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880A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880A
KR20180070880A KR1020160173397A KR20160173397A KR20180070880A KR 20180070880 A KR20180070880 A KR 20180070880A KR 1020160173397 A KR1020160173397 A KR 1020160173397A KR 20160173397 A KR20160173397 A KR 20160173397A KR 20180070880 A KR20180070880 A KR 2018007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ponent
fence
spac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822B1 (ko
Inventor
유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블럭몸체(10)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내부플레이트(20)가 있고, 상기 제2하우징(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내부플레이트(20)의 구획펜스(22)가 돌출된다. 상기 구획펜스(22)에 의해 내부에 부품공간(23)이 형성되어 부품(30)이 장착된다. 상기 구획펜스(22)에는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돌출부(24)가 부품공간(23)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하우징(12)의 개구부(14) 가장자리에는 지지펜스(16)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돌출부(24)가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30)을 부품장착부(13')에 장착하는 것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제2하우징(12)을 제1하우징(11)에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부품(30)이 부품장착부(13')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블럭에 장착되는 부품을 보다 견고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블럭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블럭들에는 릴레이, 저항, 퓨즈 등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들의 장착을 위해 상기 블럭에는 부품장착부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품들은 내부에 해당 부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있는 부품몸체와 상기 부품몸체 내부의 구성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리드로 구성된다. 상기 부품몸체는 부품이 상기 부품장착부에 장착될 때, 부품장착부를 구성하는 구획펜스의 내면에 부품몸체의 외면이 밀착되어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구획펜스가 형성되는 하우징의 공차와 부품 자체의 공차 등에 의해 부품이 부품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되지 못한다.
참고로, 상기 부품장착부에 부품이 견고하게 장착되지 못하면, 자동차의 운행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부품이 제대로 동작되지 못하고, 심한 경우에는 부품이 부품장착부에서 탈락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품장착부를 구획하는 구획펜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부품공간의 체적을 줄여서 구획펜스의 내면에 부품몸체의 외면이 밀착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부품몸체의 외면에 구획펜스의 내면이 너무 밀착되면 부품을 부품장착부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26001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을 부품장착부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쉬우면서도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외면에 부품장착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내부에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부품공간으로 돌출되는 밀착돌출부를 구비하는 구획펜스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펜스의 밀착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품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지지펜스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는 내부플레이트에 구비된다.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다.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지지펜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잘 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펜스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에 상기 지지펜스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펜스에는 분리슬릿이 나란히 형성되어 걸이편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편의 선단에는 상기 부품공간으로 돌출되게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에 걸어진다.
상기 지지펜스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이 상기 구획펜스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부품공간이 있는 구획펜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부품공간으로 돌출되어 부품공간에 안착되는 밀착돌출부를 구비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펜스의 밀착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품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지지펜스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플레이트는 상기 제2하우징보다 탄성변형이 잘 되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펜스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이 상기 구획펜스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펜스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에 상기 지지펜스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럭몸체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개구부 둘레에 지지펜스를 두고 부품장착부를 구성하는 구획펜스의 밀착돌출부를 부품몸체에 밀착되도록 하므로 부품을 부품장착부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부품이 부품장착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착탈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와 부품의 고정상태가 견고하므로 부품의 동작이 정확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은 블럭몸체(10)가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블럭몸체(10)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결합하여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에는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돌기(11')와 결합편(12')의 쌍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편(12')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11')가 일측에 걸어져 서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편(12')은 그 형성위치가 도시된 실시례와 반대로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례의 것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3,13')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부품장착부(13') 외의 다른 부품장착부(13)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장착부(13) 대신에 상기 부품장착부(13')로 모두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에는 상기 부품장착부(13')를 구성하기 위해 개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는 상기 제2하우징(1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구부(14)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개구부(14)의 둘레에 해당되는 상기 제2하우징(12)의 표면에는 지지펜스(16)가 있다. 상기 지지펜스(16)는 상기 개구부(14) 방향으로 돌출되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지지펜스(16)의 양측 단부에는 지지리브(18)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펜스(16)의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지지펜스(16)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획펜스(22)의 밀착돌출부(24)를 밀어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내부플레이트(20)가 있다. 상기 내부플레이트(20)는 상기 공간에서 구성요소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플레이트(20)에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구획펜스(22)가 있다. 상기 구획펜스(22)는 상기 개구부(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구획펜스(22)에 의해 부품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공간(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이 위치된다. 상기 구획펜스(22)에는 상기 지지펜스(16)와 대응되는 위치에 밀착돌출부(24)가 상기 부품공간(23)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출부(24)는 상기 부품공간(23)에 부품(30)이 장착되었을 때, 직접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밀착돌출부(24)는 상기 지지펜스(16)에 의해 밀어져서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돌출부(24)는 상기 지지펜스(16)에 의해 밀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는 정도가 덜하다. 하지만, 상기 지지펜스(16)에 의해 상기 밀착돌출부(24)가 밀어지면 밀착돌출부(24)가 부품(30)의 외면에 더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돌출부(24)를 포함하는 상기 구획펜스(22)는 부품(30)의 외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있거나 밀착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만들어지고, 상기 지지펜스(16)가 구획펜스(22)를 밀어주면 상기 밀착돌출부(24)가 상기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획펜스(22)에 의해 구획된 부품공간(23)에 부품(3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펜스(16)가 구획펜스(22)의 밀착돌출부(24)를 밀어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돌출부(24)가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구획펜스(22)에는 분리슬릿(2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걸이편(28)이 만들어진다. 상기 걸이편(28)은 상기 분리슬릿(26)이 있음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편(28)의 선단에는 상기 부품공간(23) 내에 위치되는 부품(30)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턱(29)이 상기 부품공간(23)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을 조립하고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을 조립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하우징(11)에 상기 내부플레이트(20)를 조립한다.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버스바, 인쇄회로기판 등이 위치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을 장착 한 후에 상기 내부플레이트(20)를 조립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내부플레이트(20)의 조립 후에 상기 구성들 중의 일부가 내부플레이트(20) 또는 상기 제1하우징(11)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플레이트(20)를 장착한 후에는 상기 부품공간(23)에 상기 부품(30)을 설치한다. 상기 부품(30)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리드가 있는데, 이들 리드는 상기 버스바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터미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공간(23)에 상기 부품(30)을 삽입할 때, 상기 구획펜스(22)와 상기 부품(30) 사이는 밀착되지 않으므로, 부품(30)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구획펜스(22)를 형성하는 재질은 상기 제2하우징(12)을 형성하는 재질보다는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잘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구획펜스(22)에 의해 형성된 부품공간(23)의 내외부로 부품(30)이 쉽게 입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하우징(12)을 상기 제1하우징(11)과 결합한다.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결합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결합돌기(11')와 제2하우징(12)의 결합편(11")의 결합에 의해 된다. 상기 결합돌기(11')와 상기 결합편(11")의 쌍은 다수곳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하우징(12)의 개구부(14)를 통해서 상기 부품(30)이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구획펜스(22)가 상기 제2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구획펜스(22)가 개구부(14)를 통해 나오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펜스(16)는 상기 구획펜스(22)의 밀착돌출부(24)를 지지하면서 상기 밀착돌출부(24)가 상기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획펜스(22)의 밀착돌출부(24)가 상기 부품(30)의 외면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사용중에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품(3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편(11")의 결합을 분리하여, 상기 제2하우징(12)이 상기 제1하우징(11)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제2하우징(12)이 제1하우징(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지지펜스(16)가 더 이상 상기 구획펜스(22)의 밀착돌출부(24)를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밀착돌출부(24)가 부품(30)의 외면에 밀착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품(30)을 부품공간(23)에서 빼낸다. 상기 부품(30)의 외면에 상기 밀착돌출부(24)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또는 틈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품(30)은 상기 구획펜스(22)에 대해서 상기 부품공간(23)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나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내부플레이트(20)에 상기 구획펜스(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내부플레이트(20)와는 별개로 상기 구획펜스(22)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플레이트(20)에 착탈가능하게 구획펜스(22)가 만들어지거나 상기 제1하우징(11)에 구획펜스(22)가 착탈가능하거나 일체로 될 수 있다. 여하튼 상기 구획펜스(22)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부품장착부(13')가 하나만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상기 부품장착부(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물론, 모든 부품장착부를 상기 부품장착부(13')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10: 블럭몸체 11: 제1하우징
11': 결합돌기 12: 제2하우징
12': 결합편 13,13': 부품장착부
14: 개구부 16: 지지펜스
18: 지지리브 20: 내부플레이트
22: 구획펜스 23: 부품공간
24: 밀착돌출부 26: 분리슬릿
28: 걸이편 29: 걸이턱
30: 부품

Claims (11)

  1.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외면에 부품장착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내부에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부품공간으로 돌출되는 밀착돌출부를 구비하는 구획펜스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펜스의 밀착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품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지지펜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는 내부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지지펜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잘 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펜스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에 상기 지지펜스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펜스에는 분리슬릿이 나란히 형성되어 걸이편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편의 선단에는 상기 부품공간으로 돌출되게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에 걸어지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펜스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이 상기 구획펜스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8.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부품공간이 있는 구획펜스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부품공간으로 돌출되어 부품공간에 안착되는 밀착돌출부를 구비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펜스의 밀착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품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지지펜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플레이트는 상기 제2하우징보다 탄성변형이 잘 되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자동차용 블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펜스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이 상기 구획펜스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펜스가 상기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에 상기 지지펜스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160173397A 2016-12-19 2016-12-19 자동차용 블럭 KR10187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97A KR101879822B1 (ko) 2016-12-19 2016-12-19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97A KR101879822B1 (ko) 2016-12-19 2016-12-19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80A true KR20180070880A (ko) 2018-06-27
KR101879822B1 KR101879822B1 (ko) 2018-07-18

Family

ID=6279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97A KR101879822B1 (ko) 2016-12-19 2016-12-19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8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001Y1 (ko) 2006-06-28 2006-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1170B2 (ja) * 2005-11-28 2012-0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基板
JP2011114954A (ja) * 2009-11-26 2011-06-0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20140087423A (ko) * 2012-12-29 2014-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101483768B1 (ko) * 2013-11-11 2015-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200479350Y1 (ko) * 2014-10-30 2016-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001Y1 (ko) 2006-06-28 2006-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822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1535B2 (ja) クランプ、及び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JP5333849B2 (ja) 電気接続箱
KR102006187B1 (ko) Bdu 커버
JP5765636B2 (ja) 付設ボックス付電気接続箱
CN107708366B (zh) 电控盒以及空调器
JP5080156B2 (ja) 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US974217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wire harness
CN111371004B (zh) 防止不正确安装的电气组件
JP2014054005A (ja) 電気接続箱
KR101879822B1 (ko) 자동차용 블럭
JP5821682B2 (ja) 電装部品のガタツキ防止構造
JP6587653B2 (ja) 電気接続箱
JP4597856B2 (ja) 接続箱の防水構造
JP4718925B2 (ja) 電気接続箱
US11139135B2 (en) Attachment structure between cover and housing, and fusible link unit
JP2019050660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277110B2 (ja) 電気接続箱
JP4211513B2 (ja) 電気接続箱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JP5842760B2 (ja) 電気接続箱
CN211684895U (zh) 红外线传感器安装罩及具有其的微缩智能车
JP6871230B2 (ja) 電気接続箱
JP2023007791A (ja) 筐体
JP2017055587A (ja) 電気接続箱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