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048A - 전원분배유니트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048A
KR20130077048A KR1020110145548A KR20110145548A KR20130077048A KR 20130077048 A KR20130077048 A KR 20130077048A KR 1020110145548 A KR1020110145548 A KR 1020110145548A KR 20110145548 A KR20110145548 A KR 20110145548A KR 20130077048 A KR20130077048 A KR 20130077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installation hole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unit
separ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048A/ko
Publication of KR2013007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분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분배유니트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12)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버스바(15) 등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10) 상에는 릴레이 등의 부품(16)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를 관통하여서는 설치공(2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20)의 일단은 상기 부품장착부(14)의 내부로 개방된다. 상기 설치공(20)에는 분리바아(24)가 설치되는데, 상기 분리바아(24)는 상기 설치공(20) 입구의 안착단(22)에 타단부가 안착되고 선단부는 상기 부품장착부(14)에 안착된 상태의 부품(16)에 접촉된다. 상기 설치공(20)의 입구에는 확인판(30)이 구비되는데, 상기 확인판(30)에는 분리슬릿(32)이 형성되어 공구에 의한 확인판(3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부품(16)이 부품장착부(14)에서 분리될 때, 버스바(15) 등에 형성된 터미널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확인판(30)이 제거된 것을 통해 부품(16)의 교체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원분배유니트{Power distribution unit}
본 발명은 전원분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분배유니트에 장착된 부품을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전원분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사용한 차량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전원의 전압이 12볼트 정도의 저전압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나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전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주로 저전압용만이 있었는데, 고전압용도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전원분배유니트에서도 고전압용의 부품들이 사용된다. 이들 고전압용의 부품들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무겁다. 이와 같이 크기가 크고 무겁게 되면 부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원분배유니트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터미널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상기 부품이 터미널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는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되어야 하는데, 부품의 크기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궤도를 따른 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즉, 상기 부품의 크기와 무게가 커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중에 터미널이 부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다.
한편, 전원분배유니트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그 부품의 일부를 고장에 의해 교체한 경우에는 다른 부품의 안정성도 보장을 할 수 없으므로, 특정 부품을 일 회 교체한 후에 다시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원분배유니트 전체를 새 것으로 교체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원분배유니트가 사용된 이력을 기계적으로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불안정상태의 전원분배유니트를 그대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을 전원분배유니트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교체 여부를 알 수 있는 전원분배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몸체와, 상기 제1몸체 상에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와, 상기 부품장착부의 내부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설치공 내에 위치되고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장착부에서 분리하는 힘을 제공하는 분리바아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공의 입구 내측에는 안착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분리바아의 타단부가 안착되어 설치공에서 분리바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리바아는 바아몸체와 상기 바아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설치공의 안착단에 안착되는 걸이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의 입구에는 상기 설치공 내부의 분리바아에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확인판이 구비된다.
상기 확인판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어 공구에 의한 확인판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분리바아의 길이는 상기 분리바아의 타단부가 상기 설치공 입구의 안착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에 일단부가 접촉되어 진동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유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분배유니트의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을 전원분배유니트 내에 설치되는 분리바아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부품을 분리하는 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져 전원분배유니트에서 상기 부품과 결합되는 터미널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부품을 분리하는 분리바아가 내장된 설치공의 입구에 확인판이 구비되어 분리바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확인판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부품의 분리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제2몸체쪽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리바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분리바아를 사용하여 부품을 부품장착부에서 분리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몸체(10)가 전원분배유니트의 일측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몸체(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제1몸체(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걸이편(1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몸체(12)의 걸이턱(13)이 걸어져 제1몸체(10)와 제2몸체(12)가 결합되게 한다. 상기 걸이편(12)에는 걸이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13)이 안착된다. 상기 제1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연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연결부(18)는 반드시 상기 제1몸체(10)에만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2몸체(12)와 협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18)에는 별도의 커넥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0)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몸체(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몸체(12)도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0)와 유사한 형태의 판상이다. 상기 제2몸체(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편(12)과 체결되는 걸이턱(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버스바(15)나 기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0)의 외면으로는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4)에는 부품(16)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부품(16)의 예로는 릴레이나 퓨즈와 같은 것이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14)에 장착된 부품(16)은 그 레그(17)가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있는 버스바(15)의 터미널이나 기판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된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2몸체(12) 쪽으로 개방되게 설치공(2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20)은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를 관통하고 상기 부품장착부(14)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설치공(20)의 제2몸체(12) 측 입구에는 안착단(2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2) 부분의 직경은 상기 설치공(20)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는 작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바아(24)가 임의로 상기 설치공(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공(20)의 내부에는 분리바아(24)가 설치된다. 상기 분리바아(24)는 본 실시예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분리바아(24)는 바아몸체(26)와 상기 바아몸체(26)보다 직경이 크게 상기 바아몸체(26)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걸이단(28)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단(28)은 상기 안착단(22)에 걸어져 상기 설치공(20)의 입구를 통해서 밖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단(22)의 내경보다 상기 걸이단(28)의 외경이 크게 한다. 물론, 상기 안착단(22) 없이 상기 바아몸체(26)의 직경을 상기 걸이단(28)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도 된다.
상기 분리바아(24)의 길이는 상기 설치공(20)의 길이와 거의 같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분리바아(24)가 상기 설치공(20)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장착부(14)에 부품(16)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분리바아(24)의 일단부는 상기 부품(16)에 접촉되고 상기 분리바아(24)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걸이단(28)은 상기 안착단(22)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분리바아(24)가 상기 설치공(2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설치공(20)의 입구에는 확인판(30)이 형성된다. 상기 확인판(30)은 상기 설치공(20)의 입구를 막아 상기 분리바아(24)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상기 분리바아(24)가 적어도 한 차례 작동되었음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인판(30)에는 분리슬릿(32)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슬릿(32)은 상기 확인판(30)을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슬릿(3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확인판(30)을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상기 분리바아(24)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분리슬릿(32)은 본 실시예에서 십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상기 설치공(20)의 내면에 인접하여 일부가 연결된 거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설치공(20)에서 보다 쉽게 확인판(30)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유니트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원분배유니트는 상기 제2몸체(12) 상에 다수개의 버스바(15)와 필요한 부품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20)에 상기 분리바아(24)를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제1몸체(10)를 상기 제2몸체(12)에 결합한다.
상기 설치공(20)은 상기 제2몸체(12)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몸체(10)에도 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10)를 상기 제2몸체(1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몸체(10)의 설치공(20)에 상기 분리바아(24)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분리바아(24)는 일단부가 상기 부품장착부(14)의 내부 바닥에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바아(24)의 타단부는 상기 설치공(20)의 입구에 형성된 안착단(22)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장착부(14)에 부품(16)을 장착한다. 상기 부품(16)의 예로서 릴레이가 있는데, 이는 상기 전원분배유니트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매우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간다. 따라서, 상기 부품(16)을 취급함에 있어서, 특히 상기 부품(16)을 상기 부품창착부(14)에서 분리할 때, 상기 버스바(15)에 형성된 터미널과의 결합상태까지도 해제해야 하므로 많은 힘이 들어간다.
이와 같이 부품(16)을 분리함에 있어서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면 상기 부품레그(17)가 상기 버스바(15)의 터미널에서 분리되면 갑자기 필요한 힘이 줄어들게 되지만, 작업자가 가하던 힘을 빨리 제거할 수 없어 상기 부품(16)이 급작스럽게 움직이면서 상기 터미널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품(16)을 분리함에 있어서 전원분배유니트의 외부에서 상기 부품(16)을 잡고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설치공(20)에 있는 분리바아(24)에 의해 상기 부품(16)이 밀려서 부품장착부(14)에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바아(24)가 상기 부품(16)에 힘을 가하는 위치를 잘 설정하면 상기 분리바아(24)에 의해 상기 부품(16)의 부품레그(17)와 버스바(15)의 터미널의 결합상태가 먼저 분리되고 상기 부품장착부(14)의 내면에서 상기 부품(16)이 어느 정도 빠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바아(24)에 의해 부품(16)이 밀리는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리바아(24)에 의해 상기 부품(16)이 상기 부품장착부(14)에서 완전히 빠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어느 정도까지, 즉 상기 부품레그(17)와 버스바(15)의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가 분리되도록 까지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리바아(24)를 조작하여 힘을 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치공(20)의 내부로 공구를 삽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설치공(20)의 입구에 있는 확인판(30)을 제거하여야 한다. 상기 확인판(30)은 공구를 사용하여 힘을 가하면 상기 분리슬릿(32)의 존재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확인판(30)이 제거되어 있으면, 상기 부품(16)은 최소한 한 번 이상 교체된 것이다. 실제로는 상기 부품(16)은 한 번만 교체하고, 또 다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체 전원분배유니트를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원분배유니트가 제1몸체(12)와 제2몸체(14)에 의해 외관과 골격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보다 많은 갯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버스바(15) 등이 안착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몸체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확인판(30)이 설치공(20)에 형성된 구조까지가 함께 있으나, 상기 확인판(30)의 구성이 반드시 함께 본 발명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0: 제1몸체 11: 걸이편
12: 제2몸체 13: 걸이턱
14: 부품장착부 16: 부품
17; 부품레그 18: 외부연결부
20: 설치공 22: 안착단
24: 분리바아 26: 바아몸체
28: 걸이단 30: 확인판
32: 분리슬릿

Claims (6)

  1.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몸체와,
    상기 제1몸체 상에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와,
    상기 부품장착부의 내부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설치공 내에 위치되고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장착부에서 분리하는 힘을 제공하는 분리바아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입구 내측에는 안착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단에는 상기 분리바아의 타단부가 안착되어 설치공에서 분리바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원분배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아는 바아몸체와 상기 바아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설치공의 안착단에 안착되는 걸이단으로 구성되는 전원분배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입구에는 상기 설치공 내부의 분리바아에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확인판이 구비되는 전원분배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판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어 공구에 의한 확인판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전원분배유니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아의 길이는 상기 분리바아의 타단부가 상기 설치공 입구의 안착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에 일단부가 접촉되어 진동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분배유니트.
KR1020110145548A 2011-12-29 2011-12-29 전원분배유니트 KR20130077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548A KR20130077048A (ko) 2011-12-29 2011-12-29 전원분배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548A KR20130077048A (ko) 2011-12-29 2011-12-29 전원분배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48A true KR20130077048A (ko) 2013-07-09

Family

ID=4899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548A KR20130077048A (ko) 2011-12-29 2011-12-29 전원분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0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187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KR20160080188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KR20160080189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KR20160082275A (ko)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187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KR20160080188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KR20160080189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KR20160082275A (ko)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3015B2 (en) Quick-mount relay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130077048A (ko) 전원분배유니트
DE102015214763A1 (de) Stromverteilerdose
DE102017209584B4 (de) Anbringungs-Struktur für einen Elektronikaufnahmekasten
KR101242337B1 (ko)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JP2015050034A (ja) 蓄電装置
DE112014001972T5 (de)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elektronische Baugruppenstruktur
US20180212345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nnectable to multiple cables with protection against damage from foreign bodies
CN105428891B (zh) 用于可插式连接器的绝缘体及可插式连接器
KR101758260B1 (ko) 주차 브레이크용 단자 고정형 램프 스위치
JP2008265360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ッテリ台座の固定構造
JP2013255347A (ja) 電気接続箱
JP6027460B2 (ja) 高電圧部品のカバー取付構造
CN205488678U (zh) 一种高压连接器插座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0484354Y1 (ko) 부품 교체 및 수리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102362811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KR101321178B1 (ko) 보안등 점멸기 외함의 부품 설치구조
CN203839303U (zh) 便拆装式漏电断路器
KR200479350Y1 (ko) 부품장착장치
JP6170107B2 (ja) 高電圧充電装置
JP2014157740A (ja) 端子保護カバー及び端子保護方法
DE102014212177A1 (de) Vorrichtung für elektrische Bauteile
JP7091945B2 (ja) 電力中継装置
JP6778600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