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001Y1 -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 Google Patents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001Y1
KR200426001Y1 KR2020060017489U KR20060017489U KR200426001Y1 KR 200426001 Y1 KR200426001 Y1 KR 200426001Y1 KR 2020060017489 U KR2020060017489 U KR 2020060017489U KR 20060017489 U KR20060017489 U KR 20060017489U KR 200426001 Y1 KR200426001 Y1 KR 200426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ox
guide
component box
moun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7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품박스(20)에 부품(30)을 안착시켜 장착되게 하는 부품박스(20)의 부품장착부(22)에 있어서, 상기 부품박스(2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부품(30)의 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24)와, 상기 가이드리브(24)의 내면에 상기 부품(30)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는 접촉돌기(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24)에 의해 구획되는 안착공간(26)의 바닥면에는 부품박스(20)의 내부와 부품(3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34)가 관통되는 단자공(2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의하면 부품이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정확하게 삽입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어 부품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부품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부품박스, 부품, 삽입가이드, 흔들림 방지

Description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Parts mounting portion of parts box}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품장착부를 구비한 부품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부가 채용된 부품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부품박스 22: 부품장착부
24: 가이드리브 25: 접촉돌기
26: 안착공간 28: 단자공
30: 부품 32: 부품몸체
34: 단자
본 고안은 부품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박스의 외면에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품박스라 함은, 예를 들어, 정션박스, 퓨즈박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정션박스와 퓨즈박스같은 부품박스에는 내부에 전원의 분배를 위한 구성이 구비되고, 외면에는 부품장착부가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품장착부가 구비된 부품박스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부품박스(1)는 일반적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의 상하부에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나 하부커버의 외면중 일측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3)는 부품박스(1)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4개의 가이드리브(5)가 부품안착공간(7)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10)의 외측 모서리와 대응되게 평면도로 볼 때 'L'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는 부품(10)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에 각각 면접촉되어 부품(1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부품안착공간(7)의 바닥에는 부품박스(1)의 내부와 연통되는 단자통공(9)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단자통공(9)을 통해 부품(10)의 단자(14)가 부품박스(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부품(10)은 상기 부품장착부(3)에 장착되는 것으로, 부품몸체(12)가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육면체 형상의 부품몸체(12)는 일반적으로 그 상단부의 횡단면적에 비해 하단부의 횡단면적이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부품몸체(12)의 하면으로는 단자(1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자(14)는 상기 단자통공(9)을 통해 부품박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부품박스(1) 내부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부품(10)은 부품몸체(12)가 육면체이기는 하나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수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몸체(12)가 상기 부품안착공간(7)에 안착되었을 때, 가이드리브(5)의 하단에서는 부품몸체(12)의 모서리와 가이드리브(5)의 내면이 서로 면접촉을 하나, 가이드리브(5)의 상단에서는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틈새를 없애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리브(5)가 상단으로 갈수록 가이드리브(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되어야 하나, 이와 같은 구조로는 금형설계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금형에서 가이드리브(5)를 형성하여 취출할 때, 가이드리브(5)의 내면이 상대적으로 넓으므로 취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리브(5)의 상단으로 갈수록 가이드리브(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할 수 밖에 없다. 즉, 최소한 상기 가이드리브(5)의 내면을 수직면으로 만드는 것은 금형에서 제품을 취출하는 것이 어려워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부품(10)과 가이드리브(5)의 상단 내면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어 부품(10)이 부품장착부(3)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못하고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리브(5)는 단순히 부품(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밖에는 할 수 없고, 부품(10)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이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부품박스에 부품을 안착시켜 장착되게 하는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박스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부품의 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내면에 상기 부품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부품의 외면에 밀착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안착공간의 바닥면에는 부품박스의 내부와 부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가 관통되는 단자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부품의 외면 모서리를 구성하는 두 면을 동시에 가이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가이드리브에 상기 외면 모서리를 구성하는 두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부품의 외면과 가이드리브의 내면 사이에서 부품의 삽입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부품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부품은 육면체 형상의 부품몸체와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몸체의 하면에 돌출된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몸체는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기는 부품이 안착공간에 삽입된 상태 에서 그 하단이 상단에 비해 더 많이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의하면 부품이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정확하게 삽입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어 부품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부품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부가 채용된 부품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부품이 장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부품이 장착된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부품박스(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들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부품박스(20)의 내부에는 부품(30)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 버스바조립체, 포선조립체 등이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상기 부품박스(20)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부품박스(20)에는 부품장착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2)는 부품박스(2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2)의 외곽을 가이드리브(24)가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리브(24)는 상기 부품박스(2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부품(30)중 외면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면을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리브(24)가 육면체 형상의 부 품(30)의 모서리를 가이드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4)의 내면에는 접촉돌기(25)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25)는 상기 가이드리브(24)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돌기(25)는 하나의 가이드리브(24)에 각각 2개씩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접촉돌기(25)의 갯수는 장착되는 부품(30)의 크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돌기(25)는 그 폭과 돌출정도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에 의해 약간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물론, 상기 폭과 돌출정도는 접촉돌기(25)를 형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접촉돌기(25)는 부품(30)의 삽입에 의해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면서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접촉돌기(25)의 돌출정도는 상기 상기 가이드리브(24)의 내면과 부품(30)의 외면 사이의 틈새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틈새는 부품(30)의 특성상 도면을 기준으로 접촉돌기(25)의 상단에서는 크고 하단에서는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부품(30)이 삽입되었을 때, 접촉돌기(25)의 하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탄성변형되고, 상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탄성변형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4)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은 안착공간(26)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공간(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이 안착된다. 상기 안착공간(26)의 바닥면에는 부품박스(20)의 내부와 연통된 단자공(28)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단자공(28)은 다수개가 형성된다.
부품(30)은 육면체 형상의 부품몸체(32)의 하부로 단자(34)가 돌출되게 구성 된다. 상기 단자(34)는 상기 단자공(28)을 관통하여 상기 부품박스(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버스바나 터미널과 결합된다. 상기 부품몸체(32)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의 폭(d)이 하단의 폭(D)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물론, 상기 폭(d,D)의 차이는 약 0.1에서 0.4mm 정도의 값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품(30)의 예로는 부품몸체(32)가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릴레이가 있다. 상기 릴레이는 그 릴레이몸체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나 직육면체 형태로 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부품박스(20)의 부품장착부(22)에 부품(30)을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부품몸체(32)의 측면 네 모서리가 상기 가이드리브(24)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품(30)의 부품몸체(32)를 작업자가 상기 안착공간(26)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부품(30)의 단자(34)는 상기 단자공(28)을 통해 부품박스(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단자(34)는 부품박스(20)의 내부에서 터미널이나 버스바 등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부품(30)이 상기 부품장착부(22)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리브(24)는 상기 부품(30)이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24)의 내면에 상기 부품(30)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접촉돌기(25)는 부 품(30)이 부품장착부(22)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접촉돌기(25)는 상기 부품몸체(32)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하단부쪽이 상단부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압착되어 탄성변형된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돌기(25)가 돌출된 정도는 상단에서 t이고 하단에서 t'인데, t>t'의 관계가 있다. 물론, 처음부터 그러했던 것은 아니고 상기 부품몸체(32)가 상기 접촉돌기(25)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면서 이와 같은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부품몸체(32)와 가이드리브(24) 사이의 틈새에 상기 접촉돌기(25)가 위치되어 접촉돌기(25)가 부품몸체(32)의 외면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부품(30)은 상기 부품장착부(22)에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참고로, 상기 부품박스(20)의 외관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부품장착부(22)에 상기 부품(30)이 장착된 상태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도록, 다시 말해 부품박스(20)의 내부에 부품장착부(22)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부품이 부품장착부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리브가 안내하 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내면에 부품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접촉돌기가 부품이 부품장착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이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정확하게 삽입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어 부품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부품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부품박스에 부품을 안착시켜 장착되게 하는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박스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부품의 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내면에 상기 부품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부품의 외면에 밀착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안착공간의 바닥면에는 부품박스의 내부와 부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가 관통되는 단자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부품의 외면 모서리를 구성하는 두 면을 동시에 가이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가이드리브에 상기 외면 모서리를 구성하는 두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접촉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부품의 외면과 가이 드리브의 내면 사이에서 부품의 삽입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부품의 외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육면체 형상의 부품몸체와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몸체의 하면에 돌출된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몸체는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기는 부품이 안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상단에 비해 더 많이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KR2020060017489U 2006-06-28 2006-06-28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KR200426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489U KR200426001Y1 (ko) 2006-06-28 2006-06-28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489U KR200426001Y1 (ko) 2006-06-28 2006-06-28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001Y1 true KR200426001Y1 (ko) 2006-09-19

Family

ID=4177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489U KR200426001Y1 (ko) 2006-06-28 2006-06-28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0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59Y1 (ko) 2008-07-24 2013-05-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박스
KR20180070880A (ko) 2016-12-19 2018-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59Y1 (ko) 2008-07-24 2013-05-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박스
KR20180070880A (ko) 2016-12-19 2018-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93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drainage portions
JP6441112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0355381B2 (en) Board connector
US838985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9169654A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KR200426001Y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JP6318085B2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JP5884137B2 (ja) 電気接続箱
JP6604519B2 (ja) 基板ユニット
JP5125763B2 (ja) 電気接続箱
JP2009290943A (ja) 電気接続箱
JP2019047535A (ja) 電気接続箱
JP5471793B2 (ja) 電気接続箱
JP5633197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06805U (ko) 차량용박스
JP5332988B2 (ja) 電気接続箱
KR20120017752A (ko) 전자식릴레이
KR200466959Y1 (ko) 차량용박스
JP4542493B2 (ja) 電気接続箱
JP7152141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48365B2 (ja) ガタツキ抑制構造、電子部品モジュール、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842760B2 (ja) 電気接続箱
WO2021020255A1 (ja) 電子モジュール
KR20110058486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KR102270726B1 (ko)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