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50Y1 - 부품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50Y1
KR200479350Y1 KR2020140007912U KR20140007912U KR200479350Y1 KR 200479350 Y1 KR200479350 Y1 KR 200479350Y1 KR 2020140007912 U KR2020140007912 U KR 2020140007912U KR 20140007912 U KR20140007912 U KR 20140007912U KR 200479350 Y1 KR200479350 Y1 KR 200479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ounting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품장착장치(20)는 차량의 블록(10)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1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블록몸체(12)의 일측 외면에 부품장착장치(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블록몸체(12)의 외면에 돌출되는 장착펜스(22)에 의해 부품(40)이 장착되는 내부공간(24)이 구획된다. 상기 내부공간(24)과 외부를 상기 장착펜스(22)를 통해 연통시키도록 분리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공(34)과 대응되는 상기 내부공간(24)에는 틈새형성부(30)가 있어 상기 부품(40)의 외면과 상기 내부공간(24)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틈새형성부(30)에 상기 분리공(34)을 통해 공구가 삽입되어 부품(40)을 내부공간(24)에서 분리하기 위한 힘을 부품(40)에 가하게 된다. 상기 분리공(34)은 상기 부품(40)의 부품단자(44)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4)에는 또한 방열공간(28)이 형성되어 부품(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40)을 부품장착장치(20)에 견고하게 장착하면서도 교환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품장착장치{Parts mou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블록에 형성되어 특정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중에는 많은 진동과 충격이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정션블록의 경우, 거기에 장착된 부품이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사용되는 블록에서는 부품이 부품장착장치의 장착펜스의 내면에 압입되도록 하고, 해당 부품의 단자가 상대 단자 등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부품이 부품장착장치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게 되면, 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해 부품을 부품장착장치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심한 경우 부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해당 부품의 단자 또는 상대 단자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더 이상 해당 부품 또는 블록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부품장착장치에 부품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장착시켜 두기 위해서는 부품의 외면을 보다 많이 부품장착장치가 둘러싸야 하는데, 이와 같이 만들기 위해서는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872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장착장치에 부품을 보다 견고하게 장착하면서도 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장착장치에 장착된 부품에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블록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부품몸체가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장착펜스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몸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게 하는 틈새형성부와, 상기 틈새형성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장착펜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리공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공은 상기 부품몸체에서 돌출되는 부품단자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부품몸체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단자를 상기 장착펜스의 외부에 보도록 검사공이 상기 장착펜스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펜스의 일측에는 상기 부품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부품몸체의 외면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부품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 공기가 위치하게 방열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방열공간은 상기 장착펜스에 형성된 분리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방열공간은 상기 틈새형성부에 연결경사부를 통해 연통된다.
상기 연결경사부는 상기 방열공간과 상기 틈새형성부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부품장착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장착펜스를 관통하여 분리공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과 대응되는 부품장착장치의 내부공간에 틈새형성부를 두어 부품과 내부공간의 바닥면 사이로 공구를 삽입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을 부품장착장치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손상없이 용이하게 부품을 부품장착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부품장착장치의 내부공간 바닥에 방열공간을 형성하고 부품과 내부공간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부품의 동작성능과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분리공과 함께 또는 분리공과 별도로 검사공을 두어 부품의 상태를 부품장착장치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어 부품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어 장착펜스의 내부공간에 안착된 부품을 지지하여 걸어주므로 부품이 장착펜스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특히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중력 방향으로 부품의 아래쪽에 있게 되는 경우에 부품을 안정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장착펜스 내에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부품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차량용 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의 부품장착장치에 장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의 요지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분리공의 부분에서 잘라서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검사공의 부분에서 잘라서 보인 횡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부품장착장치(20)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블록(10)에 형성된다. 상기 블록(10)의 외관을 블록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블록몸체(12)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데, 2개의 몸체(도면부호 부여않음)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는 버스바 등의 부품이 설치되고, 외부에는 다수개의 부품(40)들이 장착된다. 상기 블록몸체(12)를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브라켓(14)이 상기 블록몸체(12)의 양면 양단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4)에는 방진구(16)가 있어 차량의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8은 박스(10)와 외부 사이의 전원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이다.
상기 블록몸체(12)의 외면 일측에 부품장착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부품장착장치(20)는 상기 블록몸체(12)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블록몸체(12)의 외면중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장치(20)의 외관을 장착펜스(22)가 형성한다. 상기 장착펜스(22)는 본 실시례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블록몸체(12)의 외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펜스(2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4)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24)은 상기 장착펜스(22)의 선단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면에는 부품단자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면은 내부공간(24)의 입구를 향하는 면으로 상기 블록몸체(12)의 외면을 형성하는 일측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부품단자공(26)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의 부품단자(44)가 결합되는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면에는 또한 방열공간(28)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공간(28)은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면보다 더 깊이 파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방열공간(28)에는 공기가 위치하여 부품(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받게 된다. 상기 방열공간(28)은 부품(40)중에서 가장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방열공간(28)이 있음으로 해서 부품(4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블록몸체(12)의 대응되는 부분이 녹거나 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반적으로 부품(40)의 부품몸체(42)는 부품(40)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에는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나, 부품(40)이 장착되는 블록몸체(12)는 그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공간(28)과 같이 블록몸체(12)와 부품(40)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거기에 공기가 존재하도록 하여 블록몸체(12)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방열공간(28)이 상기 내부공간(24)을 통하지 않고 외부와 직접 연통되거나 블록몸체(12)의 내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됨에 의해서 방열공간(28)의 공기를 외부로 보낼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공(34)과 틈새형성부(30)가 그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방열공간(28)은 부품(40)의 부품몸체(42)의 폭방향 중앙에 대응되게 상기 내부공간(12)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열공간(28)과 연통되게 상기 내부공간(24)에는 틈새형성부(30)가 있다. 상기 틈새형성부(30)는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면보다 낮지만 상기 방열공간(28)보다는 높게 형성된다. 상기 틈새형성부(30)와 방열공간(28)의 사이에는 연결경사부(32)가 있다. 상기 연결경사부(32)는 상기 방열공간(28)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상기 장착펜스(22)에는 분리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공(34)은 상기 장착펜스(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리공(34)은 상기 틈새형성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틈새형성부(30)가 상기 분리공(34)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분리공(34)을 통해 외부에서 공구를 삽입하면 상기 틈새형성부(30)에 공구가 위치되어 부품(40)의 부품몸체(42)의 하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펜스(22)에는 또한 검사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검사공(36)은 상기 부품단자공(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검사공(36)을 통해 검사를 위한 탐침이 삽입되었을 때 직선으로 된 탐침이 상기 부품단자공(26)의 입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검사공(36)의 위치가 설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검사공(36)과 부품단자공(26) 사이를 연결하는 일직선 상에는 탐침의 이동을 방해하는 구성이 없도록 된다는 것이다.
상기 분리공(34)과 검사공(36)은 아래에서 설명된 부품(40)의 부품단자(44)와 대응되는 갯수가 있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검사공(36)은 부품단자(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고, 상기 분리공(34)은 부품단자(44)가 부품단자공(26)에 있는 단자와 결합력이 크게 결합되어 있다면, 부품단자(44)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수록 좋다.
상기 장착펜스(22)의 일측 선단에는 지지플레이트(3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8)는 판형상의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24)에 장착된 부품(40)이 중력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8)의 선단에는 걸이턱(39)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39)은 부품(40)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내부공간(24)에서 부품(4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지지플레이트(38)와 걸이턱(39)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내부공간(24)에서 부품(4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은 상기 걸이턱(39)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착펜스(22)에 걸이홈이나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이나 걸이공에 부품몸체(42)에서 돌출된 부분이 걸어지도록 되거나 상기 장착펜스(22)의 내면에 부품몸체(42)의 외면이 밀착되어 부품몸체(42)가 내부공간(24)에 압입되는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내부공간(24)에 장착되는 부품(4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부품(40)은 외관이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부품몸체(42)를 구비한다. 상기 부품몸체(42)의 내부에는 해당 부품(40)의 기능 수행을 위한 구성이 있다. 상기 부품몸체(42)의 형상은 상기 내부공간(24)과 대응되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품몸체(42)가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부품몸체(42)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부품단자(44)가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품단자(44)가 2개가 나란히 돌출되어 있다. 상기 부품단자(44)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부품(40)과 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부품단자(44)는 상기 부품단자공(26)에 설치된 단자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검사공(36)과 분리공(34)을 일체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일체로 된 검사공(36)과 분리공(34)에 대응되는 위치에 틈새형성부(30)를 두어야 하고, 일체로 된 검사공(36)과 분리공(34)에서 직선방향에 부품단자공(26)이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리고, 부품(40)이 발열이 많지 않은 것이라면, 상기 방열공간(28)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에 차량용 블록은 대체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방열공간(28)을 두어 열의 영향을 박스몸체(12)가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부품몸체(42)의 외면과 내부공간(24)의 바닥면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형성부(30)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부품몸체(42)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부품장착장치(20)에는 부품(40)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부품(40)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퓨즈, 릴레이 등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부품(40)으로서 저항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
상기 부품(40)은 상기 장착펜스(22)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24)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부품몸체(42)의 외면은 상기 장착펜스(22)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부품단자(44)는 상기 부품단자공(26)을 통해 블록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된 단자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8)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8)가 상기 부품몸체(42)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8)의 선단에 있는 걸이턱(39)이 상기 부품몸체(42)의 일면에 걸어져서 상기 부품(40)이 내부공간(24)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8)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부품(40)이 상기 내부공간(24)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이턱(39)이 상기 부품몸체(42)의 외면에 안내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8)가 약간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이턱(39)이 상기 부품몸체(42)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다가 그 면을 통과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8)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턱(39)이 상기 부품몸체(42)를 걸어서 내부공간(2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품(40)이 상기 내부공간(2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품단자(44)가 상기 부품단자공(26)의 내부에 있는 단자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40)의 사용중에는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열은 상기 방열공간(28)에 있는 공기로 전달되고, 상기 방열공간(28) 내의 공기는 상기 분리공(34)을 통해서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틈새형성부(30)는 상기 내부공간(24)의 바닥과 부품몸체(42)의 외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틈새로는 상기 연결경사부(32)를 통해 상기 방열공간(28)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용 블록이 사용되다가, 상기 부품(40)이 어떠한 이유에서 손상될 수 있다. 상기 부품(40)이 손상되었는 지의 여부는 상기 검사공(36)을 통해 검사장치의 탐침을 넣어 부품단자(44)에 접촉시켜 검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40)이 손상되었다면, 상기 분리공(34)에 공구를 삽입한다. 상기 공구로는 해당 부품(40)에 대해서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있을 수 있고, 드라이버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공(34)에 공구를 넣어서 공구의 선단이 상기 부품몸체(42)의 외면중에 상기 부품단자(44)가 돌출된 면에 닿도록 하고 상기 분리공(34)의 입구를 지점으로 하여 지렛대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면 상기 부품몸체(42)에 공구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서 부품몸체(42)가 상기 내부공간(24)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특히 상기 부품단자(44)가 상기 블록몸체(12)의 내부에 있는 단자와 결합된 상태가 보다 쉽게 해제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분리공(34)이 상기 부품단자(44)에 인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부품(40)을 상기 내부공간(24)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리공(34)들에 각각 공구를 삽입하여 분리작업을 하면 된다. 본 실시례의 경우 2개의 부품단자(44)에 대응되게 2개의 분리공(34)이 있으므로, 이들 각각의 분리공(34)에 공구를 삽입하여 부품(40)에 힘을 가해 내부공간(24)에서 상기 부품몸체(42)가 일부 빠져나오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8)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턱(39)이 상기 부품몸체(42)에 걸어진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공구를 분리공(34)으로 삽입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부품몸체(42)가 상기 내부공간(24)에서 일부 빠져나오면 작업자는 상기 부품(40)을 손으로 잡고 상기 내부공간(24)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품(40)을 본 고안의 부품장착장치(20)에서 분리한 후에는 새로운 부품(40)을 상기 내부공간(24)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록 12: 블록몸체
14: 장착브라켓 16: 방진구
18: 외부연결부 20: 부품장착장치
22: 장착펜스 24: 내부공간
26: 부품단자공 28: 방열공간
30: 틈새형성부 32: 연결경사부
34: 분리공 36: 검사공
38: 지지플레이트 39: 걸이턱
40: 부품 42: 부품몸체
44: 부품단자

Claims (7)

  1. 블록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부품몸체가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장착펜스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몸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게 하는 틈새형성부와,
    상기 틈새형성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장착펜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리공을 포함하는 부품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은 상기 부품몸체에서 돌출되는 부품단자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부품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몸체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단자를 상기 장착펜스의 외부에 보도록 검사공이 상기 장착펜스에 형성되는 부품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펜스의 일측에는 상기 부품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상기 부품몸체의 외면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부품장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부품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 공기가 위치하게 방열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방열공간은 상기 장착펜스에 형성된 분리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부품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간은 상기 틈새형성부에 연결경사부를 통해 연통되는 부품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경사부는 상기 방열공간과 상기 틈새형성부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인 부품장착장치.
KR2020140007912U 2014-10-30 2014-10-30 부품장착장치 KR200479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12U KR200479350Y1 (ko) 2014-10-30 2014-10-30 부품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12U KR200479350Y1 (ko) 2014-10-30 2014-10-30 부품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350Y1 true KR200479350Y1 (ko) 2016-01-18

Family

ID=5531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912U KR200479350Y1 (ko) 2014-10-30 2014-10-30 부품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22B1 (ko) * 2016-12-19 2018-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35B1 (ko) 2006-10-31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박스의 부품장착장치 및 방법
US20130194763A1 (en) 2010-10-25 2013-08-01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Board block for vehicles
JP2014121223A (ja) 2012-12-19 2014-06-30 Yazaki Corp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35B1 (ko) 2006-10-31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박스의 부품장착장치 및 방법
US20130194763A1 (en) 2010-10-25 2013-08-01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Board block for vehicles
JP2014121223A (ja) 2012-12-19 2014-06-30 Yazaki Corp 電気接続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22B1 (ko) * 2016-12-19 2018-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0690B2 (ja) 電気接続箱
JP6024986B2 (ja) 端子台
US106862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024985B2 (ja) 端子台
US2018025565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housing with a circuit board provided therein
KR20140087423A (ko) 자동차용 박스
KR200479350Y1 (ko) 부품장착장치
JP5979445B2 (ja) 端子台
CN105428891B (zh) 用于可插式连接器的绝缘体及可插式连接器
KR200482980Y1 (ko)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의 전원연결 보호 기능이 구비된 브러쉬리스 모터
JP2010033991A (ja) 電子機器
JP7141814B2 (ja) 取付け表面を増大させた電気自動車用コネクタ
KR20130077048A (ko) 전원분배유니트
JP5970389B2 (ja) 端子保護カバー及び端子保護方法
KR20160002187U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WO2021157384A1 (ja) 電気接続箱
KR20140087422A (ko) 자동차용 박스
KR20160036424A (ko) 고전압 정션박스의 암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6014510B2 (ja) バッテリパック
KR20190031471A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6233281B2 (ja) 電気接続箱
KR20150125468A (ko) 자동차용 세이프티 플러그
KR20150133044A (ko) 자동차용 박스
JP3174348U (ja) 端子台
KR20190131570A (ko) 전기 접속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