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475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7475B1 KR101687475B1 KR1020150020735A KR20150020735A KR101687475B1 KR 101687475 B1 KR101687475 B1 KR 101687475B1 KR 1020150020735 A KR1020150020735 A KR 1020150020735A KR 20150020735 A KR20150020735 A KR 20150020735A KR 101687475 B1 KR101687475 B1 KR 101687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fitting
- housing
- plug
- met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77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제 1 콘택트와,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제 1 콘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제 1 금속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금속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단벽부의 외측면의 3 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복수의 제 2 콘택트와,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제 2 콘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부와 끼워맞추는 U 형상 벽에 의한 피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피가이드부에 상기 제 2 금속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금속 부재는 상기 피가이드부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상기 U 형상 벽의 내측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의 일례로서,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 접속됨과 함께 다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끼워맞춤」이라는 것은, 2 개의 부재, 여기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춰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8a, 도 8b 를 참조해서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는,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이들의 끼워맞춤 전 상태에 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1) 를 상하 반대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1), 리셉터클 커넥터 (2) 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이고, 각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도 8a 에서의 상하 방향) 을 끼워맞춤 방향으로 하여 끼워맞춰진다.
플러그 커넥터 (1) 는, 대략 직방체의 외형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 (10) 과, 플러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 (20) 를 갖고 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 (20) 는, 각 플러그 단자 (20) 의 접촉부가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에 대해서 평행한 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플러그 하우징 (10) 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 (20) 는, 상기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하우징 (10) 의 중앙 위치에서 유지되는 1 쌍의 신호 단자 (30) 와, 상기 접촉부의 배열 방향으로 플러그 하우징 (10) 의 단부 (端部) 측에서 유지되고 신호 단자 (30) 와는 형상이 상이한 1 쌍의 전원 단자 (40) 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 (10) 은, 예들 들어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플러그 단자 (20) 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 (장변에 대응하는 방향) 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10) 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바닥벽 (11) 과,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11) 의 외주부로부터 상방 (도 8a 에서는 하방) 을 향해 연장되는 프레임상의 외주벽 (12) 을 갖고 있다. 외주벽 (12) 은,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수용 공간 (56) 내로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끼워넣음」이라는 것은, 어느 부재를 다른 부재에 끼워넣는 것을 의미한다. 외주벽 (12) 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 (13) 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 (13)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단벽 (14) 을 갖고 있다.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측벽 (13) 의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열 방향으로 신호 단자 (30) 와 1 쌍의 전원 단자 (40) 의 일방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안내 홈부 (13A) 가 형성되어 있다. 피안내 홈부 (13A) 는, 커넥터 끼워맞춤의 과정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안내 돌출조부 (54A) 를 수용하고, 안내 돌출조부 (54A) 에 의해 상기 배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1 쌍의 단벽 (14) 의 각각의 외측면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의 중간 위치에서 들어간 몰입부 (沒入部) (14A) 가 형성되어 있고, 몰입부 (14A) 내에 후술하는 전원 단자 (40) 의 플러그 단판부 (44) 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몰입부 (14A) 를 형성하는 공간 중 상기 배열 방향으로 단벽 (14) 과 플러그 단판부 (44)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14A-1)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플러그 단판부 (44) 의 판 두께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조」라는 것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상의 돌출부를 의미한다.
도 8b 에 있어서, 외주벽 (12) 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되는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 (2) 에 형성되어 있는 섬상의 돌출벽부 (52)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15)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 (10) 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일방의 전원 단자 (40) (도 8b 에서는 좌측) 가 설치된 단벽 (14) 에 가까운 위치이고, 또한 커넥터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에서 바닥벽 (11) 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수용 공간 (15) 내에서 기립하는 피안내 벽부 (16) 를 갖고 있다. 피안내 벽부 (16) 는, 커넥터 폭 방향을 벽 두께 방향으로 하여, 일방의 단벽 (14) 에 연결되어 있다. 피안내 벽부 (16) 는,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안내 홈부 (52B)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하고, 안내 홈부 (52B) 에 의해 상기 배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 (30) 는 상기 배열 방향으로의 플러그 하우징 (10) 의 중앙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 (10) 의 각각의 측벽 (13) 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신호 단자 (30) 는, 금속판을 타발하여 얻어진 띠상편을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제작되어 있다. 신호 단자 (30) 는, 플러그 하우징 (10) 의 바닥벽 (11) 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측벽 (13) 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연장되는 곧은 형상의 접속부 (31) (도 8b) 와, 접속부 (31) 에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굴곡됨과 함께 U 자상으로 접어 꺾여 측벽 (13) 에 유지되는 U 자상 부분을 갖고 있다. 이 U 자상 부분은 측벽 (13)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U 자상의 판면이 측벽 (13) 과 동일한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 (31) 는, 대응하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신호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호 단자 (30) 의 U 자상 부분의 2 개의 다리부 중, 측벽 (13) 의 내측면측 (플러그 커넥터측의 수용 공간 (15) 측) 에 위치하는 일방의 다리부는,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32) 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32) 는, 측벽 (13) 의 내측면측에 노출되는 평탄한 판면이고,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대응 접촉부 (71A) 와 접촉한다. 또한, 측벽 (13) 의 외측면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다리부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내측 다리부 (74) 에 있어서의 피로크 돌출부 (74A) 와 걸어맞추기 위한 로크부 (33) 로서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 (33) 에는, 피로크 돌출부 (74A) 를 수용하기 위한 로크 오목부 (33A) 가 판면으로부터 파인 듯이,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이란 것은, 2 개의 부재가 걸어맞춰지는 것을 의미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2) 는,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의 외형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50) 과, 리셉터클 하우징 (50) 에 유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60) 를 갖고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60) 는, 각 리셉터클 단자 (60) 의 대응 접촉부가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리셉터클 하우징 (50) 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60) 는,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 (50) 의 중앙 위치에서 유지되는 1 쌍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와,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으로 리셉터클 하우징 (50) 의 단부측에서 유지되고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와는 형상이 상이한 1 쌍의 전원 단자로서의 단부측의 리셉터클 단자 (80) (이하, 리셉터클 전원 단자 (80) 라 부른다) 로 이루어져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50) 은,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리셉터클 단자 (60) 의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50) 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바닥벽 (도시 생략) 과, 이 바닥벽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기립함과 함께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부 (52) 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기립함과 함께 돌출벽부 (52) 를 둘러싸는 프레임상의 외주벽 (53) 을 갖고 있다. 외주벽 (53) 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 (54) 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1 쌍의 측벽 (54)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단벽 (55) 을 갖고 있다. 돌출벽부 (52) 와 외주벽 (53) 사이에서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사각형의 홈상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맞춤부로서의 외주벽 (12) 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56)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50) 의 바닥벽 상에 섬상으로 형성된 돌출벽부 (52) 는,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에서의 양 측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 에,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탄성 팔부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 (52A) 가, 상기 양 측면으로부터 들어감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 (40) 는, 금속판을 일부재로 하여 굴곡시켜 제작되어 있고,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의 플러그 하우징 (10) 의 외주벽 (12) 의 단부측 부분에서 측벽 (13) 및 단벽 (14) 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단자 (40) 는, 플러그 하우징 (10) 의 단부측 부분의 상면 (도 8a 에서는 하면) 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 (41) 와, 기부 (41) 로부터 굴곡되어 플러그 하우징 (10) 의 양 측벽 (13) 의 각각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러그측 판부 (42) 와, 플러그측 판부 (42) 의 하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43) 와, 기부 (41) 로부터 굴곡되어 플러그 하우징 (10) 의 단벽 (14) 의 외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러그 단판부 (44) 를 갖고 있다.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단자 (40) 의 기부 (41) 는 기부 (41) 의 평탄한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 (10) 의 단부측 부분의 코너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측벽 (13) 및 단벽 (14) 의 상면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측 판부 (42) 는, 플러그측 판부 (42) 의 평탄한 판면이 측벽 (13) 의 외측면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측 판부 (42) 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에 설치된 리셉터클 전원 단자 (80) 의 대응 접촉부 (81A) 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전원 단자 (40) 의 접속부 (43) 는, 플러그 하우징 (10) 의 바닥벽 (11) (도 8a) 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대응하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전원 회로부에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플러그측 판부 (42) 와 접속부 (43) 가 연결되어 있는 굴곡 부분은,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 (10) 의 일부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전원 단자 (40) 의 플러그 단판부 (44) 는, 플러그 하우징 (10) 의 단벽 (14) 의 몰입부 (14A)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가 플러그 하우징 (10) 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또한, 플러그 단판부 (44) 의 판면에는, 상기 배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돌출된 단부 (段部) 에 의한 로크 단부 (44A) 가,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크 단부 (44A) 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 (80) 에 있어서의 피로크 판부 (82B) 의 피로크 단부 (82B-1) 와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 걸어맞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리셉터클 하우징 (50) 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고, 회로 기판에 면하는 바닥벽으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부 (52) 를, 바닥벽으로부터 기립하는 외주벽 (53) 으로 둘러싼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돌출벽부 (52) 와 외주벽 (53)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하는 사각형의 홈상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56)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하우징 (10) 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고, 다른 회로 기판에 면하는 바닥벽 (11) 으로부터 기립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수용 공간 (56) 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외주벽 (12) 을 끼워맞춤부로서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1) 의 외주벽 (12) 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벽 (13) 과,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2 개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단벽 (14) 을 갖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맞춤부에는, 외주벽 (12) 으로 둘러싸인 홈상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2) 와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맞춤시에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수용 공간 (56) 내에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맞춤부가 상방으로부터 끼워넣어져,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맞춤부 (외주벽 (12)) 로 둘러싸인 홈상 공간 내에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돌출벽부 (52) 가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그런데, 후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상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가이드부는 끼워맞춤 정면폭부라 불리고, 평면으로 볼 때 대략 U 형상의 둘레벽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가이드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가이드부에는 각각, 전원과의 접속 기능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 특히 피가이드부에 대한 가이드부의 끼워맞춤을 로크하는 기능 (로크 걸어맞춤) 을 갖게 하기 위해 금속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 8a, 도 8b 에 나타낸 커넥터 조립체를 예로 들어 말하면, 플러그 커넥터 (1) 측의 로크 단부 (44A) 와 리셉터클 커넥터 (2) 측의 피로크 단부 (82B-1) 로 끼워맞춤을 로크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가이드부, 플러그 커넥터의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및 발취를 반복하면 끼워맞춤 정면폭부, 가이드부 중 적어도 일방을 파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양태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제 1 콘택트와,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금속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의 상기 배열 범위의 외측에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제 1 금속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금속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단벽부의 외측면의 3 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복수의 제 2 콘택트와,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금속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의 상기 배열 범위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부와 끼워맞추고,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부터 볼 때 U 형상 벽에 의한 피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피가이드부에 상기 제 2 금속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금속 부재는, 상기 피가이드부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상기 U 형상 벽의 내측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가이드부를, 그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단벽부의 외측면의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 1 금속 부재로 덮음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2 하우징에 있어서의 피가이드부를, 그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대향하는 2 개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 2 금속 부재로 덮도록 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피가이드부의 견뢰성을 높일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를 어긋난 위치에서 끼워맞춘 경우라도 잘 파손되지 않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전체를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직전의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a 는, 도 2 에 나타낸 리셉터클 금구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측면도, 도 3c 는 정면도, 도 3d 및 도 3e 는 사시도이다.
도 4a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 도 4b 는 측면도, 도 4c 는 정면도, 도 4d 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5 에 나타낸 플러그 금구의 평면도, 도 6b 는 측면도, 도 6c 는 정면도, 도 6d 및 도 6e 는 사시도이다.
도 7a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 도 7b 는 측면도, 도 7c 는 정면도, 도 7d 는 사시도이다.
도 8a 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커넥터 조립체를 이들의 끼워맞춤 전 상태에 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대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a 는, 도 2 에 나타낸 리셉터클 금구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측면도, 도 3c 는 정면도, 도 3d 및 도 3e 는 사시도이다.
도 4a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 도 4b 는 측면도, 도 4c 는 정면도, 도 4d 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5 에 나타낸 플러그 금구의 평면도, 도 6b 는 측면도, 도 6c 는 정면도, 도 6d 및 도 6e 는 사시도이다.
도 7a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 도 7b 는 측면도, 도 7c 는 정면도, 도 7d 는 사시도이다.
도 8a 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커넥터 조립체를 이들의 끼워맞춤 전 상태에 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대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전체를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직전의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는 수용 공간을 상향으로 한 자세로 나타내고, 플러그 커넥터는 수용 공간을 하향으로 한 자세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수용 공간을 상향으로 한 자세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100), 플러그 커넥터 (200) 는 상이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실장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이고, 각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 (도 1 의 상하 방향) 을 커넥터 끼워맞춤 (삽입 및 발취)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한다.
먼저,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대해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1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100) 는, 대략 직방체의 외형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제 2 하우징) (110) 과,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리셉터클 하우징 (110) 내에 2 열로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제 2 콘택트) (120) 와,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정면폭부 (피가이드부) (101) 를 구성하고 있는 벽부에 장착되는 2 개의 리셉터클 금구 (제 2 금구 부재) (130) 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은,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도시 생략) 과 평행한 일방향을 길이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은,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바닥벽 (111) 과, 바닥벽 (111) 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기립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부 (112) 와, 바닥벽 (111) 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기립함과 함께 돌출벽부 (112) 를 둘러싸는 프레임상의 외주벽 (113) 을 갖고 있다. 외주벽 (113) 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 (114) 과,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 (커넥터 폭 방향) 으로 연장되어 1 쌍의 측벽 (114)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단벽부 (115) 를 갖고 있다. 돌출벽부 (112) 는 그 연장 길이가 측벽 (114) 의 길이보다 짧은 것에 의해 돌출벽부 (112) 의 양단과 단벽부 (115)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가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의 일부가 된다. 환언하면,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단벽부 (115) 와 그곳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측벽 (114) 의 일부에 의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도 2 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2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방) 으로부터 볼 때 대략 U 형상의 외주벽에 의해, 그 내측에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의 일부가 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와 대략 U 형상의 외주벽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피가이드부 (101)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로서 기능한다. 돌출벽부 (112) 와 외주벽 (113) 사이에서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사각형의 홈상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부로서의 외주벽 (243) (도 5 참조) 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116) 이 된다.
리셉터클 하우징 (110) 에는, 리셉터클 단자 (120) 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유지홈 (117) 이 단자 배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되고, 또한 돌출벽부 (112) 를 사이에 두고 대칭의 2 열로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유지홈 (117) 은 돌출벽부 (112) 의 측면, 바닥벽 (111) 의 상면, 측벽 (114) 의 내측면 (돌출벽부 (112) 의 측면과 대항하는 면) 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단자 배열 방향의 양단부, 즉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 있어서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를 형성하고 있는 외주벽 (113) 에는 리셉터클 금구 (130) 가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홈상 공간에 의한 수용 공간 (116) 중 단자 배열 방향의 단자 배열 범위 밖에 위치하는 부분, 즉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단벽부 (115) 와 2 개의 측벽 (114) 의 일부 및 이것들로 둘러싸인 공간을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라 정의한다.
다음으로, 도 1, 도 2 에 추가로, 도 3a ∼ 도 3e 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금구 (제 2 금속 부재) (130) 에 대해 설명한다. 리셉터클 금구 (130) 는 1 장의 금속제 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를 구성하고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외주벽 (113) 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타발 및 절곡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리셉터클 금구 (130) 는, 전기적 접속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하우징 (110), 특히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금구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금구 (130) 는,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를 구성하고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 (110) 의 단벽부 (115) 와 2 개의 측벽 (114) 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도 2 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2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면) 을 덮기 위한 상면부 (131) 와, 2 개의 측벽 (114) 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내측면을 덮기 위한 내측면부 (132-1, 132-2) 를 갖는다. 리셉터클 금구 (130) 는 또한, 단벽부 (115) 의 외측 단면과 2 개의 측벽 (114) 의 외측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한 단면부 (133), 외측면부 (133-1, 133-2) 를 갖는다. 리셉터클 금구 (130) 는 또한, 단자 배열 범위 밖에 위치하는 2 개의 측벽 (114) 에 형성된 홈 (114A) 으로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114A) 에 끼워맞추는 2 개의 끼워맞춤부 (134-1, 134-2) 를 갖는다. 단면부 (133), 외측면부 (133-1, 133-2), 끼워맞춤부 (134-1, 134-2) 는 각각 상면부 (131)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측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플러그 커넥터 (2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단벽부 (115) 의 외측 단면과 2 개의 측벽 (114) 의 외측면에는 각각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단면부 (133), 외측면부 (133-1, 133-2) 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수용부) (115A, 114B) 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단면부 (133) 가 단벽부 (115) 의 외측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외측면부 (133-1, 133-2) 가 2 개의 측벽 (114) 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내측면부 (132-1, 132-2) 는, 상면부 (131)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은 아니고, 끼워맞춤부 (134-1, 134-2) 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단면부 (133) 측으로 연장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것은, 내측면부 (132-1, 132-3) 를 커넥터 폭 방향 (판면에 수직인 방향) 으로 변위되기 쉽게 하여 내측면부 (132-1, 132-2)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스프링성을 발휘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 (134-1, 134-2) 의 측가장자리부에 이어지는 내측면부 (132-1, 132-2) 가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단면부 (133) 측으로 90 도 구부러져 있다. 내측면부 (132-1, 132-2) 에는 또한, 그것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로크용의 돌기부 (135-1, 135-2) 가 절단 올림 등에 의해 표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로크란 것은,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끼워맞춤 정면폭부 (피가이드부) (101) 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200) 의 가이드부 (245) 의 끼워맞춤을 로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면부 (132-1, 132-2) 에 스프링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리셉터클 금구 (130) 를 리셉터클 하우징 (110)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에 장착한 후에 있어서도, 내측면부 (132-1, 132-2) 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내측면부 (132-1, 132-2) 는 리셉터클 금구 (130) 를 리셉터클 하우징 (110)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에 장착한 후에 있어서도, 측벽 (114) 의 내측면으로부터 조금 떨어지도록 성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성형된 리셉터클 금구 (130) 는,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를 구성하고 있는 2 개의 측벽 (114) 의 일부와 단벽부 (115) 에 압입에 의해 장착된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는, 각각 리셉터클 금구 (130) 가 압입 장착된 후의 리셉터클 커넥터 (100) 를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단면부 (133), 외측면부 (133-1, 133-2) 는 회로 기판측의 전원 등 (도시 생략) 과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사용된다. 내측면부 (132-1, 132-2) 의 돌기부 (135-1, 135-2) 는 플러그 커넥터 (200) 측과의 전기적 접속 및 플러그 커넥터 (200) 와의 끼워맞춤을 로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로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1, 도 5 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200)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플러그 커넥터 (200) 가 상하를 반대로 하여 나타내어져 있다. 이것은, 플러그 커넥터 (200) 는 그 수용 공간을 하측을 향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끼워맞춰지기 때문이다.
플러그 커넥터 (200) 는, 대략 직방체의 외형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 (제 1 하우징) (240) 과, 플러그 하우징 (240) 에 그 길이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으로 등간격을 두고 유지된 2 열의 복수의 플러그 단자 (제 1 콘택트) (250) 를 갖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200) 는 또한, 플러그 하우징 (240)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2 개의 플러그 금구 (제 1 금속 부재) (260) 를 갖고 있다. 플러그 금구 (260) 는, 전기적 접속뿐만 아니라 플러그 하우징 (240) 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금구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2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상측의 면이 회로 기판에 실장되고, 이 자세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끼워맞춤 접속된다.
플러그 하우징 (240) 은,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로 성형되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도시 생략) 과 평행한 일방향을 길이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240) 은,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바닥벽 (241) (도 1 참조) 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241) 으로부터 상방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방) 을 향해 기립하는 프레임상 끼워맞춤부로서의 외주벽 (243) 을 갖고 있다. 외주벽 (243) 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벽 (244) 과,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1 쌍의 측벽 (244)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단벽부 (가이드부) (245)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벽부 (245) 그 자체가 플러그 커넥터 (200) 의 가이드부 (245) 로서 기능한다. 외주벽 (243) 에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돌출벽부 (112)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246) 이 된다.
플러그 단자 (250) 는, 금속판을 타발하여 얻어진 띠상편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절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 (250) 는, 플러그 하우징 (240) 의 2 개의 측벽 (244) 에 일체 몰드 성형, 또는 압입에 의해 유지되고, 측벽 (244) 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 (250) 는, 플러그 하우징 (240) 의 바닥벽 (241) 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측벽 (244) 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접속부 (251) 와, 접속부 (251) 에 연속되어 도 5 의 상방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방) 을 향해 굴곡됨과 함께 역 U 형상으로 접어 꺾여 측벽 (244) 에 유지되는 역 U 형상부 (252) 를 갖고 있다. 역 U 형상부 (252) 는, 도 7a, 도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244) 을 따라 연장되고, 역 U 형상의 판면이 측벽 (244) 의 면과 동일 면을 형성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 (250) 의 역 U 형상부 (252) 의 2 개의 다리부 중 측벽 (244) 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다리부는,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리셉터클 단자 (120) (도 1 참조) 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253) 가 된다. 또한, 역 U 형상부 (252) 의 2 개의 다리부 중, 측벽 (244) 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다리부에는 그 상단부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리셉터클 단자 (120) 의 로크 돌출부 (121) (도 2 참조) 와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부 (254) 가 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5 에 추가로, 도 6a ∼ 도 6d 를 참조하여 플러그 금구 (26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금구 (260) 는 상면부 (261) 를 갖고, 플러그 하우징 (240) 에 있어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 형성된 단벽부 (가이드부) (245) 에 압입 장착된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끼워맞춤 접속할 때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금구 (260) 의 상면부는 아래를 향하게 된다. 플러그 금구 (260) 는 회로 기판을 통해서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에,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끼워맞춤 접속할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의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리셉터클 금구 (130) 와의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과 로크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플러그 금구 (260) 는 1 장의 금속제 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하우징 (240) 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벽부 (245) 의 상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타발 및 절곡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금구 (260) 는, 플러그 하우징 (240) 에 있어서의 단벽부 (245) 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의 상면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면) 을 덮기 위한 상면부 (261) 를 갖는다. 플러그 금구 (260) 는 또한, 단벽부 (245) 의 서로 반대측인 2 개의 외측면을 제 1 위치에서 덮기 위한 제 1 외측면부 (외측면부) (262-1, 262-2) 와, 제 1 위치와 길이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에 관련해 상이한 제 2 위치에서 덮기 위한 제 2 외측면부 (외측면부) (263-1, 263-2) 를 갖는다. 플러그 금구 (260) 는 또한, 단벽부 (245) 의 외측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면부 (264) 를 갖는다. 제 1 외측면부 (262-1, 262-2),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단면부 (264) 는 각각 상면부 (261)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측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가공하여 형성된다. 단벽부 (245) 의 외측 단면과, 단벽부 (245) 의 서로 반대측인 2 개의 외측면에는 각각 플러그 금구 (260) 의 단면부 (264), 제 1 외측면부 (262-1, 262-2),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수용부) (245A, 245B, 245C) 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금구 (260) 의 단면부 (264) 가 단벽부 (245) 의 외측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제 1 외측면부 (262-1, 262-2),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가 단벽부 (245) 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는,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끼워맞춤 접속했을 때에는, 도 2 에 나타낸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내측면부 (132-1, 132-2) 에 대향한다.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의 외측면이고 상면부 (261) 쪽에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263-1A, 263-2A) 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 접속시에 돌출부 (263-1A, 263-2A) 가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내측면부 (132-1, 132-2) 에 형성되어 있는 로크용의 돌기부 (135-1, 135-2) 와 협력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피가이드부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가이드부의 끼워맞춤을 로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로크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성형된 플러그 금구 (260) 는, 플러그 하우징 (240) 의 단벽부 (245) 에 압입에 의해 장착된다. 제 1 외측면부 (262-1) 와 제 2 외측면부 (263-1), 및 제 1 외측면부 (262-2) 와 제 2 외측면부 (263-2) 는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지만, 1 장의 판상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는, 각각 플러그 금구 (260) 를 장착한 후의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플러그 금구 (260) 의 제 1 외측면부 (262-1, 262-2), 단면부 (264) 는 회로 기판측의 전원 등 (도시 생략) 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이용된다.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는 리셉터클 금구 (130) 에 대한 전기적 접속 및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피가이드부 (101) 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가이드부 (245) 의 끼워맞춤을 로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 특히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끼워맞춘 후의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로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 플러그 커넥터 (200) 의 끼워맞춤 접속에 수반하는 리셉터클 단자 (120) 와 플러그 단자 (250) 의 접속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계가 없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200) 를 하방으로 내려 단벽부 (가이드부) (245) 를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에 끼워맞춰 가면, 플러그 금구 (260) 의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에 있어서의 돌출부 (263-1A, 263-2A) 가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내측면부 (132-1, 132-2) 의 로크용 돌기부 (135-1, 135-2) 와 닿아 접촉한다.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더 내리면, 그 압하력은 돌출부 (263-1A, 263-2A), 돌기부 (135-1, 135-2) 를 통하여 내측면부 (132-1, 132-2) 의 면에 직각인 방향 (커넥터 폭 방향) 의 힘이 되어, 내측면부 (132-1, 132-2) 에 작용한다. 그 결과, 내측면부 (132-1, 132-2) 는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러나, 돌출부 (263-1A, 263-2A) 가 돌기부 (135-1, 135-2) 를 통과하면, 내측면부 (132-1, 132-2) 는 그 스프링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플러그 커넥터 (200) 는, 플러그 금구 (260) 의 상면부 (261) 가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의 오목부의 바닥면에 닿거나, 또는 근접할 때까지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압입된다. 이 상태는, 로크용의 돌기부 (135-1, 135-2) 가 돌출부 (263-1A, 263-2A) 와 걸어맞춰져, 단벽부 (245) (가이드부) 가 플러그 금구 (260) 의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피가이드부) 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소위 로크 상태이다. 물론, 플러그 커넥터 (200) 전체를, 내측면부 (132-1, 132-2) 를 변위시킬 수 있는 만큼의 소정 이상의 빼내는 힘으로 빼내면,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100) 로부터 빼낼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200) 의 플러그 하우징 (240) 에 있어서의 단벽부 (가이드부) (245) 를,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리셉터클 커넥터 (1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면) 에 대해서는 플러그 금구 (260) 의 상면부 (261) 로 덮고, 단벽부 (245) 의 측벽의 3 개의 외측면에 대해서는 플러그 금구 (260) 의 1 쌍의 제 1 외측면부 (262-1, 262-2) 와, 1 쌍의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와, 단면부 (264) 로 덮도록 하고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 (100) 의 리셉터클 하우징 (110) 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정면폭부 (피가이드부) (101) 를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플러그 커넥터 (200) 와의 끼워맞춤측인 상면) 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금구 (130) 의 상면부 (131) 로 덮고,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를 구성하고 있는 대략 U 형상 측벽의 대향하는 2 개의 내측면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금구 (130) 의 1 쌍의 내측면부 (132-1, 132-2) 로 덮고, 대략 U 형상 측벽의 3 개의 외측면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단면부 (133) 와, 1 쌍의 외측면부 (133-1, 133-2) 로 덮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200) 에 있어서의 단벽부 (가이드부) (245),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정면폭부 (피가이드부) (101) 의 견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 (200) 를 어긋난 위치에서 끼워맞춘 경우라도 잘 파손되지 않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즉 대략 U 형상 둘레벽의 단벽 (U 형의 바닥에 대응하는 벽) 에 로크 걸어맞춤부를 형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로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이고 길이 방향과 직각인 방향, 즉 대략 U 형상 둘레벽의 측벽 (U 형의 2 개의 다리부에 대응하는 측벽) 에 전원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경사진 발거 (플러그 커넥터의 2 개의 측벽 중 편측만 빼내려 하는 발거) 와 같은 힘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가 기울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 정면폭부 (101) (피가이드부) 를 형성하고 있는 대략 U 형상 측벽의 대향하는 2 개의 내측면을 덮는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내측면부 (132-1, 132-2) 에 스프링성을 갖게 함과 함께 돌기부 (135-1, 135-2) 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 (2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100) 에 끼워맞춤 접속시킬 때에, 내측면부 (132-1, 132-2) 에 대향하는 플러그 금구 (260) 의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에는, 리셉터클 금구 (130) 의 돌기부 (135-1, 135-2) 와 협력하여 플러그 커넥터 (200) 의 가이드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돌출부 (263-1A, 263-2A)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금구 (130) 에 있어서의 전원 접속부에 대해서는 1 쌍의 외측면부 (133-1, 133-2) 에서 실현하고, 플러그 금구 (260) 에 있어서의 전원 접속부에 대해서는 1 쌍의 제 1 외측면부 (262-1, 262-2) 에서 실현하여, 모두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2 개의 위치에서 전원 접속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 (200) 의 경사진 발거에 대한 끼워맞춤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금구 (130) 측의 내측면부 (132-1, 132-2) 에 스프링성을 갖게 하도록 하고 있지만, 내측면부 (132-1, 132-2) 에 대향하는 플러그 금구 (260) 측의 제 2 외측면부 (263-1, 263-2) 에 스프링성을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프린트 기판과 같은 기판 또는 FPC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등의 접속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실장하는 커넥터로서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01 : 끼워맞춤 정면폭부 (피가이드부)
110 : 리셉터클 하우징 (제 2 하우징)
111 : 바닥벽
112 : 돌출벽부
113 : 외주벽
114 : 측벽
115 : 단벽부
116 : 수용 공간
120 : 리셉터클 단자 (제 2 콘택트)
130 : 리셉터클 금구 (제 2 금속 부재)
131 : 상면부
132-1, 132-2 : 내측면부
133 : 단면부
133-1, 132-2 : 외측면부
135-1, 135-2 : 돌기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40 : 플러그 하우징 (제 1 하우징)
241 : 바닥벽
243 : 외주벽
244 : 측벽
245 : 단벽부 (가이드부)
246 : 수용 공간
250 : 플러그 단자 (제 1 콘택트)
260 : 플러그 금구 (제 1 금속 부재)
261 : 상면부
262-1, 262-2 : 제 1 외측면부 (외측면부)
263-1, 263-2 : 제 2 외측면부 (외측면부)
263-1A, 263-2A : 돌출부
264 : 단면부
101 : 끼워맞춤 정면폭부 (피가이드부)
110 : 리셉터클 하우징 (제 2 하우징)
111 : 바닥벽
112 : 돌출벽부
113 : 외주벽
114 : 측벽
115 : 단벽부
116 : 수용 공간
120 : 리셉터클 단자 (제 2 콘택트)
130 : 리셉터클 금구 (제 2 금속 부재)
131 : 상면부
132-1, 132-2 : 내측면부
133 : 단면부
133-1, 132-2 : 외측면부
135-1, 135-2 : 돌기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40 : 플러그 하우징 (제 1 하우징)
241 : 바닥벽
243 : 외주벽
244 : 측벽
245 : 단벽부 (가이드부)
246 : 수용 공간
250 : 플러그 단자 (제 1 콘택트)
260 : 플러그 금구 (제 1 금속 부재)
261 : 상면부
262-1, 262-2 : 제 1 외측면부 (외측면부)
263-1, 263-2 : 제 2 외측면부 (외측면부)
263-1A, 263-2A : 돌출부
264 : 단면부
Claims (7)
-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제 1 콘택트와,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 제 1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의 상기 배열 범위의 외측에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제 1 금속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금속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단벽부의 외측면의 3 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복수의 제 2 콘택트와, 단자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의 상기 배열 범위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부와 끼워맞추고,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부터 볼 때 U 형상 벽에 의한 피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피가이드부에 상기 제 2 금속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금속 부재는, 상기 피가이드부의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상면 및 상기 U 형상 벽의 내측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각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제 2 금속 부재는, 상기 피가이드부의 상기 상면을 덮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U 형상 벽의 상기 내측면의 대향하는 2 면을 덮기 위한 1 쌍의 내측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U 형상 벽의 2 개의 외측면을 덮기 위한 1 쌍의 외측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U 형상 벽의 외측 단면을 덮기 위한 단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상면을 덮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벽부의 서로 반대측인 2 개의 측면을 덮기 위한 1 쌍의 외측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벽부의 외측 단면을 덮기 위한 단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부재의 상기 1 쌍의 외측면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콘택트의 상기 배열 범위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제 1 외측면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벽부의 단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제 2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피가이드부에 대한 끼워맞춤시에, 상기 1 쌍의 제 2 외측면부가 상기 제 2 금속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내측면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 부재의 상기 1 쌍의 내측면부는, 그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제 1 금속 부재의 상기 1 쌍의 제 2 외측면부에는 상기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피가이드부에 대한 끼워맞춤 상태를 로크하기 위한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부재의 상기 1 쌍의 제 1 외측면부, 상기 제 2 금속 부재의 상기 1 쌍의 외측면부는, 각각 전원 접속용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 2 콘택트의 상기 배열 범위 밖에 위치하는 2 개의 측벽에 형성된 홈으로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고,
상기 제 2 금속 부재는 추가로 상기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끼워맞추는 2 개의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제 2 금속 부재의 상기 1 쌍의 내측면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단면부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금속 부재를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피가이드부에 장착한 후에 있어서도, 제 2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측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스프링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461955904P | 2014-03-20 | 2014-03-20 | |
US61/955,904 | 2014-03-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0313A KR20150110313A (ko) | 2015-10-02 |
KR101687475B1 true KR101687475B1 (ko) | 2016-12-19 |
Family
ID=5227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0735A KR101687475B1 (ko) | 2014-03-20 | 2015-02-11 |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391398B2 (ko) |
EP (1) | EP2922147B1 (ko) |
JP (1) | JP6385815B2 (ko) |
KR (1) | KR101687475B1 (ko) |
CN (1) | CN104934772B (ko) |
TW (1) | TWI58758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67783B2 (en) | 2018-05-24 | 2024-04-23 | Molex, Llc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98413B (zh) * | 2014-04-17 | 2017-09-29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
JP6537890B2 (ja) * | 2014-09-26 | 2019-07-0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TW201714495A (zh) * | 2015-10-06 | 2017-04-16 | 挺暉工業股份有限公司 | 柔性印刷電路板、連接器組件及電子裝置 |
CN106356656A (zh) * | 2015-07-17 | 2017-01-25 |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
TWM518826U (zh) | 2015-09-25 | 2016-03-11 | Advanced Connectek Inc | 插頭電連接器與插座電連接器 |
WO2017064825A1 (ja) * | 2015-10-14 | 2017-04-20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
JP6498622B2 (ja) * | 2016-03-14 | 2019-04-1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9768535B1 (en) * | 2016-07-13 | 2017-09-19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Receptacle connector with improved fastening and clamping components |
WO2018030522A1 (ja) * | 2016-08-10 | 2018-02-15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860996B2 (ja) * | 2016-08-29 | 2021-04-2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規制金具 |
JP1579147S (ko) | 2016-09-07 | 2017-06-19 | ||
JP1579148S (ko) | 2016-09-07 | 2017-06-19 | ||
JP6399063B2 (ja) | 2016-09-07 | 2018-10-03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JP1579150S (ko) * | 2016-09-07 | 2017-06-19 | ||
JP1579149S (ko) | 2016-09-07 | 2017-06-19 | ||
US10935747B2 (en) | 2016-09-21 | 2021-03-02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Adapter block assembly |
JP6761736B2 (ja) * | 2016-11-11 | 2020-09-3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102638823B1 (ko) * | 2016-11-29 | 2024-02-21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JP6806593B2 (ja) * | 2017-02-28 | 2021-01-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20180111144A (ko) * | 2017-03-31 | 2018-10-11 | 몰렉스 엘엘씨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
KR102333832B1 (ko) * | 2017-04-03 | 2021-12-03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US9985371B1 (en) * | 2017-04-11 | 2018-05-29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JP6842359B2 (ja) | 2017-05-10 | 2021-03-17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CN108933365B (zh) * | 2017-05-26 | 2021-06-1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6761375B2 (ja) * | 2017-05-29 | 2020-09-23 | 京セラ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KR102319024B1 (ko) * | 2017-05-31 | 2021-10-29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
KR101912622B1 (ko) | 2017-08-29 | 2018-10-29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
KR102542024B1 (ko) * | 2018-02-23 | 2023-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JP6942074B2 (ja) | 2018-03-05 | 2021-09-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JP2019186062A (ja) | 2018-04-11 | 2019-10-2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026025B2 (ja) * | 2018-08-24 | 2022-02-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
CN110932008A (zh) * | 2018-08-31 | 2020-03-27 |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 一种连接器 |
JP7093273B2 (ja) * | 2018-09-07 | 2022-06-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2740484B (zh) * | 2018-09-19 | 2022-08-30 | 株式会社藤仓 | 插座连接器 |
KR102659117B1 (ko) * | 2018-12-27 | 2024-04-18 | 몰렉스 엘엘씨 | 리셉터클 커넥터 |
JP1638606S (ko) * | 2018-12-28 | 2019-08-05 | ||
JP1638607S (ko) * | 2018-12-28 | 2019-08-05 | ||
JP1638446S (ko) * | 2018-12-28 | 2019-08-05 | ||
JP7309370B2 (ja) * | 2019-01-22 | 2023-07-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
CN109950727B (zh) * | 2019-04-02 | 2024-03-15 |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 一种插座连接器及其组件 |
JP7364363B2 (ja) * | 2019-04-25 | 2023-10-1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US11095059B2 (en) | 2019-04-25 | 2021-08-17 | Molex, Llc | Connector |
JP7075912B2 (ja) * | 2019-06-11 | 2022-05-2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7196028B2 (ja) | 2019-07-04 | 2022-12-2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JP7411882B2 (ja) | 2019-08-08 | 2024-01-1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206169B2 (ja) * | 2019-08-27 | 2023-01-1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
JP7245432B2 (ja) * | 2019-09-19 | 2023-03-2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360886B2 (ja) * | 2019-10-07 | 2023-10-13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第一コネクタ、第二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 |
JP1656951S (ko) * | 2019-11-01 | 2020-04-06 | ||
JP1656952S (ko) * | 2019-11-01 | 2020-04-06 | ||
JP7388901B2 (ja) | 2019-12-10 | 2023-11-2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7244412B2 (ja) * | 2019-12-25 | 2023-03-22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JP7418202B2 (ja) * | 2019-12-25 | 2024-01-19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US11101585B1 (en) | 2020-02-05 | 2021-08-24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itch surfaces on the plug and receptacle |
CN113394585B (zh) * | 2020-03-11 | 2023-06-02 |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 软性电路板对板连接器组合 |
CN111613922B (zh) * | 2020-04-13 | 2021-08-31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板对板插座 |
CN111613921B (zh) * | 2020-04-13 | 2021-11-30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板对板插座 |
CN111613920B (zh) * | 2020-04-13 | 2021-08-31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板对板插座 |
CN111509430B (zh) * | 2020-04-13 | 2021-06-08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板对板插座 |
JP6968965B1 (ja) * | 2020-10-26 | 2021-11-24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
CN217306840U (zh) * | 2021-05-17 | 2022-08-26 |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
JP1711754S (ja) | 2021-08-24 | 2022-04-05 | 電気コネクタ | |
US20230062405A1 (en) * | 2021-08-31 | 2023-03-02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Socket connector |
CN114824937B (zh) * | 2022-05-05 | 2023-11-07 | 深圳市爱特姆科技有限公司 | 一种插接容错性高的射频细间距板对板连接器 |
CN114824948B (zh) * | 2022-05-05 | 2023-11-07 | 深圳市爱特姆科技有限公司 | 一种rf信号及数字信号传输的细间距板对板连接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58001A (ja) | 2006-03-23 | 2007-10-04 | Hirose Electric Co Ltd |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
JP2010198996A (ja) | 2009-02-27 | 2010-09-09 | D D K Ltd | 電気コネクタ |
JP2014038768A (ja) | 2012-08-16 | 2014-02-27 | Molex Inc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8142B2 (ja) * | 1991-12-30 | 1996-12-25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
US5259789A (en) * | 1993-02-23 | 1993-11-09 | Molex Incorporated | Retention system for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JP3746106B2 (ja) * | 1996-06-27 | 2006-02-15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2004055306A (ja) * | 2002-07-18 | 2004-02-19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基板接続用コネクタ |
JP4478609B2 (ja) * | 2005-05-23 | 2010-06-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JP2007018993A (ja) * | 2005-06-07 | 2007-01-25 | Kyocera Elco Corp |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
JP4969838B2 (ja) * | 2005-11-28 | 2012-07-04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
JP4761397B2 (ja) * | 2007-02-26 | 2011-08-3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組合せコネクタ |
JP4555329B2 (ja) * | 2007-11-08 | 2010-09-29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660756B2 (ja) * | 2008-10-14 | 2015-01-28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197294B2 (ja) * | 2008-10-14 | 2013-05-15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523781B2 (ja) | 2009-09-17 | 2014-06-18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電気コネクタおよび係合解除治具 |
JP5590991B2 (ja) * | 2010-06-30 | 2014-09-17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8292635B2 (en) * | 2011-03-12 | 2012-10-23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
CN103050805B (zh) * | 2011-10-14 | 2014-12-10 | 莫列斯公司 | 连接器 |
JP2013101909A (ja) * | 2011-10-14 | 2013-05-23 | Molex Inc | コネクタ |
JP2013118141A (ja) | 2011-12-05 | 2013-06-13 | Hirose Electric Co Ltd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KR101355575B1 (ko) | 2012-01-31 | 2014-01-2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
JP5685216B2 (ja) | 2012-03-29 | 2015-03-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JP5685220B2 (ja) | 2012-05-02 | 2015-03-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
JP5638026B2 (ja) | 2012-05-01 | 2014-12-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JP5499191B1 (ja) * | 2013-01-28 | 2014-05-2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887326B2 (ja) * | 2013-12-12 | 2016-03-1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
2014
- 2014-12-22 US US14/579,479 patent/US9391398B2/en active Active
- 2014-12-24 JP JP2014260429A patent/JP6385815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1-08 EP EP15150529.4A patent/EP2922147B1/en active Active
- 2015-01-13 TW TW104101034A patent/TWI587581B/zh active
- 2015-02-06 CN CN201510063688.2A patent/CN104934772B/zh active Active
- 2015-02-11 KR KR1020150020735A patent/KR1016874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58001A (ja) | 2006-03-23 | 2007-10-04 | Hirose Electric Co Ltd |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
JP2010198996A (ja) | 2009-02-27 | 2010-09-09 | D D K Ltd | 電気コネクタ |
JP2014038768A (ja) | 2012-08-16 | 2014-02-27 | Molex Inc | コネクタ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67783B2 (en) | 2018-05-24 | 2024-04-23 | Molex, Llc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87581B (zh) | 2017-06-11 |
JP6385815B2 (ja) | 2018-09-05 |
CN104934772A (zh) | 2015-09-23 |
EP2922147B1 (en) | 2018-04-18 |
TW201537834A (zh) | 2015-10-01 |
EP2922147A1 (en) | 2015-09-23 |
KR20150110313A (ko) | 2015-10-02 |
JP2015185541A (ja) | 2015-10-22 |
CN104934772B (zh) | 2018-03-02 |
US20150270641A1 (en) | 2015-09-24 |
US9391398B2 (en) | 2016-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7475B1 (ko) | 커넥터 조립체 | |
JP6591251B2 (ja) | コネクタ | |
US72171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567356B1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
JP5972855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809223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US830849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KR20160009491A (ko)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JP2018081869A (ja) | コネクタ | |
TW201517394A (zh) | 基板對基板連接器 | |
KR20120094833A (ko) | 전기 커넥터 | |
CN109586063B (zh) |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 |
TW201401661A (zh) | 電連接器組裝體及插頭連接器 | |
KR20170042484A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CN112018535B (zh) | 电连接器组装体 | |
JP5457888B2 (ja) |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KR102128123B1 (ko) | 플러그 커넥터 | |
JP6546973B2 (ja) | 平型導体用コネクタ | |
JP2016058399A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
CN106486821B (zh) | 电连接器 | |
US10122104B2 (en) |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 |
JP2016006783A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JP5833486B2 (ja) | 基板接続コネクタ | |
TWI424625B (zh) | 電連接器及其組裝方法 | |
TWM411678U (en) |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