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393A - 케이블 변형 완화부 - Google Patents

케이블 변형 완화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393A
KR20170013393A KR1020177000658A KR20177000658A KR20170013393A KR 20170013393 A KR20170013393 A KR 20170013393A KR 1020177000658 A KR1020177000658 A KR 1020177000658A KR 20177000658 A KR20177000658 A KR 20177000658A KR 20170013393 A KR20170013393 A KR 20170013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train relief
relief member
connector hous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325B1 (ko
Inventor
마르틴 루드위그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접촉 단자, 그 안에 접촉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별개인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변형 완화를 위해 케이블에 변형 완화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 및 변형 완화 부재를 대응 상대 커넥터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통합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변형 완화부{CABLE STRAIN RELIEF}
본 발명은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통신 케이블, 네트워킹 케이블, 기타 신호전송 케이블 또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전기 배선과 같은 각종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전기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수형-단부 플러그가 암형-단부 잭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많은 용도에서 커넥터의 안전한 결합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승용차의 에어백 시스템과 같은 차량 안전 시스템의 경우에, 에어백을 그 점화 베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는 신뢰성있는 안전 시스템을 구비해야 한다. 커넥터가 의도치 않게 느슨해질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안전한 기계적 결합을 보장하는 이차 로킹 시스템이 사용된다. 대개, 이러한 이차 로킹 시스템은 고정될 커넥터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는 개별 플라스틱 부품의 형태로 실현되며, 커넥터 상에 직접 몰딩된다.
또한, 많은 적용 분야에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케이블의 실제 연결 부분을 발생할 수 있는 변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블을 커넥터 시스템에 확고하게 부착시키는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이 분리되고 케이블 배선이 접촉 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인 이 연결 부분은 특히 취약하며 따라서 보호되어야 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케이블에 가해지는 변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보통, 케이블에 가해지는 어떤 힘은 압착 영역, 즉 케이블이 접촉 단자에 연결되는 상호접속부에 직접 작용한다. 전기 커넥터의 이들 단자는 대개 얇은 판금 재료로 스탬핑 및/또는 형성되는 부품과 같은 초소형 부품이며 변형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괴된다.
접촉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 내에 부적절하게 자리잡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단자가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초기 조립 중에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 또는 접촉 단자가 커넥터 시스템의 사용 중에 진동되거나 견인되어 그 완전히 자리잡힌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고장은 전기 부품이 정상적인 사용 중에 거의 지속적으로 진동을 겪게 되는 자동차 산업에서 특히 관심 대상이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접촉 단자의 불완전한 삽입을 검출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용 단자 위치 보장(TP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접촉 단자가 각각의 하우징 내에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 영역에서의 변형을 저감하고 커넥터 시스템의 일차 및/또는 이차 로크에서도 변형을 저감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개수의 부품을 포함하고 장착이 간단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 목적은 단자 위치 보장(TPA)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명백해지는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청구항 1의 요지에 따른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접촉 단자, 및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접촉 단자는 따라서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부 및 절연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 상대 커넥터를 위한 전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그 안에 접촉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하우징 자체는 일반적으로 대응 상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을 대응 상대 커넥터에 로크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 하우징과 별개인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체형 부분이 아니다.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변형 완화를 위해 케이블에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이 부재를 대응 상대 커넥터에 직접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통합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상대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그 안에 제공되는 접촉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종류의 커넥터를 지칭한다. 상대 커넥터는 이것을 예를 들어 전기 부품의 벽과 같은 그 환경에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각각의 전기 피드-스루를 제공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는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실제 용도 및 설계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상대 커넥터, 커넥터 하우징 및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단일의 개별 부재이며, 임의의 케이블 변형을 대응 상대 커넥터에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케이블에 가해지는 임의의 인출력은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거쳐서 상대 커넥터에 전달되고 커넥터 하우징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된 단자의 압착 영역은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힘을 상대 커넥터에 전달하는 사실로 인해 감소된 힘을 견뎌내야 한다. 유리하게, 본 시스템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임의의 일차 로킹 수단을 상대 커넥터로 완화시키며 이는 커넥터 하우징이 예를 들어 공간 제한으로 인해 통합 일차 로크를 구비할 수 없는 커넥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촉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하는 일차 및/또는 이차 로크는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인출력을 대응 상대 커넥터로 전달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감소된 인출을 견뎌내야 한다. 따라서, 인출력은 유리하게 접촉 단자의 압착 영역과 일차 및/또는 이차 로크에 완전히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인출(pull-out)력"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으로부터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해 작용하는 일체의 힘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압입(push-in)력"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밀어넣기 위해 작용하는 일체의 힘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이 부재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장착 수단은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을 포위하도록 구성된 후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이 후크는 바람직하게 U-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 장착 수단은 간단한 조립 공정을 가능하게 하며 유리하게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여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수단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체결하는", "로킹하는", "장착하는"은 특정 용도 또는 방법을 암시하지 않으며, 단지 명확함을 위해 상이한 수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장착 수단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로킹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로킹 수단은 장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 수단은 접촉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개구 내에 제공되고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될 때 단자 위치 보장(TPA)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PA는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서 접촉 단자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보장하고, 따라서 조립 중에 시간 소모적이고 값비싼 검사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관련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은 접촉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 내의 그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접촉 단자에 대한 로크를 제공한다. 따라서 장착 수단은 접촉 단자에 대한 일차 로크로서 또는 이차 로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수단은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커넥터 하우징 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부분은 따라서 접촉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 내의 그 위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를 접촉 단자가 그로부터 제거될 수 없도록 로크시킨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을 대응 상대 커넥터에 해제 가능하게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상대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이 변형 완화 부재를 대응 상대 커넥터에 직접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통합 로킹 수단을 지지하는 통합 가요성 웨브를 포함한다. 가요성 웨브는 외력이 가해질 때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통합 로킹 수단은 웨브에 힘이 가해질 때 통합 로킹 수단이 시프트되거나 재배치되도록 가요성 웨브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웨브는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해 가요성 웨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통합 로킹 수단을 대응 커넥터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통합 가요성 웨브는 작동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은 가요성 웨브에 힘을 가함으로써 대응 상대 커넥터에 쉽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삽입 또는 제거가 로크 또는 봉쇄되지 않도록 통합 로킹 수단과 상호작용한다.
작동 부재는 바람직하게 변형 완화 부재를 상대 커넥터로부터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 드라이버와 같은 적절한 도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작동 부재가 바람직하게 이러한 도구에 의해 작동 부재 또는 변형 완화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쉽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이해한다. 바람직하게 변형 완화 부재는 큰 외력이 가해질 때만 그 로킹 기능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 사이의 탄성 연결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우발적으로 해제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 변형 완화 부재의 작동 부재는 변형 완화 부재가 상대 커넥터에 로크될 때 상대 커넥터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는 조작자가 전술한 로킹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또한 커넥터 하우징을 상대 커넥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잘 접근할 수 있도록 상대 커넥터에 의해 포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의 제거는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합 로킹 수단은 대응 상대 커넥터의 대응 교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로킹 램프(ramp)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합부는 로킹 창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의 통합 로킹 수단은 로킹 창이며 대응 상대 커넥터의 교합부는 바람직하게 로킹 램프이다. 로킹 램프는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이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 중에 대응 상대 커넥터에 삽입될 때 어떤 경우에도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의 가요성 웨브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단 삽입되면, 삽입 방향에 대해 법선을 형성하는 로킹 램프면은 로킹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로킹 램프와 대응 로킹 창의 상호작용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합 로킹 수단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나사 드라이버와 같은 적절한 도구에 의해 변형 완화 부재를 상대 커넥터로부터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형 완화 부재는 변형 완화 부재의 통합 로킹 수단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대 커넥터로부터 로크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력은 따라서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즉 상대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 또는 제거 방향으로 인가된다. 바람직하게 통합 로킹 수단은 따라서 그 안에 제공되는 각각의 구멍을 통해서 상대 커넥터 외부로부터 접근되며, 이러한 구멍은 바람직하게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로킹 기능은,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 내에 배치되어도 상대 커넥터 내부로부터 통합 로킹 수단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삽입 또는 제거의 반대쪽, 즉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촉 단자는 접촉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 내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일차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차 로킹 수단은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접촉 단자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그 안에 접촉 단자를 로크시키는 래칭 랜스(lance)이다. 바람직하게, 커넥터 하우징은 또한 대응 상대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일차 로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는 시스템이 완전히 장착될 때, 즉 케이블이 접촉 단자에 연결되고, 다시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 내에 삽입되며,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가 케이블에 체결될 때 케이블을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케이블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는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케이블이 커넥터 하우징 내로 더 강제되거나 푸시될 때 유리하게 압착 영역을 보호한다.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표면을 포함하며, 하나의 표면은 커넥터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표면은 케이블의 케이블 피복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푸시되면, 힘은 바람직하게 스페이서를 거쳐서 커넥터 하우징에 전달되며, 따라서 유리하게 압착 영역에 대한 변형을 저감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내부에 접촉 단자가 배치된 커넥터 하우징과 양립하는 임의의 커넥터일 수 있는 대응 상대 커넥터, 및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를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바람직하게, 대응 상대 커넥터는 케이블 변형 완화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의 통합 로킹 수단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대 커넥터는 변형 완화 부재를 상대 커넥터로부터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외력을 변형 완화 부재에 특히 변형 완화 부재의 통합 로킹 수단에 인가할 수 있게 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은 상대 커넥터 상에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대 커넥터의 개구에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개구에 대해 상대 커넥터의 반대쪽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구멍을 통해서 나사 드라이버를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나사 드라이버로 변형 완화 부재에 각각의 힘을 인가함으로써 로킹 기능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넥터 하우징 및/또는 상대 커넥터는 로킹 기능을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힘을 교합 방향으로 변형 완화 부재에 인가함으로써 각각의 도구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홈 또는 경로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커넥터 하우징은 변형 완화 부재가 상대 커넥터에 로크될 때 상대 커넥터 내로의 커넥터 하우징의 추가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 커넥터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리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대 커넥터의 개구는 계단형이며, 계단형 개구의 제1 계단은 전술한 추가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의 리브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의 개구 내에 충분히 멀리 삽입되어 변형 완화 부재의 통합 로킹 수단이 상기 부재를 상대 커넥터에 로크시키면, 리브는 계단형 개구의 제1 계단과 블로킹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추가 삽입력 또는 압입력이 상기 블로킹 접촉을 통해서 상대 커넥터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접촉 단자가 보호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시스템은 접촉 단자에 장착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은 케이블을 접촉 단자에 부착하기 위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단자를 케이블의 절연체에 연결하기 위한 절연 압착부 및 접촉 단자를 케이블의 배선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부가 케이블을 접촉 단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절연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절연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3차원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3차원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에는, 도 1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이 3차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커넥터 하우징은 그 안에 접촉 단자(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접촉 단자(40)는 케이블(30)을 접촉 단자(40)에 장착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부 및 절연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30)을 접촉 단자(40)에 장착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케이블과 접촉 단자 사이의 이 인터페이스(42)는 본 명세서에서 "압착 영역"으로 지칭된다. 접촉 단자(40)는 상기 접촉 단자(40)를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 내의 그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접촉 단자(40)용 일차 로크를 제공하는 일차 로킹 수단(41)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차 로킹 수단(41)은 래칭 랜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일차 로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시스템의 조립 중에, 래칭 랜스(41)는 접촉 단자(40)가 하우징(20)의 개구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단자 하우징(20)과 래칭 결합되어,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 하우징(20)과 별개의 부품인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를 추가로 포함한다.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이 부재(10)를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직접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통합 로킹 수단(12)을 포함한다. 도시하듯이, 통합 로킹 수단(12)은 로킹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램프는 시스템의 조립 중에 삽입 방향으로 향하는 삽입 램프면 또는 램프 쐐기를 특징으로 한다. 로킹 램프는 추가로 삽입 방향에 수직하고 반대 삽입 방향으로 향하는 로킹 램프면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로킹 수단(12)은 예를 들어 벽돌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로킹 수단(12)은 작동 부재(14)를 구비하는 가요성 웨브(15)에 의해 지지된다. 가요성 웨브(15)는 이 가요성 웨브(15)에 외력이 가해질 때 통합 로킹 수단(12)을 대응 상대 커넥터(50)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가요성 웨브(15)는 이 가요성 웨브(15)에 외력이 가해질 때 도시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이 대응 상대 커넥터(50) 내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변형 완화를 위해 케이블(30)에 변형 완화 부재(1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11)을 추가로 포함한다. 체결 수단(11)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을 뿐이며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를 케이블(30)에 체결하기 위한 임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케이블(30)에 클램핑, 압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블(30)을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에 결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냅-로크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거나 금속 슬리브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30)은 다시 케이블 피복(31) 및 배선(32)을 포함한다. 배선(32)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한 종류의 케이블 피복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추가로 알 수 있듯이, 도 1 및 도 2의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또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를 커넥터 하우징(2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13a, 13b)을 포함한다. 따라서 장착 수단(13a, 13b)은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장착 수단(13a, 13b)은 커넥터 하우징(20)의 돌출부, 개구 또는 간극과 같은 대응 수단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장착 수단(13a, 13b)은 커넥터 하우징(20)의 일부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13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 수단은 장착 수단(13a, 13b)이 커넥터 하우징(20)의 일부를 포위할 수 있도록 U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 중에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의 장착 도중의 용이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장착 수단(13a)은 또한 단자 위치 보장(TPA)을 제공한다. 따라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를 커넥터 하우징(20)에 장착하는 것은 미리-삽입된 접촉 단자(40)가 커넥터 하우징(20)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며, 조립 도중의 임의의 고가의 값비싼 검사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장착 수단(13a)은 접촉 단자(40)에 대한 이차 로크(13a)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단자(40)의 일차 로킹 수단(41)이 고장날 때, 이차 로크(13a)는 접촉 단자(40)가 커넥터 하우징(20)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장착 수단(13a)은 커넥터 하우징(20) 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하며, 이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를 봉쇄한다. 바람직하게 접촉 단자(40)는 커넥터 하우징(20)의 봉쇄된 개구에 갇히는 형상의 것이며,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가 하우징(20)에 장착될 때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장착 수단(13a)은 하나의 단일 피스에서 세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바, 즉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의 고정 및 그로 인한 상대 커넥터(50)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20)의 로킹, TPA 기능, 및 접촉 단자(40)에 대한 이차 로킹 기능을 제공한다. 단일 부분이 이들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의 개별 부분이 이들 기능의 하나 이상을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로킹 수단(12)에 의해서만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로크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20)이 자체적으로 임의의 (일차) 로킹 수단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20) 자체가 하우징(20)을 상대 커넥터(50)에 로크시키기 위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합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의 로킹 수단(12)은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한 이차 로크를 제공하는 것을 알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연결된다. 상대 커넥터(50)는 임의의 소정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대 커넥터(50)의 접촉 핀(60)은 예를 들어 접촉 단자(4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이는 케이블(30)의 배선(32)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상대 커넥터(50)는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20)의 로킹 램프(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창(51)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대 커넥터(50)는 로킹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20)는 대신에 상대 커넥터(50)의 로킹 램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킹 창을 포함하는 것을 알 것이다. 도 6에서 상세히 알 수 있듯이, 변형 완화 부재(10)는 압착 영역(42)을 위한 변형 완화부 및 접촉 단자(40)의 일차 로크(41)를 제공한다. 특히, 케이블(30)에 인출력이 가해지면, 인출력은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의 체결 수단(11) 및 로킹 수단(12)을 거쳐서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접촉 단자(40)의 압착 영역(42) 및 일차 로크(41)는 감소된 인출력을 견뎌야 한다.
추가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가요성 웨브(15)를 구비하고, 이는 통합 로킹 수단(12)을 지지하고 작동 부재(14)를 구비한다. 가요성 웨브(15)는 가요성 웨브(15)에 힘이 가해질 때,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이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에 수직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조작자는 웨브(15)가 아래로 휘어지고 웨브(15)에 의해 지지되는 통합 로킹 수단(12)이 하강되도록 가요성 웨브(15)에 힘을 가함으로써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을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시하듯이, 통합 로킹 수단(12)은 로킹 램프이다. 따라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이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삽입되면, 가요성 웨브(15)는 그 결과로 아래로 휘어지며, 따라서 로킹 램프(12)는 로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 커넥터(50) 내의 대응 창(51)에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상대 커넥터(5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작동 부재(14)를 누름으로써, 조작자는 통합 로킹 수단(12)을 로크해제시킬 수 있다. 가요성 웨브(15)에 힘을 가함으로써, 로킹 램프(12)는 더 이상 대응 상대 커넥터(50)와 로킹 접촉하지 않도록 하강된다. 이것은 간단하게 예를 들어 작동 부재(14)를 눌러서 가요성 웨브(15)에 힘을 가하고 예를 들어 케이블(30)을 당김으로써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이 대응 상대 커넥터(50)로부터 추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은 상대 커넥터(50)로부터 비파괴적으로 간단히 추출될 수 있다. 다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분해 도중의 인출력을 체결 수단(11) 및 장착 수단(13a, 13b)을 거쳐서 커넥터 하우징(20)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압착 영역(42)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취약한 압착 영역이 보호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듯이,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는 스페이서(16)를 추가로 구비한다. 스페이서(16)는 케이블 피복(31)과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며 두 개의 표면(17a, 17b)을 포함한다. 하나의 표면(17a)은 커넥터 하우징(20)과 접촉하고 다른 표면(17b)은 케이블 피복(31)과 접촉한다. 커넥터 하우징(20)에 제공된 접촉 단자(40)에 장착된 케이블(30)을 대응 상대 커넥터(50) 내에 푸시할 때, 압입력은 스페이서(16)를 거쳐서 커넥터 하우징(20)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압착 영역(42)에 작용하는 압입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스페이서(16)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 중에 압착 영역의 과도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20) 및 장착된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를 상대 커넥터(50) 내에 삽입하면, 로킹 램프(12)는 가요성 웨브(15)가 하강되도록 상대 커넥터(50)와 상호작용한다.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이 대응 상대 커넥터(5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로킹 램프(12)는 가요성 웨브(15)의 복원력으로 인해 로킹 위치로, 즉 상대 커넥터(50)의 창(51) 내로 스냅결합된다. 작동 부재(14)는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가 장착된 커넥터 하우징(20)이 상대 커넥터(50) 내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압착 영역(42)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태양에 따르면, 로킹 수단(12)은 상대 커넥터(50) "내부"로부터 평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상의 기술자는 교합 방향으로 좌측에서부터 예를 들어 창(51)까지 연장되는 채널(61)(점선으로 도시됨)이 상대 커넥터(50)에 쉽게 제공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러한 채널(61)은 도 6의 왼쪽으로부터 예를 들어 나사 드라이버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결국 로킹 기능의 해제를 위해 로킹 수단(12)을 하측으로 압박할 것이다. 따라서 로킹 수단(12)의 램프형 형상은 로킹 수단(12)을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웨브(15)의 휘어짐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 6에 도시된 채널(61)이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실제로 상기 채널(61)은 아마도 그 안에 도구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더 큰 치수일 필요가 있을 것임을 알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채널(61)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대 커넥터(50)의 각각의 벽 두께를 확대시킴으로써 쉽게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4)

  1. 하나 이상의 접촉 단자(40), 및
    그 안에 접촉 단자(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커넥터 하우징(20)과 별개인 케이블 변형 완화 부재(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변형 완화를 위해 케이블(30)에 변형 완화 부재(10)를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 체결 수단(11)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10)는 이 부재(10)를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직접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통합 로킹 수단(1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는 이 부재(10)를 커넥터 하우징(2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13a, 13b)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13a, 13b)은 변형 완화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커넥터 하우징(20)의 일부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바람직하게 U-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13a, 13b)은 접촉 단자(40)가 커넥터 하우징(20)의 하나 이상의 개구 내에 제공되고 변형 완화 부재(10)가 커넥터 하우징(20)에 장착될 때 단자 위치 보장, TPA,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13a, 13b)은 접촉 단자(40)를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 내의 그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접촉 단자(40)에 대한 이차 로크를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13a, 13b)은 변형 완화 부재(6)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커넥터 하우징(20) 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부분은 접촉 단자(40)가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 내의 그 위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는 커넥터 하우징(20)을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해제 가능하게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는 통합 로킹 수단(12)을 지지하는 통합 가요성 웨브(15)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웨브(15)는 이 가요성 웨브(15)에 외력이 가해질 때 통합 로킹 수단(12)을 대응 상대 커넥터(50)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가요성 웨브(15)는 작동 부재(14)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4)는 변형 완화 부재(10)가 상대 커넥터(50)에 로크될 때 상대 커넥터(50) 외부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의 작동 부재(14)는 변형 완화 부재(10)를 상대 커넥터(50)로부터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도구에 의해, 특히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로킹 수단(12)은 로킹 램프이거나 또는 상기 통합 로킹 수단(12)은 로킹 창인, 전기 커넥터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의 통합 로킹 수단(12)은 변형 완화 부재(10)를 상대 커넥터(50)로부터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도구에 의해, 특히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는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변형 완화 부재(10)의 통합 로킹 수단(12)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대 커넥터(50)로부터 로크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0)은 커넥터 하우징(20)을 대응 상대 커넥터(50)에 로크시켜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한 일차 로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합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40)는 접촉 단자(40)를 커넥터 하우징(20)의 개구 내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일차 로킹 수단(41)을 포함하며, 상기 일차 로킹 수단(41)은 바람직하게 래칭 랜스인, 전기 커넥터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변형 완화 부재가 상대 커넥터에 로크될 때 상대 커넥터 내로의 커넥터 하우징의 추가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 커넥터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화 부재(10)는 시스템이 완전히 장착될 때 케이블(30)을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스페이서(16)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6)는 두 개의 표면(17a, 17b)을 포함하고, 하나의 표면(17a)은 커넥터 하우징(20)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표면(17b)은 케이블(30)의 케이블 피복(31)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대응 상대 커넥터(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는 특히 그 안에 커넥터 하우징(20) 및 변형 완화 부재(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50)는 변형 완화 부재(10)를 상대 커넥터(50)로부터 로크해제시키기 위해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외력을 변형 완화 부재(10)에 특히 변형 완화 부재(10)의 통합 로킹 수단(12)에 인가할 수 있게 하는 채널(61)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50)의 채널(61)은 커넥터 시스템의 교합 방향으로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50)의 개구는 계단형이고, 상기 계단형 개구의 제1 계단은 변형 완화 부재(10)가 상대 커넥터(50)에 로크될 때 상대 커넥터(50) 내로의 커넥터 하우징(20)의 추가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20)의 리브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단자(40)에 장착되는 케이블(30)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1020177000658A 2014-06-13 2015-06-12 케이블 변형 완화부 KR102426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2422.9 2014-06-13
EP14172422.9A EP2955797A1 (en) 2014-06-13 2014-06-13 Cable strain relief
PCT/EP2015/063227 WO2015189414A1 (en) 2014-06-13 2015-06-12 Cable strain relie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393A true KR20170013393A (ko) 2017-02-06
KR102426325B1 KR102426325B1 (ko) 2022-07-29

Family

ID=5094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658A KR102426325B1 (ko) 2014-06-13 2015-06-12 케이블 변형 완화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3132B2 (ko)
EP (2) EP2955797A1 (ko)
JP (1) JP6665117B2 (ko)
KR (1) KR102426325B1 (ko)
CN (1) CN106463882B (ko)
WO (1) WO2015189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214B2 (ja) * 2017-08-07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10290970B1 (en) * 2018-02-08 2019-05-14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device
CN108598792A (zh) * 2018-04-18 2018-09-28 广州市译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扫描枪及连接线
JP2020149938A (ja) * 2019-03-15 2020-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カバー
US11201428B2 (en) * 2019-09-27 2021-12-1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or lock and terminal retainer
FR3105615B1 (fr) * 2019-12-18 2022-06-03 Tyco Electronics France Sas Dispositif de connexion
CN113644498A (zh) * 2021-07-22 2021-11-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互锁连接器
JP2024055811A (ja) * 2022-10-07 2024-04-18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インディア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コネクタ、接続アセンブリおよび接続グルー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605A (ja) * 1989-12-22 1998-07-31 Amp Inc 電気コネクタ
JP2000231961A (ja) * 1998-12-08 2000-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302721B1 (en) * 2000-01-04 2001-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tching adapter for installation on a cable connector
JP2009021094A (ja) * 2007-07-12 2009-01-29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1001994A (ja) * 2009-06-17 2011-01-06 Yazaki Corp ロック解除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215A (en) * 1993-06-21 1994-08-30 Molex Incorporated Releasable latch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GB2308755B (en) * 1995-12-28 1997-12-17 Yazaki Corp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JP3405894B2 (ja) * 1995-12-28 2003-05-12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840039B2 (ja) * 2000-06-01 2006-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コネクタ
US6409534B1 (en) * 2001-01-08 2002-06-25 Tyco Electronics Canada Ltd. Coax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housing
EP2105996A1 (en) * 2008-03-25 2009-09-30 Esbe Ab Casing for plug and cable
US8057250B2 (en) * 2010-03-29 2011-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 organizer for electrical connector
JP5594008B2 (ja) * 2010-09-15 2014-09-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R2972861B1 (fr) * 2011-03-15 2014-06-0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ment de fiche avec organe de decharge de contrainte
JP2013038039A (ja) * 2011-08-11 2013-02-21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605A (ja) * 1989-12-22 1998-07-31 Amp Inc 電気コネクタ
JP2000231961A (ja) * 1998-12-08 2000-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302721B1 (en) * 2000-01-04 2001-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tching adapter for installation on a cable connector
JP2009021094A (ja) * 2007-07-12 2009-01-29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1001994A (ja) * 2009-06-17 2011-01-06 Yazaki Corp ロック解除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9414A1 (en) 2015-12-17
JP2017517857A (ja) 2017-06-29
US20170155210A1 (en) 2017-06-01
EP2955797A1 (en) 2015-12-16
JP6665117B2 (ja) 2020-03-13
KR102426325B1 (ko) 2022-07-29
EP3155695B1 (en) 2019-08-28
US9843132B2 (en) 2017-12-12
CN106463882A (zh) 2017-02-22
EP3155695A1 (en) 2017-04-19
CN106463882B (zh)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3393A (ko) 케이블 변형 완화부
JP4824618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US9325114B2 (en) Plug connector
JP5285985B2 (ja) 雌型端子金具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6217358B1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EP2827459B1 (en) Connector
JP2010049896A (ja) コネクタ
CN108432057B (zh) 用于端子的锁定结构和连接器
KR100198409B1 (ko)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KR20210009002A (ko) 릴레이 장착장치
JP2012109031A (ja) コネクタ
KR20100012414A (ko)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CN111952794A (zh) 连接器壳体、配合连接器壳体和系统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EP3883063B1 (en) Connection terminal
KR200466960Y1 (ko) 커넥터
JP2011023147A (ja) コネクタ
EP1180824A2 (en) Plug for a connector arrangement
EP3020096B1 (en) Improved connector assembly with mat seal
CN115036726A (zh) 电连接箱
JP2014032786A (ja) コネクタ構造
KR20120072066A (ko)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