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958B1 -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958B1
KR102606958B1 KR1020210097779A KR20210097779A KR102606958B1 KR 102606958 B1 KR102606958 B1 KR 102606958B1 KR 1020210097779 A KR1020210097779 A KR 1020210097779A KR 20210097779 A KR20210097779 A KR 20210097779A KR 102606958 B1 KR102606958 B1 KR 10260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as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371A (ko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알프스(주) filed Critical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to KR102021009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 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홀더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 접속 바아가 관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를 감싸는 절연 튜브가 마련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MCC}
본 발명은 위치를 변경하여 부스바를 접속할 수 있는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 모터 제어반)에는 각종 전기 부품 및 전기 접속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각종 전기 부품 및 전기 접속 커넥터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 서랍식 구조의 수납 유니트에 마련되고, 이러한 수납 유니트는 MCC의 본체부에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 접속 커넥터는 전기 공급을 위해 마련되는 부스바와의 접속 상태가 양호해야 하고, 확실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부스바와의 접속이 보다 확대된 접촉 면적을 가지면서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부스바와의 접점부에서 균일한 압력 및 확실한 접촉 상태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 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홀더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 접속 바아가 관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를 감싸는 절연 튜브가 마련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탈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제1 케이스의 내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가 마련되고, 제2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전기 접속 바아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홀더가 마련되며, 노출된 전기 접속 바아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 튜브가 씌워지고, 이때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연결관이 형성되며, 연결관에 절연 튜브가 보다 확실한 결합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케이스의 상부에 덮개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덮개부에 한쌍을 이루는 관통공을 전기 접속 바아의 개수에 비례하여 배열 형성하며, 덮개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복수의 접속 홀더가 관통 결합되어서 그 아래에 위치한 전기 접속 바아의 단부와 접속되며, 한쌍의 관통공 사이의 저면에는 차단 부재가 형성되어서 접속 홀더의 접속시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기 접속 바아에 접속되므로, 전기적 숏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연 튜브를 제1 커넥터의 연결관에 결합시, 걸림핀을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절연 튜브가 쉽게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전기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서 제1 케이스에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기 접속 바아의 단부에 접속되는 전선의 전기 접속 거리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클립은 전기 공급을 위해 접속되는 부스바와의 접속시,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접촉 면적이 협소하면 증가할 수 있는 저항열이 감소될 수 있다.
접속 클립에 마련된 접속 부재에는 부스바와의 접속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마련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접점부 전체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접속 클립의 접속 부재는 부스바와의 접점부 전체를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하므로, 접점부에서의 흔들림없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속 클립의 일단부에는 접속 도체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마련되고, 결합 부재는 나사 결합 구조로 결합되므로, 절곡된 구조의 접속 도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주변 설치 구조물에 따라 결합 부재의 양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의 접속 도체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접속 도체와의 결선이 자유롭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를 이루는 제1 케이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덮개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의 상부에 덮혀지는 덮개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에 구비되는 덮개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9 (a)는 본 발명의 결합 단면도, 도 9 (b)는 도 9(a)에서 하나의 전기 접속 바아에 결합되는 절연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에 절연 튜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절연 튜브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절연 튜브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절연 튜브와 연결관의 결합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접속 홀더에 전선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접속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접속 홀더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 16과 다른 측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접속 클립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홀더 부재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0는 도 10로부터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1 홀더 부재의 수납홈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2 홀더 부재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로부터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홀더 부재의 수납홈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에 전선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접속 홀더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의 설치 상태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10)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400)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가 갖추어질 수 있으며, 제2 케이스(4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접속 홀더(2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120)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격벽(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을 통해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격벽(130)에 의해 전기 접속 바아(110)가 삽입되어 배열되기 위한 소정의 진입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가 관통되는 연결관(140)이 복수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관(140)에는 각각 전기 접속 바아(110)가 관통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전기 접속 바아(110)의 외부에는 전기적 보호를 위한 절연 튜브(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절연 튜브(1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자바라식 구조일 수 있고,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관(14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관(140)에 절연 튜브(150)를 체결하는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절연 튜브(150)의 입구부측 내부에 걸림턱(151)을 형성하며, 제1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연결관(140)의 노출되는 끝단부에는 연결관(140)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턱(151)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 돌기(14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40)의 한쪽 단부측에는 제1 케이스(100)의 전면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걸림시키기 위한 체결 돌기(14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연결관(140)은 필요에 따라 제1 케이스(100)의 전면에서 착탈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돌기(142)가 형성된 부분은 다리(leg)와 같이 연결관(14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탄성을 가져서 반경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튜브(150)의 입구부측에는 관통공(152)이 형성되며, 연결관(140)의 외주면에는 결합공(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52)을 통해 걸림핀(153)을 삽입하고, 결합공(143)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걸림 돌기(141)는 연결관(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연결관(140)에 돌출된 걸림 돌기(141)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도 14에 도시된 걸림 돌기(141)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걸림 돌기(141)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경우, 걸림 돌기(141)가 절연 튜브(150)와의 걸림 면적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절연 튜브(150)의 결합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형성된 길이가 작은 것에 비해 쉽게 부러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걸림 돌기(141)와 같이 상대적으로 돌출 면적 및 형성 길이가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보다 많이 형성함으로써, 절연 튜브(150)와의 걸림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절연 튜브(150)의 소정 위치에 결합공(154)이 형성되고, 연결관(140)을 통과하고 절연 튜브(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에 체결공(1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와 같은 걸림핀(155)을 통해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서, 연결관(140)과 결합되는 절연 튜브(150)의 입구부의 일측으로 한쌍의 연장편(156)이 형성되고,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연장편(156)에는 걸림핀(157)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관(14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절연 튜브(150)의 입구부는 절개되어서 2개의 부재로 되면서 한쌍의 연장편(156)이 겹쳐지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럼으로써, 절연 튜브(150)은 제1 케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연결관(14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장편(156)을 형성하는 대신에, 절연 튜브(150)의 입구부 외주면에 케이블 타이를 묶어서 연결관(140)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는 서로 간의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00)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는 서로 동일 높이가 아닌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배열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는 서로 이웃한 전기 접속 바아(110)와는 높이를 달리하고, 그 다음의 전기 접속 바아(110)와는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전기 접속 바아(110)의 높이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일부는 동일 높이, 일부는 다른 높이 등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0)의 전면에 제1 위치에 배열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제1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수평 상태의 제1 접속편(111), 제1 접속편(111)으로부터 절곡되어 높이를 달리하여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접속편(112), 제2 접속편(11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3 접속편(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의 전면에 제1 위치와 다른 위치인 제2 위치 즉, 제1 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제1 케이스(110)의 하부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제1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접속편(111)과, 제1 접속편(111)의 단부측에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접속편(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배열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제1 케이스(100)의 내부 바닥면에 모두 구비되어 체결되게 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하향 절곡된 다음 수평 상태를 가지는 제2 접속편(112)이 형성되고, 제1 위치보다 낮은 위치의 제2 위치에 배열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접속편(112) 없이 제1 접속편(111)의 단부측에 수직하게 절곡된 제3 접속편(113)만을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접속편(111)의 일단부쪽에는 전선 체결공(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접속편(112) 또는 제1 접속편(1110의 연장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112a)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체결공(112a)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체결 돌기(134)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제1 케이스(100)안에 삽입 배열시, 높낮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배치시 제1 위치에 삽입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절곡된 구조의 제2 접속편(112)이 형성되고, 제1 위치로부터 낮은 제2 위치에 삽입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제2 접속편(112)이 없이 직선 형태로 제1 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덮개부(120)의 저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3 접속편(113)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것은 절곡된 제2 접속편(112)을 통해 모든 전기 접속 바아(110)가 제1 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에 배열되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접속 바아(110)는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진입로(132)안에 삽입된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제2 접속편(112)에는 복수의 체결공(11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입로(132)안에 돌출된 체결 돌기(134)에 원하는 위치의 체결공(112a)을 끼우면, 제1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접속편(111)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장소에 따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전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제1 케이스(100) 자체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해당 전기 접속 바아(110)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켜서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전선 체결공(111a)을 통해 전선을 접속시킬 수 있다.
덮개부(120)는 제1 케이스(10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양측 가장 자리에는 걸림턱(121)이 형성되며, 덮개부(120)의 본체면에는 복수의 관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122)은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110)가 삽입되는 진입로(132) 마다 한쌍의 제1 관통공(122a)과 제2 관통공(122b)이 1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제1 관통공(122a)과 제2 관통공(122b)의 사이에는 서로 이격되게 하는 차단 부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123)는 제1 관통공(122a)과 제2 관통공(122b) 사이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123)의 저면에는, 삽입되는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절곡된 제3 접속편(113)이 위치하여 대면될 수 있다.
덮개부(120)의 관통공(122)을 통해 제2 커넥터(200)의 접속 클립(300)이 접속되고, 접속 클립(300)은 한쌍을 이루는 제1 관통공(122a)과 제2 관통공(122b)에 동시에 삽입되어서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제3 접속편(113)과 접속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400)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41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400)에는 간격을 두고 격벽에 의해 격리된 복수의 수납 공간부(402)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폐 커버(410)에도 간격을 두고 격벽에 의해 격리된 복수의 수납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속 클립(300)은 덮개부(120)의 관통공(122)을 통해 관통되어 덮개부(120)의 안쪽에 마련된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절곡된 제3 접속편(113)의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전기적 접속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한쌍을 이루는 접속 클립(300)의 접속 부재(310)(320)는 각각 제1 관통공(122a)과 제2 관통공(122b)에 삽입되어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절곡된 제3 접속편(113)의 양측면에 접속되는데, 제1 관통공(122a)과 제2 관통공(122b)의 사이에 형성된 차단 부재(123)에 의해 접속 부재(310)(320)는 서로간에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차단 부재(123)에 의해 항상 한쌍의 접속 부재(310)(320)는 근접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숏트 등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0)는 커넥터 본체(100)의 접속 커버(120)안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0)의 접속 커버(120)안에 접속 홀더(200)를 복수로 마련하는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접속 홀더(200)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접속홀더(200)의 색상을 달리하여 마련할 수 있고, 각 색상별로 MCC(또는 배전반, 분전반 등)의 3상 전원인 경우의 R,S,T,N으로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접속 홀더(200)는 2개의 부재가 조립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홀더 부재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홀더 부재(210)는 제1 몸체부(211), 제1 몸체부(21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수납홈(212), 제1 몸체부(21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 사이에는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된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제3 접속편(113)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수납홈(212)에는 삽입되는 접속 클립(300)간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격벽(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211)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방열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211)의 일면에는 접속 클립(300)의 도체부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기(215)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20)의 체결공(213)은 너트(21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의 안쪽에는 제2 홀더 부재(2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끼움 돌기(218)와 끼움홈(2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 부재(220)는 제2 몸체부(221), 제2 몸체부(22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납홈(2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몸체부(221)의 일단부에는 접속 클립(300)의 접속 도체(330)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 걸림 돌기(223)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접속 도체(330) 대신에 부스바(B)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2 수납홈(222)에는 삽입되는 접속 클립(300)간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격벽(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221)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2 방열공(2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 부재(220)에는 제1 홀더 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226)와 끼움홈(227)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끼움 돌기(226)는 제1 홀더 부재(210)의 끼움홈(219)에 결합되고, 끼움홈(227)에는 제1 홀더 부재(210)의 끼움 돌기(218)가 결합되어서 조립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홀더 부재(220)의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끼움 돌기(211a)(221a)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 돌기(211a)(221a)는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공(12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끼움 돌기(211a)(221a)는 조립된 홀더 부재가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안에 홀더 부재를 삽입하면, 끼움 돌기(211a)(221a)는 수납 부재(121)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공(121a)에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속 홀더(200)를 이루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는 전기적 접속을 위해 부스바와 접속시, 밀리는 힘에 의해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 돌기(211a)(221a)가 부러지거나 또는 타고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끼움 돌기(211a)(221a) 대신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제2 케이스(400)에 형성된 구멍(420)을 통해 결합핀(미도시)을 삽입하여 걸림되게 할 수 있다.
접속 클립(300)은 한쌍의 서로 마주보는 접속 부재(310)(320)와, 접속 부재(310)(320)의 하부에 접속되게 연결되는 접속 도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접속 부재(310)(320)는 서로 압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속 도체(330)에는 2개의 결합공인 제1 결합공(331)과 제2 결합공(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공(331)에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의 걸림 돌기인 제1 걸림 돌기(215)와 제2 걸림 돌기(223)이 끼워져서 걸림되게 하고, 제2 결합공(332)에는 체결 부재로서 볼트(217)를 관통하여 제1 홀더 부재(210)에 마련된 체결 부재인 너트(216)와 체결할 수 있다.
접속 부재(310)(320)는 상기 접속 홀더(20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 부재(310)(320)의 접점부(도 19에서와 같이 부스바(B)와 접촉되는 부분)만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접속 홀더(200)를 이루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310)(320)는 부스바(B)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접점부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덮혀지므로, 외부와 차단될 수 있고,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홀더 부재(210)의 길이(d1)는 제2 홀더 부재(220)의 길이(d2)에 비해 더 길게 형성하여 볼트(217)를 체결할 수 있는 공간(S)이 확보되게 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에는 체결공(213)이 형성되고, 삽입홈(213a)에 너트(216)가 삽입되어서 전선(E)이 연결되기 때문에, 제2 홀더 부재(210) 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확보된 공간(S)에서 작업자가 볼트(217)를 접속 클립(300)의 접속 도체(330)에 형성된 제2 결합공(332)을 관통하여 너트(216)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전선(E)은 미리 볼트(217)에 끼운 상태일 수 있다.
접속 홀더(200)는 삽입된 접속 클립(300)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고, 2개의 부재인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홀더 부재(210)를 이루는 제1 몸체부(211)의 안쪽면 즉, 접속 클립(300)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제1 수납홈(212)이 복수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접속 클립(300)의 한쪽 접속 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211)의 안쪽면에는 제1 걸림 돌기(21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 걸림 돌기(215)는 삽입된 접속 클립(300)의 접속 부재(310)(320) 의 하부 사이에 끼워진 접속 도체(330)의 결합공(331)에 삽입되어 걸림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215)는 결합공(331)안에 삽입시 결합공(331)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삽입되지 않고 대략 1/2 정도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2 홀더 부재(220)의 제2 걸림 돌기(223)가 접속 도체(330)의 결합공(331)에 대략 1/2 정도 삽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홀더 부재(210)의 하부에는 전선(E)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213)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공(213)에는 너트(216)가 삽입되는 삽입홈(213a)이 형성된 구조로서, 너트(216)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인 경우, 삽입홈(213a)은 육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216)를 삽입홈(213a)에 삽입한 다음, 제1 홀더 부재(210)의 바깥쪽에서 볼트(217)를 체결공(213)을 통해 삽입하여 너트(216)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너트(216)는 육각형 모양의 삽입홈(213a)안에 삽입된 상태로서, 볼트(217)와의 결합시 헛도는 일이 없으므로, 볼트(217)의 체결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217)의 체결시 전선(E)의 압착 단자(E1)를 볼트(217)에 끼우고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 부재(210)는 제2 홀더 부재(220)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는 제2 홀더 부재(220)와 달리 체결공(213)이 형성된 구조이고, 볼트(217)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S)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홀더 부재(220)의 길이를 제1 홀더 부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확보된 공간(S)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217)를 간편하게 조일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2 홀더 부재(220)의 수납홈안에 접속 클립(200)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접속 클립(200)를 이루고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접속 부재(220)가 수납홈 및 격벽에 의해 격리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에는 각각 제1 수납홈(212)과 제2 수납홈(222)이 복수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용량 증설을 위해 접속 클립(300)을 이루는 접속 부재(310)(320)의 개수를 늘리더라도 수용 가능하고, 더욱이 겹쳐지는 접속 부재(310)(320)는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되지 않고 제1 수납홈(212)과 제2 수납홈(222)안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제1 수납홈(212)과 제2 수납홈(222)에 각각 제1 격벽(212a)과 제2 격벽(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212a)과 제2 격벽(222a)에 의해 접속 부재(310)(320)가 적층시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접촉에 의해 전압 불안정 또는 전기적 맥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복수의 방열공인 제1 방열공(214)과 제2 방열공(224)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접속 클립(300)이 부스바(B)와 전기적 접촉에 의해 열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열기를 쉽게 방출시킬 수 있다.
접속 클립(300)은 한쌍의 접속 부재(310)(320)와, 접속 부재(310)(320)의 하부 사이에 끼워지는 접속 도체(330)를 포함할 수 있고, 접속 도체(330)는 2개의 결합공인 제1 결합공(331)과 제2 결합공(332)으로 이루어지며, 제1 결합공(331)은 접속 홀더(200)안에 삽입시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의 걸림 돌기인 제1 걸림 돌기(215)와 제2 걸림 돌기(223)가 끼워지므로, 보다 확실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속 도체(330)의 제2 결합공(332)은 볼트(217)를 관통시켜서 제1 홀더 부재(210)의 너트(21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전선(E)의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속 도체(330)는 보호 케이스(110)에 의해 덮혀진 상태이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접속 도체(330)의 노출에 따른 예상치 못한 전기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제1 결합공(211b)과 제2 결합공(221b)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접속 홀더(200)가 삽입되는 접속 커버(120)의 각각의 수납 부재(121)에는 제1 관통공(121b)와 제2 관통공(121c)가 형성되며, 제1 관통공(121b)와 제2 관통공(121c)에는 결합핀(127)이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결합공(211b)와 제2 결합공(221b)에는 오목한 제1 홈(211c)과 제2 홈(221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의 접속 홀더(200)와 다른 부분의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결합공(211b)와 제2 결합공(221b)이 추가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를 구성하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10)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제1 결합공(211b)과 제2 결합공(221b)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접속 커버(120)의 복수의 수납 부재(121)에 형성된 제1 관통공(121b)과 제2 관통공(121c)을 통해 각각 결합핀(127)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접속 홀더(202)는 접속 커버(120)에 형성된 복수의 수납 부재(121)의 내부에서 삽입된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 및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는 1차로 접속 홀더(202)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 돌기(211a)(221a)에 의해 수납 부재(121)에 걸림되고, 2차로 결합핀(127)에 의해 수납 부재(12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결합됨으로써, 이중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그에 따라 흔들림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속 홀더(202)안에 마련된 접속 클립(300)의 접속 부재(310)(320) 사이로 부스바(B)가 삽입되어 접촉될때, 부스바(B)와의 삽입 동작에 따라 접속 클립(300)은 밀리는 힘을 받게되고, 그에 따라 수납 부재(121)안에서 밀려서 삽입 위치가 이탈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는 양쪽 측면 및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끼움 돌기(211a)(221a) 및 결합핀(127)에 의해 이중으로 잡아주고 있으므로, 부스바(B)와의 삽입력에 의해 접속 홀더(202)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500)는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510), 프레임(5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접속 부재(520), 접속 부재(520)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530)는 접속 부재(520)의 연결편(523)을 관통하여 프레임(510)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511)안에 삽입되는 체결 볼트(531)와, 체결 볼트(53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 너트(53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체결 너트(532)는 프레임(510)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511)안에 수납되면서 체결 볼트(531)의 체결 동작을 위한 회전시 헛돌지 않고 삽입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걸림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수납 공간부(511)에는 체결 너트(532)가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부(511a), 제1 수납 공간부(511a)보다 간격이 협소하고, 체결 볼트(531)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수납 공간부(511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수납 공간부(511a)의 양 측면은 체결 너트(532)의 각진 부분과 대면되어서 체결 너트(532)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직선면(51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납 공간부(511a)는 제2 수납 공간부(511b)와의 경계 부분에서 자동적으로 저지턱이 형성됨으로써, 제1 수납 공간부(511a)안에 삽입되는 체결 너트(532)가 체결 볼트(531)와의 나사 결합시, 헛도는 현상 및 체결 볼트(531)가 나사결합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항상 삽입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7을 참조하면, 체결 볼트(531)를 회전시키면, 고정된 상태의 체결 너트(532)와의 체결되면서 연결편(523)을 가압할 수 있고, 체결 볼트(531)의 헤드부와 연결편(523)의 외면과의 사이에 부스바(B)를 끼우고 체결 볼트(531)를 관통시킨 다음 회전시키면,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고, 더욱이, 부스바(B)의 설치 방향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다.
체결 볼트(531)의 헤드부는 개방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360도 전방위에 대하여 아무런 간섭이 없는 상태이고, 따라서, 부스바(B)의 설치 방향을 설치 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을 맞추어서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510)에는 커버(512)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510)의 일면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부스바가 삽입되어 접속 부재(520)와 접촉되기 위한 삽입공(5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510)에는 접속 홀더(50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514)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520)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일체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의 단부가 연결되어 일체화되게 하는 연결편(5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편(523)에는 체결 부재(530)가 체결될 수 있고, 체결 부재(530)를 통해 전선을 연결할 수 있다.
접속 부재(520)의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540)가 탄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540)는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을 각각 탄지하도록 제1 탄성 부재(541)와 제2 탄성 부재(542)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41)와 제2 탄성 부재(542)의 일측에는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의 절곡된 부분의 제1 접점부(521a)와 제2 접점부(522a)를 각각 탄지하도록 절곡된 제1 가압부(541a)와 제2 가압부(54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500)는 한쌍의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의 제1 접점부(521a)와 제2 접점부(522a)의 접점 길이가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접촉 면적이 커질 수 있고,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기 접속 바아(110)의 제3 접속편(113)과의 접속시, 접촉에 의한 저항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점부(521a)와 제2 접점부(522a)의 폭 방향 길이는 도 27을 참조하면, 프레임(510)의 깊이 방향인 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도 27에서 x축 방향은 접속 홀더(500)의 가로 방향, y축 방향은 접속 홀더(500)의 깊이 방향, z축 방향은 접속 홀더(500)의 세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의 외주면에 각각 제1 탄성 부재(541)와 제2 탄성 부재(542)가 탄지된 구조이므로, 제1 탄성 부재(541)와 제2 탄성 부재(542)에 의해 항상 가압된 상태로 전기 접속 바아(110)와의 접속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1 탄성 부재(541)와 제2 탄성 부재(542)의 일측에는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의 절곡된 부분의 제1 접점부(521a)와 제2 접점부(522a)를 각각 탄지하도록 절곡된 제1 가압부(541a)와 제2 가압부(542a)가 형성된 구조이므로, 제1 가압부(541a)와 제2 가압부(542a)에 의해 제1 접속편(521)과 제2 접속편(522)의 제1 접점부(521a)와 제2 접점부(522a)에서의 가압 상태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속 홀더(500)와 전기 접속 바아(110)와의 접속시, 제1 접점부(521a)와 제2 접점부(522a) 폭방향 길이 전체에 대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접속 상태가 흔들림이 없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500)는 체결 부재(530)를 통해 전선을 연결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서, 전선을 용접(납땜 등) 등으로 접합시켜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10... 전기 접속 커넥터
100... 제1 케이스 110... 전기 접속 바아
110a... 체결공
111... 제1 접속편 111a... 전선 체결공
112... 제2 접속편 112a... 체결공
113... 제3 접속편
120... 덮개부 121... 걸림턱
122... 관통공 122a... 제1 관통공
122b... 제2 관통공 123... 차단 부재
130... 격벽
132... 진입로 134... 체결 돌기
140... 연결관 141... 걸림 돌기
142... 체결 돌기 143... 결합공
150... 절연 튜브 151... 걸림턱
152... 관통공 153... 걸림핀
154... 결합공 155... 걸림핀
156... 연장편 157... 걸림핀
200,202... 접속 홀더 210...제1 홀더 부재
211... 제1 몸체부 211a... 끼움 돌기
211b... 제1 결합공 211c... 제1 홈
212... 제1 수납홈 212a...제1 격벽
213... 체결공 213a... 삽입홈
214... 제1 방열공 215... 제1 걸림돌기
216... 너트 217...볼트
218... 끼움돌기 219... 끼움홈
220... 제2 홀더 부재 221... 제2 몸체부
221a... 끼움 돌기 221b... 제2 결합공
221c... 제2 홈
222... 제2 수납홈 222a... 제2 격벽
223... 제2 걸림 돌기 224... 제2 방열공
226... 끼움 돌기 227... 끼움홈
300... 접속 클립 310,320... 접속 부재
330... 접속 도체 331... 제1 결합공
332... 제2 결합공 340... 탄성 부재
400... 제2 케이스 402... 수납 공간
410... 개폐 커버 420... 결합공
500... 접속 홀더 510... 프레임
511... 수납 공간부 511a... 제1 수납 공간부
511b... 제2 수납 공간부 511c... 직선면
512... 커버 514... 고정공
520... 접속 부재 521... 제1 접속편
522... 제2 접속편 521a... 제1 접점부
522a... 제2 접점부 523... 연결편
530... 체결 부재 531... 체결 볼트
532... 체결 너트 540... 탄성 부재
541... 제1 탄성 부재 542... 제2 탄성 부재
541a... 제1 가압부 542a... 제2 가압부
B... 부스바 d1,d2... 길이
E... 전선 E1... 압착 단자
S... 공간

Claims (13)

  1.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홀더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 접속 바아가 관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를 감싸는 절연 튜브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관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절연 튜브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 및 결합공을 관통하여 걸림핀을 삽입하여 걸림되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관에 상기 절연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접속 홀더의 내부에는 접속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홀더는 상기 접속 클립이 구비되도록 서로 착탈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홀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클립은 한쌍을 이루면서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접속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 클립은 한쌍의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접속 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부재의 안쪽에는 상기 복수의 접속 부재가 개별적으로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접속 부재를 개별적으로 격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간에는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서로 접촉되지 않고 구비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전기 접속 바아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는 덮개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접속 홀더가 관통되고 서로 이웃하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접속 홀더의 개수와 비례하여 배열되는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관통공 사이의 저면으로 상기 전기 접속 바아와 상기 접속 홀더의 접속시 전기적 스파크를 방지하고 상기 접속 홀더의 접속 간격을 유지하도록 해주기 위한 차단 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관의 노출되는 끝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걸림되기 위한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절연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기 접속 바아는 상기 제1 케이스에 배열시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접속 바아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접속편, 상기 제1 접속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절곡되어 삽입되고 상기 제1 접속편보다 낮은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접속편, 상기 제2 접속편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 접속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인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부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기 접속 바아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접속편, 상기 제1 접속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절곡된 구조의 제3 접속편을 포함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튜브에는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부분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연장되면서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연장편이 형성되고, 연장편에는 걸림핀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홀더 부재는,
    한쌍을 이루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 홀더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홀더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더 부재의 단부 일측과 제2 홀더 부재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 클립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홀더 부재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되는 체결 부재의 체결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10. 삭제
  11. 복수의 전기 접속 바아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홀더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 접속 바아가 관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전기 접속 바아를 감싸는 절연 튜브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관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절연 튜브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 및 결합공을 관통하여 걸림핀을 삽입하여 걸림되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관에 상기 절연 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접속 홀더는,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는 접속 부재;
    상기 접속 부재의 외주면에 접속 부재를 탄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탄성 부재;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연결편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수납 공간부안에 삽입되는 체결 볼트,
    상기 체결 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너트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수납 공간부안에 수납되면서 상기 체결 볼트의 체결 동작을 위한 회전시 헛돌지 않고 삽입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걸림된 상태로 구비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부은,
    상기 체결 너트가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부,
    상기 제1 수납 공간부보다 간격이 협소하고, 상기 체결 볼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수납 공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납 공간부의 양 측면은 상기 체결 너트의 각진 부분과 대면되어서 체결 너트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직선면이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0210097779A 2021-07-26 2021-07-26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60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779A KR102606958B1 (ko) 2021-07-26 2021-07-26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779A KR102606958B1 (ko) 2021-07-26 2021-07-26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371A KR20230016371A (ko) 2023-02-02
KR102606958B1 true KR102606958B1 (ko) 2023-11-29

Family

ID=8522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779A KR102606958B1 (ko) 2021-07-26 2021-07-26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3685A (ja) * 2007-04-10 2008-10-30 Kanto Auto Works Ltd グロメットと保護用チューブの連結構造
KR101242337B1 (ko) * 2011-12-07 2013-03-11 윤여관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KR200474390Y1 (ko) * 2013-03-20 2014-11-03 김진웅 전동기 제어반용 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603A (ko) * 2013-07-15 2015-01-23 조규완 배전반용 커넥터
KR102246825B1 (ko) * 2019-04-12 2021-04-30 이덕환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3685A (ja) * 2007-04-10 2008-10-30 Kanto Auto Works Ltd グロメットと保護用チューブの連結構造
KR101242337B1 (ko) * 2011-12-07 2013-03-11 윤여관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KR200474390Y1 (ko) * 2013-03-20 2014-11-03 김진웅 전동기 제어반용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371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3132B1 (en) Terminal block with U-shaped conducting part of connecting electric wires
US7889480B2 (en) Panelboard
CA2522177C (en) Housing arrangement with at least two junction boxes
US5488337A (en) Circuit breaker with distribution lug terminal having trapped insulator
KR20140059798A (ko) 플러그 커넥터
US4159159A (en) Terminal module with dual binding post terminals
KR102606958B1 (ko)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083420B1 (ko) 분전반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SU1438634A3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 колодка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US20050117281A1 (en) Connection or distributing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 equipment
KR20230068678A (ko)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KR100734026B1 (ko) 전기 배선 분기장치
US5942725A (en) Self-grounding protector module for building entrance protector box
KR102357979B1 (ko) 분전반
KR101147058B1 (ko) 조립식 분전반
JP2010044931A (ja) 電気機器間の接続構造
KR20100038889A (ko) 전기 접속장치
KR102630482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350376B1 (ko) 분전반
US6031907A (en) Building entrance box with integrated flexible grounding
KR101623761B1 (ko)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KR102618722B1 (ko)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JPS6013154Y2 (ja) 配線用しや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