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002A - 릴레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002A
KR20210009002A KR1020190085452A KR20190085452A KR20210009002A KR 20210009002 A KR20210009002 A KR 20210009002A KR 1020190085452 A KR1020190085452 A KR 1020190085452A KR 20190085452 A KR20190085452 A KR 20190085452A KR 20210009002 A KR20210009002 A KR 2021000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mounting space
terminal
fastening lev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002A/ko
Publication of KR202100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장착장치 이다.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10)의 몸체부(12)의 일면으로 돌출된 단자(16,17.18,19)와 간섭되지 않도록 블럭몸체(20)의 체결레버(30)에 걸이편(3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2)이 상기 단자(16,17,18,19)에 간섭되지 않도록 되어 릴레이(10)가 블럭몸체(20)의 장착공간(24)에 장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2)와 장착공간(24)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몸체부(12)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4)가 일종의 키코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10)의 단자(16,17,18,19)에 플래그타입 커넥터를 결합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할 때, 장착공간(24)에 릴레이(10)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릴레이 장착장치{Relay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릴레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단자에 플래그타입 커넥터로 와이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릴레이를 사용할 때 릴레이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전기적 연결을 연결하고 끊어주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블럭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릴레이는 플러그인타입으로 블럭에 있는 회로에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릴레이의 단자들에 와이어를 플래그타입 커넥터를 사용하여 결합함에 의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래그타입 커넥터로 와이어를 릴레이의 단자들에 결합하도록 사용하는 경우에 릴레이를 블럭몸체의 장착공간에 장착할 때, 오조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릴레이가 블럭몸체의 장착공간에 오조립되면, 플래그타입 커넥터가 다른 단자에 결합되면서 회로연결이 잘못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67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레이가 장착공간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를 장착공간에 견고하게 장착하면서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의 일면으로 단자들이 돌출되고 일측면에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릴레이를. 블럭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장착하는 릴레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안착되는 장착공간을 외부와 구획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채널이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의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와의 간섭이 없어야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구비하는 외팔보 형상의 체결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편은 상기 단자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걸어지고, 상기 간섭회피채널에 상기 결합돌기가 위치되어 릴레이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몸체부를 반대쪽 측벽 내면에 밀착시켜주는 누름면이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직육면체형상이다.
상기 간섭회피채널은 상기 체결레버가 형성된 반대쪽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결합돌기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걸이편은 상기 체결레버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공간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안내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의 끝부분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바닥면을 향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단자가 돌출된 면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의 일면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서로 마주보게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있는 일면에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를 바라보도록 나란히 제3단자와 제4단자가 돌출되어 배치되는 릴레이를 블럭몸체에 상기 몸체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장착하는 릴레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안착되는 장착공간을 외부와 구획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채널이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의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돌출된 사이 공간에 해당되는 몸체부의 일면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구비하는 외팔보 형상의 체결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몸체부를 반대쪽 측벽 내면에 밀착시켜주는 누름면이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사각 형상이다.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이다.
상기 걸이편은 상기 체결레버의 폭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공간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안내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에서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쪽 끝부분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바닥면을 향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돌출된 사이 부분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릴레이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측벽의 횡단면이 직다각형으로 되어 이에 횡단면이 직다각형인 릴레이가 장착되는데, 측벽의 일측에 체결레버를 두고 상기 체결레버에 걸이편을 돌출시켜 릴레이의 단자돌출면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하였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편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나란히 배치된 제3단자와 제4단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릴레이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에 릴레이가 정확하게 삽입되어 위치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걸이편을 가진 체결레버에 인접하여 릴레이의 몸체부를 반대쪽으로 밀어주도록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레버로 릴레이를 장착공간에 체결함과 동시에 누름면이 릴레이를 측벽의 반대쪽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였으므로, 릴레이가 장착공간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체결레버가 릴레이의 일측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있어서 분리시에 작업자가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켜주면 장착공간에서 릴레이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플러그인 타입 또는 플래그커넥터가 단자에 장착되는 타입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릴레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릴레이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릴레이 장착장치에 릴레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릴레이 장착장치에 릴레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릴레이가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릴레이가 오조립 시도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에는 플러그인타입과 플래그타입 커넥터를 단자에 연결하는 타입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이 릴레이(10)의 외관과 골격을 몸체부(12)가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2)의 내부에는 릴레이(10)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12)는 육면체 형상이다. 여기서 몸체부(12)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1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14)는 릴레이(10)가 플러그인타입으로 사용될 때, 블럭몸체 등에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12)의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단자(16,17,18,19)가 있다. 상기 단자(16,17,18,19)들은 몸체부(12)의 일면으로 모두 돌출된다. 여기서, 제1단자(16)는 전원쪽과 연결되고, 제2단자(17)는 부하쪽과 연결되며, 제3 및 제4단자(18,19)는 릴레이(10)를 제어하는 제어부쪽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16,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3단자와 제4단자(18,19)는 상기 제1단자(16)와 제2단자(17)를 향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릴레이(10)는 블럭몸체(20)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상기 단자(16,17,18,19)가 들어가서 상대 단자들과 결합되도록 하는 플러그인 타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자(16,17,18,19)들에 플래그타입 커넥터가 결합되는 타입으로 릴레이(10)가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블럭몸체(20)에는 측벽(22)에 의해 주변과 구획되어 장착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24) 내에는 상기 몸체부(12)의 대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장착공간(24)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12)의 형상과 대응된다. 즉 직육면체 공간이 된다. 물론 상기 몸체부(12)가 정육면체 형상이라면 상기 장착공간(24)도 그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착공간(24)은 상기 몸체부(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측벽(22)은 전체적인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되는데, 일측 측벽(22) 부분에는 간섭회피채널(26)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채널(26)은 상기 릴레이(10)의 걸림돌기(1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벽(22)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8)는 릴레이(10)의 몸체부(12) 외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8)는 릴레이(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8)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있어서 몸체부(12)가 장착공간(24)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간섭회피채널(26)이 형성된 측벽(22) 부분의 반대쪽 측벽(22) 위치에는 체결레버(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체결레버(30)의 폭방향 양단에는 걸이편(3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체결레버(3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나란히 연장된다. 물론 상기 걸이편(32)이 반드시 2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체결레버(30)의 폭방향 양단에 하나씩 형성됨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릴레이(10)를 장착공간(24) 내에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체결레버(30)의 자유단부에서 시작해서 기저부쪽으로 연장되는데,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내경사(33)가 있다. 상기 안내경사(33)는 상기 릴레이(10)의 몸체부(12)일측을 안내하면서 체결레버(30)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경사(33)에 의해 상기 걸이편(32)은 기저부쪽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다.
상기 걸이편(32)의 기저부쪽 끝부분에는 걸이면(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34)은 상기 몸체부(12)에서 상기 단자(16,17,18,19)들이 돌출된 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면(34)은 상기 장착공간(24)의 바닥면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34)이 상기 몸체부(12)의 표면에 걸어지는 길이는 상기 체결레버(30)의 탄성변형 가능 정도에 따라 설정된다. 물론, 상기 걸이편(32)의 최대 돌출길이는 상기 제3단자와 제4단자(18,19)에서 몸체부(12)의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보다 크다. 이는 상기 걸이편(32)이 제3단자와 제4단자(18,19)에 간섭될 수 있어야 그 방향으로는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레버(30)에는 누름면(36)이 형성되는데, 상기 누름면(36)은 상기 릴레이(10)의 몸체부(12) 측면을 눌러서 반대쪽의 측벽(22) 내면에 몸체부(12)가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간섭회피채널(26)이 형성된 쪽의 측벽(22) 내면에 몸체부(12)가 눌러지도록 한다. 상기 누름면(36)은 상기 걸이편(32)의 걸이면(34)과 인접한다.
한편, 상기 체결레버(30)에서 상기 장착공간(24)을 향하는 면은 상기 릴레이(10)의 결합돌기(13)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가 설정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착공간(24)의 횡단면과 몸체부(12)의 횡단면과 같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삽입될 있는 가능성은 2가지이다. 즉, 릴레이(10)의 결합돌기(14)가 있는 면이 상기 간섭회피공간(26)과 대응되게 삽입되는 2가지 형태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레버(30)의 걸이편(32)이 돌출된 정도가 릴레이(10)의 제3단자(18)나 제4단자(19)와 간섭될 수 있을 정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레버(30)의 걸이편(32)이 상기 릴레이(10)의 제1단자(16)와 제2단자(17) 사이에 위치하도록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삽입되는 방향을 잡으면 된다. 즉, 이 방향으로 릴레이(10)를 장착공간(24)에 삽입하지 않으면 릴레이(10)의 장착이 불가능하여 어떤 작업자라도 오조립을 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착공간(24)이나 릴레이(10)의 몸체부(12)가 직육면체인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2) 등이 정육면체가 되더라도 상기 결합돌기(14)의 존재에 의해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삽입되는 방향이 2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 하지만, 몸체부(12)가 정육면체이고 결합돌기(14)가 없다면 90도만큼씩 릴레이(10)를 회전시키면서 장착공간(24)에 릴레이(10)를 삽입할 수 있고, 단지 제3 및 제4단자(18,19)와 걸이편(32) 사이의 간섭에 의해서 1방향만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2)가 정육면체인 경우에는 반드시 결합돌기(14)가 존재하여 삽입방향을 한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 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여 릴레이(10)가 상기 장착공간(24)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편(32)에 의해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장착공간(24)을 향해 릴레이(10)를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16,17,18,19)에 플래그커넥터를 결합하는 컨벤셔널 타입에서 릴레이(10)가 사용되므로, 상기 단자(16,17,18,19)들이 상기 장착공간(24)의 반대쪽으로 향하도록 있어야 한다. 즉, 상기 몸체부(12)가 상기 장착공간(24) 내에 삽입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일측 측면이 상기 체결레버(20)의 걸이편(32)에 안착되어 안내경사(33)를 따라 안내되면,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24)쪽으로 상기 몸체부(12)가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2)가 상기 걸이편(32)의 안내경사(33)를 따라 안내되다가 걸이편(32)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20)의 탄성변형상태가 원래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편(32)의 걸이면(34)이 상기 몸체부(12)의 일면에 걸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레버(30)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면(36)은 상기 몸체부(12)의 일측면을 눌러서 상기 체결레버(30)가 있는 반대쪽으로 몸체부(12)를 밀어서 대응되는 측벽(22)에 상기 몸체부(12)가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2)가 상기 측벽(22)의 내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걸이편(32)에 의해 장착공간(24)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릴레이(10)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는 도 5의 (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정상적으로 삽입되는 것이 설명되어 있으나,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정상적인 삽입이 시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는 상기 릴레이(10)가 정상적인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24)에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릴레이(10)가 장착공간(24)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단자(16,17)와 걸이편(32)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단자(16)와 제2단자(17)의 사이에 걸이편(32)이 위치되어 서로 간섭없이 장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는 상기 장착공간(24)에 릴레이(1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90도 회전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14)가 측벽(22)에 걸어지게 된다. 하지만, 만약 상기 결합돌기(14)가 없고, 상기 장착공간(24)과 릴레이(10)의 몸체부(12)가 모두 정육면체라면 상기 걸이편(22)이 상기 단자(16,17,18,19)들에 간섭되지 않아 삽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장착공간(24)과 몸체부(12)가 직육면체이어서 장착공간(24)에 몸체부(12)가 삽입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도 6의 (c)는 상기 릴레이(10)가 도 6의 (a) 상태와 비교해서 180도 회전되어서 오삽입이 시도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14)는 문제없이 장착공간(24)쪽으로 진입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3단자(18)와 제4단자(19)가 상기 걸이편(32)과 간섭되어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장착공간(24)에서 상기 릴레이(10)를 분리해 내는 것은 작업자가 한손으로 상기 체결레버(30)를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걸이편(32)이 상기 몸체부(12)의 외면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만들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10)를 장착공간(24)에서 빼내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체결레버(30)와 상기 누름면(36)이 모두 적용되어 있으나, 상기 누름면(36)은 상기 체결레버(30)의 구성과는 별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30)에서 상기 걸이편(32)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폭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걸이편(23)은 상기 체결레버(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10: 릴레이 12: 몸체부
14: 결합돌기 16: 제1단자
17: 제2단자 18: 제3단자
19: 제4단자 20: 블럭몸체
22: 측벽 24: 장착공간
26: 간섭회피채널 28: 스페이서리브
30: 체결레버 32: 걸이편
33: 안내경사 34: 걸이면
36: 누름면

Claims (13)

  1. 몸체부의 일면으로 단자들이 돌출되고 일측면에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릴레이를. 블럭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장착하는 릴레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안착되는 장착공간을 외부와 구획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채널이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의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와의 간섭이 없어야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구비하는 외팔보 형상의 체결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편은 상기 단자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걸어지고, 상기 간섭회피채널에 상기 결합돌기가 위치되어 릴레이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몸체부를 반대쪽 측벽 내면에 밀착시켜주는 누름면이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릴레이 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직육면체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채널은 상기 체결레버가 형성된 반대쪽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결합돌기가 위치되도록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상기 체결레버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공간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안내경사가 형성되는 릴레이 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의 끝부분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바닥면을 향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단자가 돌출된 면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되는 릴레이 장착장치.
  8. 몸체부의 일면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서로 마주보게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있는 일면에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를 바라보도록 나란히 제3단자와 제4단자가 돌출되어 배치되는 릴레이를 블럭몸체에 상기 몸체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장착하는 릴레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안착되는 장착공간을 외부와 구획하고 상기 결합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채널이 일측에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의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돌출된 사이 공간에 해당되는 몸체부의 일면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구비하는 외팔보 형상의 체결레버를 포함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몸체부를 반대쪽 측벽 내면에 밀착시켜주는 누름면이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릴레이 장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사각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장착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착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상기 체결레버의 폭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공간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안내경사가 형성되는 릴레이 장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에서 상기 체결레버의 기저부쪽 끝부분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바닥면을 향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돌출된 사이 부분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되는 릴레이 장착장치.

KR1020190085452A 2019-07-16 2019-07-16 릴레이 장착장치 KR20210009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452A KR20210009002A (ko) 2019-07-16 2019-07-16 릴레이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452A KR20210009002A (ko) 2019-07-16 2019-07-16 릴레이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02A true KR20210009002A (ko) 2021-01-26

Family

ID=7431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452A KR20210009002A (ko) 2019-07-16 2019-07-16 릴레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9057A1 (de) * 2021-03-12 2022-09-15 Tdk Electronics Ag Gehäuseanordnung
WO2022189058A1 (de) * 2021-03-12 2022-09-15 Tdk Electronics Ag Gehäuse für elektromechanische kompone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738A (ko) 2017-08-09 2019-02-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738A (ko) 2017-08-09 2019-02-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9057A1 (de) * 2021-03-12 2022-09-15 Tdk Electronics Ag Gehäuseanordnung
WO2022189058A1 (de) * 2021-03-12 2022-09-15 Tdk Electronics Ag Gehäuse für elektromechanische komponen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3297B2 (en) Connector
US719552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49491A (ko)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CN107210560B (zh) 带有cpa接收构件的中间壳体和包括该壳体的插头型连接器系统
KR102426325B1 (ko) 케이블 변형 완화부
JP2005322554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5890468B2 (ja) 電気コネクタ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WO2019003063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OUT DETECTION AND COMPRISING A TERMINAL ALIGNMENT PLATE
KR20210009002A (ko) 릴레이 장착장치
KR101862851B1 (ko)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JP2015060830A (ja) 電気コネクタ
JP4420014B2 (ja) 自動車搭載用の電気接続箱
CN108432057B (zh) 用于端子的锁定结构和连接器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606528B2 (ja) コネクタ
JP2019212549A (ja) 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5075537B2 (ja) カバーの取付構造、コネクタ、及びカバー
JP2014056718A (ja) コネクタ
US6669508B2 (en) Connector
KR101424545B1 (ko) 커넥터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7408243B2 (ja) コネクタ
KR20180055954A (ko) 커넥터
KR102589863B1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