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738A - 전자식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식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738A
KR20190016738A KR1020170101050A KR20170101050A KR20190016738A KR 20190016738 A KR20190016738 A KR 20190016738A KR 1020170101050 A KR1020170101050 A KR 1020170101050A KR 20170101050 A KR20170101050 A KR 20170101050A KR 20190016738 A KR20190016738 A KR 2019001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housing
assembly
protrus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401B1 (ko
Inventor
장철진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4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1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홈(17)이 있는 메인하우징(10)과, 상기 설치공간(11')에 설치되고 전장품(45)이 실장되며 상기 메인하우징(10)의 하부로 돌출되는 단자부(30)가 연결되는 회로기판(40)과, 상기 메인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11')을 감싸 상기 회로기판(40)을 차폐하는 커버(50)와, 상기 커버(50)에서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각 측면을 감싸도록 다수개가 연장되되 그 사이는 이격되어 회피공간(53)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조립홈(17)에 걸리는 조립돌기(55)가 돌출되는 조립편(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조립편(52) 안쪽면에는 조립돌기(55)가 돌출되지만 회피공간(53)으로 슬라이드코어가 삽입될 수 있어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립돌기(55)의 돌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릴레이{Solid state relay}
본 발명은 전자식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하우징에 커버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전자식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스위칭소자의 일종으로 전자제품이나 차량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릴레이는 그 동안 기계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전자식으로 만들어져 기판에 구비된 회로와 소자 등으로 전자식으로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하고 있다.
전자식 릴레이는 내부에 회로기판과 전장품이 설치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로기판 등을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에 연결된 단자부가 메인하우징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전자식 릴레이가 상대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는 메인하우징과 회로기판 등을 감쌀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의 안쪽면과 메인하우징의 바깥쪽면에는 체결구조가 있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의 안쪽면에는 걸림턱이 돌출되고, 메인하우징의 바깥쪽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있어서 둘 사이가 조립된다.
그런데, 커버의 안쪽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턱이 돌출되는 정도는 한계가 있다. 커버는 절연을 위해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데, 안쪽면의 걸림턱은 언더컷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걸림턱의 돌출량이 많으면 언더컷도 증가하여 금형에서 강제빼기를 통한 제조가 어렵다.
이와 같이 커버의 걸림턱의 돌출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커버와 메인하우징 사이의 조립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자식 릴레이가 자동차 내부와 같이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된다면, 커버와 메인하우징 사이의 분리는 더욱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79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식 릴레이의 커버와 메인하우징의 체결부 형상을 변경해서 둘 사이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홈이 있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전장품이 실장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는 단자부가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감싸 상기 회로기판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각 측면을 감싸도록 다수개가 연장되되 그 사이는 이격되어 회피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조립홈에 걸리는 조립돌기가 돌출되는 조립편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편은 상기 커버의 각 측면에서 분리되어 연장되고, 상기 회피공간은 상기 조립편과 이웃한 조립편 사이에 형성되며, 서로 이웃한 두 회피공간 사이는 상기 조립편의 안쪽에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하우징의 각 모서리에는 모서리부가 돌출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조립편 사이에 형성된 회피공간을 메워 조립편과 모서리부는 서로 연속된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하우징은 중심부에 설치공간을 갖고 다수개의 조립홈이 요입된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각 모서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피공간을 메우는 모서리부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부로 더욱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회피공간의 상단면이 상기 모서리부의 지지돌부 아래쪽에 돌출된 커버지지부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돌부의 안쪽면에는 기판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각 모서리는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커버의 안쪽면에는 가이드돌기가 상기 커버와 하우징몸체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내되는 키홈이 요입되어 상기 커버의 결합방향을 안내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릴레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식 릴레이의 커버에는 다수개의 조립편이 분리된 형태로 연장되고 그 사이사이에 회피공간이 만들어진다. 회피공간으로 슬라이드코어가 삽입될 수 있어 조립편 안쪽면에 돌출된 조립돌기에 의한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립돌기의 돌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식 릴레이의 커버와 메인하우징의 결합력이 향상시킬 수 있어 전자식 릴레이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분리과정에서 조립편이 어느 정도 탄성변형될 수 있어서 기존의 커버에 비해서 강제빼기에 유리한 구조이고, 따라서 슬라이드코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기존보다 조립돌기를 더 돌출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포함된 회로기판의 네모서리는 메인하우징에 있는 기판지지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기판지지부를 통해 회로기판을 정확한 위치에 안정되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커버와 메인하우징을 조립할 수 있고, 따라서 전자식 릴레이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식 릴레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각각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식 릴레이의 골격은 메인하우징(10)과 커버(50)가 만든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전자식 릴레이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조립된 상태에서는 메인하우징(10)의 대부분이 커버(50)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전자식 릴레이 자체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메인하우징(10)의 형상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메인하우징(10)은 대략 사각틀 형태로, 그 중심에는 설치공간(11')이 만들어진다. 상기 설치공간(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로기판(40)과 전장품(45)이 위치한다. 도 2에서 상기 설치공간(11')은 개방된 상태이지만, 커버(50)가 메인하우징(10)에 결합되면 커버(5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사각형상의 하우징몸체(11)가 있고,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중심에 설치공간(11')이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다수개의 관통홀(12)이 있는데, 상기 관통홀(12)은 하우징몸체(1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해서 이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부(30)가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관통홀(12)은 단자부(30)의 개수에 대응하는 총 4개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조립가이드(13)가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13)는 상기 하우징몸체(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하우징몸체(11)의 가장자리쪽에 위치한다. 상기 조립가이드(13)는 회로기판(40)이 조립되는 방향을 안내하여 오조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기판(4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홈(43)이 있어서, 상기 조립가이드(13)가 가이드홈(43)에 끼워질 수 있다. 만약 회로기판(40)의 조립방향이 틀리면 상기 조립가이드(13)에 간섭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없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모서리부(15)가 있다. 상기 모서리부(15)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고,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모서리부(15)는 커버(50)가 상기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되었을 때 커버(50)의 조립편(52) 사이에 형성된 회피공간(53)을 메운다. 상기 모서리부(15)가 회피공간(53)을 메우면, 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15)와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편(52)은 서로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반드시 서로 연속된 외면을 이룰 필요는 없고, 모서리부(15)가 회피공간(53) 밖으로 조금 더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모서리부(15)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상기 모서리부(15)의 외면은 곡면형상이다. 따라서 모서리부(15)가 회피공간(53)을 메우면 전자식 릴레이의 네 모서리는 곡면형태가 된다. 상기 모서리부(15)는 총 4개로 메인하우징(10)의 각 모서리마다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안쪽면과 바깥쪽면에는 각각 기판지지부(15')와 커버지지부(15'')가 있다.
기판지지부(15')와 커버지지부(15'')의 형태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기판지지부(15')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로기판(4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게 안쪽, 즉 설치공간(11') 방향으로 돌출되어 모서리부(15)와 단차를 형성한다. 커버지지부(15'')는 기판지지부(15')의 반대편에 돌출된 것으로 역시 모서리부(15)와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메인하우징(10)에 커버(50)가 조립되면 상기 커버지지부(15'')에 커버(50)의 회피공간(53) 상단면인 가장 안쪽면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모서리부(15)에 있는 기판지지부(15')와 커버지지부(15'')는 각각 회로기판(40)과 커버(50)의 일부를 지지해서 각 부품 사이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서리부(15)에는 지지돌부(16)가 있다. 상기 지지돌부(16)는 상기 모서리부(15)에서 상방으로 더 돌출된 것으로, 상기 커버지지부(15'')와 기판지지부(15')는 모두 상기 지지돌부(16) 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돌부(16)는 상기 모서리부(15)에서 위쪽으로 더욱 돌출되어 커버(50)의 내면에 밀착되어 커버(5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돌부(16)가 상기 커버(50)의 모서리쪽에 해당하는 내면에 밀착되면,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 사이의 조립 유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조립홈(17)이 있다. 상기 조립홈(17)은 메인하우징(10)의 측면 쪽에 형성되고, 조립홈(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0)의 조립돌기(55)가 걸린다. 조립홈(17)과 조립돌기(55)가 결합되면 메인하우징(10)과 커버(50) 사이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17)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측면에 요입된 형태로 만들어지고, 각 측면마다 있을 수 있다. 또한 메인하우징(10)의 한 측면에 다수개의 조립홈(17)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메인하우징(10)의 측면마다 두 개의 조립홈(17)이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에는 키홈(18)이 있다. 상기 키홈(18)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어느 한쪽 측면에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키홈(18)은 메인하우징(10)과 커버(50) 사이의 조립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것인데,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의 조립과정에서 키홈(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0)의 가이드돌기(58)가 들어간다. 만약 키홈(18)에 가이드돌기(58)가 들어가지 않으면, 가이드돌기(58)가 메인하우징(10)의 측면에 간섭되어서 커버(50)는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없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설치공간(11')에는 단자부(30)의 일부가 삽입된다. 단자부(30)는 그 일부가 설치공간(11') 쪽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메인하우징(1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서 상대물과 조립된다. 여기서 상대물은 차량용 박스에 있는 리셉터클 터미널(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관통홀(12)을 통해서 상기 설치공간(11') 쪽으로 돌출된 단자부(30)의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로기판(40)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31은 단자부(30)가 상대물과 연결되는 연결몸체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42는 단자부(30)가 끼워지는 단자홀(42)이다.
상기 설치공간(11')에는 회로기판(40)이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은 설치공간(11')에 안착되고, 커버(50)에 의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차폐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은 그 위에 실장되는 전장품(45)과 함께 실질적으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단자부(30)를 통해 외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장품(45)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의 기판몸체(41)의 네 모서리는 앞서 설명한 메인하우징(10)의 기판지지부(15')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40)에는 가이드홈(43)이 있다. 상기 가이드홈(43)은 상기 회로기판(40)의 측면 일부가 요입된 것으로, 여기에는 메인하우징(10)의 조립가이드(13)가 끼워진다. 즉, 상기 가이드홈(43)에 조립가이드(13)가 끼워져서 회로기판(40)이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회로기판(40)의 조립방향이 틀리면 회로기판(40)의 측면이 상기 조립가이드(13)에 간섭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없다.
상기 회로기판(40)에는 회피홈(48)이 있다. 상기 회피홈(48)은 상기 가이드홈(43)과 같이 회로기판(40)의 측면이 요입된 부분인데, 다만 가이드홈(43)과 다른쪽 측면에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회피홈(48)과 가이드홈(43)은 회로기판(40)의 서로 다른 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피홈(48)은 커버(50)의 가이드돌기(58)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가이드돌기(58)는 커버(50)가 메인하우징(1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메인하우징(10)의 키홈(18)에 끼워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회로기판(40)의 회피홈(48)도 통과한다.
다음으로 커버(50)를 설명하면, 상기 커버(50)는 메인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11')을 차폐한다. 상기 커버(50)는 메인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메인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인 합성수지소재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50)의 형태와 높이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40)에 방열판(도시되지 않음)이 세워지는 경우에는 방열판의 높이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상기 커버(50)는 커버몸체(51)가 그 골격을 형성하고, 도 3에서 보듯이 커버몸체(51)의 안쪽에는 차폐공간(51')이 있다. 상기 커버몸체(51)는 총 4개의 측면을 갖는데, 각 측면마다 조립편(52)을 갖는다. 상기 조립편(52)은 상기 커버몸체(5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것인데, 상기 조립편(52)들은 각각 메인하우징(10)의 측면을 덮는다. 상기 조립편(52)이 연장되는 길이는 메인하우징(10)의 측면 두께나 전장품(45)의 높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편(52)은 총 4개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전후조립편(52a)과, 좌우조립편(52b)으로 나눌 수 있다. 전후조립편(52a)과 좌우조립편(52b)은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특정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기 4개의 조립편(52)은 서로 분리된 형태로 연장되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조립편(52)은 상기 커버(50)에서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각 측면을 감싸도록 다수개가 연장되되 그 사이는 이격되어 회피공간(53)이 형성된다. 상기 회피공간(53)은 각각의 조립편(52) 사이가 떨어져서 그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커버(50)가 메인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기 회피공간(53)은 앞서 설명한 메인하우징(10)의 모서리부(15)가 메운다. 상기 조립편(52)은 메인하우징(10)과의 조립을 담당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 조립편(52)은 상기 커버(50)의 각 측면에서 분리되어 연장되고, 상기 회피공간(53)은 상기 조립편(52)과 이웃한 조립편(52)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서 보듯이, 서로 이웃한 두 회피공간(53) 사이는 상기 조립편(52)의 안쪽에서 서로 연결된다. 도 5(a)를 보면 전방에 위치한 회피공간(53)이 후방(반대편)에 위치한 회피공간(53)까지 연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b)를 보면 전방에 위치한 회피공간(53)이 후방(반대편)에 위치한 회피공간(53)까지 연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회피공간(53)은 금형의 슬라이드코어가 이동하여 생성된 것이다.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커버(5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회피공간(53)을 따라 이동하여 회피공간(53)을 남기고, 그 과정에서 조립돌기(55)를 만든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피공간(53)이 있어서 슬라이드코어를 사용할 수 있고, 슬라이드코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조립돌기(55)가 돌출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5(b)에서 조립돌기(55)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조립편(52)의 내면에는 조립돌기(55)가 있는데, 상기 조립돌기(55)는 메인하우징(10)의 조립홈(17)에 걸릴 수 있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립돌기(55)는 하나의 조립편(52)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전후조립편(52a)의 안쪽에 각각 두개의 조립돌기(55)가 있고, 좌우조립편(52b)에는 조립돌기(55)가 없다. 물론, 좌우조립편(52b)에도 조립돌기(55)가 있을 수 있다.
도 3, 도 5(b) 및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50)의 안쪽면에는 가이드돌기(58)가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돌기(58)는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의 조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커버(50)의 안쪽면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8)는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의 조립과정에서 메인하우징(10)의 키홈(18)과 회로기판(40)의 회피홈(48)을 통과한다. 만약 키홈(18)에 가이드돌기(58)가 들어가지 않으면, 가이드돌기(58)가 메인하우징(10)의 측면에 간섭되어서 커버(50)는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부품이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메인하우징(10)에는 회로기판(40)이 안착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은 그 네 모서리가 메인하우징(10)의 기판지지부(15')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가고정될 수 있다. 다만, 회로기판(40)에는 가이드홈(43)이 있어서, 메인하우징(10)의 조립가이드(13)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회로기판(40)을 메인하우징(10)의 설치공간(11')에 삽입시켜야 한다. 만약 회로기판(40)의 조립방향이 틀리면 상기 조립가이드(13)에 간섭되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없다.
회로기판(40)이 안착되기에 앞서 먼저 단자부(30)가 메인하우징(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단자부(30)는 그 한쪽 끝에 돌출된 기판연결부(35)가 상기 메인하우징(10)의 관통홀(12)을 통과해서 설치공간(11') 방향으로 어느 정도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기판연결부(35)는 기판의 단자홀(42)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단자부(30)의 기판연결부(35)는 회로기판(40)에 솔더링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기판(40)이 안착된 후에는 커버(50)가 메인하우징(10)을 덮는다. 상기 커버(50)는 조립편(52)이 메인하우징(10)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는데, 이때 조립편(52)에는 조립가이드(13)가 있어서 결합방향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돌기(58)는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의 조립과정에서 메인하우징(10)의 키홈(18)과 회로기판(40)의 회피홈(48)을 통과한다. 만약 키홈(18)에 가이드돌기(58)가 들어가지 않으면, 가이드돌기(58)가 메인하우징(10)의 측면에 간섭되어서 커버(50)는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없다. 따라서 커버(50)는 특정 방향으로만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있고, 오조립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50)가 메인하우징(10)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면, 조립편(52)들이 메인하우징(10)의 측면을 타고 메인하우징(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된다. 이것은 조립편(52)의 안쪽면에 있는 조립돌기(55)가 돌출되어 있어서 메인하우징(10)의 측면과 간섭되기 때문이다. 조립돌기(55)가 메인하우징(10)의 측면을 타고 넘으면 조립홈(17)에 걸리고, 이와 동시에 조립편(52)은 원형으로 복원된다. 도 7에는 조립돌기(55)가 조립홈(17)에 걸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커버(50)의 회피공간(53)은 슬라이드코어가 삽입된 공간이고, 슬라이드코어는 조립돌기(55)의 돌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식 릴레이의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의 결합력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피공간(53) 안쪽에는 메인하우징(10)의 모서리부(15)가 위치하여 회피공간(53)을 메운다. 모서리부(15)가 회피공간(53)을 메우면, 조립편(52)과 모서리부(15)는 서로 연속된 외면을 형성한다. 모서리부(15)의 커버지지부(15'')는 회피공간(53)의 가장 안쪽면을 지지한다. 도 6을 보면 상기 커버지지부(15'')의 상면에 조립편(52)의 회피공간(53) 안쪽면이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15)의 지지돌부(16)는 커버(50)의 내면에 밀착되어 커버(50)를 지지한다. 도 6을 보면, 상기 지지돌부(16)가 상기 커버(50)의 모서리쪽에 해당하는 내면에 요입된 지지면(52')에 밀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지지돌부(16)가 지지면(52')에 밀착되면 커버(50)와 메인하우징(10) 사이의 조립 유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조립편(52) 중에서 일부에만 조립돌기(55)가 구비되었지만, 조립돌기(55)는 모든 조립편(52)에 각각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50)의 안쪽면에는 가이드돌기(58)가 있고 상기 메인하우징(1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58)가 안내되는 키홈(18)이 요입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메인하우징(10)에 가이드돌기(58)가 있고 커버(50)에 키홈(18)이 있어도 무방하다.
10: 메인하우징 11': 설치공간
12: 관통홀 13: 조립가이드
15: 모서리부 15': 기판지지부
15'': 커버지지부 16: 지지돌기
17: 조립홈 30: 단자부
40: 회로기판 42: 단자홀
43: 가이드홈 45: 전장품
48: 회피홈 50: 커버
52: 조립편 55: 조립돌기
58: 가이드돌기

Claims (7)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조립홈이 있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전장품이 실장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는 단자부가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감싸 상기 회로기판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각 측면을 감싸도록 다수개가 연장되되 그 사이는 이격되어 회피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조립홈에 걸리는 조립돌기가 돌출되는 조립편을 포함하는 전자식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편은 상기 커버의 각 측면에서 분리되어 연장되고, 상기 회피공간은 상기 조립편과 이웃한 조립편 사이에 형성되며, 서로 이웃한 두 회피공간 사이는 상기 조립편의 안쪽에서 서로 연결되는 전자식 릴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각 모서리에는 모서리부가 돌출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조립편 사이에 형성된 회피공간을 메워 조립편과 모서리부는 서로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는 전자식 릴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중심부에 설치공간을 갖고 다수개의 조립홈이 요입된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각 모서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피공간을 메우는 모서리부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부로 더욱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회피공간의 상단면이 상기 모서리부의 지지돌부 아래쪽에 돌출된 커버지지부에 안착되는 전자식 릴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의 안쪽면에는 기판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각 모서리는 상기 기판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전자식 릴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안쪽면에는 가이드돌기가 상기 커버와 하우징몸체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내되는 키홈이 요입되어 상기 커버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전자식 릴레이.
KR1020170101050A 2017-08-09 2017-08-09 전자식 릴레이 KR10247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50A KR102477401B1 (ko) 2017-08-09 2017-08-09 전자식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50A KR102477401B1 (ko) 2017-08-09 2017-08-09 전자식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38A true KR20190016738A (ko) 2019-02-19
KR102477401B1 KR102477401B1 (ko) 2022-12-15

Family

ID=6552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050A KR102477401B1 (ko) 2017-08-09 2017-08-09 전자식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4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002A (ko) 2019-07-16 2021-01-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장착장치
CN113267656A (zh) * 2021-06-28 2021-08-17 歌尔科技有限公司 测试设备
KR20220090705A (ko) 2020-12-23 2022-06-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KR102494808B1 (ko) 2022-04-05 2023-02-06 주식회사 와이엠텍 직류 전자식 스위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49Y1 (ko) * 2003-04-24 2003-07-23 삼원액트 주식회사 커버가 형성된 릴레이보드와 릴레이보드의 커버
KR20120019066A (ko) * 2010-08-24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 오조립 방지 구조
KR20160057946A (ko) 2014-11-14 2016-05-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49Y1 (ko) * 2003-04-24 2003-07-23 삼원액트 주식회사 커버가 형성된 릴레이보드와 릴레이보드의 커버
KR20120019066A (ko) * 2010-08-24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릴레이 오조립 방지 구조
KR20160057946A (ko) 2014-11-14 2016-05-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002A (ko) 2019-07-16 2021-01-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장착장치
KR20220090705A (ko) 2020-12-23 2022-06-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CN113267656A (zh) * 2021-06-28 2021-08-17 歌尔科技有限公司 测试设备
CN113267656B (zh) * 2021-06-28 2023-04-07 歌尔科技有限公司 测试设备
KR102494808B1 (ko) 2022-04-05 2023-02-06 주식회사 와이엠텍 직류 전자식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401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6738A (ko) 전자식 릴레이
JP6701345B2 (ja) コネクタ
KR101897403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10355381B2 (en) Board connector
JP6441112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1133519A (zh) 插塞式连接器
US9831053B2 (en)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 element and switch element
KR101114462B1 (ko) 정션박스용 pcb 모듈
KR101473266B1 (ko) 커넥터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6600669B2 (ja) 電気接続箱
JP6534829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US8553421B2 (en) Fire alarm system transmitter
JP2016201193A (ja) コネクタ
JP2019216503A (ja) 電気接続箱
JP2020150598A (ja) 樹脂構造体
US9627869B2 (en) Block for vehicle
CN111688610B (zh) 树脂结构
KR200477203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KR200426001Y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US20120122340A1 (en) Card connector with reinforcing plates
US11276956B2 (en) Connector with a primary molding having a protrusion, a secondary molding engaging the protrusion and a sealing groove in the secondary molding aligned with the protrusion
US11482804B2 (en) Connector and board unit
CN109935996B (zh) 滑轨连接器
KR101666869B1 (ko) 전원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