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979B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979B1
KR102357979B1 KR1020190164947A KR20190164947A KR102357979B1 KR 102357979 B1 KR102357979 B1 KR 102357979B1 KR 1020190164947 A KR1020190164947 A KR 1020190164947A KR 20190164947 A KR20190164947 A KR 20190164947A KR 102357979 B1 KR102357979 B1 KR 10235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upport block
circuit breaker
support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031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9016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9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차단기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구역과 상기 부스바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받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은 상기 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분기 과전류 보호기를 집합해서 설치한 것으로서, 배전반에서 배선된 간선을 다시 각 방면으로 분기 배선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분전반은 아파트, 빌라, 공공건물 등과 같은 건물에서 단위 세대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기부하로 전원을 분산 공급하여 누전 또는 과부하 발생 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이나 전기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메인 차단기 및 보조 차단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전반에는, 부스바를 길이를 연장하거나, 부스바의 일단측과 외부로 분배되는 전선의 타단측을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스바 지지대는 메인 차단기와 크기, 폭 및 높이가 서로 맞지 않아, 그 높이를 맞추기 위해, 아크릴판과 같은 별도의 추가 부재를 터미널 단자대의 하부에 받쳐 사용해야 한다. 또는, 부스바를 절곡하거나 부스바와 차단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절곡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종래의 부스바 지지대는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735호 (2005.03.15.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한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차단기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구역과 상기 부스바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받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은 상기 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부스바 및 상기 부스바와 연결되는 다른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부스바와 외부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면에 상기 받침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제1 방향으로 상기 입력구역과 상기 출력구역을 구획하는 제1 구획벽;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받침부를 구획하는 제2 구획벽을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폭은 상기 차단기의 접속단자의 폭과 동일하게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폭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과 같거나 크게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제1 구획벽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획벽에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절연벽을 더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벽의 일측 단부에는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구획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벽이 상기 제2 구획벽에 결합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너트와 볼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육각형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너트는 후렌치 너트인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제공되고, 상기 걸림턱의 돌출 높이는 상기 연결부재의 높이와 동일한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전반은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기 돌출 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양측에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장공이 형성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의 폭은 메인 차단기의 폭과 동일한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전반은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커버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에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몸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1)은, 차단기(10)와, 차단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20)와, 부스바를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 블록(30)과, 차단기(10)를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 패널(40)과, 부스바(20)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메인 차단기(110)와, 공급받은 전력을 외부로 분배하는 보조 차단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차단기(110)와 보조 차단기(120) 및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베이스 패널(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패널(40)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다수의 설치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치홀(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메인 차단기(110), 보조 차단기(120) 및 부스바 지지 블록(30)이 위치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부스바(20)는 모선 부스바(210)와 자선 부스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되어,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자선 부스바(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자선 부스바(220)는 모선 부스바(210)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보조 차단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선 부스바(21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단자가 4개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접속단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 차단기(120)는 외부로 전력을 분배하는 것으로서, 부하 용량에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차단기(120)는 자선 부스바(220)의 양 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p 보조 차단기(120) 1개와, 3p 보조 차단기(120) 1개 및 1p 보조 차단기(120) 2개가 각각 양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설치되는 보조 차단기(120)의 종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메인 차단기(110)의 전력을 공급받아 자선 부스바(220)에 전달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되는 일측 단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 단부는 메인 차단기(110)의 일측에 제공되는 이음재(70) 상에 놓여,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미도시)는 모선 부스바(210)와 메인 차단기(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커넥터(미도시)의 일측은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와 결합되고, 커넥터(미도시)의 타측은 모선 부스바(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가 안착되는 이음재(70)의 상면이 접속단자와 높이가 같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자형의 커넥터(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미돋시)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절곡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가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메인 차단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메인 차단기(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모선 부스바(210)에 전달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자선 부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선 부스바(220)는 그 길이 방향이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보조 차단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와 자선 부스바(220)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연결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와 자선 부스바(220)는 보호 커버(50)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커버(50)는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의 상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부스바 지지 블록(30) 상에 놓이는 기둥 형태의 지지부재(6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보호 커버(50)는 절연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커버(50)는 내부 구성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아크릴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재(60)는 보호 커버(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부스바 지지 블록(30) 및 이음재(70)에 결합된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60)의 외측으로 장볼트가 관통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60)가 보호 커버(50)에 제공되는 홀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별도의 너트를 통해 장볼트와 결합될 수 있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모선 부스바(210)의 타측에 제공될 수 있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가 짧아 모선 부스바(210)를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스바 지지 블록(30)이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설명하나,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력 입력 장치(본 실시예에서는, 모선 부스바(210))와, 전력 출력 장치(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모선 부스바(210'))를 전기적으로 연결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와 외부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사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커버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에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부스바 지지 블록의 몸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모선 부스바(210)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게 연결되는 자선 부스바(220)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겠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몸체부(310)와 연결부재(320)와 벽부(330)와 절연벽(350)과 커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의 타단측에 제공되어,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일측은 모선 부스바(210)와 타단과 연결되고,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타측은 다른 모선 부스바(2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전달 받은 전력을 자선 부스바(220)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다른 모선 부스바(21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의 타측 단부는,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일측에 놓여, 연결부재(320)를 통해 다른 모선 부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선 부스바(210)의 타측 단부는 연결부재(32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고, 다른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 단부는 연결부재(3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연결부재(3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20)는 몸체부(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받침부(311)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311)는,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구역(313)과,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구역(315)으로 구획될 수 있다(도 6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 부스바(210)와 연결되어 모선 부스바(210)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부분을 입력구역(313)으로 설명하고, 다른 모선 부스바(210')와 연결되어 다른 모선 부스바(210')로 전력을 출력하는 부분을 출력구역(315)으로 설명하겠다.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의 구획은 벽부(330)의 제1 구획벽(331)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받침부(311)가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으로 구획됨으로써,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전력의 입력과 출력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결합부재(380)에 의해 받침부(31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380)는 볼트(381)와 너트(38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1)에는 너트(383)가 삽입될 수 있는 홈(311a)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311)에는 볼트(381)가 관통될 수 있는 홀(3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311a)은 육각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홈(311a)에 삽입되는 너트는 후렌치 너트일 수 있다. 후렌치 너트는 너트 상면에 둥근 테가 붙은 모양의 와셔 겸용 너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알려져 있는 자명한 구성에 해당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너트(383)가 홈(3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20)가 받침부(311)에 안착되고, 볼트(381)가 연결부재(320)를 관통하여 너트(383)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320)가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의 일측에는 정공(321)이 형성되고, 연결부재(320)의 타측에는 장공(3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정공(321)은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으며, 장공(323)은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긴 모양을 갖는 구멍일 수 있다. 연결부재(320)의 일측 및 타측에 모두 일정한 지름을 갖는 정공(321)을 형성하게 될 경우, 정확한 위치를 맞추기 위해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위치 변경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20)는 정공(321)과 장공(323)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320)가 결합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 및 다른 모선 부스바(210)에도 결합을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311)의 상측에 모선 부스바(210) 및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381)가 모선 부스바(210, 210')의 홀(미도시)을 관통하여, 너트(38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결합될 수 있다.
벽부(330)는 제1 구획벽(331)과, 제2 구획벽(333)과, 측벽(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벽(331)은 제1 방향으로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을 구획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제1 방향은 자선 부스바(22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제1 구획벽(331)은 받침부(311)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획벽(331)과 받침부(311) 사이의 공간이 관통홀(340)일 수 있다. 관통홀(340)은 연결부재(320)가 관통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제2 구획벽(333)은 받침부(3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으로 받침부(311)를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 방향으로서, 제1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구획벽(333)이 받침부(311)의 상측에 3개 제공되어, 입력구역(313) 및 출력구역(315)이 각각 제2 방향에 대해 4개의 부분으로 구획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제2 구획벽(33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구획벽(333)은 4개로 제공되어, 입력구역(313) 및 출력구역(315)이 각각 제2 방향에 대해 5개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는 5개로 제공될 수 있고,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되는 모선 부스바(210)도 5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획벽(33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폭은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의 폭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획벽(333)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는 연결부재(320)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획벽(33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폭은 연결부재(320)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구획벽(333)의 일측 및 타측에는 절연벽(350)이 제공될 수 있다. 절연벽(350)은 복수 개의 모선 부스바(210)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구획벽(333)에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벽(350)의 일측 단부에는 돌출부(35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구획벽(333)에는 돌출부(351)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333a)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홀(333a)의 내부 형상 및 크기는 돌출부(35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홀(333a)에 돌출부(351)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절연벽(350)이 제2 구획벽(3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51)가 결합홀(333a)의 상측으로부터 결합홀(333a)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돌출부(351)와 결합홀(333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측벽(335)은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양측에 받침부(3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으로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제공될 수 있다. 측벽(335)에는 지지부재(6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335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60)는 삽입홀(335a)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311)의 일측 단부에는 받침부(3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60)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가 관통홀(340)을 통해 삽입되어 받침부(311)에 안착될 때, 연결부재(320)가 걸림턱(360)에 걸려, 정위치에 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턱(360)이 입력구역(313) 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걸림턱(360)이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걸림턱(360)은 출력구역(315) 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60)의 돌출 높이는 연결부재(320)의 높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320)가 받침부(3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걸림턱(360)의 연결부재(32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20)가 받침부(311)에 안착되면, 연결부재(320)의 상면은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와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절곡되지 않은 일자형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폭은 메인 차단기(110)의 폭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그 상측을 덮을 수 있는 커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70)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 돌기(371)를 포함할 수 있고,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돌출 돌기(371)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33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홈(331a)은 제1 구획벽(331)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돌기(371)가 결합홈(331a)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커버(370)가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베이스 패널(40) 상에 메인 차단기(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메인 차단기(110) 및 베이스 패널(40)의 설치홀(미도시)을 관통함으로써 메인 차단기(110)가 베이스 패널(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10)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접속단자 및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메인 차단기(110)와 모선 부스바(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10)의 일측에는 이음재(70)가 고정될 수 있고, 부스바 지지 블록(30)이 이음재(70)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베이스 패널(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은 이음재(70) 상에 놓이고, 모선 부스바(210)의 타측은 부스바 지지 블록(30) 상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모선 부스바(210)의 상측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자선 부스바(220)가 제공될 수 있다. 자선 부스바(220)는 양측이 보조 차단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를 통해 전달받은 전력을 자선 부스바(220)에 전달할 수 있고, 자선 부스바(220)는 전달받은 전력을 보조 차단기(120)에 전달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는 보호 커버(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는 그 표면이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분전반을 보수하거나 점검하고자 할 때, 접촉으로 인한 고압전류의 감전 위험이 있다. 보호 커버(50)는 사용 과정에서 부스바(20)에 인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50)는 절연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커버(50)는 내부 구성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아크릴로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메인 차단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모선 부스바(210)의 타측은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연결부재(320)를 통해 다른 모선 부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선 부스바(210)가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다른 모선 부스바(210')로 전달할 수 있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모선 부스바(210)를 지지하고,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안착되는 연결부재(320)의 일측은 모선 부스바(210)의 타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재(320)의 타측은 다른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가 안착되는 받침부(311)는,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구역(313)과, 모선 부스바(210)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구역(315)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구역(313)은 모선 부스바(210)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출력구역(315)은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은 제1 구획벽(331)을 통해 구획될 수 있다.
받침부(311)가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으로 구획됨으로써,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전력의 입력과 출력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받침부(311)에 형성되는 홈(311a)에 너트가 삽입된 상태로, 받침부(311)에 연결부재(320)가 안착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받침부(311)와 제1 구획벽(331)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홀(340) 내부로 관통되어, 받침부(311)에 안착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때, 연결부재(320)는 걸림턱(360)에 의해 걸려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걸림턱(360)은 연결부재(320)와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결부재(320)가 안착되었을 경우, 걸림턱(360)의 연결부재(32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제1 구획벽(331)과, 제2 구획벽(333)과, 측벽(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벽(331)은 제1 방향에 대해 받침부(311)를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으로 구획하는 벽이다. 제1 구획벽(331)에는 커버(370)를 결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331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70)의 돌출 돌기(371)가 결합홈(331a)에 끼워짐으로써, 커버(370)가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구획벽(333)은 받침부(311)를 제2 방향에 대해 구획하는 벽이다. 제2 구획벽(333)은 3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받침부(311)는 제2 방향에 대해 4개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구역(313)은 제2 방향에 대해 4개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출력구역(315)도 제2 방향에 대해 4개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가 받침부(3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구획벽(333)에 대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는 모선 부스바(210) 및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구역(313)에는 모선 부스바(210)가 안착될 수 있고, 출력구역(315)에는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 및 다른 모선 부스바(210)에도 결합을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311)의 상측에 모선 부스바(210) 및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381)가 모선 부스바(210, 210')의 홀(미도시)을 관통하여, 너트(38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선 부스바(210)와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311)에 안착된 연결부재(320)의 상면과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의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는 바, 이 높이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해,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선 부스바(210)를 절곡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제2 구획벽(333)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모선 부스바(210) 및 다른 모선 부스바(210')가 안찰될 수 있다. 이때,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일측에는 모선 부스바(210)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벽(35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타측에도 다른 모선 부스바(210')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벽(350)이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에는 고압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복수 개의 모선 부스바(210)가 서로 접촉되면, 전압 사고 위험이 있다. 절연벽(350)은 모선 부스바(210)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전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구획벽(333)은 절연벽(35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홀(333a)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벽(350)의 돌출 돌기(371)가 결합홀(333a)에 결합됨으로써, 절연벽(350)이 제2 구획벽(333)에 고정될 수 있다.
측벽(335)은 부스바 지지 블록(30)의 양측에 형성되는 벽으로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제공될 수 있다. 측벽(335)에는 지지부재(6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33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는 구성을 갖는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입력구역(313)과 출력구역(315)이 따로 제공되는 바, 입력과 출력을 한 공간에서 동시에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안착된 연결부재(320)의 상면이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와 동일한 높이에 제공되는 바, 이 높이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스바 지지 블록(30)에 안착된 연결부재(320)의 상면이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와 동일한 높이에 제공되는 바, 일자형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스바 지지 블록(30)을 통해 전력 입력 장치 및 전력 출력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바,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터미널 블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부스바 지지 블록(30)은 부스바 지지대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 블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한 가지 부품(부스바 지지 블록)으로 부스바 지지 및 입출력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차단기 110: 메인 차단기
120: 보조 차단기 20: 부스바
210: 모선 부스바 210': 다른 모선 부스바
220: 자선 부스바 30: 부스바 지지 블록
310: 몸체부 311: 받침부
311a: 홈 311b: 홀
313: 입력구역 315: 출력구역
320: 연결부재 321: 정홀
323: 장홀 330: 벽부
331: 제1 구획벽 331a: 결합홈
333: 제2 구획벽 333a: 결합홀
335: 측벽 335a: 삽입홀
340: 관통홀 350: 절연벽
351: 돌출부 360: 걸림턱
370: 커버 371: 돌출 돌기
380: 결합부재 381: 볼트
383: 너트 40: 베이스 패널
50: 보호 커버 60: 지지부재
70: 이음재

Claims (17)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차단기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구역과 상기 부스바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받침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은 상기 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높이가 동일하게 제공되고,
    상기 받침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제공되고,
    상기 걸림턱의 돌출 높이는 상기 연결부재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기 돌출 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양측에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분전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부스바 및 상기 부스바와 연결되는 다른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분전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부스바와 외부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분전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은,
    상면에 상기 받침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제1 방향으로 상기 입력구역과 상기 출력구역을 구획하는 제1 구획벽;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받침부를 구획하는 제2 구획벽을 포함하는 분전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폭은 상기 차단기의 접속단자의 폭과 동일하게 제공되는 분전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폭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과 같거나 크게 제공되는 분전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제1 구획벽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분전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벽에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절연벽을 더 포함하는 분전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벽의 일측 단부에는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구획벽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벽이 상기 제2 구획벽에 결합되는 분전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너트와 볼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분전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육각형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너트는 후렌치 너트인 분전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지지 블록의 폭은 메인 차단기의 폭과 동일한 분전반.
KR1020190164947A 2019-12-11 2019-12-11 분전반 KR102357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47A KR102357979B1 (ko) 2019-12-11 2019-12-11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47A KR102357979B1 (ko) 2019-12-11 2019-12-11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31A KR20210074031A (ko) 2021-06-21
KR102357979B1 true KR102357979B1 (ko) 2022-01-28

Family

ID=7659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947A KR102357979B1 (ko) 2019-12-11 2019-12-11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9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33B1 (ko) 2007-06-07 2007-12-05 주식회사 대홍전기 분전반
KR101085990B1 (ko) * 2010-08-19 2011-11-30 박관수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1756732B1 (ko) * 2016-09-12 2017-07-11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아크방전 및 과전류가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단자대.
KR101899350B1 (ko) 2017-06-05 2018-09-17 강성근 단자대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620Y2 (ja) * 1993-05-20 2000-07-31 日東工業株式会社 端子台付きブレーカ
KR200379735Y1 (ko) 2004-12-23 2005-03-23 형제전기주식회사 분전반용 부스바 안전커버 고정장치
KR20140109118A (ko) * 2013-03-05 2014-09-15 심윤국 전력분배용 접속컨넥터의 단자대 쇼트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33B1 (ko) 2007-06-07 2007-12-05 주식회사 대홍전기 분전반
KR101085990B1 (ko) * 2010-08-19 2011-11-30 박관수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1756732B1 (ko) * 2016-09-12 2017-07-11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아크방전 및 과전류가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단자대.
KR101899350B1 (ko) 2017-06-05 2018-09-17 강성근 단자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31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331B2 (en) Power distribution panel
EP2181487B1 (en) Panelboard
KR100659289B1 (ko)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KR102083420B1 (ko) 분전반
KR102357979B1 (ko) 분전반
EP0673081B1 (en) Terminal box
KR101186275B1 (ko)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친환경 산업용 안전 분전반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KR20100107883A (ko) 조립식 일체형 분전반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US4413307A (en) Bus bar extensions to outside of busway for external connections
KR102350376B1 (ko) 분전반
US5627724A (en) Combination service entrance device with provisions for distributing power to multiple service disconnects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US8004826B2 (en) Electrical switchgear assembly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200302957Y1 (ko) 분전반
JP2010206894A (ja) 配電盤
KR102580337B1 (ko)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KR102606958B1 (ko)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KR200401136Y1 (ko) 분전반
KR102595685B1 (ko) 모듈형 멀티 부스바 분기 장치
JP2001177927A (ja) 配電盤
JP3562792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