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76Y1 -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276Y1
KR200475276Y1 KR2020140000614U KR20140000614U KR200475276Y1 KR 200475276 Y1 KR200475276 Y1 KR 200475276Y1 KR 2020140000614 U KR2020140000614 U KR 2020140000614U KR 20140000614 U KR20140000614 U KR 20140000614U KR 200475276 Y1 KR200475276 Y1 KR 200475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erminal block
terminal
auxiliar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익준
임광섭
윤상옥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to KR2020140000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단자대본체와, 단자대 본체 구비되고 입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입력단자가 일단에 연결되고, 단자대본체 내에 구비되는 부스바와, 부스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출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부스바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입력단자의 전기 공급을 추가로 분기하거나 분기 해제할 수 있는 보조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TERMINAL BLOCK HAVING DOUBLE STRUCTURE}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대본체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단락핀을 조립하면 예비출력단자를 이용하여 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단락핀을 분리하면 예비출력단자를 차단하므로 전압인가로 인한 작업 및 운전 장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터미널 단자대(terminal block)은 현장 설비와 중앙제어장치 예를 들면,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 시스템: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을 연결하여, 상태감시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중앙제어장치는 산업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현장설비의 상태를 검출하여 적절한 제어를 할 수 있거나 전력계통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제어 계통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존의 터미널 단자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단자대본체와, 단자대 본체 구비되어 전기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단자와, 입력단자가 일단에 연결되고, 단자대본체 내에 구비되는 부스바와, 부스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존에는 1개이 입력단자에 대해 1개의 출력단자가 연결되므로 전기판넬 내부에서 PT회로등 회로를 병렬로 분기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분기회로 구성시 단자대를 풀여 출력단자 하나에 케이블을 이중 접속해야 하며, 이 때 터미널 단자대를 풀어주어야 함에 따라 해당 설비를 일시 정지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경기술은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5382호(공개일: 2008.11.14)가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단자대본체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단락핀을 결합하면 예비출력단자를 이용하여 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단락핀을 분리하면 예비출력단자를 차단하므로 전압인가로 인한 작업 및 운전 장애를 줄일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대본체에 보관홈부를 형성하므로 단락핀의 분리시 이를 일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단자대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 구비되고 입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가 일단에 연결되고, 단자대본체 내에 구비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출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부스바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입력단자의 전기 공급을 추가로 분기하거나 분기 해제할 수 있는 보조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부는, 상기 부스바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보조부스바; 상기 보조부스바에 구비되고, 보조출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예비출력단자; 및 상기 부스바와 상기 보조부스바를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단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부스바는 상기 부스바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비출력단자는 상기 단자대본체의 중심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으로 돌출된 블록 형태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균등한 좌우 비율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락부재는, 상기 부스바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 상기 연결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조부스바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공에 삽입 연결되므로 분기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공을 거쳐 상기 관통공에서 분리되면서 분기회로를 해제하는 단락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락핀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는 나사축부; 및 상기 나사축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체결공구를 삽입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바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단락핀의 나사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와의 전기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락핀을 일시 보관하기 위해 단자대본체에 보관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홈부는 상기 단락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형성되고, 상기 단자대본체의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는, 단자대본체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단락핀을 결합하면 예비출력단자를 이용하여 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단락핀을 분리하면 예비출력단자를 차단하므로 전압인가로 인한 작업 및 운전 장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대본체에 보관홈부를 형성하므로 단락핀의 분리시 이를 일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분리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의 분리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는, 단자대본체(10), 입력단자(20), 부스바(30), 출럭단자(40) 및 보조연결부(50)를 포함한다.
단자대본체(10)는 터미널 단자대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단자대본체(10)는 사각형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단자대본체(10)의 일측에는 입력단자(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출력단자(30)가 구비된다.
입력단자(20)는 단자대 본체(10)에 구비되고 입력케이블(22)이 연결된다. 입력케이블(22)은 단부에 구비된 링부재를 통하여 입력단자(20)의 나사부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부스바(30)는 입력단자(20)가 일단에 연결되고, 단자대본체(10) 내에 매립되어 구비된다. 부스바(30)는 동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단자(40)는 단자대 본체(10)에 구비되고 출력케이블(42)이 연결된다. 출력케이블(42)은 단부에 구비된 링부재를 통하여 출력단자(40)의 나사부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조연결부(50)는 부스바(30)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입력단자(20)의 전기 공급을 추가로 분기하거나 분기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보조연결부(50)는 입력케이블(20)에 연결된 입력단자(20)의 전기를 출력단자(409)를 통해 출력케이블(42)로 공급하면서 추가로 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단자대본체(10)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보조연결부(50)는 부스바(3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보조부스바(52)와, 보조부스바(52)에 구비되고, 보조출력케이블(56)이 연결되는 예비출력단자(54)와, 부스바(30)와 보조부스바(52)를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단락부재(60)를 포함한다.
보조부스바(52)는 부스바(30)의 상측에 배치되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보조부스바(52)에는 예비출력단자(54)가 연결된다.
예비출력단자(54)는 단자대 본체(10)에 구비되고 보조출력케이블(56)이 연결된다. 보조출력케이블(56)은 단부에 구비된 링부재를 통하여 예비출력단자(54)의 나사부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조부스바(52)는 부스바(30)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나란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비출력단자(54)는 단자대본체(10)의 중심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으로 돌출된 블록 형태의 돌출부(12)에 형성된다.
돌출부(12)는 측면에서 볼 때 사각 블록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2)는 입력단자(20)와 출력단자(40) 사이에 균등한 좌우 비율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부재(60)는 부스바(3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62)과, 연결공(62)에 대응되도록 보조부스바(52)에 형성되는 관통공(64)와, 관통공(64)을 통해 연결공(62)에 삽입 연결되므로 분기회로를 구성하고, 연결공(62)을 거쳐 관통공(64)에서 분리되면서 분기회로를 해제하는 단락핀(66)을 포함한다.
단락핀(66)은 관통공(64)을 통해 연결공(62)에 체결되는 나사축부(67)와, 나사축부(67)의 상측에 구비되고, 체결공구를 삽입하는 결합홈(69)이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는 머리부(68)를 포함한다.
나사축부(67)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재(70)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단자대본체(10)의 돌출부(12)에는 괸통공(54)과 연결공(62) 사이를 관통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된다.
머리부(68)는 절연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머리부(68) 상측에 형성된 결합홈(69)을 통하여 조립될 수도 있지만, 작업자가 머리부(68)을 손으로 잡고서 돌려서 조립하거나 조립 해제할 수도 있다.
부스바(30)의 하측에는 연결공(62)으로 삽입되는 단락핀(66)의 나사축부(67)에 결합되어 부스바(30)와의 전기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고정부재(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70)는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너트일 수 있다. 물론, 고정부재(70)는 부스바(30)와 함께 단자대본체(10)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70)의 하측에는 단락핀(66)의 나사축부(67)가 체결ㄷ힐 때, 하측으로 돌출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공(65)는 단락핀(66)이 고정부재(70)와 최대한 결합될 때 나사축부(67)의 하단부 보다 약간 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핀(66)을 일시 보관하기 위해 단자대본체(10)에 보관홈부(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홈부(80)는 단락핀(66)의 나사축부(67)를 완전하게 삽입하여 머리부(68)의 저면이 단자대본체(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함몰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홈부(80)는, 단락핀(66)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 형성된다. 보관홈부(80)는 단자대본체(10)의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는, 단자대본체(10)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단락핀(66)를 결합하면 예비출력단자(54)를 이용하여 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단락핀(66)을 분리하면 예비출력단자(54)를 차단하므로 전압인가로 인한 작업 및 운전 장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대본체(10)에 보관홈부(80)를 형성하므로 단락핀(66)의 분리시 이를 일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단자대본체 12 : 돌출부
20 : 입력단자 30 : 부스바
40 : 출력단자 50 : 보조연결부
52 : 보조부스바 54 : 예비출력단자
60 : 단락부재 62 : 연결공
64 : 관통공 66 : 단락핀
67 : 나사축부 68 : 머리부
70 : 고정부재 80 : 보관홈부

Claims (10)

  1.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단자대본체;
    상기 단자대본체에 구비되고 입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가 일단에 연결되고, 단자대본체 내에 구비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출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부스바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입력단자의 전기 공급을 추가로 분기하거나 분기 해제할 수 있는 보조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연결부는, 상기 부스바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보조부스바;
    상기 보조부스바에 구비되어 보조출력케이블이 연결되는 예비출력단자; 및
    상기 부스바와 상기 보조부스바를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단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스바는 상기 부스바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출력단자는 상기 단자대본체의 중심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으로 돌출된 블록 형태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균등한 좌우 비율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부재는,
    상기 부스바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
    상기 연결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보조부스바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공에 삽입 연결되므로 분기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공을 거쳐 상기 관통공에서 분리되면서 분기회로를 해제하는 단락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핀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는 나사축부; 및
    상기 나사축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체결공구를 삽입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회전할 수 있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단락핀의 나사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와의 전기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핀을 일시 보관하기 위해 단자대본체에 보관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홈부는 상기 단락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형성되고,
    상기 단자대본체의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KR2020140000614U 2014-01-27 2014-01-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KR200475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614U KR200475276Y1 (ko) 2014-01-27 2014-01-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614U KR200475276Y1 (ko) 2014-01-27 2014-01-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76Y1 true KR200475276Y1 (ko) 2014-11-18

Family

ID=522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614U KR200475276Y1 (ko) 2014-01-27 2014-01-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7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01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이중 전선연결용 단자대
KR200256202Y1 (ko) * 2001-08-30 2001-12-13 이강일 전원분배 컨넥터
JP2007294333A (ja) * 2006-04-27 2007-11-08 Osada:Kk 分岐端子台装置
KR101242337B1 (ko) * 2011-12-07 2013-03-11 윤여관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01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이중 전선연결용 단자대
KR200256202Y1 (ko) * 2001-08-30 2001-12-13 이강일 전원분배 컨넥터
JP2007294333A (ja) * 2006-04-27 2007-11-08 Osada:Kk 分岐端子台装置
KR101242337B1 (ko) * 2011-12-07 2013-03-11 윤여관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8516B2 (en) Connector
CN108349404B (zh) 用于机动车的高压电池和机动车
KR101178898B1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US20150357774A1 (en) Modular switchgear connection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modular compartment to a switchgear assembly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US9500684B1 (en) Line-mounted electrical energy measurement device with integrated voltage pickup and clamp
KR200475276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터미널 단자대
KR101796031B1 (ko) 함체용 분리결합형 전원안전공급장치
CN103368119A (zh) 母线槽插孔装置
US8779309B2 (en) Transfer switch with internal interlock
CN204720657U (zh) 重载连接器模块
US10965149B2 (en) Electrical power restoration system for a circuit assembly and method
WO2017114189A1 (zh) 线缆接线模块以及电控设备
CN107888017B (zh) 出线盒结构及插头的安装方法
JP2011040234A (ja) 直流コンセント
CN105822811A (zh) 隔爆型阀门电动装置的双电源结构及其工作方法
CN202534943U (zh) 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永磁式高压真空配电装置
CN204720649U (zh) 重载插头
CN104485647A (zh) 一种短路保护电路及供电装置
CN204204727U (zh) 一种隔离开关熔断器组
US20170331221A1 (en) Universal Top and Bottom Cable Entry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CN206211271U (zh) 一种开关模块
CN202474258U (zh) 接线柱
JP3206359U (ja) 無停電バイパス工具
CN206060435U (zh) 一种电机用的接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