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77B1 -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77B1
KR101998077B1 KR1020190008754A KR20190008754A KR101998077B1 KR 101998077 B1 KR101998077 B1 KR 101998077B1 KR 1020190008754 A KR1020190008754 A KR 1020190008754A KR 20190008754 A KR20190008754 A KR 20190008754A KR 101998077 B1 KR101998077 B1 KR 10199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housing
leg
position assuran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규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9000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77B1/ko
Priority to EP19212631.6A priority patent/EP368700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 1 커넥터, 제 1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는 탄성레버를 구비하는 제 2 커넥터 및 탄성레버가 제 1 하우징에 록킹된 이후, 탄성레버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with CPA}
본 발명은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매우 복합적인 환경 즉 전기적 불규칙 환경, 기계적 불규칙 환경, 기후 불규칙 환경 등이 렌덤하게 조합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자동차용 커넥터 또한 같은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접속장치와의 확실한 전기적, 기계적 결합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다. 그런데 예를 들어 에어백과 같은 안전 관련 전장품에 적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어떠한 환경 하에서도 단자와 하우징 간의 부적절한 결합으로 인하여 전기적, 기계적 결합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결합될 때, 이들 커넥터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를 보증하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 위치 보증 장치(CP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가 적용되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상호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를 보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커넥터위치보증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커넥터위치보증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커넥터위치보증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10), 제 2 커넥터(20) 및 커넥터위치보증장치(30)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10)는 배선 기판(S)에 실장되는 리셉터클커넥터로 구성되고, 제 2 커넥터(20)는 전선(W)이 접속되며 제 1 커넥터(10)에 삽입되는 플러그커넥터로 구성된다. 커넥터위치보증장치(30)는, CPA 기능을 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와,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의 중앙에 돌출되는 메인 아암(32)과,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의 양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아암(34R, 34L)을 포함한다. 메인 아암(32)은 제 2 커넥터(20) 내부의 끼워맞춤용고정부(미도시)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된다. 지지 아암(34R, 34L)은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커넥터(20) 내부의 역삽입방지리브(미도시)에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2 커넥터(10, 20)가 결합된 이후에는 커넥터위치보증장치(30)의 메인 아암(32)이 잠금 레버 역할을 하는 상기 끼워맞춤용고정부와 결합하여, 제 1, 2 커넥터(10, 20)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제 1, 2 커넥터(10, 20)의 결합 해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커넥터위치보증장치(30)를 우선적으로 해제한 후에야 제 1, 2 커넥터(10, 20)의 결합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제 1, 2 커넥터(10, 20)의 결합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위치보증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의 양측에 슬라이드 부재 기부(3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지지 아암(34R, 34L)을 구비하는데, 이는 전체 폭(W1)이 한 쌍의 지지 아암(34R, 34L)의 폭만큼 커지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제 1, 2 커넥터(10, 2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8695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오목하게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커넥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안내부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면에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안내부는 슬라이딩안내부로 구분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제외한 다른 안내부들은 상기 제 1 터미널안내부와 대향되는 제 2 터미널안내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탄성레버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레버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부와 록킹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탄성레버가 상기 결합부와 록킹된 이후, 상기 탄성레버가 탄성 변형될 수 없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탄성레버 사이의 록킹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1 레그부와, 상기 제 1 레그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일측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로 삽입되는 제 2 레그부를 갖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1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2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저면부 및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내부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 중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2 터미널안내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레버는 상기 제 1 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1 면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레버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레버부와, 한 쌍의 상기 레버부의 선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걸림연결부와, 상기 제 1 걸림연결부와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상기 레버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걸림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걸림연결부와 한 쌍의 상기 레버부의 타측 사이의 공간에 제 1 걸림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연결부와 한 쌍의 상기 레버부의 일측 사이의 공간에 제 2 걸림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2 걸림공간부와 제 2 걸림연결부를 차례로 지난 후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록킹되도록 걸림 위치되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걸림연결부를 지나갈 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걸림연결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2 하우징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될 때, 상기 레버부는 원위치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레그부는 상기 록킹공간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 1 레그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레그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그부는 상기 제 1 걸림연결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각각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로 상기 레그결합부를 누르게 되고, 상기 결합부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레그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전진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레그부는 전진되고, 상기 레그결합부는 상기 제 2 걸림연결부를 지나 상기 제 2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탄성레버가 구비될 때, 상기 제 2 하우징의 타면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수용홈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터미널안내부로 삽입되는 터미널의 위치를 확정하는 터미널위치보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레버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그부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 1 록킹돌부와 제 2 록킹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 2 레그부의 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록킹돌부는 상기 터미널위치보증부재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1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2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저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내부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 상기 제 2 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 상기 측벽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용홀과,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수용홀의 내주연 일측에 상기 수용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위치보증부재는,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각각의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보증돌출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상기 수용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면, 상기 제 2 록킹돌부는 상기 위치보증돌출부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2 레그부가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므로, 커넥터위치보증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아암을 필요로 하지 않아, 커넥터위치보증부재의 전체 폭을 작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부가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레그결합부가 제 2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면, 탄성레버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결합부가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간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적용되지 않은 기존의 제 1 하우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로 제 1 커넥터를 제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커넥터위치보증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커넥터위치보증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1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1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2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2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1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2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1000)는 자동차의 전장부품 또는 각종 전자산업 전반에 걸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와이어와 와이어 또는, 와이어와 보드를 연결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1000)는 제 1 커넥터(100), 제 2 커넥터(200),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 및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100)는 제 1 하우징(110) 및 제 1 터미널(120: 도 11 도시)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하우징(110)의 일측에 오목하게 삽입부(112)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110)의 타측에 삽입부(112)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안내부(114: 도 9 도시)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112)의 내부 상측에는 결합부(112a)가 돌출 형성된다. 제 1 터미널(120)은 공지된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 삽입되되 일측은 제 2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제 2 터미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전장부품의 보드에 결합된다.
제 2 커넥터는 제 2 하우징(210), 탄성레버(230) 및 제 2 터미널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210)은 삽입부(112)에 삽입되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면부(212), 제 1 면부(212)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2 면부(214), 제 1 면부(212)와 제 2 면부(214)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부(216) 및 제 1 면부(212)와 제 2 면부(214) 사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저면부(2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면부(212)와 제 2 면부(214) 사이의 내부에 복수 개의 안내부(220)가 병렬로 배열된다. 각각의 안내부(220)의 단부는 제 1 면부(212)와 제 2 면부(214) 사이의 타단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관통된다. 그리고 북수 개의 안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안내부(220)는 슬라이딩안내부(222)로 구분되고, 슬라이딩안내부(222)를 제외한 다른 안내부(220)들은 제 1 터미널안내부(114)와 대향되는 제 2 터미널안내부(224)로 구분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안내부(222)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 2 터미널안내부(224) 사이에 위치된다.
탄성레버(230)는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면부(212)의 전단부에서 제 1 면부(212)의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레버부(232)와, 한 쌍의 레버부(232)의 선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걸림연결부(234)와, 제 1 걸림연결부(234)와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레버부(232)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걸림연결부(2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걸림연결부(234)와 한 쌍의 레버부(232)의 후측 사이의 공간에 제 1 걸림공간부(234a)가 형성되고, 제 2 걸림연결부(236)와 한 쌍의 레버부(232)의 전측 사이의 공간에 제 2 걸림공간부(236a)가 형성된다. 레버부(232)의 선단부는 제 1 면부(212)와 이격되어, 레버부(232)와 제 1 면부(212)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레버부(232)의 선단부의 양측은 탄성억제부(234b)가 돌출되고, 제 1 면부(212)의 양측에는 탄성억제부(234b) 방향으로 스토퍼(213)가 돌출 형성되어, 레버부(232)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탄성 변형될 때, 탄성억제부(234b)가 스토퍼(213)에 걸리게 되어, 레버부(232)가 상방으로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저면부(218)와 가까이 위치된 부분을 전측 또는 전단이라 하고, 저면부(218)와 멀리 떨어진 부분을 후측 또는 후단이라 한다.
제 2 터미널은 제 2 터미널안내부(224)에 삽입되어 제 1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예를 들면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는 탄성레버(230)가 결합부(112a)와 록킹된 이후, 탄성레버(230)가 탄성 변형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하우징(210)의 일면과 탄성레버(230) 사이의 록킹공간부(219)로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 1 레그부(302)와, 제 1 레그부(302)의 외측에 형성되는 헤드부(304)와, 일측은 헤드부(304)에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이딩안내부(222)로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 2 레그부(306)를 포함한다. 그리고 탄성레버(23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레그부(306)의 길이방향 하측에는 헤드부(30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 1 록킹돌부(306a)와 제 2 록킹돌부(306b)가 차례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210)이 삽입부(112)로 삽입되기 전에, 제 1 레그부(302)는 록킹공간부(219)로 삽입된다. 이때, 제 1 레그부(302)의 단부에는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도록 레그결합부(302a)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면 제 1 레그부(302)는 제 1 걸림연결부(234) 및 제 2 하우징(210)과 각각 이격되도록 위치되되 상방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하우징(210)이 삽입부(112)로 삽입될 때, 탄성레버(230)는 제 1 걸림연결부(234)를 누르면서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레그부(302)가 록킹공간부(219)로 삽입되면 제 2 레그부(306)는 슬라이딩안내부(222)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안내부(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2 레그부(306)가 슬라이딩안내부(222)를 따라 이동되므로,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아암을 필요로 하지 않아,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전체 폭(W2)을 작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하우징(210)에는 제 2 터미널안내부(224)로 삽입되는 제 2 터미널(미도시)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하여 단자 위치 확정 장치(TPA : Terminal Position Assurance) 역할을 하는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제 2 하우징(210)의 제 2 면부(214)에는 제 2 하우징(210)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수용홈(2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안내부(222) 및 제 2 터미널안내부(224)는 수용홈(214a)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홈(214a)의 양측에는 측벽부(216) 방향으로 후술하는 제 1, 2 커버결합부(404a, 404b)가 노출되도록 수용홀(216a)이 관통된다. 이때, 제 1 면부(21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수용홀(216a)의 내주연 일측에 수용홈(214a)의 중앙 방향으로 체결돌기(2126b)가 체결돌기(2126b)가 돌출 형성된다.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는 수용홈(214a)의 개방된 하측을 커버하는 커버부(402)와, 커버부(402)의 내측에 각각의 안내부(2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보증돌출부(406)와, 커버부(402)의 양측에 수용홀(216a)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04)와, 절곡부(404)의 외측에 체결돌기(2126b)에 걸림 결합되는 제 1, 2 커버결합부(404a, 40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터미널안내부(224)로 제 2 터미널이 삽입된 이후,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가 수용홈(214a)에 삽입되면, 위치보증돌출부(406)에 제 2 터미널이 걸리게 되어, 제 2 터미널의 위치가 확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1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1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하우징(210)의 제 2 터미널안내부(224)에 제 2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공간부(219) 및 슬라이딩안내부(222)에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제 1 레그부(302) 및 제 2 레그부(306)가 삽입된다. 이때,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는 레그결합부(302a)가 제 2 걸림공간부(236a)에 걸림 위치된 완전 결합 상태(CPA 2차 결합 상태)가 아니고,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된 가 결합 상태(CPA 1차 결합 상태)이다.
그 후,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가 제 2 하우징(210)의 수용홈(214a)에 삽입된다. 여기서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의 커버부(402)는 제 2 하우징(210)의 수용홈(214a)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이 아니고, 수용홈(214a)에 약간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 1 커버결합부(404a)는 체결돌기(2126b)에 1차로 걸림 결합(TPA 1차 결합 상태) 된다.
여기서, 제 2 레그부(306)의 선단부에 위치되는 제 2 록킹돌부(306b)는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의 제 1 록킹돌부(306a)에 걸리게 되어, 제 2 레그부(306)는 후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그결합부(302a)는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어, 제 1 레그부(302)는 전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가 체결돌기(2126b)에 1차 결합되면,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는 전진 및 후진이 불가능하게 되어,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가 제 2 하우징(210)에서 임의로 외부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2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하우징에 터미널위치보증부재가 2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의 제 1 커버결합부(404a)가 체결돌기(2126b)에 1차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402)는 제 2 하우징(210)의 수용홈(214a)에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이동되면, 제 2 커버결합부(404b)가 체결돌기(2126b)에 2차 결합된 상태(TPA 2차 결합 상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1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고(CPA 1차 결합 상태), 터미널위치보증부재(400)가 제 2 하우징(210)에 2차 결합된 이후(TPA 2차 결합 상태), 제 2 하우징(210)이 삽입부(112)에 전진 삽입되어,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112a)는 탄성레버(230)의 제 2 걸림공간부(236a)와 제 2 걸림연결부(236)를 차례로 지난 후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록킹되도록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삽입부(112)에 삽입된 제 2 하우징(210)이 삽입부(112)를 따라 전진되어, 결합부(112a)가 제 2 걸림연결부(236)를 지나갈 때 결합부(112a)는 제 2 걸림연결부(236)에 하방 압력을 가하여, 제 2 걸림연결부(236)와 연결된 레버부(232)가 제 2 하우징(210)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탄성 변형시킨다. 그 후, 제 2 하우징(210)이 계속 전진되어 결합부(11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면 레버부(232)는 원위치로 탄성 변형된다.
한편, 결합부(11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면, 결합부(112a)는 기존에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어 있던 레그결합부(302a)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어, 레그결합부(302a)는 제 1 걸림공간부(234a)에서 하방으로 탈거된다. 이처럼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서 탈거되면,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는 레그결합부(302a)가 제 2 걸림공간부(236a)에 걸리도록 전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커넥터위치보증부재가 2차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112a)의 압력에 의하여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서 하방으로 탈거된 이후, 헤드부(304)에 전진 압력이 가해지면, 제 1 레그부(302)는 록킹공간부(219)를 따라 전진되고, 레그결합부(302a)는 제 2 걸림연결부(236)를 지나 제 2 걸림공간부(236a)로 이동된다. 레그결합부(302a)가 제 2 걸림연결부(236)를 지나갈 때, 제 1 레그부(302)는 하방으로 탄성 변형된 후, 레그결합부(302a)가 제 2 걸림공간부(236a)에 걸림 위치되면, 제 1 레그부(302)는 원위치로 탄성 변형된다. 이때, 레그결합부(302a)는 제 2 걸림공간부(236a)에 걸림 위치된 완전 결합 상태(CPA 2차 결합 상태)가 된다. 이처럼 결합부(11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레그결합부(302a)가 제 2 걸림공간부(236a)에 걸림 위치되면, 탄성레버(230)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결합부(11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이들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 간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 간의 결합을 임의로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를 제 2 하우징(210)에서 탈거시켜야 한다. 이때, 제 2 걸림연결부(236)의 전측은 경사진 구배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헤드부(304)를 후진시키면, 제 2 걸림공간부(236a)에 걸림 위치된 레그결합부(302a)가 제 2 걸림연결부(236)의 전측을 부드럽게 지나가게 되어, 레그결합부(302a)가 제 1 걸림공간부(234a)에 걸림 위치되므로,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를 제 2 하우징(210)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터미널안내부(114)는 3개 즉, 홀수로 구성되고, 제 1 터미널(120)은 제 1 하우징(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 삽입된다. 즉, 중앙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는 제 1 터미널(120)이 제거되고, 대신,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제 2 레그부(306)가 제 1 터미널(120)이 제거된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 위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가 적용되지 않은 기존의 제 1 하우징(11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로 제 1 커넥터(100)를 제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110)의 제 1 터미널안내부(114)는 4개 즉, 짝수로 구성되고, 제 1 터미널(120)은 도면 상 제 1 하우징(110)의 왼쪽에 위치되는 1개의 제 1 터미널(120) 및 제 1 하우징(110)의 오른쪽에 위치되는 2개의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중앙에서 왼쪽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는 제 1 터미널(120)이 제거되고, 대신,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커넥터위치보증부재(300)의 제 2 레그부(306)가 제 1 터미널(120)이 제거된 제 1 터미널안내부(114)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100: 제 1 커넥터 110: 제 1 하우징
112: 삽입부 112a: 결합부
114: 제 1 터미널안내부 120: 제 1 터미널
200: 제 2 커넥터 210: 제 2 하우징
212: 제 1 면부 213: 스토퍼
214: 제 2 면부 214a: 수용홈
216: 측벽부 216a: 수용홀
216b: 체결돌기 218: 저면부
219: 록킹공간부 220: 안내부
222: 슬라이딩안내부 224: 제 2 터미널안내부
230: 탄성레버 232: 레버부
234: 제 1 걸림연결부 234a: 제 1 걸림공간부
234b: 탄성억제부 236: 제 2 걸림연결부
236a: 제 2 걸림공간부 300: 커넥터위치보증부재
302: 제 1 레그부 302a: 레그결합부
304: 헤드부 306: 제 2 레그부
306a: 제 1 록킹돌부 306b: 제 2 록킹돌부
400: 터미널위치보증부재 402: 커버부
404: 절곡부 404a: 제 1 커버결합부
404b: 제 2 커버결합부 406: 위치보증돌출부

Claims (6)

  1. 일측에 오목하게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커넥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안내부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면에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안내부는 슬라이딩안내부로 구분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제외한 다른 안내부들은 상기 제 1 터미널안내부와 대향되는 제 2 터미널안내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탄성레버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레버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부와 록킹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탄성레버가 상기 결합부와 록킹된 이후, 상기 탄성레버가 탄성 변형될 수 없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탄성레버 사이의 록킹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1 레그부와, 상기 제 1 레그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일측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로 삽입되는 제 2 레그부를 갖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레버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레버부와, 한 쌍의 상기 레버부의 선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걸림연결부와, 상기 제 1 걸림연결부와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상기 레버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걸림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걸림연결부와 한 쌍의 상기 레버부의 타측 사이의 공간에 제 1 걸림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연결부와 한 쌍의 상기 레버부의 일측 사이의 공간에 제 2 걸림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2 걸림공간부와 제 2 걸림연결부를 차례로 지난 후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록킹되도록 걸림 위치되되,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걸림연결부를 지나갈 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2 걸림연결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2 하우징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될 때, 상기 레버부는 원위치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레그부는 상기 록킹공간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 1 레그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레그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그부는 상기 제 1 걸림연결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각각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로 상기 레그결합부를 누르게 되고,
    상기 결합부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레그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에 전진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레그부는 전진되고, 상기 레그결합부는 상기 제 2 걸림연결부를 지나 상기 제 2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탄성레버가 구비될 때, 상기 제 2 하우징의 타면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수용홈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터미널안내부로 삽입되는 터미널의 위치를 확정하는 터미널위치보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레버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그부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 1 록킹돌부와 제 2 록킹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 2 레그부의 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록킹돌부는 상기 터미널위치보증부재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1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2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저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내부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 상기 제 2 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 상기 측벽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용홀과,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수용홀의 내주연 일측에 상기 수용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위치보증부재는,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각각의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보증돌출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상기 수용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림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결합부가 상기 제 1 걸림공간부에 걸림 위치되면, 상기 제 2 록킹돌부는 상기 위치보증돌출부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1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2 면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저면부 및 상기 제 1 면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의 내부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안내부 중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2 터미널안내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레버는 상기 제 1 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1 면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08754A 2019-01-23 2019-01-23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99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754A KR101998077B1 (ko) 2019-01-23 2019-01-23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EP19212631.6A EP3687004A1 (en) 2019-01-23 2019-11-29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754A KR101998077B1 (ko) 2019-01-23 2019-01-23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077B1 true KR101998077B1 (ko) 2019-07-09

Family

ID=6726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754A KR101998077B1 (ko) 2019-01-23 2019-01-23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87004A1 (ko)
KR (1) KR101998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007A (ko) * 2017-10-19 2019-04-29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KR102273989B1 (ko) * 2020-11-12 2021-07-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기적 검사용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220145085A (ko) * 2021-04-21 2022-10-2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9908B (en) * 2020-10-13 2023-01-04 Aptiv Tech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EP4054018A1 (en) * 2021-03-03 2022-09-07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miniaturiz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EP4297196A1 (en) * 2022-06-20 2023-12-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ctric connector
CN115764391B (zh) * 2022-11-17 2023-09-29 广州贝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端连接器外壳及其连接器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363A (ko) * 2008-06-20 200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KR101360809B1 (ko) * 2013-01-23 2014-02-12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JP2014170746A (ja) * 2013-02-28 2014-09-18 Yazaki North America Inc コネクタ位置保証安定装置を備えた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8116932A (ja) * 2016-01-14 2018-07-26 ジェイ.エス.ティー.コーポレーション Mslコネクタシリーズを扱う方法
KR101886959B1 (ko) 2016-03-03 2018-08-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8139209A (ja) * 2017-02-14 2018-09-06 デルファ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038A (en) * 1998-04-24 1999-07-2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363A (ko) * 2008-06-20 200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KR101360809B1 (ko) * 2013-01-23 2014-02-12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JP2014170746A (ja) * 2013-02-28 2014-09-18 Yazaki North America Inc コネクタ位置保証安定装置を備えた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8116932A (ja) * 2016-01-14 2018-07-26 ジェイ.エス.ティー.コーポレーション Mslコネクタシリーズを扱う方法
KR101886959B1 (ko) 2016-03-03 2018-08-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8139209A (ja) * 2017-02-14 2018-09-06 デルファ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007A (ko) * 2017-10-19 2019-04-29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KR102530744B1 (ko) 2017-10-19 2023-05-09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KR102273989B1 (ko) * 2020-11-12 2021-07-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기적 검사용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220145085A (ko) * 2021-04-21 2022-10-2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511696B1 (ko) * 2021-04-21 2023-03-2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7004A1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5628649A (en) Lock det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EP2362498A2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20100047323A (ko) 여분의 단자 잠금부를 갖는 커넥터
US10559923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connection detecting function
US9985380B2 (en)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KR20170013393A (ko) 케이블 변형 완화부
JPH11297420A (ja) コネクタ
KR102273989B1 (ko) 전기적 검사용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0010024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US6659785B2 (en) Connector
US6422887B1 (en) High durability, low mating force electrical connectors
US6478632B2 (en) Shake preventing construction for 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JP3079996B2 (ja) コネクタ
US10128605B2 (en) Connector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220344866A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switch for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US6488547B2 (en) Connector with longitudinally spaced locks for retaining terminal fittings
JP3193271B2 (ja) コネクタ
CN213959254U (zh) 具有cpa结构的连接器
US11784431B2 (en) Connector with terminal fitting and lock arm
US20240162647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0819839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74509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