101)의 저면(底面)과 평행하게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소켓 콘택트(103)는, 기판 접속부(103a)로부터 소켓(101) 상면측, 즉 삽입측면(104) 방향으로 절곡되고 고정 돌출부(101d)의 삽입측면(104)에서 고정 돌출부(101d)를 감도록 U자 모양으로 다시 절곡되어 고정부(103b)를 형성한다. 또한 소켓 콘택트(103)는, 고정부(103b)에 연속하여 접촉압 스프링부(103c)를 형성하고, 접촉압 스프링부(103c)의 선단이 접촉 단부(103d)를 형성하여 소켓 콘택트(103)의 타단이 된다. 접촉압 스프링부(103c)는, 고정부(103b)로부터 결합공간(101a)의 저면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중앙 돌출부(101c) 측으로 연장되고, 중앙 돌출부(101c)를 따라 삽입측면(104) 측으로 다시 만곡되어 중앙 돌출부(101c)의 삽입측면(104)에서 접촉 단부(103d)를 결합공간(101a) 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촉압 스프링부(103c)는, 고정부(103b)로부터 접촉 단부(103d)까지가 고정부(103b)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접촉 단부(103d)를 중앙 돌출부(101c) 측 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소켓 콘택트(103)는, 중앙 돌출부(101c)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고정 돌출부(101d)에 25쌍 등 복수개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50접점 등의 다수의 접점을 가지는 소켓 콘택트(103)를 형성한다.
플러그(102)는, 소켓(101)과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편평한 판자 모양체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소켓(101)의 중앙 돌출부(101c)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102b)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플러그(102)는 도9(b)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2a)과 플러그 콘택트(105)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하우징(102a)은 중앙에 오목부(102b)를 형성하도록 그 단면이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형성되고, 오목부(102b)의 양측을 덮는 부착 돌출부(102c)를 형성하고, 플러그 콘택트(105)와 결합되어 플러그(102)를 형성한다.
플러그 하우징(102a)의 부착 돌출부(102c)에 고정되는 플러그 콘택트(105)는, 플러그(102)의 저면(106)과 평행하게 되도록 부착 돌출부(102c)의 외측에 배치되어 일단이 기판 접속부(105a)를 형성하고, 기판 접속부(105a)를 저면(106)으로부터 오목부(102b) 개구측으로 부착 돌출부(102c)를 따르도록 절곡되고, 오목부(102b) 측에서 부착 돌출부(102c)를 감도록 다시 절곡되어 부착부(105b)를 형성하고, 부착 돌출부(102c)의 오목부(102b) 측면을 따라 타단이 배치되고, 이 타단이 소켓 콘택트(103)의 접촉 단부(103d)와 접촉되는 접촉부(105c)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종래예1의 커넥터(100)에서는, 소켓(101)은, 프린트 배선기판에 접속하는 때에는 소켓 하우징(101b)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소켓 콘택트(103)의 기판 접속부(105a)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솔더링 등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커넥터(100)의 플러그(102)에서도 마찬가지로 플러그 하우징(102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105)의 접속부(105a)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솔더링 등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종래예1에 나타내는 커넥터(100)에서는, 플러그 콘택트(105)의 기판 접속부(105a)가 플러그(102)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소켓(101) 및 플러그 콘택트(105)를 결합하여 접속한 때에는, 플러그 콘택트(105)의 기판 접속부(105a)가 소켓(101)의 소켓 콘택트(103)와 접촉하지 않고, 플러그(102)의 소켓(101)에 대한 삽입량을 상기 접촉을 회피하고 삽입량을 확보한 길이를 고려한 뒤에 결정하기 때문에, 소켓(101) 및 플러그(102)를 접속시켰을 때에 서로 접속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 사이의 틈(간격)이 플러그 콘택트(105)의 두께만큼 커져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프린트 배선기판 사이의 틈(간격)은, 전자기기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기기의 소형화에 지장이 되어버려, 프린트 배선기판 상호간을 접속시키는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커넥터(100)의 저배화(低背化)가, 즉 상기 틈(간격)을 작게 한다고 하는 것이 커넥터(100)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거기에서, 플러그 콘택트(105)의 두께 만큼을 없앤 커넥터으로서, 종 래예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판간 접속용 커넥터(200)가 있다.
종래예2인 기판간 접속용 커넥터(200)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328946로서 도10에 나타낸다.
종래예2인 기판간 접속용 커넥터(200)(이하, 간단하게 커넥터(200)라고 한다)는, 종래예1과 마찬가지로 소켓(203)과 플러그(205)를 결합하여 소켓(203)에 형성되는 플러그 결합 오목부(212)에 삽입 결합하여 상호의 접속을 이루는 것이다.
커넥터(200)의 플러그(205)에서는, 플러그 콘택트(260)의 프린트 배선기판과 접속 고정되는 제2접촉편(262)이 플러그 하우징(250)의 저면 측에서 플러그 하우징(250)으로부터 저면을 따라 돌출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 콘택트(260)의 일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260)의 타단은, 결합되는 소켓(203) 측으로 도10상에서는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서 제2스프링 접촉편(264)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소켓(203)에서는, 소켓 콘택트(220)는 소켓 하우징(210)에 압입, 결합되는 제1지지편(221)을 구비한다. 또한 제1지지편(221)의 하단부에서 대략 수직으로 외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제1접속편(222)이 형성되고, 제1지지편(221)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에 되돌려져서(즉 대략 수직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진 후에 또한 대략 수직으로 하측으로 구부러져서) 플러그 결합 오목부(212) 내로 향하는 만곡편(223)을 형성하고 또한 만곡편(223)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되돌려져서 플러그 결합 오목부(212) 내에 위치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제1스프링 접촉편(2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스프링 접촉편(224)의 선단부에는 접촉부(228)를 형성하여, 절곡 정상부가 플러그 결합 오목부(212) 내로 돌출하도록 구부러진 정상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203)과 플러그(205)를 서로 결합 접속시킴으로써 각각 접속 고정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전자 모듈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소켓으로서는, 카메라 모듈을 기판에 실장할 때의 모듈 소켓 등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328946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115506호 공보
그러나 종래예2에 나타내는 커넥터(200)에서는, 소켓 콘택트(220)에 있어서 플러그 콘택트(260)와의 접촉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접촉편(224)은 플러그 콘택트(260)와의 접촉부(228)가 자유단(自由端)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 콘택트(260) 접촉시의 접촉력을 부여하는 탄성력은 제1스프링 접촉편(224)의 기단부로서, U자 모양의 만곡 기점이 되는 A점을 지점으로 하여 접촉부(228)가 변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U자 모양의 만곡 부분이 탄성력을 얻기 위하여 소켓(203)의 두께를 두껍게 해버려, 저배화에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촉부(228)가 자유단이 되어서 결합시에 제한없이 이동해버리므로, 접촉부(228)와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플러그 콘택트(260)에도 탄성력을 가지는 제2스프링 접촉편(264)을 구비하여 양호한 접촉을 얻도록 형성하여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모듈 소켓에서는, 전자 모듈의 형상에 맞는 접속용 소켓을 사용하지만, 접속용 소켓의 구성은 상기한 종례의 예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한층 더 저배화가 가능한 기판 대 기판 혹은 기판 대 전자 모듈을 접속하는 커넥터의 접속용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저배화를 더 진행시키기 위하여,
제2접속대상과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결합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콘택트 고정부를 구비하는 소켓 하우징과,
일단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콘택트 고정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1접속대상과 접속 고정되는 제1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결합 오목부에 위치하여 결합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2접속대상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접속부가 가압됨으로써 제1접속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스프링부에 의하여 제1접속부 측의 중간부가 콘택트 고정부에 고정되고, 접속부의 선단은 결합 오목부의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 위치되고, 접속부의 결합 오목부 삽입구 측에는 결합 오목부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접점부가 형성되는 콘택트 고정부에 복수개 나란하게 설치되는 소켓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제2접속대상을 결합 오목부에 삽입했을 때에, 소켓 콘택트의 접점부가 제2접속대상에 설치된 소켓 접촉부와 접촉하여 가압되어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력을 얻음과 아울러 제1접속부 측으로 이동되어, 콘택트를 통하여 제1접속대상과 제2접속대상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소켓을 제공한다.
이 접속용 소켓에서는, 소켓 콘택트의 제1접속부가 미리 제1접속대상, 예를 들면 제1프린트 배선기판 등과 접속 고정되어, 이 제1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된다. 그리고 접속용 소켓의 결합 오목부에 삽입하여 소켓 콘택트와 접속 가능한 플러그 등의 제2접속대상은 예를 들면 제2프린트 배선기판에 접속 고정되어 실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접속용 소켓의 결합 오목부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에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 콘택트가 소켓 콘택트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 접촉된다. 그리고 플러그에 의하여 가압된 소켓 콘택트는, 삽입방향으로 밀어 붙여지는 동시에 삽입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한다. 또한 소켓 콘택트는 플러그를 접속용 소켓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플러그를 탈착하는 방향으로 마찰에 의하여 당겨져 변형되지만, 결합 오목부의 안쪽에 위치된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 선단이 플러그에 접촉하여 젖혀져 올라가는 것 같은 변형은 되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는, 그 선단을 결합 오목부의 안쪽에 위치시켜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콘택트 고정부의 결합 오목부 측면의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진퇴 가능한 절단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의 제2접속대상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가 제2접속대상의 소켓 접촉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면,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소켓 하우징의 절단부에 진입하여 제2접속대상 탈착 시에 위치제한 하는 접속용 소켓을 제공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접속용 소켓에 더하여 콘택트 변형 방지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콘택트 변형 방지편을 들여넣는 절단부를 소켓 하우징에 형성함으로써 플러그를 결합 오목부에 삽입할 때에 소켓 콘택트가 가압되어, 스프링부의 압축에 의하여 삽입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소켓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가압된 소켓 콘택트는, 결합 오목부의 안쪽에 형성되는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는 절단부 내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렇게 하면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위치고정 되고 난 후는, 플러그 탈착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절단부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탈착시에, 소켓 콘택트가 플러그 탈착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에는,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도 결합 오목부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제2접점부를 형성하는 접 속용 소켓을 제공한다. 따라서 접속부에는 플러그 삽입측과 플러그 삽입방향 안쪽의 2장소에 접점부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이렇게 하면 접속용 소켓에서는, 플러그를 삽입했을 때에, 2장소의 접점을 가지게 되어, 예를 들면 접속용 소켓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심한 움직임이나 충격에 의하여 접점부가 순간적으로 플러그로부터 떨어져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 같은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접점이 플러그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만든다.
또한 플러그를 탈착 할 때에, 제2접점부가 플러그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가 탈착시에 강한 힘이 작용하여도 같은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또 이 발명에서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콘택트 고정부에는 제2접속대상 삽입측면 중앙에 소켓 콘택트의 스프링부를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삽입 구멍에서 결합 오목부 측의 제2접속대상 삽입측면은 좌굴변형 방지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 대한 제2접속대상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가 제2접속대상의 소켓 접촉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중간부가 좌굴변형 방지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접속용 소켓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콘택트 고정부는, 삽입 구멍보다 결합 오목부 측의 플러그 삽입측면이 소켓 콘택트의 스프링부에서부터 결합 오목부측의 중간부와 접촉하는 좌굴변형 방지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의 플러그 삽 입시에, 소켓 콘택트가 플러그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변형되었을 때, 상기 중간부가 좌굴변형 방지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면, 플러그를 결합 오목부에 삽입했을 때에 플러그가 소켓 콘택트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접촉되면서 삽입 된다. 그리고 플러그에 의하여 가압된 소켓 콘택트는, 삽입방향으로 밀어 붙여지는 동시에 삽입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이동되자고 한다. 이 때, 소켓 콘택트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은 보통 소켓 콘택트의 좌굴현상으로서 나타나지만, 소켓 하우징에 구비된 좌굴변형 방지부에 소켓 콘택트가 접촉하고, 소켓 콘택트의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절단부 안으로 들어가기가 상호 작용하여, 좌굴하지 않고 삽입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서는 접속용 소켓을 제공하지만, 소켓과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접속용 커넥터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제1접속대상에 고정되는 소켓과 제2접속대상에 고정되는 플러그를 대향하여 결합 접속시킴으로써 제1, 제2접속대상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용 커넥터로서, 소켓은, 플러그를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는 소켓 하우징과, 일단이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여 제1접속대상과 접속 고정되는 제1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결합 오목부에 위치하여 플러그 접속부를 형성하는 소켓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소켓 콘택트는, 플러그 접속부의 선단이 결합 오목부의 플러그 삽입방향 안쪽에 위치되고, 플러그 접속부의 결합 오목부 삽입구 측에는 결합 오목부 측으로 돌출된 플러그 접점부가 형성되고, 소켓 콘택트의 중간부는 플러그 접점부가 가압됨으로써 제1접속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소켓 하우징은 콘택트 고정부를 대향하여 구비함으로써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고, 콘택트 고정부는 중앙에 소켓 콘택트의 스프링부를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플러그는, 결합 오목부에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와, 플러그 콘택트를 소켓 콘택트와 대응하도록 복수 나란하게 설치 고정시키는 플러그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콘택트는, 일단이 플러그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2접속대상과 접속 고정되는 제2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결합 오목부에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와 대향하도록 플러그 하우징 측면에 위치하여 소켓 콘택트의 플러그 접점부를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소켓 접촉부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 대한 플러그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가 플러그 콘택트의 소켓 접촉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터로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소켓이 실장되는 제1접속대상은 제1프린트 배선기판이고, 플러그가 실장되는 제2접속대상은 제2프린트 배선기판이고, 소켓 및 플러그는 제1프린트 배선기판과 제2프린트 배선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판용 접속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또한 상기 소켓이 실장되는 제1접속대상은 프린트 배선기판이고, 플러그가 고정되는 제2접속대상은 전자 모듈로서 플러그는 전자 모듈의 접속부를 이루고, 전자 모듈을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자 모듈 접속 커넥터가 형성되는 접속용 커넥터로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소켓 콘택트의 플러그 접속부 선단은 결합 오목부의 안쪽에 위치하여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콘택트 고정부의 결합 오목부 측면의 플러그 삽입방향 안쪽에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진퇴 가능한 절단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 대한 플러그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의 플러그 접속부가 플러그 콘택트의 소켓 접촉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면,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소켓 하우징의 절단부에 진입하여 위치제한 되는 접속용 커넥터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콘택트 고정부는, 삽입 구멍으로부터 결합 오목부측의 플러그 삽입측면이 소켓 콘택트의 스프링부에서부터 결합 오목부측의 중간부와 접촉하는 좌굴변형 방지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 대한 플러그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가 플러그 콘택트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중간부가 좌굴변형 방지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접속용 커넥터로 하더라도 좋고, 좌굴변형 방지부를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를 형성한 접속용 커넥터 혹은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를 형성하지 않는 접속용 커넥터에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용 소켓에서는, 스프링부를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과 교차하도록 위치하는 소켓 콘택트의 중간부에 형성하므로, 제2접속대상 삽입시에 삽입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 즉 대략 수직한 콘택트 고정부의 결합 오목부측으로부터 콘택트 고정부의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이동 가능한 접속용 소켓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만곡시킨 스프링부를 형성하기 위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합 오목부에 대한 삽입방향으로 잉여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접속용 커넥터의 저배화를 더한층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결합시에 플러그 콘택트와 소켓 콘택트가 접촉하면서 결합해 가는 유효결합길이를, 결합 오목부 삽입 직후로부터 결합종료시까지의 길이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를 지점으로 하여 변형하기 위해 양호한 탄성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켓 콘택트는 제2접속대상 삽입시에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으로 좌굴하는 것 같은 동작을 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소켓 콘택트에 결합 오목부의 안쪽에 위치하는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진퇴 가능한 절단부를 소켓 하우징에 형성함으로써 접속용 소켓의 결합 오목부에 제2접속대상을 삽입 결합시킬 때에,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는 절단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접속용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떼어낼 때에, 소켓 콘택트와 제2접속대상과의 정지마찰 혹은 슬라이딩 시의 이동마찰에 의하여 소켓 콘택트가 제2접속대상 탈착방향으로 잡아 당겨져도, 절단 부에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걸려 탈착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에 제2접속대상 삽입측에 접점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도 제2접점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접속대상과 2장소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되므로, 예를 들면 접속용 소켓을 구비한 전자기기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등 소켓 콘택트의 접점부 혹은 제2접점부가 제2접속대상으로부터 순간적으로 격리되어도, 어느 하나의 접점부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도통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격감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촉저항 등에 의한 도통불량도, 2점접속에 의하여 해소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점부를 2점으로 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 완료시에 보다 큰 접속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점부를 2점으로 함으로써 제2접속대상의 결합시에 접점부가 가압되어 접촉된 후 제2접점부가 가압접촉 됨으로써 작업시에 확실한 결합감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켓 하우징에 좌굴변형 방지부를 형성하므로, 제2접속대상 삽입시의 압력의 일부가 소켓 콘택트를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으로 좌굴 시키는 억압분력으로서 작용하여도, 소켓 콘택트가 좌굴변형 방지부에 접촉하여 좌굴을 방지해 소켓 콘택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접속대상을 프린트 배선기판으로 하고 제2접속대상을 내열성이 낮은 전자 모듈로 하여 실시하면, 솔더링 등에 의한 가열을 하지 않고, 게다가 저배화를 실현하여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하는 전자 모듈 등이, 수리시를 고려하여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실장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등에도,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실장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중앙 단면 설명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에서 각각 삽입측면과는 반대방향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며, 도4는 실시예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단면설명도이다.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기판 대 기판 접속용 커넥터이다. 접속용 커넥터(1)(이하, 간단하게 커넥터(1)라고 한다)는,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실장되는 플러그(2)와 제1접속대상인 제1프린트 배선기판(P1)에 실장되는 접속용 소켓(3)(이하, 간단하게 소켓(3)이라고 한다)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2)와 소켓(3)을 접속시켜서 제1프린트 배선기판(P1)과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실시예1에서 나타내는 제2접속대상은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접속 고정된 플러그(2)로 구성한다.
플러그(2)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길고 가 는 직사각형을 한 판자 모양체의 형상을 이루고, 중앙을 절단한 ㅁ자 모양의 형상을 한 플러그 하우징(21)과, 플러그 하우징(21)에 복수개 고정되는 플러그 콘택트(4)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하우징(21)은, 길이방향의 양단에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22)를 고정시켜 하우징(21)을 보강 고정하고 있다. 또한 중앙에 절단된 중앙 절단부(25)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하우징(21)의 길이방향부는 각각 콘택트 고정부(23, 24)를 형성한다. 콘택트 고정부(23, 24)에는 각각 콘택트(4)가 복수개 나란하게 설치 고정된다. 플러그 콘택트(4)의 고정은 플러그 하우징(21)과 일체로 성형되어 고정된다. 플러그 콘택트(4)는 도체인 가늘고 긴 판자 모양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한다.
플러그 콘택트(4)는, 일단이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대한 실장면 측이며 또한 중앙 절단부(25) 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제2기판 접속부(41)를 형성한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4)의 타단은 플러그 하우징(21)의 측면(26)에 위치하여 소켓 접촉부(4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기판 접속부(41)와 소켓 접촉부(42)는 중간부에 의하여 연속되어 있고, 중간부는 제2기판 접속부(41)로부터 절곡(折曲)되어 플러그 하우징(21)의 콘택트 고정부(23, 24)를 제2기판 실장면(27) 측으로부터 삽입측면(28)으로 관통하고 또한 삽입측면(28)을 따르도록 절곡되고 측면(26) 측으로 절곡되어 소켓 접촉부(42)로 이어진다. 플러그 콘택트(4)의 제2기판 접속부(41)는 솔더링 등에 의하여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실장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플러그 콘택트(4)는, 플러그(2)를 소켓(3)과 결합시켰을 때에 소켓(3)에 설치되는 소켓 콘택트(5)와 가압접촉(加壓接觸) 가능하게 대향시켜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플러그(2)는 소켓(3)에 형성되는 결합 오목부(3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커넥터(1)의 두께가 극력 억제되도록, 결합 오목부(31) 안에 삽입되어 소켓(3)의 플러그 삽입측면(32)에 제2프린트 배선기판(P2) 표면이 접촉 가능하고 또한 결합 가능한 두께로 한다. 또한 플러그 삽입면(32)은 제2프린트 배선기판(P2)과 접촉시킴으로써 최대의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지만, 제2프린트 배선기판(P2)과의 절연관계 등을 고려하여 약간 틈(간격)을 형성하더라도 좋아 반드시 접촉시키지 않더라도 좋다.
소켓(3)은, 플러그(2)와 결합 고정되는 결합 오목부(31)가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오목부(31)는 플러그 삽입측면(32) 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소켓(3)은, 소켓 하우징(33)과 소켓 콘택트(5)로 이루어진다. 소켓 하우징(33)은, 플러그(2)보다 큰 판자 모양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플러그(2)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볼 때에 길고 가는 직사각형을 한 판자 모양체의 형상을 한다. 소켓 콘택트(5)의 중앙에는 플러그(2)가 삽입되는 결합 오목부(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결합 오목부(31)의 길이방향 측방 주위부가 콘택트 고정부(34)를 형성한다. 따라서 콘택트 고정부(34)는 결합 오목부(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또한 소켓 하우징(33)의 단변방향 가장자리부(35)에는, 소켓 하우징(33)을 보강하는 보강기구(36)가 삽입되어 있어 소켓 하우징(33)을 보강하고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33)의 결합 오목부(31) 중앙에는, 플러그(2) 결합 시에 플러그(2)에 형성된 중앙 절단부(25)에 삽입되는 중앙 돌출부(3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중앙 돌출부(37)는, 플러그(2) 결합 시에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결합위치의 위치결정을 한다. 따라서 중앙 돌출부(37)는, 플러그(2)의 중앙 절단부(2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소켓 하우징(33)의 콘택트 고정부(34)에는, 플러그(2) 결합 시에 플러그 콘택트(4)와 대향하는 위치에 콘택트 고정홈(38)을 형성한다. 콘택트 고정홈(38)은, 결합 오목부(31)와 대향하는 내측면(39)으로부터 플러그 삽입측면(32)을 지나 외측면(3a)에 걸쳐서 소켓 콘택트(5)가 플러그 삽입측면(32)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삽입측면(32)의 콘택트 고정홈(38)의 대략 중앙에 삽입 구멍(3b)을 형성한다. 또한 콘택트 고정홈(38)의 내측면(39)에는, 제1프린트 배선기판(P1) 실장면(3c) 측을 다른 콘택트 고정홈(38)보다 깊게 외측면(3a) 측을 향하여 절단한 절단부(3d)를 형성한다. 또한 삽입 구멍(3b)으로부터 결합 오목부(31)에 걸쳐서 콘택트 고정홈(38)은, 좌굴변형 방지부(挫屈變形 防止部)인 좌굴변형 방지면(32a)을 형성한다. 이 좌굴변형 방지면(32a)은, 플러그(2)를 결합 오목부(31)에 삽입할 때에, 플러그 콘택트(4)가 소켓 콘택트(5)를 플러그 삽입측으로 가압했을 때에 좌굴되려고 하는 소켓 콘택트(5)가 좌굴변형 방지면(32a)과 접촉하여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소켓(3)에 콘택트 고정홈(38)을, 소켓 콘택트(5)가 표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소켓(3)과 플러그(2)를 결합 고정했을 때에 콘택트 고정부(34)에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이 접촉하여도 소켓 콘택트(5)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제1프린트 배선기판(P1)과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의 틈(간격)을 더욱 더 좁게 하여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 돌출부(37)를 형성하였지만, 플러그(2)의 결합 시에 제1프린트 배선기판(P1)과 플러그(2)의 절연(絶緣)이 유지되는 등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면, 중앙 돌출부(37)를 형성하지 않고 또한 결합 오목부(31)의 기판 실장면(3c) 측을 형성하지 않고 결합 오목부(31)를 관통구멍으로서 형성하여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더욱 더 저배화가 가능하다.
소켓 콘택트(5)는, 도체인 가늘고 긴 판자 모양체를 절곡시켜 형성한다. 소켓 콘택트(5)의 일단은, 소켓(3)의 외측면(3a)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기판 접속부(51)로서 형성된다. 제1기판 접속부(51)는, 소켓(3)을 제1프린트 배선기판(P1)에 실장할 때에 제1프린트 배선기판(P1)에 솔더링 등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접속부이다. 따라서 제1기판 접속부(51)는, 소켓 하우징(33)의 기판 실장면(3c)과 대략 동일한 면(面)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기판 접속부(51)에 계속되는 중간부(52)는, 외측면(3a)에 형성되는 콘택트 고정홈(38)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면(3a)의 삽입측면(32) 측에서 절곡하여 삽입측면(32)에 형성된 콘택트 고정홈(38)에 배치되고 삽입 구멍(3b) 부분에서 삽입 구멍(3b) 내로 삽입하도록 V자 모양 혹은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서 스프 링부(53)를 형성하고, 또한 삽입 구멍(3b)의 결합 오목부(31) 측의 콘택트 고정홈(38)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소켓 콘택트(5)는, 외측면(3a)을 따라 배치된 중간부(52)와 스프링부(53)가 외측면(3a)과 삽입 구멍(3b)에 끼워져 소켓 하우징(33)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부(53)에서 결합 오목부(31) 측의 삽입측면(32)을 따라 형성된 중간부(52)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오목부(31)의 안쪽(저면측)으로 절곡된다.
이 내측면(39)으로부터 안쪽(삽입측과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타단까지가 플러그 접속부(54)를 형성한다.
플러그 접속부(54)는, 삽입측면(32) 측에 결합 오목부(31) 중앙으로 돌출된 플러그 접점부(55)를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플러그 접점부(55)에 연속하여 결합 오목부(31) 안쪽으로 소켓 콘택트(5)를 대략 삽입방향이 되도록(즉 내측면(39)과 평행하게) 연장시킨다. 그리고 타단이 되는 선단을 절단부(3d)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면(3a) 측으로 절곡시켜, 절단부(3d)에 그 선단이 약간 걸릴 정도의 길이로 외측면(3a) 측으로 돌출시켜서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를 형성한다. 플러그 접속부(54)는, 플러그 접점부(55)가 플러그 콘택트(4)와 접촉하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한다. 이 때에, 플러그 접속부(54)는, 스프링부(53)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외측면(3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39)에 형성된 콘택트 고정홈(38)의 오목부 저면이 되는 고정홈 저면(38a)보다 결합 오목부(31) 측으로 뜨도록 설치한다. 또한 플러 그 접속부(54)의 선단을 결합 오목부(31)의 안쪽(저면측)으로 연장함으로써 가령 선단을 절곡한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플러그(2)를 소켓(3)으로부터 뺄 때에 플러그 접점부가 플러그 콘택트(4)와의 마찰에 의하여 탈착방향으로 이동되어 떠오르도록 힘이 가하여져도, 상기 선단이 플러그 콘택트(4)의 소켓 접촉부(42)와 접촉하므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소켓 콘택트(5)는, 기판 접속부(51)로부터 스프링부(53)에 걸쳐서는 소켓 하우징(3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부(53)로부터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에 걸쳐서는, 플러그 접점부(55)가 가압되면 스프링부(53)의 탄성력 등에 의하여 플러그(2) 삽입방향과 교차방향이 되는 외측면(3a) 측으로 퍼질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소켓 콘택트(5)에는, 결합 오목부(31)의 안쪽이 되는 절단부(3d)를 형성한 측에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를 형성하여 절단부(3d)에 진퇴 가능하게 하였지만,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를 설치하지 않고 단지 결합 오목부(31)의 안쪽으로 연장한 것으로만 그치게 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커넥터(1)에서는,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실장된 플러그(2)를 도2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여, 도4에 나타내는 결합 오목부(31)에 대한 결합상태로 한다.
이 때에, 삽입되는 플러그(2)의 플러그 콘택트(4)가 소켓 하우징(33)에 설치되는 소켓 콘택트(5)와 접촉하여 소켓 콘택트(5)를 이동시킨다. 소켓 콘택트(5)에서는, 플러그 접점부(55)가 가압되면, 중간부(52)의 스프링부(53)보다 결합 오목부(31) 측이 좌굴변형 방지면(32a)과 접촉하기 때문에 결합 오목부(31)의 안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스프링부(53)의 가압력(탄성력)에 저항하여 플러그 삽입측면(32)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소켓 하우징(33)의 외측면(3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접속부(54)의 선단인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도 절단부(3d)에 삽입되므로, 플러그 접속부(54)의 변형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켓(3)에 대한 플러그(2)의 탈착 시에 강한 압력이 발생하여도 소켓 콘택트(5)가 좌굴하지 않고 삽입 가능하다.
그리고 플러그(2)의 삽입 완료 시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2)가 실장되어 있는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이 소켓(3)의 플러그 삽입측면(32)과 대향하여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되기 때문에 제1프린트 배선기판(P1)과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의 틈(간격)을 적게 할 수 있어 커넥터(1)의 저배화가 한층 더 가능하게 된다.
도4에 나타내는 플러그(2) 및 소켓(3)의 결합으로부터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플러그(2) 및 소켓(3) 상호간을 분리하도록 이동하면, 소켓(3)에서는 소켓 콘택트(5)의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가 절단부(3d)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있으므로, 이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56)와 절단부(3d)의 결합은, 플러그(2)와 소켓(3)이 이탈할 때까지 계속되어, 탈착시의 소켓 접촉부(42) 와 플러그 접속부(54)의 정지마찰이나 슬라이딩에 의한 이동마찰에 의하여 플러그 접속부(54)가 결합 오목부(31)의 개구 측으로 잡아 당겨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는 접속용 커넥터(1)는 제1프린트 배선기판(P1)과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2에서는 제1프린트 배선기판(P1)에 전자부품인 전자 모듈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플러그(2)의 구조를 사용한 실시예2를 설명한다.
도5는, 실시예2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실시예2와 같이 플러그로서 전자 모듈(2a)을 형성하여 프린트 배선기판과 접속하여야만 하는 경우라 함은, 전자 모듈(2a)이 열에 약한 내열성이 나쁜 것으로서 솔더링 등의 열에 견딜 수 없을 경우나, 수리 시에 착탈이 용이하지 않으면 안되어 솔더링 등의 고정수단에 의한 프린트 배선기판에 대한 고정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등이다. 물론 이외의 경우에도 이용 가능하다.
실시예2에 있어서는, 전자 모듈(2a)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콘택트(4)를 설치한다. 따라서 실시예1에 있어서의 플러그 콘택트(4)의 제2기판 접속부(41)는 전자 모듈 내에서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실시예1에 있어서의 고정부(43)(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통하여 소켓 접촉부(42)가 전자 모듈(2a)의 측면(26)에 노출되어 있다.
실시예2에 있어서의 전자 모듈(2a)에서는, 실시예1의 플러그(2)와는 달리, 중앙 절단부(25)를 형성하지 않고 전자부품 등(실시예1의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대응한다)에 의하여 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21)도 상기 전자부품 등을 내포하여 전자 모듈의 주위를 형성하는 케이싱 등이다. 전자 모듈(2a) 이외에는 실시예1의 플러그(2)와 같다.
소켓(3)은, 중앙 절단부(2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자 모듈(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돌출부(37)를 형성하지 않고 결합 오목부(31) 측의 기판 실장면(3c) 측은 편평하게 형성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결합 오목부(31)의 기판 실장면(3c) 측을 없애고, 결합 오목부(31)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저배화가 한층 더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소켓(3) 이외의 구조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예2와 같이 접속용 커넥터(1)를 형성하면, 제1프린트 배선기판(P1) 및 제2프린트 배선기판(P2) 간의 높이(틈)에 한정된 공간에서도 전자 모듈이 배치되는 것은 물론,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에 나타내는 플러그(2)와 전자 모듈(2a)을 사용하여 복수의 프린트 배선기판(P)을 플러그(2)에 의하여 저배화를 도모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의 케이싱(X)과 최외부의 프린트 배선기판(P3)의 좁은 공간에 전자 모듈(2a)을 접속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실시예1 및 실시예2를 조합시켜서 프린트 배선기판(P) 및 전자 모듈(2a)을 적층하도록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3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도2에 대응하는 실시예3의 중앙 단면 설명도이며, 도8은 도4에 대응하는 실시예3의 중앙 단면 설명도이다.
실시예3에서는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5)에는 플러그 접점부(55) 이외에 제2플러그 접점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제2플러그 접점부(57)는, 결합 오목부(31)의 안쪽인 절단부(3d) 측의 콘택트 변형 방지부(56)로부터 약간 접점부(55) 측으로 형성하고, 접점부(55)와 마찬가지로 결합 오목부(31)의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2)를 결합 오목부(31)에 결합 고정한 때에는, 접점부(55) 및 제2플러그 접점부(57)가 플러그 콘택트(4)의 소켓 접촉부(42)와 가압 접촉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3에서는, 플러그 콘택트(4)에 형성되는 제2기판 접속부(41)는,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대한 실장면 측이며 또한 실시예1과는 다르게 외측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프린트 배선기판(P2)과 솔더링 등에 의하여 접속 고정되어, 플러그(2)를 제2프린트 배선기판(P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위치 고정시킨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4)에는 돌기부(44)가 형성된다. 즉 소켓 접촉부(42)의 대략 중앙에 약간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기부(44)가 형성된다. 돌기부(44)는, 도8에 나타내는 결합 시에 소켓 콘택트(5)의 플러그 접점부(55) 와 제2플러그 접점부(57)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3에서는 플러그 하우징(21)의 중앙에 중앙 절단부(25)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결합 시에 소켓 하우징(33)의 결합 오목부(31)에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37)와 접촉하여 결합 시의 결합 깊이가 조절 가능한 소켓 접촉면(29)을, 결합 시에 플러그 콘택트(4)의 제2기판 접속부(41)와 소켓 콘택트(5)가 접촉하지 않는 적당한 깊이가 되도록 오목 모양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실시예3에서는, 플러그 콘택트(4)에 돌기부(44)를 형성함으로써, 플러그(2)를 소켓(3)에 삽입했을 때에 우선 플러그 콘택트(4)의 소켓 접촉부(42)가 소켓 콘택트(5)의 플러그 접점부(55)를 가압하여 가로방향(즉 각각의 스프링부(53)가 있는 방향)으로 밀고, 그 후에 돌기부(44)가 플러그 접점부(55)를 타고 넘어가므로, 작업자가 플러그(2)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때에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진다라고 하는 클릭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3에 있어서, 플러그 콘택트(4)의 제2기판 접속부(41)를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플러그(2)를 소켓(3)에 결합시켰을 때에 플러그 콘택트(4)의 제2기판 접속부(41)가 소켓 콘택트(5)의 상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게 되지만, 소켓 콘택트(5)가 소켓 하우징(33)에 형성된 콘택트 고정홈(38) 내에 위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플러그(2)와 소켓(3)이 결합했을 때에, 플러그(2)의 소켓 접촉면(29)과 소켓 하우징(33)의 중앙 돌출부(37)이 접촉하여 위치결 정되므로, 플러그 콘택트(4)와 소켓 콘택트(5)가 접촉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기판 상호간을 다극 접점을 구비하여 접속할 때에 사용되는 기판 대 기판 접속용의 커넥터의 일방으로서 접속용 소켓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배선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내열성이 약한 전자부품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높이가 한정된 공간에 접속하기 위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로서, 각각 삽입측면 방향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중앙 단면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로서, 각각 삽입측면과는 반대방향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4는 실시예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단면 설명도이다.
도5는, 실시예2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2를 실시한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중앙 단면 설명도이다.
도8은, 도7과 마찬가지로 실시예3의 중앙 단면 설명도이다.
도9는, 종래예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은, 종래예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프린트 배선기판 P1 제1프린트 배선기판
P2 제2프린트 배선기판 P3 최외부의 프린트 배선기판
1 접속용 커넥터
2 플러그
21 플러그 하우징 22 고정부재
23 콘택트 고정부 24 콘택트 고정부
25 중앙 절단부 26 측면
27 제2기판 실장면 28 삽입측면
29 소켓 접촉면 2a 전자 모듈
3 소켓
31 결합 오목부 32 플러그 삽입측면
32a 좌굴변형 방지면 33 소켓 하우징
34 콘택트 고정부 35 단변방향 가장자리부
36 보강기구 37 중앙 돌출부
38 콘택트 고정홈 38a 고정홈 저면
39 내측면 3a 외측면
3b 삽입 구멍 3c 기판 실장면
3d 절단부
4 플러그 콘택트
41 제2기판 접속부 42 소켓 접촉부
43 고정부 44 돌기부
5 소켓 콘택트
51 기판 접속부 52 중간부
53 스프링부 54 플러그 접속부
55 플러그 접점부 56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
57 제2플러그 접점부

Claims (4)

  1. 제2접속대상과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결합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콘택트 고정부(contact 固定部)를 구비하는 소켓 하우징(socket housing)과,
    일단(一端)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콘택트 고정부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1접속대상과 접속 고정되는 제1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他端)은 결합 오목부에 위치하여 결합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2접속대상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접속부가 가압됨으로써 제1접속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스프링부에 의하여 제1접속부 측의 중간부가 콘택트 고정부에 고정되고, 접속부의 선단은 결합 오목부의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 위치되고, 접속부의 결합 오목부 삽입구 측에는 결합 오목부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접점부가 형성되는 콘택트 고정부에 복수개 나란하게 설치되는 소켓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제2접속대상을 결합 오목부에 삽입했을 때에, 소켓 콘택트의 접점부가 제2접속대상에 설치된 소켓 접촉부와 접촉하여 가압되어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력(接觸力)을 얻음과 아울러 제1접속부 측으로 이동되어, 콘택트를 통하여 제1접속대상과 제2접속대상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소켓(接續用 socke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는, 그 선단을 결합 오목부의 안쪽에 위치시켜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contact 變形防止 片部)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콘택트 고정부의 결합 오목부 측면의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진퇴 가능한 절단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 대한 제2접속대상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가 제2접속대상의 소켓 접촉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면, 콘택트 변형방지 편부가 소켓 하우징의 절단부에 진입하여 제2접속대상 탈착 시에 위치제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접속부에는, 제2접속대상 삽입방향 안쪽에도 결합 오목부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제2접점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소켓.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콘택트 고정부에는 제2접속대상 삽입측면 중앙에 소켓 콘택트의 스프링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삽입 구멍에서 결합 오목부 측의 제2접속대상 삽입측면은 좌굴변형 방지부를 형성하고, 결합 오목부에 대한 제2접속대상 삽입시에 소켓 콘택트가 제2접속대상의 소켓 접촉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중간부가 좌굴변형 방지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소켓.
KR1020080066986A 2008-02-20 2008-07-10 접속용 소켓 KR20090090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038965 2008-02-20
JP2008038965A JP4472762B2 (ja) 2008-02-20 2008-02-20 接続用ソケ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47A true KR20090090247A (ko) 2009-08-25

Family

ID=4104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986A KR20090090247A (ko) 2008-02-20 2008-07-10 접속용 소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72762B2 (ko)
KR (1) KR20090090247A (ko)
CN (1) CN1015156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0508B2 (ja) 2010-08-27 2012-1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728279B2 (ja) 2011-04-20 2015-06-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14549B2 (ja) * 2011-11-30 2014-10-29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端子接続装置
JP6136078B2 (ja) * 2015-02-09 2017-05-31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9064B2 (ja) * 2003-02-06 2007-07-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618324Y (zh) * 2003-05-08 2004-05-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低外形板对板连接器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5676B (zh) 2011-12-28
CN101515676A (zh) 2009-08-26
JP4472762B2 (ja) 2010-06-02
JP2009199823A (ja)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260703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110333A (ko) 커넥터
US200701490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KR100997427B1 (ko) 전기커넥터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KR20080008250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739067B1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CN106981754B (zh) 连接器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140125884A (ko) 기판 커넥터
JP5110271B2 (ja) コネクタ装置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5665585B2 (ja) 電気コネクタ
JP7407687B2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JP4916031B2 (ja)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1052788A (ja) Fpcとプリント基板間の電気コネクタ装置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5388350B2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559296B2 (ja) 平形の接続部材の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板対基板の接続構造
KR100482532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US20240145965A1 (en) Flat conductor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