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337B1 -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337B1
KR101242337B1 KR1020110129980A KR20110129980A KR101242337B1 KR 101242337 B1 KR101242337 B1 KR 101242337B1 KR 1020110129980 A KR1020110129980 A KR 1020110129980A KR 20110129980 A KR20110129980 A KR 20110129980A KR 101242337 B1 KR101242337 B1 KR 10124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lot
terminal block
power distribution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102011012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하우징에 내장되는 집게 타입의 접속클립 대신 단자대를 적용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용이한 증감과 함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공지된 접속클립을 구비하게 되는 접속 홀더와 접속 하우징 간에 분리되는 결합구조에 의하여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증감 접속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격벽에 의해 개별적으로 접속 하우징에 나란히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단자대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에 너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과 통하는 연결구조로 형성되는 너트홈과;
상기 접속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며 단자대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클립을 내부에 구비시킨 접속 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에 결합 되는 단자대는, 슬롯과 너트홈의 상면을 막는 형태로 놓이는 수평단자판과, 상기 수평단자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슬롯으로 삽입되는 수직단자판과, 상기 수평단자판에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Terminal Plate 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공급되는 고전압의 전류를 다수로 분배하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접속 하우징 내에 집게 타입의 접속클립 대신 단자대를 적용하여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용이한 증감은 물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더불어 공지된 접속클립을 구비하는 접속 홀더와 접속 하우징 간에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통해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증감 접속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전기, 전자, 기계 및 전원 설비 등에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4739호(이하, "선행특허문헌"이라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0)는 전기 접속시 접속부가 집게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접속클립(130)의 절개부(132)에 상대하는 단자판(190)이 끼워지는 구조로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선행특허문헌에서 보듯이 전류 흐름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상대하는 단자판(190)의 단면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0)에 구비하는 전기접속클립(130)도 그에 맞추어 용량 증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기접속클립(130)에 대한 용량 증가는 전기접속클립(130)을 서로 포개는 적층 결합 구조로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전류 흐름 용량 증대시 전기접속클립(130)을 2개 초과하는 개수로 적층 결합시킬 경우, 탄성부(150)의 탄지력이 선단부(130F)로 집중되는 결합구조를 취하고 있어 접속시 절개부(132)의 벌어짐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접속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탄지력이 약한 탄성부(150)를 사용하거나, 또는 탄성부(150)을 제거하는 방법도 모색해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선단부(130F)의 연결을 위한 경사부(130B)가 굴곡진 경사구조를 형성하면서 두께와 폭이 얇아 절개부(132)가 벌어지게 될 때 양편 선단부(130F)의 뒤틀림 변형을 일으키면서 접속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탄지력이 약한 탄성부(150)의 사용이나, 탄성부(150)의 제거가 어렵다.
또한, 전기접속클립(130)을 전체적으로 보듯이 상하부 돌출과 굴곡 정도가 구조적으로 심하고, 나아가 전기접속클립(130)의 상면에 탄성부(150)가 놓이는 결합구조를 취하고 있어 적증 결합시 넓은 설치 공간의 확보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0)의 크기 및 수용공간부(161)의 체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적층된 전기접속클립(130)의 설치 공간 즉,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접속클립(130)의 적층 개수는 최대 2개가 바람직하며, 그 이유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접속클립(130)의 상하부 돌출 및 굴곡 구조 정도가 심하여 당업자가 볼 때, 전기접속클립(130)을 2개 초과하는 구조로 적층 시, 정밀한 적층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불안정한 전력 공급은 물론, 부하에 따른 고열 발생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선행특허문헌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전기접속클립(130)의 경우도 2개 초과하는 적층 결합구조는 실질적인 적용이 어렵다.
한편, 선행특허문헌에서는 보호부(165)의 양측 면에 탐침대(115)가 볼트(도면부호 없음)에 체결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탐침대(115)의 경사부(117)가 접속구(180)를 막고 있는 슬라이드 도어(183)의 제2수용공간부(181)로 진입하면서 파고드는 동안 슬라이드 도어(183)는 볼트(187)가 관통 체결되어 있는 장공(185)에 의해 상승 되어 최종적으로는 전기접속클립(130)과 단자판(190)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탐침대(115)가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체결구조를 취하고 있어 탐침대(115)의 조립과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4739호(등록일 : 2003.2.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접속 하우징 내에 집게 타입의 접속클립 대신 단자대를 적용하여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용이한 증감은 물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공지된 접속클립을 구비하는 접속 홀더와 접속 하우징 간에 분리되는 결합 구조에 의해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증감 접속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접속 하우징에 형성되는 격벽에 의해 개별적 나란히 형성되는 수용공간부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단자대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에 너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과 통하는 연결구조로 형성되는 너트홈과; 상기 접속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며 단자대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클립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대는, 슬롯과 너트홈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놓이는 수평단자판과, 상기 수평단자판의 하면에 구비되며 슬롯으로 삽입되는 수직단자판과, 상기 수평단자판에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접속 하우징의 전면에는 수용공간부와 내부적으로 통하도록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접속 보호홀더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 보호홀더부의 양측 면에는 접속 결합시 접속 홀더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분리 가능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결착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접속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결합공을 형성한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에는 탐침대가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탐침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대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대가 연결되는 굴곡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는 결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의 하단에는 상기 결착 돌기가 걸림 결착 될 수 있는 결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하우징 내에 집게 타입의 접속클립 대신 단자대를 적용하여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용이한 증감은 물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접속클립을 구비하는 접속 홀더와 접속 하우징 간에 분리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증감 접속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탐침대의 결합시, 종래와 같이 볼트에 의한 체결이 아니라 끼움식 결합 고정이므로 조립이나 해체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조립 분해가 신속 용이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2a는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2b는 배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2a는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2b는 배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의 접속 하우징(12)에는 칸막이 구조를 취하는 격벽(14)에 의해 수용공간부(16)가 간격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나란히 배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부(16)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접속 하우징(12)의 양측 상면에는 힌지부(18)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부(18)에는 커버(20)에 구비된 힌지핀(22)이 회동하는 구조로 대응 결합 되어 있으며, 이러한 커버(20)가 수용공간부(16)의 상부를 덮어 전력사고 또는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부(16)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단자대(24)가 결합 될 수 있는 슬롯(26)이 수용공간부(1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26)의 전방 양편에는 체결공(2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슬롯(26)의 후방에는 너트(30)가 체결될 수 있는 너트홈(32)이 슬롯(26)과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롯(26)에 결합 되는 단자대(24)는 먼저, 슬롯(26)과 너트홈(32)의 상면을 막는 형태로 놓이게 되는 수평단자판(34)과,이 수평단자판(34)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되며 슬롯(26)으로 삽입되는 수직단자판(36)으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자대(24)는 T형 구조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단자판(34)에는 볼트(38, 40, 42)가 관통 결합 될 수 있는 통공(44, 46, 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38, 40, 42)는 앞서 언급된 체결공(28)과 너트(30)에 대응 체결되어 슬롯(26)에 결합된 단자대(24)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 하우징(12)의 전면에는 수용공간부(16)와 내부적으로 통하도록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접속 보호홀더부(50)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접속 보호홀더부(50)의 양측 면에는 접속 결합시 후술하는 접속 홀더(52)의 결합홈(54)에 걸림 결착 될 수 있는 결착 후크(5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홀더(52)의 내부에는 단자대(24)와 도 1에 도시된 단자판(190)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클립(58)이 결합 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접속 홀더(52)에 결합 되는 접속클립(58)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11-47455호에 개시된 접속클립을 그대로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클립(58)은 공지 구성을 그대로 채용한 것에 불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위에서 소개된 접속클립(58)은 접속 홀더(52)와 접속 보호홀더부(50)의 결합시, 접속클립(58)의 일측 클립 단자가 앞서 설명된 수직단자판(36)의 양 측면을 압지 하는 물림구조로 접속 결합 되며, 이러한 접속클립(58)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류 흐름 용량 증대를 위해 적층 구조를 취하게 된다. (도 4참조)
이러한 상기 접속클립(58)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접속클립(130)과 같이 상하부 돌출과 굴곡 형성되는 구조 및 탄성부(150)의 결합과 함께 선단부(130F)에 탄성부(150)의 탄지력이 집중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굴곡이 없는 밋밋한 평면 구조와 접속부분에 탄지력이 집중되지 않는 구조, 별도의 탄성부(150)가 접속부분에 결합 되어 있지 않은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적층 묶음에 따른 전기적 통전과 부하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 예컨대 전류 흐름 용량 증가에 따른 적층 수량이 5개 이하까지 가능하다. 기타 구성 및 접속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11-47455호에 개시된 공지 구성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접속 하우징(12)의 양 측면에는 결합공(60)을 형성한 결합부(6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62)에는 탐침대(64)가 결합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탐침대(64)도 선행특허문헌에서 상세히 설명된 탐침대(115)와 같이 단자판(190)과의 임의적인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 또는 쇼트와 같은 전력 사고를 방지하고 접속구(180)의 전방을 막고 있는 슬라이드 도어(183)를 상승시키는 동일한 작용을 발휘한다. (도 1참조)
다만, 본 발명의 탐침대(64)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대(66)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대(68)가 연결되어 ㄱ형의 굴곡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수직대(66)의 하단에는 결합부(6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홈(70)에 걸림 결착될 수 있는 결착후크(72)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결착홈(70)과 결착후크(72)가 반드시 구비되는 구조를 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탐침대(64)의 결합시, 종래와 같이 볼트에 의한 체결이 아니라 끼움 식 결합이므로 조립이나 해체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조립 분해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를 사용하게 되면,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증대시, 굴곡 구조와 상하부 돌출이 심한 전기접속클립을 서로 포개지는 적층구조가 아닌 밋밋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24)가 적용되어 단순히 단면 두께만을 늘이는 구조이므로 전류 흐름 용량에 대한 증대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단자대(24)의 구조가 단순 간단하여 슬롯(26) 크기만을 증감하는 정도이므로 접속 하우징(12)의 수용공간부(16)의 크기나 내부 구조에 대한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다.
또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10)에 공지된 접속클립(58)의 구조와, 접속 홀더(5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구조가 가지는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전류 흐름 용량의 증감에 맞는 접속클립(58)을 구비한 접속 홀더(52)만을 교체 결합하는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류 흐름 용량의 증감에 따른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12 : 접속 하우징
14 : 격벽 16 : 수용공간부
18 : 힌지부 20 : 커버
22 : 힌지핀 24 : 단자대
26 : 슬롯 28 : 체결공
30 : 너트 32 : 너트홈
34 : 수평단자판 36 : 수직단자판
38, 40, 42 : 볼트 44, 46, 48 : 통공
50 : 접속 보호 홀더부 52 : 접속 홀더
54 : 결합홈 56, 72 : 결착 후크
58 : 접속클립 60 : 결합공
62 : 결합부 64 : 탐침대
66 : 수직대 68 : 수평대
70 : 결착홈

Claims (4)

  1. 접속 하우징(12)에 형성되는 격벽(14)에 의해 개별적 나란히 형성되는 수용공간부(16)과;
    상기 수용공간부(16)의 내부에 단자대(24)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슬롯(26)과;
    상기 슬롯(26)에 너트(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26)과 통하는 연결구조로 형성되는 너트홈(32)과;
    상기 접속 하우징(1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며 단자대(24)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클립(58)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 홀더(52)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대(24)는, 슬롯(26)과 너트홈(32)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놓이는 수평단자판(34)과, 상기 수평단자판(34)의 하면에 구비되며 슬롯(26)으로 삽입되는 수직단자판(36)과, 상기 수평단자판(34)에 형성되어 볼트(38)와 너트(30) 간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공(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하우징(12)의 전면에는 수용공간부(16)와 내부적으로 통하도록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접속 보호 홀더부(5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 보호홀더부(50)의 양측 면에는 접속 결합시 접속 홀더(52)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54)과 분리 가능하게 결착 될 수 있도록 결착 후크(5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하우징(12)의 양 측면에는 결합공(60)을 형성한 결합부(6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62)에는 탐침대(64)가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탐침대(64)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대(66)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대(68)가 연결되는 굴곡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66)의 하단에는 결착 후크(72)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62)의 하단에는 상기 결착 후크(72)가 걸림 결착 될 수 있는 결착홈(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KR1020110129980A 2011-12-07 2011-12-07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KR10124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980A KR101242337B1 (ko) 2011-12-07 2011-12-07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980A KR101242337B1 (ko) 2011-12-07 2011-12-07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337B1 true KR101242337B1 (ko) 2013-03-11

Family

ID=4818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980A KR101242337B1 (ko) 2011-12-07 2011-12-07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3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76Y1 (ko) * 2014-01-27 2014-11-18 한국남부발전(주)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KR101541196B1 (ko) 2009-10-30 2015-08-03 윤여관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KR101555689B1 (ko) 2013-07-15 2015-09-25 남기태 전력분배용 부스바 접속장치
KR20200120380A (ko) * 2019-04-12 2020-10-21 이덕환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20220152685A (ko) * 2021-05-10 2022-11-17 코리아알프스(주) 전기 접속 커넥터
KR20230016371A (ko) * 2021-07-26 2023-02-02 코리아알프스(주)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39Y1 (ko) * 2003-01-18 2003-02-17 조형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39Y1 (ko) * 2003-01-18 2003-02-17 조형순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196B1 (ko) 2009-10-30 2015-08-03 윤여관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KR101555689B1 (ko) 2013-07-15 2015-09-25 남기태 전력분배용 부스바 접속장치
KR200475276Y1 (ko) * 2014-01-27 2014-11-18 한국남부발전(주)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KR20200120380A (ko) * 2019-04-12 2020-10-21 이덕환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102246825B1 (ko) * 2019-04-12 2021-04-30 이덕환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20220152685A (ko) * 2021-05-10 2022-11-17 코리아알프스(주)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630482B1 (ko) * 2021-05-10 2024-01-29 코리아알프스(주) 전기 접속 커넥터
KR20230016371A (ko) * 2021-07-26 2023-02-02 코리아알프스(주)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606958B1 (ko) * 2021-07-26 2023-11-29 코리아알프스(주)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337B1 (ko)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US20090209115A1 (en) Electrical connection-and junction box for a solar cell module
CN103545477B (zh) 电池连接器的端子汇流排的旋转防止结构
US9537260B1 (en) Power distributor with modular cover units and a slidable hanging mechanism
US20090179116A1 (en) Cable management side bracket
HK1108822A1 (en) Console with storing place
US10608419B2 (en) Switchgear cabinet or rack for accommodating electrical energy stores, in particular batteries, and a corresponding switchgear cabinet assembly or rack assembly
CN102346526A (zh) 电源组合
WO2017006588A1 (ja) 電源装置
US9315996B2 (en) Part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96926B1 (ko) 모터 제어반
TWI493814B (zh) 連接器及收容構造體
WO2016017314A1 (ja) コネクタ
JP2020089254A (ja) 分電盤の接触子アセンブリ
KR20170077467A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US8492015B2 (en) Battery fuse terminal cover with latch
CN205882222U (zh) 插座
KR200456000Y1 (ko) 후크식 조립 단자대
KR102233933B1 (ko) 배터리 팩
JP6349145B2 (ja) ラック列給電システム
CN102201306A (zh) 部件整装支架安装结构
JP2019220436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5730118B2 (ja) 機器収納用ラック
CN105870378A (zh) 电池卡板及电池
JP4391393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